KR20150031420A - 암반 드릴링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암반 드릴링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420A
KR20150031420A KR20147035564A KR20147035564A KR20150031420A KR 20150031420 A KR20150031420 A KR 20150031420A KR 20147035564 A KR20147035564 A KR 20147035564A KR 20147035564 A KR20147035564 A KR 20147035564A KR 20150031420 A KR20150031420 A KR 2015003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ing
guide
pipe component
gripping
gri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610B1 (ko
Inventor
리카르드 구스타브손
Original Assignee
아트라스 콥코 크라엘리우스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트라스 콥코 크라엘리우스 에이비 filed Critical 아트라스 콥코 크라엘리우스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03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 E21B19/15Racking of rods in horizontal position; Handl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 E21B19/155Handl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14Racks, ramps, troughs or bins, for holding the lengths of rod singly or connected; Handling between storage place and borehole
    • E21B19/15Racking of rods in horizontal position; Handling between horizontal and vertic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2Top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00Rotary drilling
    • E21B3/02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 E21B3/025Surface drives for rotary drilling with a to-and-fro rotation of the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각도를 형성하는 동안에 이송 빔으로부터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착장치에 체결 가능하게 안내 빔(19)을 따라 구동 가능하게 변위 가능하게 있는 파지장치셔틀(40)을 가진 굴착장치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장치에서, 상기 파지장치셔틀(40)은 굴착장치의 바깥 위치로부터 리프팅을 위해 의도되어 있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제1 단부 부분을 안내 빔의 제1 바깥 위치의 제1 위에서 파지하기 위해 회전하게 안내 파지장치(41)를 정렬하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해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하여 있도록 의도되어 있고, 그리고 이송 빔(2)에 인접한 안내 빔에 제1 내부 위치의 제2 위치에서 파지장치셔틀(40)은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상기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도록 안내 파지장치(41)와 정렬되어 있다.

Description

암반 드릴링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drill string components in rock drilling and rock drill rig}
본 발명은 굴착장치에 대하여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이송 및 회전 장치가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 빔, 그리고 굴착장치의 굴착 파이프 위치에 있는 제2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나사 결합되어지는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리프팅하기 위한 리프팅 윈치(a lifting winch)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런 핸들링 장치가 설치된 암반 굴착장치 및 대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탐사 목적의 코어 드릴링(core drilling)은 암반 굴착장치로 보통 수행되어지고,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는 윈치의 도움으로 드릴 홀로부터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작동 굴착 파이프 위치에 정렬되어진다. 윈치 와이어는 리프팅 플러그(a lifting plug)의 도움으로 최상의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체결되어진다. 코어 드릴링은 조사되어지는 암반의 굴착된 코어(a drilled-out core)를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관형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들이 사용되어진다. 드릴 비트의 교환을 위해 종종 수행되는 굴착 파이프를 위로 상승시키는 동안에, 튜브 파이프가 유닛 단위로 상승되고, 그것에 의해 개별 튜브들은 하부 튜브 홀더(a lower tube holder)와 협업(co-operation)하여 굴착장치의 로터 장치의 도움으로 서로로부터 해제된다.
굴착 파이프부터 벗어나는 튜브의 최종 해제는 작업자에 의해 오늘날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동으로 수행되어지고, 이런 핸들링은 튜브 저장장치(a tube magazine)의 영역에 튜브의 리프팅과 안내 및 최종 나사결합의 해제를 포함한다.
굴착 파이프를 하강하는 동안에, 상기 작업 단계들은 튜브 형태의 새로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들이 그들이 작업자에 의해 굴착 파이프와 정렬되어 함께 나사 결합되는 위치로 연속하여 올라가게 역으로 수행되어진다. 이들 작업 단계들은 스트레스가 많고 작업자에게 상승 및 클램핑 부상을 받게 되는 무시할 수 없는 위험성을 초래한다.
코어 드릴링은 예를 들어 1000-2000m 사이의 굴착 길이와 같이, 매우 큰 깊이로 종종 수행되어진다. 드릴 비트가 작업에서 마모를 받고 있기 때문에, 드릴 비트는 비교적 자주 교환되어야 하고, 전체 굴착 파이프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로부터 해제되어, 드릴 홀로부터 올라오게 되어야 하고, 마모된 드릴 비트는 제거되고, 새로운 드릴 비트로 교체되고, 그 때문에 굴착 파이프는 다시 드릴 홀로 하강되어진다. 그 결과 드릴 비트가 다시 교환될 때 까지 더 먼 거리로 구멍이 뚫어진다. 드릴링 동안에, 세정 액체 선회장치(a flushing liquid swivel)가 드릴링 동안에 분해되어진 암석을 이송하여 가기 위한 세정 액체를 공급하기 위해 굴착 파이프의 최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따른 문제점들이 다루어져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되는, 상기 종류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파지장치 셔틀(a gripper shuttle)에 의해 상기에 따른 핸들링 장치(a handling device)로 달성되어지고, 파지장치 셔틀은 이송 빔과 각도를 형성하는 동안에 이송 빔으로부터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착장치에 체결가능하게 있는 안내 빔을 따라 구동가능하게 정렬될 수 있고, 파지장치 셔틀은 안내 빔 위의 제1 가장 바깥쪽 위치의 제1 위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1 단부 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회전하게 배열된 안내 파지장치(a pivotally arranged guiding gripper)를 가지고 있고, 굴착장치 바깥의 위치로부터 리프팅하기 위해 의도되어 있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한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그리고 이송 빔에 인접하는 안내 빔에 제2 내부 위치의 제2 위치에서 파지장치 셔틀은 굴착 파이프 위치의 연역에서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도록 안내 파지장치와 정렬되어진다.
안내 빔에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1 단부 부분을 파지하기 위한 회전하게 배열된 파지장치(a pivotally arranged gripper)가 제공되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플러그와 결합하게 배열되어 있는 구동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는 파지장치 셔틀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점들이 달성되어진다. 이는 리프팅 와이어를 가지고 리프팅하는 공정, 그리고 굴착 파이프 위치에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는 양쪽 공정, 뿐만 아니라 굴착 파이프 위치로부터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로부터 리프팅 및 해제시키는 공정 동안에 핸들링을 매우 용이하게 한다.
배경 기술에 따라,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가장 상승된 위치에서 대응하는 안내가 없고, 그리고 대신에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리프팅 와이어에 걸려 있을 때, 굴착 파이프 위치에서 또 다른 이송을 위해 인도 위치로 정확하게 보내기 위해 각각 굴착 파이프 위치에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은 작업자에 달려 있다.
파지장치 셔틀을 가진 정렬은 대신에 각각의 위치에서 상승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자유 단부의 안전하고 적절한 안내를 허용한다.
안내 빔은 안내 빔의 외부 부분, 안내 빔의 H-빔 또는 I-빔 형상의 플랜지의 측면 가장자리, 상호 향하여 있는 안내 리브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구성된 파지장치 셔틀을 위한 길이 방향 안내장치(a longitudinal guide)가 제공되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그런 정렬은 충분한 정확성을 가지고 용이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되어진다.
파지장치셔틀은 구동 모터의 용이 생산 설치를 허용하는 정지되어 정렬된 구동 모터의 도움으로 와이어, 체인, 밴드 또는 케이블에 의해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파지장치 캐리지 자체는 구동을 위한 구동 모터를 지지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안내 빔을 따라 정렬되는 결합수단에 반하여 작동한다.
바람직하게 장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어된 이송이 달성되어지게 윈치의 작동과 상관된 파지장치 셔틀의 이동을 제어-구동하기 위하여 정렬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파지장치 셔틀의 제2 위치에서, 안내 파지장치는 굴착 파이프 위치로 이동시키게 의도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후속 나사결합 동안에 또 다른 핸들링을 위한 안전한 방법으로 파지되어지게 정확하게 위치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이송 빔이 정렬된 정렬 안내장치(an alignment guide)와의 협력을 통하여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정렬하도록 적절하게 정렬되어진다.
안내 파지장치가 각각의 위치에서 적절한 안내를 얻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위치의 제1 회동 위치와 제2 위치의 제2 회동 위치 사이에서 구동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안내 파지장치는 전기 모터, 유압 모터, 공기 모터 중의 어느 하나의 도움을 통하여 개방 및 닫힌 위치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게 있는 것이 적절하다.
안내 빔은 이것이 굴착장치의 다른 이송 빔 각도를 가지고 다른 작업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제1 피벗 축 주위의 굴착장치에 회전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바깥 영역에서 안내 빔이 제1 피벗 축 주위의 지지부에 회전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 지지부는 구성요소들의 핸들링을 위한 지지부 본체(a support body), 저장장치(a magazine) 또는 다른 정렬(arrangemen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파지장치 유닛(a gripper unit)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1 단부 부분과 결합하기 위하여 굴착장치에 정렬되어지고, 상기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는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 안내 파지장치에 의해 정렬되고, 그것에 의해 안내 파지장치로부터 정확한 이송이 보장되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굴착 파이프를 회전 및 구동하고, 앞뒤 이동이 이송 빔에 의해 지지되어지는 로터 장치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암반 굴착장치는 상기에 따른 핸들링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송 빔을 포함하고, 이송 빔 위에서 이송 및 회전 장치가 변위되고,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상승되어 굴착장치의 굴착 파이프 위치로 있는 제2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나사 결합되어지게 위치되는,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 파지장치 셔틀이 이송 빔과 각도를 형성하는 동안에 이송 빔으로부터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착장치에 체결 가능하게 있는 이송 빔을 따라 구동 가능하게 정렬되고,
- 회전하게 정렬된 안내 파지장치를 가진, 안내 빔 위의 제1, 가장 바깥 위치에서 파지장치 셔틀은 굴착장치의 바깥 위치로부터 리프팅을 위해 의도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1 단부 부분을 파지하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해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되어지고, 그리고
- 안내 파지장치로 이송 빔에 인접하는 안내 빔 위에 제2, 내부 위치에서 파지장치 셔틀은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는, 것에 의해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핸들링 장치 및 종속하는 특징들과 관련하여 상기에 나타난 이점들은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해서 또한 적용할 수 있다.
파지장치 유닛과 회동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 사이에 정확한 정렬을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보장할 목적으로, 안내 빔이 적절하게 사용되고, 파지장치 유닛뿐만 아니라 굴착장치로 보내지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인도 위치에서 회동 아암을 위해 기계적 멈춤부를 형성하게 구성되어 정렬되어진다. 이런 정렬은 안내 빔이 한편으로는 기계적 멈춤부를 통하여 기준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파지장치 유닛에 대하여, 회동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단부를 또한 거의 자동적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종종 운전 작업의 중압으로부터 구제되기 때문에 상당한 핸들링 이점들을 제공한다. 구성요소들이 작업자에 대한 상해 위험성 없이 핸들링 동안에 상승된 이동 속도의 방향에서 취급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은 시추 경제(better drilling economy)가 기대될 수 있다.
코어 드릴링을 위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들을 함께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정렬 요구사항들은 매우 엄격하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래서 함께 나사 결합되는 구성요소의 1ㅀ 이상의 정렬 이탈이 허용되지 않는다. 더 큰 각도 이탈은 나사결합 실패 및 나사 손상에 대한 좀 더 심각한 경우가 것의 될 것 같은 결과가 된다.
안내 빔이 파지장치 유닛의 제1 회동 축의 영역과 관련하여 제1 피벗 축 주위에 회전하게 부착 가능하고, 그리고 특히 제1 피벗 축이 제1 회동 축과 적어도 기본적으로 동축으로 있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비슷하게, 안내 밤이 회동 아암의 제2 회동 축의 영역과 관련하여 제2 피벗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하게 있도록 체결 가능하고, 그리고 특지 제2 피벗 축이 제2 회동 축과 적어도 기본적으로 동축으로 있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이런 정렬은 하나하나씩 용이하고, 그리고 특히 하나로 합쳐져, 안내 빔 및/또는 그것과 함께 각각 파지장치 유닛 위에 협력 수단을 조정하는 요구를 제거하고, 안내 빔의 단부를 위해 지지부(저장장치와 같이) 또는 굴착장치의 의도된 이동의 경우에서 조차 또는 굴착장치의 재위치시킨 후 회동 아암이 굴착장치로부터 벗어나 면하여 있다.
파지장치 유닛의 제1 위치에서, 제1 (상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단부 부분은 각각 제2 (하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단부 부분과 결합하도록 위치되어진다. 제2 위치에서, 파지장치 유닛은 작동 파이프 굴착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공정으로 각각 이동되어지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단부 부분과 정렬된 결합을 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적절하게 제조 목적을 위해 안내 빔은 선형 연장부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회동 아암 및/또는 안내 빔은 안내 빔에 대해 회동 아암의 상호 사선 위치(a mutual oblique position)의 효과를 어느 정도 제거하도록 인도 위치에서 회동 아암의 측면 안내를 위한 상호 안내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지금 기술되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핸들링 장치가 제공되고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위한 저장장치와 관련이 있는 코어 드릴링을 위한 암반 굴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더 큰 크기로 격리된 파지장치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위치에서 핸들링 장치의 수단을 가진 도 1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4는 핸들링 장치의 파지장치 셔틀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도 1 및 도 3에서 위치들에 따른 일반적인 핸들링 장치의 더 큰 크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도식적인 흐름도이다. 도 7a 및 7b는 다른 위치에서 핸들링 장치의 더 큰 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다른 각도에서 조정할 수 있는 코어 드릴링을 위한 암반 굴착장치의 이송 빔(a feed beam)(2)을 도시하고 있다. 굴착장치는 앞뒤로 이동하기 위한 이송 빔(2)에 지지된 로터 장치(a rotator device)(4)를 포함한다. 로터 장치(4) (도면에서) 아래에 굴착 파이프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튜브 홀더(a tube holder)(5)가 요구될 때 정렬되어 있다.
이송 빔(2) 옆에 (도시되지 않은) 암반 굴착장치와 (도시되지 않은) 리프팅 윈치에 압력 유체 등을 검증하기 위한 전력 및 구동 집합체(driving aggregate)가 정렬되어 있다. 저장장치(a magazine)(6)가 (점선 8로 표시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정렬되어 있고, 어떤 면에서 암반 굴착장치로부터 각각 해제되어 이동되어지는 것이 아래에 기술되어질 것이다.
저장장치(6)는 다양한 방법들로 구성될 수 있고, 그러나 일반적으로 수평 테이블의 형태로 도 1에 예시되어 있고, 상기 수평 테이블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수용을 위한 회동 아암( a swing arm)(7)으로 향하여 굴러서 이동되어지게 기울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송 빔에 대해 비스듬한 위치(a slanting position)로 있는 리프팅 단계(a lifting phase) 동안의 위치에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도 1에 8"로 일점쇄선으로 더 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8"인 이 선은 암반 굴착장치의 작동 굴착 파이프 위치와 동축으로 있는 위치에 있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의해 끝나는 리프팅 단계 동안의 중간 위치(an intermediate position)를 예시하기 위하여 의도되어 있다. 리프팅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 위에 가장 위에서 나사 결합되어 있는 리프팅 플러그(25, 아래 참조)의 도움으로 수행되어진다. 리프팅 플러그는 이 공정 동안에 (도시되지 않은) 리프팅 와이어에서 결국 연결되어지고, 이송 빔 위의 가장 위에서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 휠을 통과하여, 그리고 그것의 제2 부분이 전력 및 구동 집합체(3)의 영역에 정렬되어 있는 (도시되지 않은) 리프팅 윈치로 이송 빔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또한, 파지장치 유닛(a gripper unit)(11)에 의해 파지되어, 굴착 파이프 위치에 있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 단부 부분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리프팅 플러그(25)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또한 단부 부분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가 작동 굴착 파이프 위치(A)에 있게 회전 장치(4)로부터 도출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는 리프팅 플러그(25)의 수나사에 대응하여 결합하는 암나사를 가지고 있다.
드릴 홀로 후속 하강을 위해 굴착 파이프를 길게 할 목적으로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에 추가의 제2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와의 나사결합은 리프팅 플러그에 나사 결합하는 방법과 기본적으로 대응한다. 아래 참조.
파지장치 유닛(11)이 도 1에서 제1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파지하는 위치는 파지장치 유닛(11)에 의해 정의되고, 파지하는 위치 축(G)(도 1에서 점선을 참조)을 제공하고, 작동 굴착 파이프 위치(A)와 동축으로 있다.
이 도면에 안내 빔(a guiding beam)(19)이 보다 상세히 더 도시되어 있고, 지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위쪽으로 향하여 회동된 인도 위치에서 회동 아암(7)을 위한 멈춤부를 제공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안내 빔(19)은 제2 위치 그것에 파지장치 유닛(11)을 위한 멈춤부를 제공한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접시 형태의 지지수단이 7'로 나타나 있다.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파지장치 유닛(11)은 회전 파지장치 유닛의 형태로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도 1에서) 및 회전 수단(14)과 결합하기 위한 제1 세트 파지장치(a first set of grippers)(12)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 파지장치 유닛은 회전되어지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같이 구성요소들과 결합하기 위한 구동 롤러(20) 뿐만 아니라 이들 회전 구동 롤러를 위한 구동 모터(2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파지장치 유닛(11)은 구성요소와 결합하기 위한 회전 파지장치 유닛과 협력하는 제2 세트 파지장치(a second set of grippers)(13)가 제공되어 있다. 각 세트의 파지장치(12, 13)는 전진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정지장치(stoppers)로서 또한 기능하도록 개별적으로 조정 가능한 파지장치 죠오와 같은 한 쌍의 파지하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한 쌍의 회전 파지장치 수단을 포함하는 회전 파지장치 유닛을 위해 동일하게 유효하다.
제1 세트 파지장치(12)는 하나가 도면 번호 15로 표시된 유압 실린더에 의해 조정되어지고, 제2 세트의 파지장치는 유압 실린더(17)의 도움으로 조정되어진다.
구동 롤러를 가진 회전 장치(14)는 하나가 도시되어 도면 번호 16으로 표시된 유압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구성요소와 결합하게 이동되어지는 회동 가능한 회전 클램핑 수단에 지지되어진다.
회전 수단(14) 및 통상적으로 또한 제2 세트 파지장치(13)를 포함하는 파지장치 유닛(11)의 부분은 상기 파지 위치 축(3)에 평행한 방향에서 변위할 수 있다. 양쪽 화살표 참조. 이 변위가능성(displaceability)의 목적은 파지장치 유닛 및 특히 회전 수단(14)의 부분에 회전되어지는 구성요소의 회전 구동 동안에 나사 피치를 위해 보상되어지게 구동 롤러의 축 방향 이동 및 회전을 주는 것이다.
도 2는 또한 아래에 기술되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위치(제1 위치)와 바깥쪽으로 회동한 위치(제2 위치) 사이에서 제1 회동 축(a first swing axis)(Al) 주위를 회동하기 위한 파지장치 유닛(11)을 지지하고 굴착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회동 유닛(a swing unit)(18)을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세트 파지장치(12, 13)가 하나씩 각각 파지 죠오를 개방하여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플러그와 결합하기 위해 이동되어진 개방된 제2 세트 파지장치와 회전 수단(14)은 제2 세트 파지장치(13)와의 결합으로부터 방해 없이 플러그 또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외 회전을 허용한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위치 A에서(도 1에서 리프팅 플러그(25) 대신에) 기존의 하나 위의 위치로 이동시킨 후,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는 그래서 회전 수단에 의해 함께 나사 결합되어지고, 그 결과 평시처럼 연결부는 로터 장치(4)에 마침내 조여진다. 그 결과로 굴착 파이프는 리프팅 와이어를 늘이는 것에 의해 하강되어질 수 있다(물론 결합은 굴착 파이프가 드릴링을 통하여 내려갈 때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어진다).
그 결과 굴착 파이프는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아래로 내려가게 되고, 그것에 의해 다음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는 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 위에 있는 리프팅 플러그(25) 및 로터 장치(4)로부터 돌출하는 단부 부분을 가지고 도면 번호 8'로 표시된 위치에 도달한다. 이 리프팅 플러그는 지금 굴착 파이프로부터 해제되어질 것이다.
리프팅 플러그(25)는 선회 기계장치(a swivelling device)이고, 그러므로 도 2에 도시된, 다시 말해서 결합 부분(26)인 두 개의 상호 회전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것의 하부 부분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리프팅 부분(a lifting portion)(27)에 반하는 방향으로 있는 그것의 자유 단부에 수나사(26')가 제공되어 있고, 가장 바깥에 상기에 기재된 것처럼 리프팅 와이어와 협력하기 위한 인양 고리(a lifting eye)가 제공되어 있다.
파지장치 유닛(11)의 회전 파지장치 유닛은 구동 롤러(20)를 포함하고, 회전되어지는 구성요소에 대해 좋은 결합을 보장하기 위한 결합 수단을 가진 표면을 가지고 있다. 구동 모터(21)는 도시된 예에서 구동 롤러(20)의 측면으로 정렬되어 회전 수단(14)을 지지하는 회동 아암 구조(a swing arm construction)에 지지된 이들과 함께 정렬되어진다.
파지장치 유닛(11)이 회전 수단(14)과 제2 세트 파지장치(13)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로부터의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되어지게 작동되어질 때, 구동 롤러(20)가 결합 부분(26)의 회전 구동을 위해 회전에 들어가게 된다. 리프팅 플러그(25)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로부터의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되어 자유롭게 된다. 리프팅 부분(27)은 리프팅 와이어에 주어지는 원하지 않은 회전을 방지하고 리프팅 부분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제2 세트 파지장치(13)에 의해 동시에 유지되어진다.
그래서 제1 세트 파지장치(12)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단부 부분을 파지하고, 반면에 회전 수단(14)은 리프팅 플러그(15)의 결합 부분과 접촉하게 되고, 제2 세트 파지장치(13)는 리프팅 플러그(25)의 리프팅 부분(27)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리프팅 플러그(25)의 해제는 회전 수단(14)의 회전을 통하여 수행되어진다.
리프팅 플러그(25)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도 1)로부터 해제되어질 때, 이것은 제2 위치의 방향에서 제1 위치로부터, 파지장치 유닛(11)을 운반하는 회동 유닛(18)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어진다. 이 회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1 세트 파지장치(12)는 회전 수단(14)뿐만 아니라 제2 세트 파지장치(13)가 리프팅 플러그(25)와 아직 결합하고 있는 동안에 열린다.
도 3은 회동 유닛(18)이 제2 위치에 지지된 리프팅 플러그(25)를 가지고 파지장치 유닛(11)을 회동시키고, 파지 위치가 저장장치(6)와 연결되어 있는 회동 아암(7)에 의해 지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와 협력을 위해 정렬되어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파지장치 유닛(11)의 결정된 위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파지장치 유닛(11)의 회동 이동을 위한 기계적 멈춤부(a mechanical stop)를 형성하는 안내 빔(19)에 의해 보장되어진다.
도 3은 회동 아암(7)이 인도 위치로 제2 회동 축(A2) 주위를 회동 상승하고, 그에 상응하여, 안내 빔(19)이 인도 위치에서 회동 아암(7)의 회동 이동을 위한 기계적 멈춤부로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적절하게 회동 아암(7)과 파지장치 유닛(11)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의 원위 위치(distal position)에서 여기에 금속판 형태의 특별한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 구성요소(a particular (not shown) abutment elements), 접합부 아암(an abutment arm)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 적절하게 제공되는 안내 빔과 정렬 접촉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접합부 구성요소를 각각 제1 및 제2 회동 축의 위치에 대항하여 운반한다. 파지장치 유닛(11)을 지지하는 회동 유닛(8)과 협력하는 접합부 아암의 예가 도 5a 및 5b에 도시되어 있다. 접합부 구성요소 와 접합부 수단의 적어도 하나는 그 자체가 알려진 적절한 거리 조정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정렬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회동 아암에는 또한 인도 위치에서 회동 아암의 측면 정렬을 위한 포크-형상 안내 구성요소(a fork-shaped guiding element)(30)가 있고, 이 하나에 의해 포크는 인도 위치에서 안내 빔의 측면 가장자리 주위를 파지한다. 대응하는 것은 안내 빔에 정렬되어지고, 그리고 또한 파지장치 유닛이 대응하는 안내 구성요소와 결합을 각각 받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세트 파지장치(12)는 이것이 인도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와 파지 결합을 위한 위치에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가장 바깥에 수나사를 가진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단부는 인도 위치에서 지금 파지장치 유닛(11)에 의해 파지를 위한 접근 가능하게 있다.
리프팅 플러그(25)는 회전 파지 유닛과 제2 세트 파지장치(13)를 형성하는 회전 장치(14)에 의해 동시에 유지되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와 함께 지금 나사 결합할 준비가 되어 있다.
나사 결합 동안에 나사 피치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회전 수단(14) 및 제2 세트 파지장치(13)를 포함하는 유닛은 이 경우에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방향에서 축 방향으로 변위되어지고, 구동 롤러는 회전되어진다.
결합 부분(26)(도 2 참조)의 수나사(26')를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에서 수나사로의 나사 결합이 완성된 후, 제1 세트 파지장치(12)는 물론 또한 회전 수단(14)과 제2 세트 파지장치(13)가 개방되어진다. 이로써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는 일점쇄선(8")으로 도시된 위치를 지나서 결국 도 1에서 G로 표시된 "파지 위치 축(grip position axis)"을 따라 제2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위치에서 끝나게 리프팅 와이어의 도움으로 상승되어지는 것이 자유롭게 된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가 리프팅 플러그와 나사 결합되어지는 단부에 대향하여, 제2 단부의 영역에서, 파지장치로부터 자유롭게 되기 전에, 이것은 파지장치셔틀(a gripper shuttle)(40)에 회전하게 부착되어진 안내 파지장치(a guiding gripper)(41) 에 의해 파지되어지고, 상기 안내 파지장치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조정되어진다. 그것의 실시 예는 도 4에 좀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회동 아암(7)은 적재 위치(도 1에서)로 내려지고, 이것은 파지장치 셔틀(40)의 이동을 위해서 벗어나 있다.
안내 빔(19)은 구동하게 변위 가능한 파지장치 셔틀(40)을 위한 길이 방향 안내장치(a longitudinal guide)(42)가 제공되어 있다. 피벗(43)은 굴착 파이프 위치와 인도 위치를 포함하는 같은 장소에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1 및 제2 회동 축(A1, A2)과 기본적으로 평행한 피벗 축을 가지고 있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를 파지한 후, 이것이 리프팅 공정 동안에 이것의 이동을 제어하고, 그리고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위치(A)와 정렬되어지는 이 자유 단부를 안내하기 위해 그것의 자유 단부를 안내하게 안내 파지장치가 정렬되어진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파지하고 파지장치 셔틀을 작동시키는 안내 파지장치의 작동으로, 안내 파지장치가 자체로서 회전하게 제어되어지는 것 없이 회전 이동을 따르게 정렬되어진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파지를 위해 오른쪽 위치에 오도록 할 목적으로, 한편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바깥 위치에, 다른 한편으로는 이송 빔에 인접한 내부 위치에, 그러나 작동 회전 제어는 피벗(43)의 축 주위의 안내 파지장치로 수행되어져야 한다. 이것은 안내 파지장치(41)를 위한 회전 작동장치가 제공되는 파지장치셔틀에 의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작동장치는 상기에 따른 두 단부 위치 사이에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 또는 그 자체가 공지된 종류의 다른 타입의 회전 작동장치의 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안내 파지장치(41)를 가진 파지장치 셔틀(40)은 리프팅을 위해 의도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제1 단부 부분 거기를 파지하도록 안내 빔의 제1 가장 바깥 위치의 제1 위치(실선으로)에 있고, 그것의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한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되어 있도록 의도되어져 있다.
도 7a에 좀 더 명확하게 도시된 중간 위치에서, 도면 번호 40'(도 1 및 도 3에서 점선으로)로 표시된 파지장치 셔틀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를 안내하고 있다.
파지장치 셔틀은 또한 이송 빔(2)에 가까운 안내 빔의 제2, 내부 위치의 제2 위치에 도면 번호 40"(도 3에서 점선으로)로 표시된 도 7b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상기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도록 안내 파지장치(41)와 함께 정렬되어진다. 다시 말해서, 그런 정렬은 이송 빔에 통상적으로 정렬되고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들어오는 입구 하부 단부를 안내를 위해 앞뒤로 이동 가능하게 있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정렬 보조기구(an alignment aid)에 대해 수행되어질 수 있다.
안내 빔은 제1 피벗 축(L1)이 제1 회동 축(A1)과 동축으로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회동 축(A1)의 영역과 관련하여 제1 피벗 축(L1)에 회전하게 부착되어 있다. 안내 빔(19)은 또한 제2 피벗 축(L2)이 제2 회동 축(A1)과 동축으로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회동 축(A2)의 영역과 관련하여 제2 피벗 축(L2)에 회전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굴착장치의 조정 후 안내 빔은 이송 빔으로부터 향하여 있는 단부에 안내 빔을 위한 지지부(저장장치(6)와 같이)가 지상에 고정되어질 때 자동적으로 적절한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복잡한 측정 방법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적용하는 요구사항 없이 용이한 방법으로 굴착장치를 설치하고 재위치시킬 때 회동 아암 뿐만 아니라 파지장치 유닛의 회동 이동의 멈춤부를 위한 요구된 기준을 가지게 된다.
도면들에 분명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 아암 뿐만 아니라 파지장치 유닛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동하고, 그리고 수직 평면 또는 적어도 굴착 파이프 위치(A)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 또는 그와 같은 평면에 평행하게 있는 평면에서 암반 굴착장치의 도시된 설치로 회동하고, 그것에 의해 축(A1, A2)은 (기본적으로) 수평이다. 이송 빔을 측면으로 기울게 위치시키는 요구가 있으면, 물론 축(a1, A2, L1, L2)은 각각 대응하는 경사도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회동 아암(7)이 수직 평면 또는 굴착장치의 굴착 파이프 위치(A)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 또는 안내 빔과 정렬되는 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그런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서 회동하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그러나 회동 아암이 예를 들어 수평 및 수직 회동 이동의 조합하는 대안적 이동을 기술하는 변경에서 정렬을 허용하는 안내 빔에 회동 아암이 연결 장치(a coupling)를 가지는 것이 제외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로에 대해 각도를 가지고 연장하는 두 개의 피벗 축(L2', L2")을 가진 (도시되지 않은) 변경 역시 제외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핸들링을 목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적재 위치를 정렬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어진다면 이것은 관심이 있을 수 있다.
새로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정렬하고 안내 한 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굴착 파이프와 함께 나사 결합되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핸들링 장치의 작동 기능이 예를 들어 드릴 비트의 교환 후 굴착 파이프를 내리기 위해 기술되어 왔다. 굴착 파이프의 잡는 동안에, 다시 말해서 작동 굴착 파이프 위치에 있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리프팅 플러그의 나사 결합시키고, 한 위치로 굴착 파이프와 연결된 리프팅 플러그를 당겨 올리는, 역 공정이 원칙적으로 사용되고,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에서 로터 장치는 후속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로부터 최상의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나사결합 해제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그 결과 단부 부분을 가진 다음의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그 자체를 찾게 굴착 파이프의 또 다른 리프팅이 있고, 그래서 파지장치 유닛(11)이 들어와서 회전 수단(14)과 함께 최상의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파지하고, 그리고 제1 세트 파지장치(12)와 함께 이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어된 나사 결합 해제를 위해 구동되는 회전 수단(14)과 관련하여 정렬을 목적으로 다음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첫째(the first)")를 파지한다.
그 결과 그렇게 해제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는 안내 파지장치에 의해 파지되어 리프팅 와이어가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마지막에 인도 위치에 도달하게 제어된 방법으로 느슨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하부 단부로 작동 굴착 파이프 위치와 평행한 위치로부터 나오게 이송 빔(2)으로부터 벗어나게 파지장치 셔틀(40)의 이동을 통하여 가져오게 한다. 여기 리프팅 플러그는 후자를 나사 결합 해제를 위해 파지장치 유닛(11)의 파지장치에 의해 파지되어질 수 있다.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수용을 위한 회동 아암(7)의 리프팅이 지금 일어나고 나사 결합 해제가 완료될 때, 회동 아암은 저장장치 또는 그와 같은 것에 지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벗어나 이송하기 위해 내려질 수 있다. 그래서 공정은 필요하면 여러 번 반복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각각 도 1 및 도 3에 대응하는 부품의 위치에서 부품을 명확하게 할 목적의 확대된 크기의 사시도이다.
도면 번호 44는 케이블/튜브 체인(도시되지 않음)은 위한 지지부(a support)이다. 도면 번호 7'는 회동 아암(7)에 의해 지지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위한 V-형상 지지부를 표시한다. 도면 번호 7"는 회동 아암의 자유 단부에 위치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V-형상 조정 포크(a V-shaped adjustment fork)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드릴 비트의 교환을 위해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를 올리는 것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 순서가 도 6에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위치 31은 순서의 시작을 나타낸다.
위치 32는 파지장치 셔틀이 이송 빔과 함께 각도를 형성하는 동안에 이송 빔으로부터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착장치에 체결할 수 있는 안내 빔을 따라 구동하게 변위되어지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33은 안내 빔에 제1, 가장 바깥 위치에서 파지장치셔틀이, 회전하게 배열된 안내 파지장치로, 굴착장치 바깥 위치로부터 리프팅을 위해 의도되어진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1 단부 부분을 파지하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해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34는 이송 빔에 인접한 안내 빔에 제2, 내부 위치에서 파지장치 셔틀이, 안내 파지장치로,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상기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35는 나사 결합하기 전에 굴착 파이프 위치에 적절한 정렬을 위해 상기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장치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다.
위치 36은 안내 파지장치의 파지를 해제하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37은 가장 바깥 위치로 파지장치 셔틀을 복귀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38은 다음의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파지하기 위한 안내 파지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을 나타낸다.
위치 39는 순서의 종료를 나타낸다.
이순서는 필요하면 여러 번 반복되어지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대신에 예를 들어 드릴 비트의 교환 전에, 굴착 파이프를 거의 뽑아 낼,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도면을 배경으로 이해되어진 것에 역으로 된다.
본 발명은 코어 드릴링용 암반 굴착장치를 배경으로 기술되어왔지만, 그러나 유정 굴착 및 기타 같은 종류와 같이 다른 타입의 굴착장치에 또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정의 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안내 빔은 회동 축을 위한 핀들과 공통 구성요소로 있는 피벗 핀에 부착되어진다. 굴착장치/이송 빔 및 지지부/저장장치의 관한 체결(fastening)은 용접 등을 통하여 나사 수단으로 정렬되어질 수 있다. 길이 방향 안내 장치는 H-빔, E-빔 또는 기타 그와 같은 것의 플랜지의 측면 가장자리와 같이 안내 빔에 외부 부분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파지장치 셔틀은 구동 모터에 의해 와이어 또는 그와 같은 것 위에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파지장치 셔틀은 또한 안내 빔에 대항하여 작동하는 구동 모터를 또한 운반한다.
회동 아암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지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협력을 위해, 튜브 형상(tube shape), 포크 형상(fork shape) 등과 같이 공지된 종류 그 자체의 다른 수단을 가질 수 있다.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들의 다른 길이에 대해 적응하기 위해, 지지 수단(7')이 조정 가능하거나 또는 교환 가능한 단부 멈춤부가 적절하게 제공된다.
파지장치 유닛은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단부 부분을 파지하기 위해 제1 세트의 파지장치를 제공되는 것이 선호되어진다. 그러나 제1 세트 파지장치가 파지하는 기능 없이 안내 정렬 장치로 교환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2: 이송 빔
4: 로터 장치
6: 저장장치
8, 8', 8":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
12: 제1 세트 파지장치(a first set of grippers)
13: 제2 세트 파지장치(a second set of grippers)
19: 안내 빔
25: 리프팅 플러그
40: 파지장치 셔틀
41: 안내 파지장치

Claims (17)

  1.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 8', 8")를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들링 장치는 이송 및 회전 장치(4)가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이송 빔(2), 그리고 굴착장치의 굴착 파이프 위치에 있는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나사 결합되어지는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리프팅 하기 위한 리프팅 윈치를 포함하고,
    파지장치 셔틀(40)은 그 안에서 각도를 형성하는 동안에 이송 빔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착장치에 체결할 수 있는 안내 빔(19)을 따라 구동하게 변위 가능하고, 상기 파지장치셔틀(40)은 굴착장치의 바깥 위치로부터 리프팅을 위해 의도되어 있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제1 단부 부분을 안내 빔의 제1 바깥 위치의 제1 위에서 파지하기 위해 회전하게 안내 파지장치(41)를 정렬하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해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하여 있도록 의도되어 있고,그리고
    이송 빔(2)에 인접한 안내 빔에 제1 내부 위치의 제2 위치에서 파지장치셔틀(40)은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상기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도록 안내 파지장치(41)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빔(19)은 안내 빔의 연장 부분, 안내 빔의 H-빔 또는 I-빔 형상의 플랜지의 가장자리, 상호 향하여 있는 안내 리브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파지장치셔틀을 위한 길이 방향 안내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장치 셔틀(40)은 정지 정렬 구동 모터에 의해 와이어, 체인, 밴드 또는 케이블 위에서 구동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장치 셔틀(40)은 구동을 위해 구동 모터를 운반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안내 빔(19)을 따라 정렬되어 있는 결합 수단에 대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프팅 윈치의 작동과 상관관계에 있는 파지장치 셔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정렬되어 있는 제어 시스템(CU)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장치 셔틀(40)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안내 파지장치(41)는 이동 빔에 정렬된 정렬 안내 장치와 협력을 통하여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 상기 파진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정렬하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파지장치(41)는 제1 위치의 제1 회동 축과 제2 위치의 제2 회동 축 사이에서 구동 가능하게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파지장치(41)는 전기 모터, 유압 모터, 공압 모터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개방 및 닫힘 조건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빔(19)은 제1 피벗 축(L1) 주위의 굴착장치에 회전하게 부착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깥 영역에서 상기 안내 빔(19)은 제2 피벗 축(L2) 주위의 지지부(6)에 회전하게 부착 가능하게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장치 유닛(11)은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안내 파지장화 정렬되어질 때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의 제1 단부 부분과 결합하기 위해 굴착장치에 정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링 장치.
  12. 이송 빔(2)에 의해 지지되어 앞뒤로 이동 가능하고 굴착 파이프의 회전 및 구동을 위한 로터 장치(4)를 포함하는 암반 굴착장치는 청구항 1 내지 11에 따른 핸들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반 굴착장치.
  13.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 8', 8")를 핸들링하는 방법에서, 상기 굴착장치는 이송 및 회전 장치(4)가 변위되어지고, 그리고 제1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가 굴착장치의 굴착 파이프 위치에 제2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에 나사 결합되어지게 상승 및 위치되어지는 이송 빔(2)을 포함하고,
    - 파지장치 셔틀(40)이 이송 빔과 각도를 형성하는 동안에 이송 빔으로부터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착장치에 체결 가능하게 있는 이송 빔(19)을 따라 구동 가능하게 정렬되고,
    - 회전하게 정렬된 안내 파지장치(41)를 가진, 안내 빔 위의 제1, 가장 바깥 위치에서 파지장치 셔틀(40)은 굴착장치의 바깥 위치로부터 리프팅을 위해 의도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8)의 제1 단부 부분을 파지하고, 다른 단부 부분은 리프팅 윈치와 협력하기 위해 리프팅 플러그 또는 그와 같은 것과 나사 결합되어지고, 그리고
    - 안내 파지장치(41)로 이송 빔(2)에 인접하는 안내 빔 위에 제2, 내부 위치에서 파지장치 셔틀(40)은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장치 셔틀은 안내 빔의 연장 부분, 안내 빔의 H-빔 또는 I-빔 형상의 플랜지의 가장자리, 상호 향하여 있는 안내 리브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는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서,
    상기 파지장치 셔틀의 이동은 리프팅 윈치의 작업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는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빔(2)에 인접한 파지장치 셔틀(40)의 내부 위치에서, 안내 파지장치(41)는 이송 빔과 정렬된 정렬 안내 장치와 협력을 통하여 굴착 파이프 위치의 영역에서 상기 파지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와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는 방법.
  17. 제 1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내 파지장치(41)는 제1 가장 바깥 위치의 제1 회동 위치와 제2 내부 위치의 제2 회동 위치 사이에서 구동되어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는 방법.

















KR1020147035564A 2012-06-28 2013-06-25 암반 드릴링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95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250727A SE536563C2 (sv) 2012-06-28 2012-06-28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hantering av borrsträngskomponenter samt bergborrigg
SE1250727-3 2012-06-28
PCT/SE2013/050760 WO2014003646A1 (en) 2012-06-28 2013-06-25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drill string components in rock drilling and rock drill ri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420A true KR20150031420A (ko) 2015-03-24
KR102095610B1 KR102095610B1 (ko) 2020-03-31

Family

ID=4978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564A KR102095610B1 (ko) 2012-06-28 2013-06-25 암반 드릴링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50152697A1 (ko)
EP (1) EP2867438B1 (ko)
KR (1) KR102095610B1 (ko)
CN (1) CN104411914B (ko)
AU (1) AU2013281269B2 (ko)
BR (1) BR112014032289B1 (ko)
CL (1) CL2014003424A1 (ko)
PE (1) PE20150285A1 (ko)
SE (1) SE536563C2 (ko)
WO (1) WO2014003646A1 (ko)
ZA (1) ZA2014089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6564C2 (sv) * 2012-06-28 2014-02-25 Atlas Copco Rocktech Ab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hantering av borrsträngskomponenter samt bergborrigg
SE537328C2 (sv) 2013-08-02 2015-04-07 Atlas Copco Rocktech Ab Anordning för hantering av borrsträngskomponenter samt bergborrigg
AU2014204515B2 (en) * 2014-07-18 2017-12-21 Exploration Drill Masters Chile S.A. Semiautomated drill rod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hand-held haul plug spinner and haul plug combination and drill rod handling system with both
SE538847C2 (en) * 2015-01-19 2017-01-03 Atlas Copco Rock Drills Ab Positioning arrangement, rod handling device, drill rig and method for positioning a drill rod
SE543260C2 (en) * 2019-03-21 2020-11-03 Epiroc Rock Drills Ab An apparatus, a method and a drilling rig for installing pipes in ground
NO20221357A1 (en) 2020-07-06 2022-12-19 Nabors Drilling Tech Usa Inc Robotic pipe handler systems
US11408236B2 (en) 2020-07-06 2022-08-09 Canrig Robotic Technologies As Robotic pipe handler systems
US11643887B2 (en) 2020-07-06 2023-05-09 Canrig Robotic Technologies As Robotic pipe handler systems
CN116113750A (zh) 2020-09-01 2023-05-12 坎里格机器人技术有限公司 管状件搬运系统
CN112360363B (zh) * 2020-11-16 2022-06-17 石家庄德普钻探设备有限公司 一种架柱式气动钻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6347A (en) * 1971-03-18 1972-12-19 Cicero C Brown Pipe handling system for use in well drilling
US4403898A (en) * 1981-12-31 1983-09-13 Thompson Carroll R Pipe pick-up and laydown machine
US4832552A (en) * 1984-07-10 1989-05-23 Michael Skelly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ry power driven swivel drilling
JPH0544385A (ja) * 1991-08-10 1993-02-23 Kawasaki Heavy Ind Ltd 水平型パイプ接続・分離装置
JP2001526342A (ja) * 1997-12-08 2001-12-18 ソフィテック、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チューブのハンドリングアッセンブリ及びその関連方法
US20050173154A1 (en) * 2004-01-28 2005-08-11 Gerald Lesko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pipe to a top drive motor
US20100163247A1 (en) * 2008-12-30 2010-07-01 Monte Neil Wright Horizontal offline stand building system
US20150008038A1 (en) * 2012-02-22 2015-01-08 Coax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elivering drill pipe to a drill ri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35546A (en) * 1948-01-23 1950-12-26 William A Pitts Kelly handling device
US2643006A (en) * 1949-09-28 1953-06-23 William R King Automatic pipe handler
FR2041648A5 (ko) * 1969-05-14 1971-01-29 Inst Francais Du Petrole
US3795326A (en) * 1972-05-22 1974-03-05 Armco Steel Corp Apparatus for handling drill pipe
US4315709A (en) * 1980-03-17 1982-02-16 Cities Service Company Apparatus for transporting the male ends of threaded tubing, pipe, or the like
US4426182A (en) * 1980-09-10 1984-01-17 Ingram Corporation Tubular handling apparatus
FR2497869A1 (fr) * 1981-01-12 1982-07-16 Cogema Machine de forage montee sur vehicule et procede de forage utilisant une telle machine
GB2162485A (en) * 1984-05-29 1986-02-05 Henderson Electronics Limited Pipe handling apparatus
US4813493A (en) * 1987-04-14 1989-03-21 Triten Corporation Hydraulic top drive for wells
GB9803116D0 (en) * 1998-02-14 1998-04-08 Weatherford Lamb Apparatus for delivering a tubular to a wellbore
US20050135902A1 (en) * 2003-12-18 2005-06-23 Spisak Timothy M. Pipe transfer apparatus
US7481283B2 (en) * 2005-11-30 2009-01-27 Dexter Magnetic Technologies, Inc. Wellbore motor having magnetic gear drive
US8186926B2 (en) * 2006-04-11 2012-05-29 Longyear Tm, Inc. Drill rod handler
GB0722531D0 (en) * 2007-11-16 2007-12-27 Frank S Internat Ltd Control apparatus
US8192127B2 (en) * 2007-11-26 2012-06-05 Per Angman Tubular handling system for drilling rigs
EP2067923A1 (de) * 2007-12-03 2009-06-10 BAUER Maschinen GmbH Bohranlage un Bohrverfahren
US8240968B2 (en) * 2008-10-27 2012-08-14 Laibe Corporation Automated rod handling system
CN201363109Y (zh) * 2009-03-13 2009-12-16 山东胜利石油石化装备研究中心 行走式钻杆排放装置
US20110188973A1 (en) * 2010-02-03 2011-08-04 Tts Sense Canada Ltd. Pipe handling system for a drilling rig
CN102278082B (zh) * 2011-07-06 2013-06-12 杭州欧佩亚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智能动力猫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6347A (en) * 1971-03-18 1972-12-19 Cicero C Brown Pipe handling system for use in well drilling
US4403898A (en) * 1981-12-31 1983-09-13 Thompson Carroll R Pipe pick-up and laydown machine
US4832552A (en) * 1984-07-10 1989-05-23 Michael Skelly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ry power driven swivel drilling
JPH0544385A (ja) * 1991-08-10 1993-02-23 Kawasaki Heavy Ind Ltd 水平型パイプ接続・分離装置
JP2001526342A (ja) * 1997-12-08 2001-12-18 ソフィテック、ナムローゼ、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チューブのハンドリングアッセンブリ及びその関連方法
US20050173154A1 (en) * 2004-01-28 2005-08-11 Gerald Lesko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pipe to a top drive motor
US20100163247A1 (en) * 2008-12-30 2010-07-01 Monte Neil Wright Horizontal offline stand building system
US20150008038A1 (en) * 2012-02-22 2015-01-08 Coax Technology Inc. Apparatus for delivering drill pipe to a drill r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52697A1 (en) 2015-06-04
SE1250727A1 (sv) 2013-12-29
KR102095610B1 (ko) 2020-03-31
SE536563C2 (sv) 2014-02-25
BR112014032289A2 (pt) 2017-06-27
BR112014032289B1 (pt) 2020-12-01
ZA201408936B (en) 2016-06-29
EP2867438A1 (en) 2015-05-06
CN104411914B (zh) 2017-04-26
EP2867438A4 (en) 2016-01-27
AU2013281269A1 (en) 2015-01-15
AU2013281269B2 (en) 2017-02-16
CN104411914A (zh) 2015-03-11
EP2867438B1 (en) 2018-08-22
WO2014003646A1 (en) 2014-01-03
PE20150285A1 (es) 2015-02-19
CL2014003424A1 (es)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1420A (ko) 암반 드릴링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를 핸들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95609B1 (ko) 암반 굴착 및 암반 굴착장치에서 굴착 파이프 구성요소들을 핸들링하기 위한 핸들링 장치 및 방법
FI129630B (en) Device for handling drill bit components and rock drilling device
US10174567B2 (en) Handling device for drill string component in respect of a rock drill rig and rock drill rig
AU2011353159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drill string components, as well as rock drilling ri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