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0624A -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0624A
KR20150030624A KR20140120433A KR20140120433A KR20150030624A KR 20150030624 A KR20150030624 A KR 20150030624A KR 20140120433 A KR20140120433 A KR 20140120433A KR 20140120433 A KR20140120433 A KR 20140120433A KR 20150030624 A KR20150030624 A KR 201500306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 lever
card
tray
card connector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0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오코시
준야 츠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5003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06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음의 발생이 억제되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카드 커넥터는 하우징 조립체와 금속 셸과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 조립체는 하우징 및 콘택트 외에 슬라이더와 이젝트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 금속 셸은 이젝트 레버를 향해 돌출하는 딤플을 갖는 스프링 편을 갖는다. 이 스프링 편의 딤플은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고 있어 해당 이젝트 레버의 움직임에 마찰을 주고 있다.

Description

카드 커넥터{Card Connector}
본 발명은 메모리 카드나 SIM(가입자 식별 모듈)카드 등과 같은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프레임에 축 지지된 캠 바와 그 캠 바를 구동하는 조작 레버로 구성되는 카드를 배출하는 이젝트 유니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삽입되어 있는 카드를 미는 카드 유지부를 셔터 본체에 설치한 카드 모듈용 셔터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특개평6-151004호 공보 특개2002-26951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카드가 삽입되어 있으면 그 카드에 의해 캠 바 및 조작 레버의 위치나 형태가 일률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진동을 받더라도 이음(異音;rattling)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러나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진동을 받는 캠 바 및 조작 레버, 특히 캠 바가 그 진동에 의해 이동하여 달그락거리며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이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도 동일하다. 즉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카드 유지부가 카드를 압력 푸싱하기 때문에 이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러나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을 받으면 셔터로부터 이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음의 발생이 억제되는 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삽입 위치와 압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삽입/압출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압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간이 축 지지되어 삽입 위치에 대한 카드의 삽입에 의해 일방의 단부가 밀려 회동하는 이젝트 레버; 상기 삽입/압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삽입 조작에 의해 삽입 방향 안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이젝트 레버의 타방의 단부를 압력 푸싱하고, 삽입 위치에 있는 카드를 이젝트 레버의 상기 일방의 단부에서 압출 위치를 향해 압출시키는 슬라이더; 및 이젝트 레버의 회동 형태에 관계없이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여 이젝트 레버의 움직임에 마찰을 주는 마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상기 특허 문헌 1에서의 캠 바와 조작 레버에 각각 대응하는 이젝트 레버와 슬라이더를 구비한 카드 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더욱 상기 마찰 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카드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진동을 받더라도 이음을 발생하기 쉬운 이젝트 레버에 대해 이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과의 사이에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셸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셸이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는 마찰 부재로서의 스프링 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 부재에 적정한 강도의 마찰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탄력성이 있는 마찰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 커넥터에는 금속 셸을 구비한 것도 많고, 금속 셸을 구비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금속 셸을 잘라 일으켜 세워 스프링 편을 형성하고, 그것을 마찰 부재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비용 증가를 초래하지 않고 마찰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셸의 스프링 편을 마찰 부재로 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편이 이젝트 레버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가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돌기부를 형성하면 이젝트 레버의 회동 형태에 관계없이 그 이젝트 레버에 항상 거의 일정한 푸싱 압력으로 접하며 항상 거의 일정한 마찰을 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이 슬라이더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삽입/압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협지하고,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마찰을 주는 협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협지부를 구비하면 슬라이더에 대해서도 예기치 못한 움직임이 제한되고, 진동을 받은 때 이음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하우징에 대해 삽입/압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우며, 카드를 탑재하여 그 카드를 삽입 위치와 압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트레이를 구비한 것도 좋다.
본 발명은 카드를 직접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도 좋고, 혹은 트레이를 구비하고 그 트레이에 카드를 탑재하여 삽입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에 의하면 카드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이음의 발생이 유효하게 제어된다.
[도 1]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카드 커넥터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 도 1에 외관을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에서 금속 셸을 분리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3] 금속 셸을 분리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5] 도 4의 화살표5-5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6] 도 4에 나타내는 원(R)의 부분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외관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외관을 나타내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금속 셸을 분리한 상태의 외관사시도이다.
또한 여기서는 상기 카드 커넥터를 금속 셸의 유무에 관계없이 카드 커넥터(1)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카드 커넥터(1)에는 하우징 조립체(10), 금속 셸(20), 및 트레이(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30)에는 중앙에 큰 개구(31)가 형성되고, 그 개구(31)의 둘레에 메모리 카드를 지지하는 지지대(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30)에는 SIM카드(미도시)가 상기 SIM카드 저면의 주변 둘레를 지지대(32)에 올리고, 그 카드 저면 중앙의 넓은 영역을 개구(31)에서 하방으로 노출시킨 상태로 지지된다.
하우징 조립체(10)와 금속 셸(20)과의 사이에는 트레이(30)가 삽입되는 삽입구(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구(1a)의 안쪽에는 트레이(30)에 재치된 상태의 SIM카드를 받아들이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30)는 하우징 조립체(10)에 대해 삽입 방향(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A 방향) 및 압출 방향(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B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다.
또한 여기서는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과 압출 방향(화살표 B방향)을 합쳐 ‘삽입/압출 방향’이라 칭한다. 상기 트레이(30)는 SIM카드를 올린 상태로 상기 삽입구(1a)에서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삽입되고, 하우징 조립체(10)와 금속 셸(20)로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도 1, 도 2는 그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의 트레이(30)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30)가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 있는 때, 상기 트레이(30)에 재치되어 있는 SIM카드의 위치를 여기서는 「삽입 위치」라 칭한다.
상기 트레이(30)의 외벽(33)은 상기 카드 커넥터(1)가 탑재되는 기기의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1, 도 2에는 트레이(30)가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상태에서 트레이(30)의 외벽(33)과 삽입구(1a)와의 사이에 거리가 있다. 이것은 상기 카드 커넥터(1)가 탑재되는 기기에서의 상기 카드 커넥터(1)의 탑재 위치가 그 기기의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쑥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조립체(10)는 수지제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과 일체로 성형된 금속제의 복수의 콘택트(1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콘택트(12)는 회로 기판(미도시)의 표면에 납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2a)를 갖는다.
트레이(30)에 재치되는 SIM카드의 하면에는 전기적으로 접속을 담당하는 패드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12)는 트레이(30)에 재치되어 삽입 위치에 삽입된 카드의 하면의 패드에 접촉하고, SIM카드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은 금속 셸을 분리한 상태의 카드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다만 상기 도 3에서는 트레이(30)가 수용 공간으로부터 압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트레이(30)가 상기 도 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압출된 상태에 있는 때, 상기 트레이(30)에 재치되어 있는 SIM카드(미도시)의 위치를 여기서는「압출 위치」라 칭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를 참조함과 함께 더욱 도 3도 참조하면서 상기 카드 커넥터(1)의 설명을 계속한다.
상기 카드 커넥터(1)에는 또한 슬라이더(13)와 이젝트 레버(14)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더(13)는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우징(11)에 대해 도 2에 나타내는 위치와 도 3에 나타내는 위치와의 사이에서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3)는 도 2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때에 외부의 핀(미도시)을 사용한 삽입 조작에 의해 삽입 방향(화살표A 방향)으로 도 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슬라이딩한다.
트레이(30)에는 상기 핀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우징(11)에도 상기 핀을 받아들이는 개구(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젝트 레버(14)는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중간의 중앙 부분이 하우징(11)에 회동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레버(14)의 일방의 단부는 삽입된 트레이(30)와 간섭하는 위치에 있고, 타방의 단부는 슬라이더(13)와 간섭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트레이(30)가 삽입되면 이젝트 레버(14)는 상기 트레이(30)에 밀려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더(13)를 압출 방향(화살표B 방향)으로 도 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킨다.
트레이(30)의 관통공(34)으로부터 핀이 삽입되어 슬라이더(13)가 밀리면 이젝트 레버(14)가 이번에는 슬라이더(13)에 밀려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트레이(30)를 압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압출된 트레이(30)는 그 외벽(33)이 상기 카드 커넥터(1)가 탑재되어 있는 기기로부터 돌출한다. 그 후 외벽(33)을 손가락으로 집음으로써 트레이(30)가 카드 커넥터(1)에서 뽑힌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내는 금속 셸(20)에는 하우징 조립체(10)에 구비되어 있는 이젝트 레버(14)에 대향하는 위치에 스프링 편(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편(21)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마찰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 4는 상기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상기 도 4에서는 금속 셸(20)에 덮여져 있는 하우징 조립체(10)의 상면을 파선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의 화살표5-5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금속 셸(20)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편(21)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레버(14)를 향해 돌출하여 이젝트 레버(14)에 접촉하는 딤플(21a)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딤플(21a)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돌기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상기 딤플(21a)은 이젝트 레버(14)의 회동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이젝트 레버(14)에 항상 접촉하고 있으므로, 상기 이젝트 레버의 움직임에 마찰을 준다. 즉 트레이(30)의 삽입 위치(도 1 참조) 및 트레이(30)의 압출 위치(도 4 참조)에 있어서도 딤플(21a)은 이젝트 레버(14)에 마찰을 주고 있다.
다만 딤플(21a)에 의한 마찰은 이젝트 레버(14)가 트레이(30)에 밀린 때의 시계 방향의 회동, 및 슬라이더(13)에 밀린 때의 시계 반대 방향의 회동과 같은 이젝트 레버(14) 본래의 동작에는 지장이 없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마찰은 트레이(30)가 뽑혀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드 커넥터(1)가 진동을 받더라도 이젝트 레버(14)가 용이하게 움직이지 않는 레벨로 설정되어 있다. 트레이(30)가 뽑혀있는 상태에서 진동을 받은 때, 그 진동으로 이젝트 레버(14)가 움직이는 것이 이음 발생의 주된 원인이다.
본 실시 형태의 카드 커넥터(1)의 경우, 트레이(30)로부터 뽑혀있는 상태에서 진동을 받더라도 이젝트 레버(14)는 용이하게 움직이지 않으며, 따라서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젝트 레버(14)에 대한 마찰을 금속 셸(20)의 스프링 편(21)으로 주고 있기 때문에, 부품의 공차 등에 관계없이 이젝트 레버(14)에 안정된 강도의 푸싱 압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프링 편(21)에 딤플(21a)을 설치하고, 상기 딤플(21a)이 이젝트 레버(14) 회동의 모든 형태의 범위 내에서 항상 이젝트 레버(14)를 밀고 있다. 이 때문에 만일 특별하게 큰 진동이 일순간에 가해져 이젝트 레버(14)의 형태가 순간적으로 변하더라도 이젝트 레버(14)는 그 변화 후의 형태에 머물게 됨으로써, 이젝트 레버(14)가 어떤 형태로 있더라도 이음의 발생은 억제된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원(R)의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도 6에는 슬라이더(13)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13)는 하우징(11)의 안내벽(111)을 따라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에는 포스트(112)가 입설되어 있다. 이들 안내벽(111)과 포스트(112)는 슬라이더(13)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협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안내벽(111)에는 슬라이더(13)를 향해 돌출된 세로(상하 방향)로 연장되는 돌기(1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포스트(112)에도 슬라이더(13)를 향해 돌출된 세로로 연장되는 돌기(112a)가 형성되어 있는 그들 돌기(111a, 112a)는 과도한 푸싱 압력을 갖고 슬라이더(13)를 사이에 끼우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13)는 상기 카드 커넥터(1)가 진동을 받더라도 용이하게 움직이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카드 커넥터(1)는 이음의 발생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다만 상기 슬라이더(13)는 트레이(30)가 삽입되어 상기 트레이(30)에 의해 밀린 이젝트 레버(14)로 상기 슬라이더(13)가 밀린 때 및 도시하지 않은 외부의 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3)가 삽입된 때는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 방향)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한다.
또한 여기서 예로 든 실시 형태는 SIM카드를 트레이(30)에 탑재하여 상기 SIM카드를 탑재시킨 트레이(30)를 삽입/압출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1)이다. 다만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트레이를 구비하지 않고 카드를 직접 삽입하거나 압출하는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 타입의 카드 커넥터에 적용하는 경우, 이젝트 레버(14)는 카드와 직접적으로 간섭하여 삽입된 카드에 의해 이젝트 레버(14)가 밀리고, 또한 슬라이더(13)가 밀려난 때에 이젝트 레버(14)가 카드를 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돌기부의 일례로서 딤플(21a)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말하는 돌기부는 반구상의 딤플(21a)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삽입/압출 방향(화살표A-B)으로 연장되는 돌조(bead)라도 좋다.
1 카드 커넥터
1a 삽입구
10 하우징 조립체
11 하우징
12 콘택트
13 슬라이더
21 스프링 편
14 이젝트 레버
20 금속 셸
21a 딤플
30 트레이
32 지지대
33 외벽
34 관통공
111 안내벽
111a 돌기
112 포스트
112a 돌기

Claims (5)

  1. 삽입 위치와 압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삽입/압출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삽입/압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이 축 지지되어 상기 삽입 위치에 대한 카드의 삽입에 의해 일방의 단부가 밀려 회동하는 이젝트 레버;
    상기 삽입/압출 방향으로 연장되어 압입 조작에 의해 삽입 방향 안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이젝트 레버의 타방의 단부를 밀고, 상기 삽입 위치에 있는 카드를 상기 이젝트 레버의 상기 일방의 단부에서 상기 압출 위치를 향해 압출시키는 슬라이더; 및,
    상기 이젝트 레버의 회동 형태에 관계없이 상기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이젝트 레버의 움직임에 마찰을 주는 마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카드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금속 셸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셸이 상기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는 상기 마찰 부재로서의 스프링 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편이 상기 이젝트 레버를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이젝트 레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4. 제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자유롭게 상기 삽입/압출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협지하고,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마찰을 주는 협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5. 제1항 내지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삽입/압출 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고, 카드를 탑재하여 상기 카드를 상기 삽입 위치와 상기 압출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트레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20140120433A 2013-09-12 2014-09-11 카드 커넥터 KR201500306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3-005322 2013-09-12
JP2013005322U JP3187380U (ja) 2013-09-12 2013-09-12 カード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0624A true KR20150030624A (ko) 2015-03-20

Family

ID=5043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0433A KR20150030624A (ko) 2013-09-12 2014-09-11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79487B2 (ko)
JP (1) JP3187380U (ko)
KR (1) KR20150030624A (ko)
CN (1) CN104466467A (ko)
TW (1) TW2015114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41925A (zh) * 2013-06-11 2014-12-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装取结构
US9806749B2 (en) * 2013-12-30 2017-10-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tray mechanism
CN104979655B (zh) * 2014-04-08 2018-07-0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3943985B (zh) * 2014-04-21 2016-11-0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插拔式sim卡连接器
KR101603141B1 (ko) * 2014-08-14 2016-03-14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인출형 카드 트레이 위치 고정장치
US9658641B2 (en) * 2014-09-29 2017-05-23 Apple Inc. Cosmetically self-centering removable module tray
CN104577502B (zh) * 2014-12-25 2017-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卡片存储器
CN106207578B (zh) * 2015-05-07 2020-09-0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卡托和电子设备
KR101667035B1 (ko) * 2015-06-15 2016-10-24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카드 소켓
KR101797938B1 (ko) * 2015-07-31 2017-11-15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JP1553611S (ko) * 2015-11-03 2016-07-11
JP1553879S (ko) * 2015-11-03 2016-07-11
JP1552812S (ko) * 2015-11-03 2016-06-27
JP1552814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3S (ko) * 2015-11-04 2016-06-27
JP1552815S (ko) * 2015-11-06 2016-06-27
JP6755148B2 (ja) 2016-08-30 2020-09-1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N106785541B (zh) * 2017-01-19 2023-03-14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叠层式卡托
US10285291B1 (en) * 2018-02-17 2019-05-07 Cisco Technology, Inc. Line card ejector with emergency release
KR102635467B1 (ko) * 2019-08-08 2024-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9184B2 (ja) 1992-10-30 1997-06-11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エジェクタユニット
JPH1148869A (ja) 1997-08-05 1999-02-23 Tokai Rika Co Ltd カード収納構造
JP2000223211A (ja) 1999-01-29 2000-08-11 Tyco Electronics Amp Kk カードコネクタ
TW414384U (en) * 1999-02-05 2000-1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3734998B2 (ja) * 2000-02-04 2006-01-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4226227B2 (ja) * 2001-03-07 2009-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ードモジュール用シャッタ機構
TW549627U (en) * 2002-12-06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ard connector
JP4268059B2 (ja) 2004-01-15 2009-05-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4473226B2 (ja) 2006-01-30 2010-06-02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1171141A (ja) 2010-02-19 2011-09-01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
JP5497472B2 (ja) 2010-02-19 2014-05-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6467A (zh) 2015-03-25
TW201511421A (zh) 2015-03-16
US20150072549A1 (en) 2015-03-12
US9379487B2 (en) 2016-06-28
JP3187380U (ja)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0624A (ko) 카드 커넥터
US9866249B1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US9652639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US8597038B2 (en) Connector
JP5735934B2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US20080139026A1 (en) Card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JP3186801U (ja) カードコネクタ
TWI530036B (zh) Connectors and performance boards, motherboards, and semiconductor test devices including the connector
JP2014146432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9016603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TWM504370U (zh) 卡連接器
JP5928415B2 (ja) メモリーカード用コネクタ
JP2015088301A (ja) カードコネクタ
US20220140510A1 (en) Card retain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set
WO2015190181A1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KR200473311Y1 (ko) 카드 커넥터
KR200462952Y1 (ko) 접속단자
JP5605322B2 (ja) カードコネクタ
JP3185158U (ja) Usbコネクタ組合せ構造
CN204361355U (zh) 卡用连接器
US9124038B2 (en) Connector holder and electronic device with connector holder
JP612868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5459233B2 (ja) 電子装置
US914797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moval mechanism
JP7294871B2 (ja) 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