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582A -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582A
KR20150029582A KR1020140118882A KR20140118882A KR20150029582A KR 20150029582 A KR20150029582 A KR 20150029582A KR 1020140118882 A KR1020140118882 A KR 1020140118882A KR 20140118882 A KR20140118882 A KR 20140118882A KR 20150029582 A KR20150029582 A KR 20150029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access point
channel
information
b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8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652B1 (ko
Inventor
이재승
권형진
이석규
정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17,92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36339B2/en
Priority to PCT/KR2014/008447 priority patent/WO2015037904A1/ko
Publication of KR20150029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32Hierarchical 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는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정보, 릴레이에 의하여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METHOD FOR OPERATING ACCESS POINT AND METHOD FOR OPERATING RELAY}
아래 실시예들은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세스 포인트의 커버리지를 더욱 확장하고 스테이션의 파워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무선 랜에서는 릴레이 오퍼레이션을 도입하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 스테이션 사이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전송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스테이션은 액세스 포인트보다 전송 파워가 떨어지므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더라도 해당 스테이션이 액세스 포인트로 데이터를 제대로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세스 포인트-스테이션 전송시의 커버리지를 더욱 넓히기 위해 릴레이를 사용한다.
기존의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즉,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셋업 한 루트 BSS(Basic Service Set), 각 릴레이가 셋업 한 BSS들이 동일한 채널에서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 BSS와 각 릴레이 BSS들은 서로 OBSS(Overlapped BSS) 상황이 되어 서로 경쟁(contention)/충돌(collision)이 발생하게 된다. 즉, 릴레이를 사용하면 전송 범위는 넓어지지만 루트 BSS와 릴레이 BSS가 OBSS 상황이 되어 서로 간의 경쟁(contention)/충돌(collision)이 더욱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들은 무선 랜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시 효율적인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무선 랜 환경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시 루트 BSS 및 릴레이 BSS들 간의 충돌을 줄이고 전송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릴레이에 대한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루트 BSS와 릴레이 BSS를 서로 다른 채널에 설정하고, 릴레이 AP는 릴레이 BSS 내에서의 전송과 루트 AP와의 전송 시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하는 무선 랜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릴레이에 의하여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와 연관(association)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는 채널이고,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지 않는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2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3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을 거부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을 허용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연관 요청 신호 및 프로브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웃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관 요청 신호는 상기 릴레이가 사용하고자 하는 후보 채널 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 및 상기 후보 채널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릴레이의 동작 방법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허용되거나 거부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허용되거나 거부되는지 여부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는 채널이고,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지 않는 채널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2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3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거부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이 허용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호는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연관 요청 신호 및 프로브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다.
상기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웃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관 요청 신호는 상기 릴레이가 사용하고자 하는 후보 채널 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허용되거나 거부되는지 여부는 상기 채널 정보 및 상기 후보 채널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측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은 스테이션으로부터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릴레이 능력 정보, 및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릴레이 동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능력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동작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릴레이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를 상기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일 측에 따른 스테이션의 동작 방법은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릴레이 능력 정보, 및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릴레이 동작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는 상기 릴레이 능력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동작 요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은 무선 랜에서의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시 OBSS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루트 BSS와 릴레이 BSS를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루트 BSS와 릴레이 BSS를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확장된 릴레이 원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릴레이 채널 컨트롤 필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릴레이 채널 할당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각 릴레이 BSS들도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각 릴레이 BSS들도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해 할당하는 방법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무선 랜에서의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루트 액세스 포인트(Root AP)는 제1 릴레이(Relay 1), 제2 릴레이(Relay 2), 및 제3 릴레이(Relay 3)을 이용하여 루트 액세스 포인트의 범위(Range of Root AP) 밖에 있는 스테이션들(예를 들어, STA 1-1, STA 1-2, STA 2-2, STA 2-3, STA 3-1, STA 3-2)과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들에 의하여 확장된 BSS 범위(Extended BSS Range by Relays) 내 스테이션들과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도 2는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시 OBSS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존의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셋업한 루트 BSS 및 각 릴레이가 셋업한 BSS들은 동일한 채널에서 동작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릴레이를 사용해 범위는 확장되지만, 루트 BSS와 릴레이 BSS 들이 동일한 채널에서 동작할 경우 필연적으로 루트 BSS와 릴레이 BSS 들은 서로 OBSS 상황이 된다. 이로 인하여, 오버랩 된 BSS 범위(Overlapped BSS Range) 내에서 경쟁/충돌이 증가된다.
루트 BSS 와 릴레이 BSS 를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하는 방법
도 3은 루트 BSS와 릴레이 BSS를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은 무선 랜 환경에서 릴레이를 이용한 전송 시 루트 BSS 및 릴레이 BSS 들 간의 충돌을 줄이고 전송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한 릴레이에 대한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릴레이를 사용해 확장된 BSS 를 형성하는 경우, 루트 BSS와 릴레이 BSS 사이에서 가장 OBSS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된다. 예를 들어, 각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의 비콘을 들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각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의 범위 안에 셋업 된다. 이로 인해 루트 BSS와 릴레이 BSS 사이의 중첩된 영역이 많아지므로 OBSS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발생된다. 반면, 릴레이들끼리는 반드시 서로 다른 릴레이의 범위에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서로 겹치는 부분이 적을 수 있어 OBSS 문제가 다소 적을 수 있다.
루트 BSS와 데이터 전송 시, 각 릴레이들은 릴레이 BSS 내 자신에게 연관(associate)된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전송을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집합(aggregate)하여 전송한다. 또한,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BSS에 속한 단말들로 전송할 데이터를 집합(aggregate)하여 해당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루트 BSS에서의 트래픽이 릴레이 BSS내에서의 트래픽보다 많다. 만약 릴레이 BSS 내에서의 전송이 루트 BSS의 전송을 방해할 경우 확장된 BSS의 전체 전송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트 BSS와 릴레이 BSS는 서로 다른 채널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루트 BSS에 Ch 0 ~ Ch 3을 할당하는 경우, 릴레이들은 루트 BSS의 전송을 방해하지 않고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간 서로 충돌되지 않도록, 루트 BSS에 할당된 채널인 Ch 0 ~ Ch 3과 겹치지 않는 채널을 자신의 BSS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 BSS와 루트 BSS는 서로 방해 받지 않고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와 루트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전송에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예를 들어, Ch 0 ~ Ch 3)이 사용되고, 릴레이 BSS 내에서 릴레이와 릴레이에 연관된 스테이션 사이의 전송은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지 않는 다른 채널이 사용된다.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BSS 내에서의 전송과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의 전송 시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한다.
도 4는 루트 BSS와 릴레이 BSS를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간의 전송,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루트 BSS에 속한 스테이션 간의 전송,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에 속한 스테이션 간의 전송에는 CSMA/CA 방식, RAW를 사용한 슬롯 CSMA(slotted CSMA) 방식, TWT(Target Wake Time)을 이용한 방식 등 무선 랜(예를 들어, IEEE 802.11ah 표준에 정의된 규격)을 이용한 다양한 채널 액세스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RAW를 사용한 전송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트 BSS에 할당된 채널과 겹치지 않는 채널이 릴레이 BSS에 할당될 수 있다. 나아가, 루트 BSS에 할당된 채널과 겹치지 않으면서 다른 릴레이 BSS들에 할당된 채널들과도 겹치지 않는 채널이 릴레이 BSS에 할당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사용하는 채널에서 자신에게 직접 연관된 스테이션 및 릴레이와의 전송을 수행한다. RAW를 사용하는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직접 통신을 하는 스테이션 및 릴레이에 대한 RAW가 할당될 수 있다. 릴레이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의 RAW 할당 방식에는 일반 스테이션에 대한 RAW 할당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Ch 0 ~ Ch 3을 이용하여 RAW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RAW(411)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루트 BSS의 스테이션 간의 전송을 위한 RAW이다. RAW(412)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제2 릴레이 간의 전송을 위한 RAW이다. RAW(413)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제1 릴레이 간의 전송을 위한 RAW이다.
각 릴레이는 자신이 BSS를 설정한 채널에서 전송을 수행한다.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채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릴레이 BSS 내 전송(예를 들어,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 BSS의 스테이션 간의 전송)과 루트 BSS 내 전송(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루트 BSS의 스테이션 간의 전송)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릴레이 BSS와 제2 릴레이 BSS에 같은 채널이 할당되었을 경우, 제1 릴레이와 제2 릴레이는 서로 전송이 중복되지 않는 구간에 RAW를 할당해야 한다.
만약 제1 릴레이와 제2 릴레이가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제1 릴레이 BSS 내 전송과 제2 릴레이 BSS 내 전송도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릴레이는 Ch 4 ~ Ch 5를 이용하여 릴레이 BSS 내의 RAW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RAW(421)은 제1 릴레이와 제1 릴레이 BSS의 스테이션 간의 전송을 위한 RAW이다. RAW(422)는 제1 릴레이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채널 (예를 들어, 본 예에서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Ch0 ~ Ch3)로 전송 시 제1 릴레이 BSS내에서의 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1 릴레이 BSS 내 전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릴레이에 의하여 설정된 RAW이다. 예를 들어, RAW(422)는 11ah의 AP PM (Power Management)RAW 혹은 새로운 형태의 RAW가 정의되어 사용될 수 있다. RAW(422)에서 설정된 구간 동안은 제1릴레이 BSS 내에서의 전송이 금지된다. 제1 릴레이 BSS 내의 스테이션들은 RAW(422)의 할당 정보를 보고 전송이 금지된 구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2 릴레이는 Ch 6 ~ Ch 7을 이용하여 RAW를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RAW(431)은 제2 릴레이와 제2 릴레이 BSS의 스테이션 간의 전송을 위한 RAW이다. RAW(432)는 제2 릴레이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채널 (예를 들어, 본 예에서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Ch0 ~ Ch3)로 전송 시 제2 릴레이 BSS내에서의 수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2 릴레이 BSS 내 전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릴레이에 의하여 설정된 RAW이다. 예를 들어, RAW(432)는 11ah의 AP PM RAW 혹은 새로운 형태의 RAW가 정의되어 사용될 수 있다. RAW(432)에서 설정된 구간 동안은 제2 릴레이 BSS 내에서의 전송이 금지된다. 제2 릴레이 BSS내의 스테이션들은 RAW(432) 할당 정보를 보고 전송이 금지된 구간을 알 수 있다.
릴레이와 루트 액세스 포인트 사이의 전송은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릴레이와의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한 시간 구간(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할당한 RAW)에 수행되며, 이 경우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로 업링크 전송 및/또는 다운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릴레이는 루트 BSS와 전송을 수행하는 동안은 릴레이 BSS가 사용하는 채널과 다른 채널을 사용하므로, 릴레이가 두 개의 모뎀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는 릴레이에 속한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전송을 들을 수 없다. 따라서, 루트 BSS와 릴레이 BSS가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전송 시, 릴레이는 루트 BSS와 다른 채널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로 전송을 수행하는 시간 구간 동안에는 자신의 BSS 내에서의 전송을 금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릴레이는 자신이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채널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로 통신하는 시간 구간에 자신에게 속한 스테이션의 전송을 금지하기 위한 RAW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 구간을 RAW로 잡고, 자신에게 속한 스테이션들을 할당을 하지 않거나, 액세스 포인트 파워 세이빙 RAW(power saving RAW, AP PM RAW)로 표시를 하여 자신에게 연관된 스테이션에게 릴레이 비콘 등을 통해 이를 알린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루트 BSS에 속한 스테이션과의 전송 관련 할당(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하는 채널에 대한 할당)은 루트 액세스 포인트의 비콘에 표시될 수 있다.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BSS에 속한 스테이션과의 전송 구간은 릴레이 비콘에 표시된다. 릴레이에 연관된 스테이션은 릴레이 비콘만 들으면 자신의 할당 정보를 알 수 있다.
TWT 방식이 사용되는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구간(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속한 스테이션 간의 전송 구간 (그림의 예에서 RAW (411)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 혹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 간의 전송 구간 (그림의 예에서 RAW (412), RAW (413)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을 위하여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해당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속한 스테이션 혹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게 TWT를 할당한다. 또한,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릴레이 BSS내에서 전송하는 구간, 예를 들어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 속한 스테이션 간의 전송 구간(그림의 예에서 릴레이 1의 경우 RAW (421) 혹은 릴레이 2의 경우 RAW (431)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을 위하여 릴레이가 해당 스테이션에 TWT를 할당한다.
릴레이가 루트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동안 자신의 BSS내에서의 전송을 금지하기 위하여, 릴레이는 해당 전송 구간(그림의 예에서 릴레이 1의 경우 RAW (422) 혹은 릴레이 2의 경우 RAW (432)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에 자신의 BSS에 속한 스테이션에 대한 TWT를 할당하지 않을 수 있다. TWT를 할당 받은 스테이션만 해당 구간에 전송이 가능하므로,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특정 구간에 대한 TWT를 릴레이 BSS 내의 어느 스테이션에도 할당하지 않으면 특정 구간 동안 릴레이 BSS내의 전송을 금지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RAW 할당 방식, TWT 방식은 서로 혼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에 대한 전송 및 자신의 BSS 내의 전송에 대해 일부 스테이션은 TWT로, 나머지 스테이션은 RAW로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의 BSS 내의 전송에 대해 어떤 스테이션은 TWT로, 어떤 스테이션은 RAW로 할당할 수 있다.
RAW 혹은 TWT를 사용하지 않는 스테이션의 경우, 스테이션이 릴레이에게 전송을 받기 위해 릴레이에게 PS-Poll을 보냈을 때 릴레이가 바로 스테이션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이 부족하면, 다음 번 릴레이 BSS내에서의 전송이 가능한 시점을 ack에 포함시켜 전송함으로써 해당 스테이션이 다른 시간에 전송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와 루트가 전송하는 시점에 스테이션이 전송하지 않도록 시간이 할당되어야 한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루트 BSS와 동일한 채널들을 사용하여 릴레이 BSS를 셋업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를 릴레이 BSS 셋업을 하고자 하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DisallowOverlappedChannel 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beacon) 또는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등에 DisallowOverlappedChannel = 0, 1 등의 정보를 포함시켜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릴레이 BSS를 루트 BSS와 중복되는 채널에 셋업하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릴레이는 이 정보를 확인하고, DisallowOverlappedChannel = 1 (동일 채널 사용 불허)인 경우 릴레이 BSS를 루트 BSS와 다른 채널에 셋업하며, 0 인 경우는 동일 채널 혹은 다른 채널에 셋업 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연관 요청(association request) 시 자신이 릴레이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equestSameChannel 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만약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릴레이 BSS를 루트 BSS와 다른 채널에 셋업하면,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전송할 경우와 릴레이 BSS 내의 스테이션과 전송할 경우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해야 한다. 채널 스위치를 빈번하게 수행해야 하는데,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의 능력에 따라 이것이 가능할 수도, 혹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자신이 서로 다른 채널에서의 릴레이 운영을 위한 채널 스위치 능력이 있는 지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elayChannelSwitchCapable 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layChannelSwitchCapable=1 (즉, 릴레이를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채널에 셋업하는 오퍼레이션이 가능한 릴레이)인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만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서로 다른 채널에 셋업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elayChannelSwitchCapable 비트 대신 NonOverlappingChannelCapable 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DisallowOverlappedChannel = 1을 표시하여 동일 채널을 사용 못하게 하고, 릴레이가 연관 요청 시 RelayChannelSwitchCapable=1 (서로 다른 채널에 BSS 셋업 가능) 이면서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 사용을 요청 (RequestSameChannel=1)하는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릴레이의 연관을 거부할 수 있다. 만약 RelayChannelSwitchCapable=0 (서로 다른 채널에 BSS 셋업 불가능)인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 채널 사용 요청을 허락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정보를 위한 프레임 포맷의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확장된 릴레이 원소(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확장된 릴레이 원소(500)는 IEEE 802.11ah 표준에 정의된 릴레이 원소 뒤에 릴레이 채널 컨트롤(Relay Channel Control) 필드(5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확장된 릴레이 원소(500)는 IEEE 802.11ah 표준에 정의된 원소 ID 필드(510), 길이 필드(520), 릴레이 컨트롤 필드(530), 및 루트 액세스 포인트 BSSID 필드(5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릴레이 채널 컨트롤 필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채널 컨트롤 필드(550)는 DisallowOverlappedChannel 비트(551), RelayChannelSwitchCapable 비트(552), 및 RequestSameChannel 비트(5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DisallowOverlappedChannel 비트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설정되며,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루트 BSS가 사용하는 채널과 중복되는 채널을 사용해 릴레이 BSS를 셋업하는 것을 허락할지 여부를 나타낸다.
RelayChannelSwitchCapable 비트는 릴레이에 의하여 설정되며, 릴레이가 루트와 서로 다른 채널에 릴레이 BSS 셋업을 하고 루트 BSS 및 릴레이 BSS 간 채널 스위치 동작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elayChannelSwitchCapable 비트는 NonOverlappingChannelCapable 비트로 치환될 수 있다.
RequestSameChannel 비트는 릴레이에 의하여 설정되며, 연관 시 릴레이가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자신의 릴레이 BSS에서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 사용을 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릴레이 채널 할당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RelayChannelControl 정보(DisallowOverlappedChannel = 0 or 1)를 포함시켜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 사용 금지 여부를 나타낸다.
만약 릴레이가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보내 액티브 스캐닝(active scanning)을 하는 경우, 릴레이는 프로브 요청에 릴레이 동작 관련 정보를 알리는 원소를 포함시켜 RelayChannelSwitchCapable 정보 등 릴레이 능력 여부를 미리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RequestSameChannel 정보도 프로브 요청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자신이 릴레이로 동작함을 요청하며, 이와 관련된 릴레이 능력 및 요청 채널 등 릴레이 동작 관련 정보를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릴 수 있다.
연관 요청 시,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연관 요청의 릴레이 능력 정보 (Relay Capability)에 RelayChannelSwitchCapable 정보 및/또는 RequestsameChannel 정보를 포함시켜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RelayChannelSwitchCapable 정보 및/또는 RequestsameChannel 정보가 포함된 릴레이 원소를 연관 요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자신이 릴레이로 동작함을 요청하며, 이와 관련된 릴레이 능력 및 요청 채널 등 릴레이 동작 관련 정보를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알릴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의 Relay 능력 정보 (예를 들어 RelayChannelSwitchCapable 정보) 및/또는 RequestSameChannel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릴레이가 릴레이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할 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DisallowOverlappedChannel = 1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릴레이 BSS가 동일 채널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이고, RelayChannelSwitchCapable = 1이며, RequestSameChannel = 1인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셋업을 거부하거나 연관을 거부한다.
RelayChannelSwitchCapable = 0인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동일 채널 사용을 금지시켰더라도 릴레이의 동일 채널 사용이 허용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동일 채널 사용을 허용한 경우, 릴레이의 RelayChannelSwitchCapable과 상관없이 릴레이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허락될 수 있다.
릴레이가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 사용을 요청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릴레이가 릴레이 BSS를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다른 채널을 사용하여 셋업 하려는 경우), RelayChannelSwitchCapable 및 RequestSameChannel과 상관없이 릴레이 셋업이 허용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릴레이 BSS 셋업이 허용되는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동작 허용 관련 정보를 포함한 원소 (예를 들어, Relay 원소 혹은 Relay Activation bit = 1으로 설정한 Relay Activaction 원소 등)를 연관 응답(Association Response)에 포함시켜 릴레이 BSS 셋업이 허용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별도의 릴레이 BSS 셋업 허용 관련 정보를 포함한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릴레이 BSS 셋업이 허용 (예를 들어, Relay Activation이 허용)되었음을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
릴레이 BSS 셋업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릴레이 원소를 포함하지 않은 연관 응답을 보내 릴레이 BSS 셋업이 허용되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별도의 릴레이 BSS 셋업 거절 정보 (예를 들어, Relay Activation bit = 0으로 설정한 Relay activation 원소)를 포함한 응답 프레임을 보내거나, 아예 연관 응답을 보내지 않아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의 연관을 거부할 수도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확장된 BSS 운영 도중, 동일 채널에서의 릴레이 셋업 허용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에 동일 채널에서의 릴레이 BSS 셋업을 허용하다가 도중에 불허로 바꿀 수 있고, 반대로 초기에 동일 채널에서의 릴레이 BSS 셋업을 불허하다가 채널에 여유가 생기면 도중에 허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릴레이는 릴레이 BSS를 루트 BSS와 다른 채널에 설정했다가 이후 루트 BSS가 동일 채널에 릴레이 동작을 허용할 경우, 릴레이 BSS 채널을 루트와 동일한 채널로 옮길 수 있다. 릴레이는 비콘을 보고 루트 BSS가 동일 채널에 릴레이 동작을 허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릴레이의 동일 채널 사용을 허용하다가 이후 불허하는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등을 통하여 루트가 릴레이의 동일 채널 사용을 불허함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SameChannelIntolerable 비트 등을 비콘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채널을 사용하던 릴레이 BSS는 강제로 다른 채널로 옮겨질 수 있다.
이 때, SameChannelIntolerable = 1인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채널을 사용하던 릴레이 BSS는 반드시 채널을 옮겨야 한다. 반면, SameChannelIntolerable = 0인 경우 이전에 이미 루트 BSS와 동일한 채널을 사용하는 릴레이 BSS는 채널을 옮기지 않고 새로 릴레이 BSS를 셋업하는 릴레이만 루트 BSS와 다른 채널에 릴레이 BSS를 셋업해야 한다.
루트 BSS 와 릴레이 BSS 를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하고, 릴레이 BSS 들도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하는 방법
도 8은 각 릴레이 BSS들도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되도록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루트 BSS와 릴레이 BSS가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되고, 릴레이 BSS들도 서로 다른 채널에 할당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릴레이들도 서로 다른 채널에서 동작함으로써 릴레이 간의 경쟁/충돌이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의 동일 채널 사용 여부 이외에 이미 셋업된 다른 릴레이가 어느 채널을 사용하는지를 스캔한 후, 자신이 사용할 논-오버래핑 채널을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릴레이는 자기 주변의 채널 정보만을 알 수 있다. 제2 릴레이는 제1 릴레이와는 히든(hidden)이지만, 제2 릴레이의 스테이션은 제1 릴레이 혹은 향후 제1 릴레이에 연관될 스테이션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릴레이에게는 히든이더라도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연관된 다른 릴레이(예를 들어, 제2 릴레이)와 관련된 정보도 필요하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모든 릴레이의 비콘을 들을 수 있고 각 릴레이가 사용하는 채널들도 알 수 있으므로,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에게 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BSS 셋업 할 채널 결정시 해당 릴레이의 채널 스캔 결과 및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보내주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결합하여, 채널 선택을 하는 것이 좋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에게 연관된 기존 릴레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사용 채널, 대역폭(BW) 정보 등)를 릴레이에게 전달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해당 정보를 포함시켜 릴레이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af 표준 및/또는 IEEE 802.11ai 표준에 정의된 감소된 이웃 리포트(reduced neighbor report)를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포함하여 릴레이에 전달할 수 있다.
릴레이가 프로브 요청에 릴레이 원소 등의 릴레이 관련 정보를 포함한 원소를 포함하여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하면,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스테이션이 릴레이로 동작함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감소된 이웃 리포트(reduced neighbor report)에 주변 릴레이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이웃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줄이기 위해 해당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속한 릴레이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또는, IEEE 802.11af 표준 및/또는 IEEE 802.11ai 표준에 정의된 감소된 이웃 리포트(reduced neighbor report)에서 TBTT (target beacon transmission time)등의 정보는 생략되고,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의 BSSID, 오퍼레이팅 클래스(Operating Class), 채널 넘버(Channel Number)]의 리스트만 포함한 더 축약된 이웃 리포트 정보가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 주변 정보를 보다 자세하게 보내고자 할 때에는,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뿐만 아니라 루트 액세스 포인트 주변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 정보도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채널 로드(Channel Load) 등의 정보도 비콘 혹은 프로브 응답에 포함되어 전송됨으로써,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받은 주변 액세스 포인트 정보 및 자신이 직접 주변 채널을 스캔 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채널 후보 리스트를 결정할 수 있다.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는 채널 후보 리스트를 연관 요청에 포함시켜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한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후보 채널 리스트, 전체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하여 사용 중인 채널, 루트 액세스 포인트와의 동일 채널 사용 허용 여부 등에 기초하여,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할 최종 릴레이 BSS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릴레이가 릴레이 BSS 셋업 (예를 들어, 릴레이 활성화)을 허용하는 경우, 릴레이 동작 허용 관련 정보를 포함한 원소 (Relay 원소 혹은 Relay Activation bit = 1으로 설정한 Relay Activaction 원소 등)와 함께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사용할 최종 릴레이 BSS 채널 정보 연관 응답에 함께 포함시켜 전송한다.
도 9는 각 릴레이 BSS들도 서로 다른 채널을 사용해 할당하는 방법의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가 셋업된 이후, 확장된 BSS 전체 채널 할당 사항에 대해 릴레이 채널이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릴레이는 RelayBSSSetupChangeRequest를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보내면서, 변경을 원하는 후보 채널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RelayBSSSetupChangeRequest에 대한 응답으로 변경할 채널 정보를 릴레이에게 전달할 수 있다.
혹은 릴레이가 요청하지 않더라도 루트 액세스 포인트가 필요에 따라 릴레이에게 변경할 채널을 선택하여 변경을 지시할 수 있다.
릴레이 BSS 셋업 후 채널 변경을 위해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게 주변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요청할 경우, 이웃 리포트 요청/응답(neighbor report request/response) 과정을 통하여 전송되는 이웃 리포트(neighbor report)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또는, 비콘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감소된 이웃 리포트(reduced neighbor report)가 이용될 수도 있다.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이웃 리포트(neighbor report)를 이용하는 경우, 주변 액세스 포인트가 IEEE 802.11ah 표준 지원 액세스 포인트인지 여부를 알릴 수 없다. 따라서, IEEE 802.11 표준에 정의된 이웃 리포트(neighbor report)의 BSSID 정보 필드(BSSID Information field)에 1 비트가 추가될 수 있다. 추가되는 1 비트는 11ah 액세스 포인트 비트일 수 있다. 11ah 액세스 포인트 비트를 통하여 주변 액세스 포인트가 IEEE 802.11ah 표준 지원 액세스 포인트인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 1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는 루트 액세스 포인트에 릴레이 능력 정보 및 릴레이 동작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루트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릴레이의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를 해당 릴레이로 통보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 2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6)

  1.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릴레이에 의하여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와 연관(association)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는 채널이고,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지 않는 채널인,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2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3 비트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을 거부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을 허용할 것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연관 요청 신호 및 프로브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웃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관 요청 신호는 상기 릴레이가 사용하고자 하는 후보 채널 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릴레이와 연관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 및 상기 후보 채널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8.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이 금지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2 정보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을 요청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허용되거나 거부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허용되거나 거부되는지 여부는
    상기 제1 정보, 상기 제2 정보, 및 상기 제3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릴레이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는 채널이고,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세트와 상기 릴레이의 기본 서비스 세트가 서로 오버랩 되지 않는 채널인, 릴레이의 동작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2 비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전송되는 릴레이 원소에 포함된 미리 정해진 서브필드의 제3 비트를 포함하는, 릴레이의 동작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가 상기 오버래핑 채널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3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동일 채널의 사용이 요청되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거부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릴레이의 동작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가 상기 릴레이에 의하여 상기 논-오버래핑 채널을 이용한 동작이 지원되지 않는 것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와의 연관이 허용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릴레이의 동작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신호는 연관 요청 신호 및 프로브 요청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는, 릴레이의 동작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 및 프로브 응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적어도 하나의 이웃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관 요청 신호는 상기 릴레이가 사용하고자 하는 후보 채널 리스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연관이 허용되거나 거부되는지 여부는
    상기 채널 정보 및 상기 후보 채널 리스트에 더 기초하여 결정되는, 릴레이의 동작 방법.
  15. 스테이션으로부터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릴레이 능력 정보, 및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릴레이 동작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 능력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동작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션이 릴레이로 동작하는 것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를 상기 스테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16. 릴레이로 동작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릴레이 능력 정보, 및 릴레이로 동작할 것을 요청하는 릴레이 동작 요청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동작 허용 여부는 상기 릴레이 능력 정보 및 상기 릴레이 동작 요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스테이션의 동작 방법.
KR1020140118882A 2013-09-10 2014-09-05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KR10223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7,924 US10136339B2 (en) 2013-09-10 2014-09-10 Operation method for access point and operation method for relay
PCT/KR2014/008447 WO2015037904A1 (ko) 2013-09-10 2014-09-10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768 2013-09-10
KR20130108768 2013-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582A true KR20150029582A (ko) 2015-03-18
KR102230652B1 KR102230652B1 (ko) 2021-03-23

Family

ID=5302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8882A KR102230652B1 (ko) 2013-09-10 2014-09-05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36339B2 (ko)
KR (1) KR102230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6707A1 (en) * 2010-08-16 2013-06-26 Corning Cable Systems LLC Remote antenna clusters and related systems, components, and methods supporting digital data signal propagation between remote antenna units
CN203504582U (zh) 2011-02-21 2014-03-26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一种分布式天线系统及用于在其中分配电力的电源装置
US10659163B2 (en) 2014-09-25 2020-05-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upporting analog remote antenna units (RAUs) in digital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ing analog RAU digital adaptors
WO2016071902A1 (en) 2014-11-03 2016-05-1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Multi-band monopole planar antennas configured to facilitate improved radio frequency (rf) isolation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antenna arrangement
WO2016075696A1 (en) 2014-11-13 2016-05-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supporting distribution of digital communications signals interfaced from a digital signal source and analog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s signals
EP3235336A1 (en) 2014-12-18 2017-10-2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gital interface modules (dims) for flexibly distributing digital and/or analog communications signals in wide-area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WO2016098111A1 (en) 2014-12-18 2016-06-23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Wireless Ltd. Digital- analog interface modules (da!ms) for flexibly.distributing digital and/or analog communications signals in wide-area analog distributed antenna systems (dass)
US10015041B2 (en) * 2015-09-17 2018-07-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network connectivity for a service disruption
US10554368B2 (en) * 2015-10-07 2020-02-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ireless data-acknowledgement communication using frame aggregation
CN107787048B (zh) * 2016-08-25 202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通信方法及装置
EP3490165A1 (en) * 2017-11-22 2019-05-2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hannel deter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extended wi-fi network
WO2021050270A1 (en) * 2019-09-10 2021-03-18 Arris Enterprises Llc Coordinated and distributed frequency separation during coexisting communication
WO2021183361A1 (en) * 2020-03-09 2021-09-16 Arris Enterprises Llc Channel discovery in a small-cell network
TWI765324B (zh) * 2020-08-24 2022-05-2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無線通訊裝置及應用在無線通訊裝置的無線通訊方法
US11483761B2 (en) 2020-12-17 2022-10-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Network scann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969A (ko) * 2009-09-29 2011-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03788A (ja) * 2004-04-14 200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
JP4679616B2 (ja) 2008-08-19 2011-04-27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無線lan中継装置、無線lan中継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25570B2 (en) 2008-12-31 2014-01-07 Stmicroelectronics, Inc. Robust unicast/broadcast/multicast communication protocol
KR101057914B1 (ko) 2009-05-27 2011-08-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러 tdd-ofdma 시스템에서 다중 홉 릴레이를 위한 동적 토폴로지 제어 방법
US8345609B2 (en) * 2009-08-04 2013-01-01 Sony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actively re-assessing the availability and quality of surrounding channels for infrastructure operation in wireless mesh nodes
KR101646265B1 (ko) 2009-11-16 201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JP5155355B2 (ja) 2010-04-07 2013-03-0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無線基地局の自律的な負荷調整が可能な無線端末装置
EP2564628B1 (en) 2010-04-29 2014-09-03 Thomson Licensing Coexistence of multiple wireless networks
JP5529674B2 (ja) * 2010-08-16 2014-06-25 株式会社Nttドコモ 接続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9185711B2 (en) 2010-09-14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relay interference
FI20115163A0 (fi) * 2011-02-21 2011-02-21 Nokia Corp Tietoliikenne langattomien verkkojen välill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969A (ko) * 2009-09-29 2011-04-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36339B2 (en) 2018-11-20
US20160219591A1 (en) 2016-07-28
KR102230652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652B1 (ko)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JP7113947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サイドリンク通信のためのリソース割り当て
US10939452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LAN system and wireless LAN system
JP5100893B2 (ja) 多重無線通信区間割当方法
US20200037167A1 (en) Frequency allocation method and device for unauthorized frequency band
KR102346576B1 (ko) 차세대 wi-fi 채널들을 위한 스캐닝 향상들
KR20060129807A (ko) 셀룰러 통신을 위한 중계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240080750A1 (en)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on demand system information
EP2848024B1 (en) Coordination of co-spectrum users with wireless broadband networks
WO2020170452A1 (ja)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3160980A1 (ja) 制御装置、基地局、移動局、コアネットワークノード、これらに実装される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2297775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스테이션 간 다이렉트 통신 방법
US9629160B1 (en) Method and systems for selection of a secondary carrier
CN106304375B (zh) 一种无线通信方法
KR20130113112A (ko) 펨토 기지국, 펨토 기지국 관리 장치 및 그 장치에서의 주파수 대역 할당 방법
WO2020063406A1 (zh) 一种资源调度方法、基站及终端设备
WO2021022523A1 (en) Resource scheduling in relay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