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265B1 -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265B1
KR101646265B1 KR1020100041242A KR20100041242A KR101646265B1 KR 101646265 B1 KR101646265 B1 KR 101646265B1 KR 1020100041242 A KR1020100041242 A KR 1020100041242A KR 20100041242 A KR20100041242 A KR 20100041242A KR 101646265 B1 KR101646265 B1 KR 101646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ion
base station
station
time
channe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891A (ko
Inventor
김학성
김산해
신요안
이기호
김기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265B1/ko
Priority to US13/510,280 priority patent/US9066365B2/en
Priority to PCT/KR2010/007655 priority patent/WO2011059199A2/ko
Publication of KR2011005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중계국의 상향링크 제어신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프레임 내에 중계국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UL 중계국 존(zon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UL 중계국 존의 서브프레임에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할당하는, 복수의 심벌과 복수의 부반송파로 구성된 자원단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자원단위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브프레임에 상기 중계국의 신호 송수신 스위칭에 필요한 전환 시간이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전환 시간을 포함하는 자원단위를 구성하는 복수의 심벌들을 제외한 나머지 심벌에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RELAY STA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일 예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를 준비하고 있다. LTE-Advanced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낮은 복잡도로 심볼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볼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볼의 간격이 길어져 심볼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은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을 통하여 다중 사용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를 얻을 수 있으며, 부반송파에 대한 순열(permutation) 방식에 따라 부반송파를 다양한 형태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이용한 공간 다중화 기법으로 공간 영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법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제어 신호의 전송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어 신호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의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 신호, 무선자원의 할당을 요청하는 대역폭 요청 신호,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프리코딩(precoding) 정보, 안테나 정보 등이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한편,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하고 있는 기술로 중계국(RS; Relay Station)이 있다. 중계국은 셀 커버리지를 확장시키고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지국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경계에 위치한 단말을 중계국을 통해 서비스함으로써 셀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계국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신호의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 하더라도 음영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 중계국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OFDMA를 변조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중계국에 연결된 중계국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중계국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 대역이 동일할 수 있다. 중계국은 자기 간섭(self interference)으로 인해 동일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중계국은 동일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수행하여야 하는 제한이 존재한다.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 예컨대, 프레임에 대해 자원할당 방법이 문제되며, 자원 할당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중계국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문제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중계국 단말로부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를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백홀 링크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간의 링크를 의미하며, 상기 액세스 링크는 상기 중계국과 상기 중계국 단말 간의 링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분석한 백홀 링크 채널정보 및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중계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분석한 백홀 링크 채널정보 및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중계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백홀 링크 채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매크로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중계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 및 상기 매크로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전송방법은 기지국이 중계국으로부터 백홀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매크로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매크로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이 상기 백홀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 및 상기 매크로 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 및 데이터를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이 중계국으로부터 백홀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와 상기 중계국에 의해 수행된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고, 매크로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매크로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백홀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 상기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매크로 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백홀 링크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줄링을 수행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중계국 및 상기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자원 할당 방법을 제공하며, 무선자원 할당 방법에 따라 기지국 및 중계국이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와 신호 전송 동작을 나타낸다.
도 5는 반정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반정적 자원 할당을 수행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반정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8은 동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9는 프레임에서 동적 자원 할당을 수행한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동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도 11은 동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12는 동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3은 도 12의 동적 자원 할당 방법에서 첫번째 시간 영역에 대한 자원 할당의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2의 동적 자원 할당 방법에서 두번째 시간 영역에 대한 자원 할당의 예를 나타낸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이하에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LTE-A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 evolved Node B, eNB)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셀(cell)이라고 불리는 특정한 지리적 영역 (15)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셀은 다시 다수의 영역으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각각의 영역은 섹터(sector)라고 칭한다. 하나의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11)은 일반적으로 단말(13)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N(Access Network), ABS(advanced BS)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11)은 중계국(12)과 단말(14) 간의 연결성(connectivity), 관리(management), 제어 및 자원 할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국(Relay Node, RN, 12)은 기지국(11)과 단말(14)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하는 기기를 말하며, RS(Relay Station), 리피터(repeater), 중계기(relay), ARS(advanced RS) 등의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중계국에서 사용하는 중계 방식으로 AF(amplify and forward) 및 DF(decode and forward) 등 어떠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13, 14; User Equipment, UE)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AMS(advanced Mobile Station), MS(Mobile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AT(Access Terminal), UE(user equipme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 매크로 단말은 기지국(11)과 직접 통신하는 단말이고, 중계국 단말은 중계국과 통신하는 단말을 칭한다. 기지국(11)의 셀 내에 있는 매크로 단말(13)이라 할지라도, 다이버시티 효과에 따른 전송속도의 향상을 위하여 중계국(12)을 거쳐서 기지국(11)과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에서 매크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매크로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에서 하향링크는 기지국에서 중계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에서 하향링크를 백홀(backhaul) 하향링크, 상향링크를 백홀 상향링크라 칭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에서 하향링크는 중계국에서 중계국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는 중계국 단말에서 중계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에서 하향링크를 액세스 하향링크, 상향링크를 액세스 상향링크라 칭한다.
도 2는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한다. OFDM 심벌은 다중 접속 방식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로 칭할 수도 있다. 하향링크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은 주파수 영역에서 12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시간 영역에서 7 OFDM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슬롯 및 자원블록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가 7인 경우를 예시하나 이는 제한이 아니다. 예를 들어,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6개일 수도 있다.
자원 그리드 상의 각 요소(element)를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라 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12×7 자원요소를 포함한다. 하향링크 슬롯에 포함되는 자원블록의 수 NDL은 셀에서 설정되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bandwidth)에 종속한다.
도 3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는 상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향링크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SC-FDMA 심벌을 포함한다.
이제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와 그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구조와 신호 전송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2개의 시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시간 영역을 편의상 첫번째 시간 영역(1st time zone), 두번째 시간 영역(2nd time zone)이라 칭하기로 하자.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는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통신 및/또는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통신이 수행된다.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는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통신 및/또는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된다. 중계국 입장에서는 기지국과 통신하는 시간 구간과 중계국 단말과 통신하는 시간 구간이 분리된다.
첫번째 시간 영역 또는 두번째 시간 영역 각각은 예컨대, 서브프레임 단위의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첫번째 시간 영역과 두번째 시간 영역은 동일한 개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개수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첫번째 시간 영역과 두번째 시간 영역은 시간적으로 동일한 구간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구간일 수도 있다.
도 5는 반정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반정적 자원 할당이란 자원할당 정보에 의하여 할당된 무선자원을 특정 시간구간 동안 다시 자원할당 정보에 의하여 갱신하거나 변경하지 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의 자원 할당을 의미한다. 동적 자원 할당은 스케줄링 단위마다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방식의 자원 할당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UEM)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기지국이 중계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이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할당될 수 있다.
프레임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UER)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이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할당될 수 있다.
도 6은 반정적 자원 할당을 수행한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첫번째 시간 영역 및 두번째 시간 영역은 다수의 자원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원블록들은 PF(proportional fairness), MAX C/I (Maximum carrier-to-interference ratio) 등과 같은 다양한 스케줄링 기법을 통해 중계국 또는 단말에게 할당된다.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601, 603), 기지국이 중계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602) 내에서 각 자원블록은 하나의 링크에만 할당되고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이처럼 무선자원(예컨대, 자원블록)을 중첩되지 않게 할당하는 것을 자원 비중첩(resource non-overlap)방식이라 칭한다.
자원 중첩(resource overlap) 방식은 2개의 링크에 무선자원(예컨대, 자원블록)을 중첩하여 할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자원블록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자원블록이 무선자원 영역(604) 내에서 중첩되게 할당할 수 있다. 자원 중첩 방식의 경우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자원블록과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자원블록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국-중계국 단말 간의 통신이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통신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기지국은 적절한 전력할당 기법을 사용하여 간섭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자원 중첩 방식 및 자원 비중첩 방식은 자원블록 단위뿐 아니라 무선자원 영역 측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무선자원 영역이 하나의 링크에만 할당되는가 아니면 복수의 링크에 할당되는가에 따라 전자를 자원 비중첩 방식, 후자를 자원 중첩 방식이라 정의할 수도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반정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에 의하면, 기지국과 중계국은 각자 독립적인 무선자원 영역에서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할 무선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 및 중계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에 대해 독립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중계국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 및 중계국이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무선자원 영역에서 독립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무선자원 영역에 대한 채널 정보 예컨대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은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중계국 또는 매크로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common refer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중계국은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중계국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공통참조신호를 수신한 중계국, 매크로 단말 또는 중계국 단말은 채널 정보를 생성하여 피드백한다.
이제 반정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 중계국, 매크로 단말, 중계국 단말 간에 수행되는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도 7은 반정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먼저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매크로 단말에게 전송한다. 매크로 단말은 (t-2)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채널정보는 예를 들어 CQI(channel quality indicator)일 수 있으나 이는 제한이 아니다. 매크로 단말은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매크로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한다.기지국은 t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과 두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해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하향링크에서 기지국이 공통 참조신호를 전송하여 채널정보를 피드백받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의 전송), 또는 5 시간 구간(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의 전송)이 된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백홀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에게 전송한다. 중계국은 (t-2)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중계국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백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t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에게 데이터 패킷과 함께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중계국이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시 활용할 수 있다.
백홀 하향링크 전송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여 채널정보를 피드백받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이 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중계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한다. 중계국 단말은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채널정보를 중계국으로 피드백한다.
중계국은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t+1)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백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중계국 단말에 대한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중계국은 (t+1)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중계국이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시 활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이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으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은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 전송되지 않고 2 시간 구간만큼 지연된 후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 전송된다. 또한, 액세스 하향링크 전송에서 중계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여 채널정보를 피드백받고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이 된다.
도 8은 동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UEM)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기지국이 중계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은 중첩되어 할당된다.
프레임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UER)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이 중첩되어 할당된다.
도 9는 프레임에서 동적 자원 할당을 수행한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적 자원 할당에서는 각 시간 영역에서 각 링크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을 물리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즉, 첫번째 시간 영역에 포함되는 전체 자원블록들이 각 링크에 대한 무선자원 영역으로 구분되지 않고 다양한 스케줄링 기법에 의해 기지국-매크로 단말 또는 기지국-중계국 간의 통신에 할당된다. 마찬가지로 두번째 시간 영역에 포함되는 전체 자원블록들이 다양한 스케줄링 기법에 의해 기지국-매크로 단말 또는 중계국-중계국 단말 간의 통신에 할당된다. 동적 자원 할당에서도 반정적 자원 할당과 마찬가지로 자원 비중첩 방식 또는 자원 중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자원블록이 하나의 링크에 대한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도 있고, 복수의 링크에 대한 통신을 위해 중첩되어 할당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과 중계국이 독립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되면 기지국과 중계국이 동일한 자원블록을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 단말에게 각각 할당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링크의 통신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영역이 중첩되기 때문이다.
즉, 반정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와 달리 동적 자원 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는 각 링크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영역이 물리적으로 구분되어 할당되지 않고 공유된다. 이처럼 공유되는 자원영역에서 각 링크에는 서로 다른 자원블록이 할당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통신과 기지국-중계국 간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영역은 중첩되나, 중첩되는 자원영역 내에서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통신과 기지국-중계국 간의 통신에 서로 다른 자원블록이 스케줄링 기법에 따라 할당되어야 한다.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로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통신과 중계국-중계국 단말 간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영역은 중첩되게 할당되나, 그 자원영역 내의 자원블록은 각 링크의 통신에 따라 다르게 할당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 및 중계국은 매크로 단말 또는 중계국 단말로부터 채널 정보를 피드백받고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 및 중계국 간에 전달함으로써 동적 자원 할당 프레임 구조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동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이다.
먼저 시그널링 흐름을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에게 공통참조신호(RS#1)를 전송하고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은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각각 하향링크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RS#2)를 전송하여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피드백 받은 후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백홀 하향링크,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각 링크에 대한 자원 할당을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반정적 자원 할당 방식과 비교하여 기지국이 모든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기지국은 중계국에게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중계국은 별도의 스케줄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바탕으로 무선자원을 할당하여 데이터 패킷을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한다.
이제 각 링크에서의 시그널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매크로 단말에게 전송한다. 매크로 단말은 (t-2)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매크로 단말은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매크로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t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과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해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이 때 반정적 자원 할당방식과 달리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이 아니라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그 이유는 기지국이 프레임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 대하여 하향링크와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해 동일한 자원 영역에 대해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중계국에게 액세스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분석 시간을 주기 위해서이다. 중계국은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데 t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은 중계국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분석하여야 하므로 중계국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하기 어렵다. 따라서,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러한 시간을 고려하여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이 아니라 (t+1)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 또는 7 시간 구간(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이 된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백홀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에게 전송한다. 중계국은 (t-2)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백홀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이 때 중계국은 (t-3)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백홀 채널정보와 함께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이 하향링크, 백홀 하향링크,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모두 이용하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기지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모든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 후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이 때 엑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백홀 하향링크 전송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여 채널정보를 피드백받고 다시 중계국으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이 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중계국은 (t-4)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한다. 중계국 단말은 (t-3)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3)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중계국으로 피드백한다.
중계국은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분석하여, 분석한 정보를 (t-1)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중계국은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패킷 및 엑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중계국은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분석하여 자원할당을 한다. 그리고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중계국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기지국이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으로 전송한 데이터 패킷은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 전송되지 않고 2 시간 구간만큼 지연된 후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 전송된다. 중계국 입장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고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피드백 받은 후 다시 데이터 패킷을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10 시간 구간이 된다.
도 11은 동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먼저 시그널링 흐름을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에게 공통참조신호(RS#1)를 전송하고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은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각각 하향링크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중계국은 기지국으로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전송할 때,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즉, 중계국은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 채널정보 없이 독립적으로 중계국-중계국 단말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중계국 및 매크로 단말로부터 채널정보를 수신하고, 중계국으로부터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채널정보 및 스케줄링 정보를 바탕으로 기지국은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 및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즉,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방법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적 자원할당 방식과 달리 중계국-중계국 단말 링크의 자원 할당에 우선권을 준다. 다시 말해 중계국이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먼저 수행한 후,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이 수신하여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차이가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기지국은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국-중계국 단말 간의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시간 자원에는 자원 할당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중계국 셀과 기지국 셀 사이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또는 중계국 셀과 기지국 셀에서 주파수-시간 자원을 중첩되도록 할당하되, 전력제어를 통하여 무선자원의 재사용 비율을 극대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중계국 셀 내의 각 중계국 단말에 대해 할당된 주파수-시간 영역에서 사용된 MCS(modulation coding scheme), 할당전력량 등의 정보를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협력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이 중계국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바탕으로 기지국이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수행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체를 다시 중계국으로 돌려보내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면,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돌려보내는 정보는 중계국이 전송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였다는 확인 용도 외에 다른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액세스 링크에 할당된 무선자원과 일부 중첩되는 무선자원을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 또는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할당하는 경우, 중계국은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돌려보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이후의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중계국은 기지국이 돌려보내는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중계국이 할당하는 무선자원의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계국이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하고,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스케줄링 정보 또는 확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호 협력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제 각 링크에서의 시그널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매크로 단말에게 전송한다. 매크로 단말은 (t-2)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매크로 단말은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 및 중계국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분석하고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매크로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t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과 두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해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 또는 5 시간 구간(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이 된다.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에게 두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비해 2 시간 구간만큼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게 된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백홀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에게 전송한다. 중계국은 (t-2)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백홀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이 때 중계국은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함께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t-3)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피드백 받은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생성한 것이다.
기지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으로부터피드백 받은 채널정보 및 중계국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기지국-중계국 링크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한 후 다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이 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중계국은 (t-4)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한다. 중계국 단말은 (t-3)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3)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중계국으로 피드백한다.
중계국은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분석하고,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중계국은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t-1)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중계국은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중계국은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중계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중계국은 기지국보다 먼저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고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피드백 받은 후 다시 데이터 패킷을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8 시간 구간이 된다.
도 12는 동적 자원 할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시그널링 흐름도의 또 다른 예이다.
먼저 시그널링 흐름을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지국은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에게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고 매크로 단말과 중계국은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각각 하향링크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고 중계국 단말은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은 각 프레임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사용하는 링크, 두번째 시간 영역을 사용하는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고려하여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기지국, 중계국에서 스케줄링 순서는 기지국, 중계국 순서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중계국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이용한다.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 후 중계국 버퍼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중계국 버퍼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백홀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스케줄링 정보는 기지국 셀 내의 매크로 단말에 대하여 어느 주파수-시간 영역을 할당하였는지, MCS, 할당전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에게 할당한 주파수-시간 영역에 대해 중계국은 중계국 단말에게 자원할당을 하지 않음으로써 기지국 셀과 중계국 셀 간의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만약,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에게 할당한 자원영역을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중첩하여 할당하는 경우, 전력제어를 통하여 무선자원의 재사용 비율을 높일 수도 있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매크로 단말에게 전송한다. 매크로 단말은 (t-2)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한다. 매크로 단말은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으로부터 피드백 받은 채널정보 및 중계국으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분석하고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매크로 단말에게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t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할당된 무선자원을 통해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을 통해 매크로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여기서,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할당될 자원블록의 수는 셀 내에 있는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 단말의 개수에 따라 미리 정해질 수 있고, 해당 자원블록의 수만큼 기지국-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무선자원을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내의 총 단말이 25개이고, 매크로 단말이 15개, 중계국 단말이 10개인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매크로 단말 : 중계국 단말은 3:2가 된다. 하나의 시간 영역에 총 50개의 자원블록이 있다고 가정하면, 매크로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블록은 30개이고 중계국 단말에 할당되는 자원블록은 20개이다. 이처럼 셀 내 단말의 비율에 따라 무선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으나, 시스템의 우선권 등에 따라 이와 달리 비율을 조절할 수도 있다.
기지국과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 또는 7 시간 구간(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이 된다.
기지국과 중계국 간의 백홀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기지국은 백홀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t-2)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에게 전송한다. 중계국은 (t-2)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백홀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1)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채널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기지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으로부터피드백 받은 채널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데이터 패킷을 중계국에게 전송한다. 이 때, 기지국은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함께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는 중계국이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시에 이용할 수 있다.
기지국-중계국 링크에서 기지국이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한 후 다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이 된다.
중계국과 중계국 단말 간의 액세스 링크에서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중계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공통참조신호를 모든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한다. 중계국 단말은 t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공통참조신호를 분석하여 채널정보를 생성하고, t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중계국으로 피드백한다.
중계국은 (t+1) 시점의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로부터 수신한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스케줄링 정보(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를 분석하고,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중계국은 (t+1) 시점의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 중계국 단말에게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공통참조신호를 전송하고 액세스 하향링크 채널정보를 피드백 받은 후 다시 데이터 패킷을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기까지의 시간 구간은 4 시간 구간이 된다. 상술한 동적 할당 방법 1, 2 보다 각각 6 시간 구간, 4 시간 구간이 줄어들게 된다.
상술한 도 7, 도 10 내지 12에서 채널정보 또는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후 기지국 또는 중계국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시간은 하나의 시간 영역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단지 예를 든 것에 불과하고 제한이 아니다. LTE에서 기지국에서 매크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하향링크의 경우, 기지국이 n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단말에게 전송하면 매크로 단말은 (n+4)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응답 즉,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ACK/NACK(acknowledgement/negative-acknowledgement)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n+8)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이 때 스케줄링이 불가능하면 그 이후 다른 시간에 스케줄링을 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매크로 단말이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링크의 경우 단말이 n 서브프레임에서 신호를 전송하였다면, 재전송이 필요한 경우 단말은 (n+8) 서브프레임에서 재전송하도록 고정되어 운용된다. 즉, 시스템에 따라 또는 표준규격에 따라서 스케줄링에 걸리는 시간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도 10 내지 12에서 시그널링 간의 순서는 유지되나 그 간격은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동적 자원 할당 방법에서 첫번째 시간 영역에 대한 자원 할당의 예를 나타낸다.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는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대한 자원을 먼저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블록을 기지국-중계국 링크의 평균 전송률에 따라 정렬(sorting)한 후, 높은 평균 전송률을 가지는 자원블록을 우선적으로 PF(proportional fairness) 스케줄링하여 할당한다. PF 스케줄링은 예시에 불과하며, Max C/I(Maximum carrier-to-interference ratio)와 같은 다른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할당되는 자원블록의 수는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 단말) 중 중계국 단말의 개수에 비례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하는 우선권(priority)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다.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시 중계국으로부터 피드백받은 중계국 버퍼의 정보를 고려하여 중계국 단말에 대한 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중계국 링크에 자원을 할당한 후 남은 자원블록에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 PF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즉, 첫번째 시간 영역에서는 기지국-중계국 링크,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 순으로 자원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시스템의 우선 순위에 따라 자원할당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2의 동적 자원 할당 방법에서 두번째 시간 영역에 대한 자원 할당의 예를 나타낸다.
두번째 시간 영역에서는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 자원할당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할당되는 자원블록의 수는 (매크로 단말 및 중계국 단말) 중 중계국 단말의 개수에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다. 또는 시스템에서 정하는 우선권에 따라 정해질 수도 있다.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에 대한 자원 할당 시 기지국-매크로 단말 링크의 평균 전송률에 따라 자원블록을 정렬한다. 그 후 높은 평균 전송률을 가지는 자원블록 순으로 PF 스케줄링을 통하여 자원을 할당한다.
기지국은 자원이 할당된 위치와 각 중계국 단말의 할당된 전송량 등의 스케줄링 정보를 중계국에게 전송한다. 각 중계국은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여 남은 자원블록에 할당된 전송량을 고려하여 PF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이러한 PF 스케줄링을 통해 중계국은 중계국-중계국 단말 링크에 자원을 할당한다. 중계국은 중계국에 남아 있는 중계국 단말의 데이터량 등의 정보가 담긴 중계국 버퍼 정보를 기지국에게 피드백하여 자원이 낭비되지 않게 할당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제2 시간 구역을 통해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중계국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분석한 백홀 링크 채널정보 및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중계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액세스 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 및 상기 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은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12.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백홀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백홀 링크 채널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제2 시간 구역을 통해 중계국 단말에게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된 매크로 단말 간의 링크에 대한 매크로 스케줄링 정보 및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중계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중계국 단말로부터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 측정 참조신호에 대한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1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액세스 링크 채널정보 및 상기 매크로 스케줄링 정보를 기반으로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국이 상기 제2 시간 구역을 통해 상기 액세스 링크에 대한 스케줄링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중계국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 및 상기 중계국이 상기 중계국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은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국이 중계국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과 상기 기지국이 매크로 단말에게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자원 영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00041242A 2009-11-16 2010-05-03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64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242A KR101646265B1 (ko) 2009-11-16 2010-05-03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13/510,280 US9066365B2 (en) 2009-11-16 2010-11-02 Relay st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PCT/KR2010/007655 WO2011059199A2 (ko) 2009-11-16 2010-11-02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170809P 2009-11-16 2009-11-16
US61/261,708 2009-11-16
US31460510P 2010-03-17 2010-03-17
US61/314,605 2010-03-17
KR1020100041242A KR101646265B1 (ko) 2009-11-16 2010-05-03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891A KR20110053891A (ko) 2011-05-24
KR101646265B1 true KR101646265B1 (ko) 2016-08-08

Family

ID=4399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242A KR101646265B1 (ko) 2009-11-16 2010-05-03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66365B2 (ko)
KR (1) KR101646265B1 (ko)
WO (1) WO201105919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4736B2 (en) 2008-03-31 2012-11-20 Golba Llc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and a reference database
US9829560B2 (en) 2008-03-31 2017-11-28 Golba Llc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and a reference database
US7800541B2 (en) 2008-03-31 2010-09-21 Golba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8639270B2 (en) 2010-08-06 2014-01-28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positioning utilizing distributed transceivers with array processing
US8780943B2 (en) 2011-10-17 2014-07-15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multiplexing to increase throughput in a network of distributed transceivers with array processing
US9226092B2 (en) 2012-08-08 2015-12-29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a distributed configurable transceiver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EP3761740B1 (en) 2012-09-13 2023-06-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node, and user equipment
EP2954624A1 (en) * 2013-02-07 2015-12-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hysical layer (phy) design for a low latencymillimeter wave (mmw) backhaul system
WO2015037904A1 (ko) * 2013-09-10 2015-03-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KR102230652B1 (ko) 2013-09-10 2021-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포인트의 동작 방법 및 릴레이의 동작 방법
KR101665934B1 (ko) * 2014-07-18 2016-10-13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다중 무선전송기술이 적용된 무선 백홀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라우팅 방법
WO2016115545A2 (en) * 2015-01-16 2016-07-21 Ping Liang Beamforming in a mu-mimo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relays
US10383136B2 (en) * 2015-08-24 2019-08-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 apparatus for backhaul and access link scheduling i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 and synchronized networks
EP3160194B1 (en) * 2015-10-21 2018-08-08 Alcatel Lucent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control information
JP2017103545A (ja) * 2015-11-30 2017-06-08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10172122B1 (en) 2016-02-02 2019-01-0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dentification of uplink interference in a long-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ystem
US10321332B2 (en) 2017-05-30 2019-06-11 Movandi Corporation Non-line-of-sight (NLOS) coverage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10484078B2 (en) 2017-07-11 2019-11-19 Movandi Corporation Reconfigurable and modular active repeater device
US11057937B2 (en) * 2017-10-19 2021-07-06 Qualcomm Incorporated Relay node connection techniques in wireless backhaul systems
US10862559B2 (en) 2017-12-08 2020-12-08 Movandi Corporation Signal cancellation in radio frequency (RF) device network
CN110062406B (zh) * 2018-01-19 2022-07-12 成都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链路测量方法及设备
CN110167174B (zh) * 2018-02-14 2023-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中继传输方法及装置
US10637159B2 (en) 2018-02-26 2020-04-28 Movandi Corporation Waveguide antenna element-based beam forming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US11088457B2 (en) 2018-02-26 2021-08-10 Silicon Valley Bank Waveguide antenna element based beam forming phased array antenna system for millimeter wave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7461A1 (en) 2007-03-16 2008-09-18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and power control in a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940B1 (ko) * 2007-06-01 2012-09-03 보드 오브 리전츠,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중계국을 사용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송 수신 장치및 방법
KR101485977B1 (ko) * 2007-11-21 2015-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이중 중계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자원할당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방법 및 장치
KR20090052642A (ko) * 2007-11-21 2009-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채널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7461A1 (en) 2007-03-16 2008-09-18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and power control in a multihop relay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891A (ko) 2011-05-24
US9066365B2 (en) 2015-06-23
WO2011059199A2 (ko) 2011-05-19
WO2011059199A3 (ko) 2011-11-03
US20120238202A1 (en) 201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6265B1 (ko) 중계국의 데이터 전송 방법
US98433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21314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using MBSFN subfram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100149B2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for backhaul link and access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relay
KR101489516B1 (ko) 중계기가 도입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백홀신호 전송방법
KR101584814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요청 전송방법 및 장치
KR101729783B1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통해 단말 및 기지국과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1006442A1 (en) Methods for bidirectional relay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3431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control signal in relay station
US90199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cell colli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31108A2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010433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34368A2 (ko) 중계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프레임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10030268A (ko) 중계국의 상향링크 제어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