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253A -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253A
KR20150029253A KR20130108156A KR20130108156A KR20150029253A KR 20150029253 A KR20150029253 A KR 20150029253A KR 20130108156 A KR20130108156 A KR 20130108156A KR 20130108156 A KR20130108156 A KR 20130108156A KR 20150029253 A KR20150029253 A KR 20150029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gin
electronic device
fingerprint
web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식
권기완
김민철
김기봉
조승환
이선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253A/ko
Priority to US14/477,251 priority patent/US20150074786A1/en
Publication of KR20150029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은,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A METHOD FOR AUTOMATICALLY AUTHENTICATING A USER AND A ELECTRONIC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터넷 서비스는 인증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인증 방식으로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설정되면, 사용자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이용하여 해당 사이트에 로그인하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최근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가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자동으로 기억하는 방식을 지원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 기억 방식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로그인을 하지 않고도 해당 웹 사이트로부터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환경에서 상기와 같은 자동 기억 방식은, 사용자가 자신의 로그인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아닌 타인이 자동 기억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계정으로 로그인도 가능해져 보안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 강도를 높이면서 웹 사이트에서 용이하게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 대신,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로그인이 가능함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장치에 의하여, 상기 로그인 정보와 연관된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생체 인식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의하여, 상기 로그인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은,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전자 장치는,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를 표시하는 스크린과,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강도를 높이면서 웹 사이트에서 용이하게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지문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지문 인식부(102), 제어부(110), 저장부(175) 및 스크린(190)을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120), 카메라 모듈(150) 및 입출력 모듈(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102)는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지문(finger print)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문 인식부(102)는 지문 스캐너(104) 및 스크린(1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지문 스캐너(104)는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문 스캐너(104)는 전자 장치(100)에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지문 스캐너(104)로서 구현된 별도의 입력부에 지문이 포함된 손가락의 일부를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손가락에 해당하는 지문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지문이 포함된 손가락의 적어도 일부가 별도의 입력부에 접촉되면, 지문 스캐너(104)는, 상기 지문이 포함된 손가락의 적어도 일부를 스캔함으로써 지문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하여 상기와 같이 지문 인식부(1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문을 ‘지문 입력’이라 하기로 한다.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스크린(190)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스크린(190)을 통해 표시되고 있는 각종 컨텐츠 또는 상기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스크린(190)을 통해 감지된 터치 입력, 즉 사용자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스크린(190)을 통해 적어도 한 점을 터치하는 터치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인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현재 접속되고 있는 웹 사이트에서 인증 절차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증 절차에는, 예를 들어 자동 로그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가 인증 절차, 예를 들어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10)는 스크린(190) 또는 입출력 모듈(160)에 포함된 스피커(미도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브라우저가 접속한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로서, 아이디, 패스워드 및 지문 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부(175)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자동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입력받하도록 지문 인식부(102)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지문 입력이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지문 입력과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이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지문 입력과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자동 로그인을 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문 입력과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0)는 로그인 동작, 즉 인증 절차를 종료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지문 인식부(102)를 통해 입력된 지문 입력이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지문과의 유사도가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기준값(예를 들어, 80%) 이상인 경우 상기 지문 입력이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과 동일한 지문인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제어부(110)는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가 이전에도 접속한 웹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전에도 접속한 웹 사이트인 경우, 제어부(110)는 해당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부(175)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부(175)를 검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전에는 접속하지 않았던 웹 사이트, 즉 최초로 접속한 웹 사이트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해당 웹 사이트에서의 인증을 위한 등록 동작, 예를 들어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해당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10)는 지문 인식부(102)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지문을 입력받고, 상기 지문을 상기 웹 사이트 또는 상기 사용자에 대응시켜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지문 인식부(102)를 통해 입력된 지문을 지문 서버(미도시)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지문을 수신하고, 상기 지문을 상기 사용자와 대응시켜 지문 서버 내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100)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미도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100)와 외부 장치는 이동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21)은 전자 장치(100)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태블릿 PC 또는 다른 장치(미도시)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사용자가 원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해당 웹 사이트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상기 웹 사이트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문을 외부 장치(예를 들어, 지문 서버 등)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스캐너(10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문을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서버(예를 들어, 지문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전자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또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지문을 수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문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지문을 사용자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의 지문을 요청받아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문 서버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지문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지문 서버는 상기 지문 입력이 해당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그에 따른 비교 결과를 전자 장치(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지문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교 결과를 기초로 지문 입력이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50)에 의해 촬영된 얼굴 이미지 또는 홍채 이미지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또는 홍채 이미지는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카메라 모듈(150)을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홍채와,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얼굴 이미지 또는 홍채 이미지가 일치하는 경우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지문, 홍채 이미지, 얼굴 이미지 등의 사용자에 대한 생체 인식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도록 디스플레이, 즉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브라우저가 웹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로그인을 위하여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한 로그인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그인 정보와 연관된 생체 인식 정보(예를 들어, 지문, 홍채 이미지, 얼굴 이미지 등)를 수신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생체 인식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로그인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로 외부 물체,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부에 터치 또는 인접하면, 제어부(110)는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스크린(190) 상에서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미리 구비된 렌즈(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 모듈(150)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카메라(미도시) 또는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카메라 또는 제2카메라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는 인접(예를 들어,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의 간격이 1cm보다 크고, 8cm보다는 작은)하게 배치되어 3차원 정지이미지 또는 3차원 동영상을 촬영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50)의 제1카메라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홍채를 촬영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60)은 사용자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160)은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160)은 사용자로부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다양한 신호(예를 들어,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전자 장치(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예를 들어, 전화 통화에 대응되는 버튼 조작음, 또는 통화 연결음)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63)는 전자 장치(100)의 하우징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63)는 웹 브라우저에 의해 접속된 웹 사이트가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경우,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음성 신호는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스크린(190) 또는 지문 인식부(102)와 근접한 일정 범위를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예를 들어, 사용자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190)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었다면 근접 센서는 상기 스크린(190)의 일정 범위(예를 들어, 스크린(190)으로부터 10cm 높이)에서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한 사용자 입력(호버링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근저 센서는, 호버링 입력으로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호버링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75)에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5)에는 웹 사이트들 각각에 대응하는 아이디들 및 패스워드들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아이디들 및 패스워드들은 제어부(110)에 의하여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부(175)에 저장될 수 있다.또한 저장부(175)에는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지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하여 저장된 각종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가락)를 스크린(190)과 접촉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 입력(터치 입력)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크린(190)은 유저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터치 입력)를 제어부(110) 로 전송할 수 있다. 스크린(190)은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스크린(190)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스크린 컨트롤러(195)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터치는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크린(190)은, 스크린(190)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사용자 입력(호버링 입력)도 터치로서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접촉 방식에서의 스크린(190)과 입력 수단과의 간격은 전자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190)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간격은 3cm 이하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3cm 이상의 값이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90)은 제어부(110)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190)은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하여 사용자에 대한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크린(19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90)은 팝업창을 띄우거나 실행 화면의 일부에 알림창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S202). 실시예에 따라 단계 S202에서 사용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던 브라우저를 실행시킬 수 있다. 브라우저가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웹 사이트를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이때 로그인 정보는 전자 장치(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4의 판단 결과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S204: 예),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린다(S206). 제어부(110)는 스크린(190)을 통해 로그인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팝업창 등을 표시하거나 또는 스피커(163)을 통해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04의 판단 결과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S204: 아니오), 제어부(110)는 별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지문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지문 입력을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지문으로서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단계 S204 이전에 사용자는 웹 사이트에 로그인을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전자 장치(100)로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칸으로 커서(cursor)를 이동시킨 경우, 제어부(110)는 로그인을 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단계 S204의 판단 결과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로그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로그인 정보로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저장부(175)에 저장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저장부(175)에는 웹 사이트를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S302). 실시예에 따라 단계 S302에서 사용자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전자 장치(100)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던 브라우저를 실행시킬 수 있다. 브라우저가 실행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웹 사이트를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제어부(110)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한다(S304).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입출력 모듈(160) 또는 스크린(190)을 통해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10)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웹 사이트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0)는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6). 이때 기준 시간은 단계 S304에서 웹 사이트로 전송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이 유지되는 시간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도 있다.
단계 S306의 판단 결과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306: 아니오), 제어부(110)는 별 다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로그인이 된 현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자 장치(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단계 S306의 판단 결과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S306: 예), 전자 장치(100)는 지문 인식부(10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재로그인을 위한 지문 입력을 수신한다(S308). 실시예에 따라 단계 S308 이전에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지문 입력을 입력하여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상기 지문 입력과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된 지문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단계 S308에서 입력된 지문 입력과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단계 S310의 판단 결과 지문 입력과 미리 저장된 지문이 일치하는 경우(S310: 예),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재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웹 사이트에 전송한다(S312). 이로써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계 S310의 판단 결과 지문 입력과 미리 저장된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S310: 아니오), 전자 장치(100)는 로그아웃될 수 있다(S314). 제어부(110)는 지문 입력과 저장부(175)의 지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 S304에서 웹 사이트에 로그인한 사용자와 지문 입력을 입력한 사용자가 각기 다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종료시키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S306의 동작을 통해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S306 단계의 동작 대신에 전자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웹 사이트로부터 재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요청받을 수도 있다. 웹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요청되면, 제어부(110)는 재로그인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웹 사이트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401)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팝업창(450)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를 표시하고,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4의 (a)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이디 입력칸(411) 및 비밀번호 입력칸(412) 각각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로그인 유지 체크칸(4130에 체크함으로써 웹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420)에 따라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420)이 입력되는 경우에만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웹 사이트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이 요청되면, 제어부(11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팝업창(450)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팝업창(450)에 포함된 세 개의 입력 버튼들(451, 452, 45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430)을 전자 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는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저장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430)이 전자 장치(100)로 입력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입력(430)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저장부(175)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저장된 이후, 전자 장치(100)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제어부(110)는 별도의 입력 없이도 저장부(175)로부터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로딩(roading)하여 아이디 입력칸(411) 및 패스워드 입력칸(412)에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때마다 제어부(110)는 별도의 입력 없이도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웹 사이트로 전송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웹 사이트는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5는 스크린(190)에 의해 표시되는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501)을 나타낸 것으로서,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요청받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190)을 통해 웹 사이트를 표시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있다. 도 5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이디 입력칸(531) 및 비밀번호 입력칸(532) 각각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로그인 유지 체크칸(534)에 체크함으로써 웹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 버튼(53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501)은,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의 주소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520)과,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영역(530)으로 나뉠 수 있다.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컨텐츠 영역(530)을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웹 사이트가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지문 아이콘(541)을 메뉴 영역(520)의 주소칸(521)에 포함되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문 아이콘(541)은 실행 화면(501)의 상단, 하단 등 상기 실행 화면(501) 상의 어느 한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로그인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지문 아이콘(541)이 실행 화면(501)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마찬가지로 도 6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웹 사이트는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6은 스크린(190)에 의해 표시되는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601)을 나타낸 것으로서,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요청받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190)을 통해 웹 사이트를 표시하고,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601)은,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의 주소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620)과,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영역(630)으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컨텐츠 영역(6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이디 입력칸(631) 및 비밀번호 입력칸(632) 각각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로그인 유지 체크칸(634)에 체크함으로써 웹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 버튼(63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601)은, 웹 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알림 영역(6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알림 영역(650)을 실행 화면(601)의 하단에 표시함으로써, 브라우저에 의해 현재 접속된 웹 사이트가 자동 로그인 가능한 웹 사이트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알림 영역(650) 내에 상기 알림 영역(650)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버튼(651)을 포함시켜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제거 버튼(651)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알림 영역(650)을 실행 화면(601)에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알림 영역(650)을 실행 화면(601)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알림 영역(650)은 메뉴 영역(620)과 컨텐츠 영역(630)의 사이 또는 실행 화면(601)의 상단, 좌측 또는 우측에도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도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웹 사이트는 재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은 스크린(190)에 의해 표시되는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701)을 나타낸 것으로서,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요청받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701)은,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의 주소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720)과,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영역(730)으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컨텐츠 영역(7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190)을 통해 웹 사이트를 표시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있다. 도 7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이디 입력칸(731) 및 비밀번호 입력칸(732) 각각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로그인 유지 체크칸(734)에 체크함으로써 웹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 버튼(73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아이디 입력칸(731)이 선택되면, 스피커(163)를 통해 자동 로그인이 가능함을 안내 음성(752)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커서가 아이디 입력칸(731)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아이디 입력칸(731)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하여 안내 음성(752)를 출력하도록 스피커(163)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아이디 입력칸(731) 상에 위치하면 아이디 입력칸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의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한 사용자 입력은 호버링 입력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한 사용자 입력을 스크린(190)에 닿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디 입력칸(731)이 선택되면, 스피커(163)를 통해 안내 음성(752)를 출력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패스워드 입력칸(732), 로그인 버튼(733) 및 로그인 유지 체크칸(734)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된 경우에도 스피커(163)가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서도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웹 사이트는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은 스크린(190)에 의해 표시되는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801)을 나타낸 것으로서,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요청받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우저의 실행 화면(801)은, 브라우저가 접속한 웹 사이트의 주소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820)과, 브라우저가 접속한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영역(830)으로 나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컨텐츠 영역(83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스크린(190)을 통해 웹 사이트를 표시하고,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기 위한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있다. 도 8에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아이디 입력칸(831) 및 비밀번호 입력칸(832) 각각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로그인 유지 체크칸(834)에 체크함으로써 상기 웹사이트로의 자동 로그인을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 버튼(833)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스크린(190)은 지문 스캐너(104)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실행 화면(801) 위에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지문 입력창(850)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지문 입력창(850) 상에 손가락을 가져다 댐으로써 지문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지문 입력, 즉 지문 스캐너(104)에 의하여 스캔된 지문이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상기 웹 사이트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웹 사이트에 자동 로그인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한 지문 입력이 필요함을 알리는 실행 화면(901)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실행 화면(901) 상에 지문 입력창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도 전자 장치(100)가 접속한 웹 사이트가 자동 로그인이 가능한 웹 사이트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실행 화면(901)은,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의 주소를 표시하는 메뉴 영역(920)과, 브라우저가 접속된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영역(930)으로 나뉠 수 있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실행 화면(901)의 상단 좌측에 지문 입력 아이콘(951)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재로그인을 위한 지문 입력이 필요함을 알리고 있다.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 아이콘(951)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도 9의 (b)와 지문 입력창(950)을 표시하도록 스크린(19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지문 입력 아이콘(951) 상에 위치하면 상기 지문 입력 아이콘(951)이이 선택된 것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지문 입력창(950) 상에 손가락을 가져다 댐으로써 지문 입력을 전자 장치(10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지문 입력, 즉 지문 스캐너(104)에 의하여 스캔된 지문이 저장부(175)에 미리 저장되어 있던 지문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10)는 웹 사이트로의 로그인을 위하여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상기 웹 사이트로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지문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전자 장치(1010)는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 중이고, 브라우저는 웹 사이트에서의 로그인을 위한 실행 화면(1011)을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제1전자 장치(110)는 제2전자 장치(1020) 또는 제3전자 장치(103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전자 장치(100)는 제2전자 장치(1020) 또는 제3전자 장치(1030)로부터 웹 사이트에서의 자동 로그인을 위한 지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전자 장치(1020) 및 제3전자 장치(1030)는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입력받기 위한 지문 스캐너(1025, 1035)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전자 장치(1010)와 연결된 웹 사이트에서의 로그인 또는 재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제1전자장치(1010)는 제2전자 장치(1020) 또는 제3전자 장치(1030)의 지문 스캐너(1025, 1035)로 입력된 지문 입력을 상기 제2전자 장치(1020) 또는 제3전자 장치(10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1전자 장치(1010)는 제2전자 장치(1020) 또는 제3전자 장치(1030)로부터 수신한 지문 입력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에 웹 사이트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전자 장치(1010)는 웹 사이트에서의 로그인 또는 재로그인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 입력을 전송하여 줄 것을 제2전자 장치(1020) 또는 제3전자 장치(1030)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를 수정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를 수정하는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전자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전자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변형예가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02: 지문 인식부
104: 지문 스캐너 110: 제어부
120: 통신 인터페이스 150: 카메라 모듈
160: 입출력 모듈 175: 저장부
190: 스크린

Claims (23)

  1.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로그인 정보의 입력을 요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 대신,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로그인이 가능함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장치에 의하여, 상기 로그인 정보와 연관된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생체 인식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장치에 의하여, 상기 로그인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의 로그인 페이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로그인이 가능함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과정은,
    외부 물체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부에 터치 또는 인접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로그인이 가능함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영역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로그인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와 연관된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된 또 다른 전자장치로부터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과정과,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 이후에,
    미리 저장된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지문 입력을 요청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지문 입력이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상기 웹 사이트에 전송함으로써 로그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은,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실행 화면 상에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팝업창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은,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은,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실행 화면 중에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은,
    스크린 상에 포함된 지문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
  15.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를 표시하는 스크린과,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저장된 기준 시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에 도달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지문 입력을 요청하도록 상기 스크린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지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문 입력이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웹 사이트에 대응하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상기 웹 사이트에 전송함으로써 로그인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실행 화면 상에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팝업창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통해 표시되는 실행 화면 중에서 아이디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칸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기 위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함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에 포함된 지문 스캐너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웹 사이트에 자동으로 로그인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한 웹 사이트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포함하는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로그인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이 가능함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108156A 2013-09-09 2013-09-09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50029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156A KR20150029253A (ko) 2013-09-09 2013-09-09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4/477,251 US20150074786A1 (en) 2013-09-09 2014-09-04 Method of automatically authenticating a user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8156A KR20150029253A (ko) 2013-09-09 2013-09-09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53A true KR20150029253A (ko) 2015-03-18

Family

ID=5262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156A KR20150029253A (ko) 2013-09-09 2013-09-09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74786A1 (ko)
KR (1) KR2015002925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027A1 (ko) * 2015-06-24 2016-12-29 주식회사 페이턴틴 지문 인식 시스템
KR101700685B1 (ko) * 2015-11-27 2017-01-31 (주) 시큐어가드 테크놀러지 패스워드 변경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80067222A (ko) * 2016-12-12 2018-06-20 김희도 아이디를 자동적으로 기입하는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전자 장치
WO2020105899A1 (ko) * 2018-11-21 2020-05-28 주식회사 하이딥 생체인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200092225A (ko) * 2019-01-24 2020-08-03 노명진 다중 생체정보 사용자인증을 이용한 연속인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0775B2 (ja) * 2014-07-28 2017-08-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16114799A1 (en) * 2015-01-16 2016-07-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municating a data image for installing an operating system
CN105046135A (zh) * 2015-08-28 2015-11-1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信息显示装置和终端
CA2999150A1 (en) * 2015-09-18 2017-03-23 First Data Corporation System for validating a biometric input
CN105389493A (zh) * 2015-10-28 2016-03-0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密码管理方法及密码管理系统
CN106803032A (zh) * 2015-11-26 2017-06-06 广州市动景计算机科技有限公司 实现网站指纹登录的方法、装置和客户端设备
KR102409903B1 (ko) * 2015-12-09 2022-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7783747B (zh) * 2017-10-19 2020-04-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处理方法及移动终端
CN109309659B (zh) * 2018-07-19 2021-11-23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登录应用的方法和装置
IL267493B (en) * 2019-06-19 2022-03-01 Elta System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trusted web auth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0672B2 (en) * 1997-12-26 2005-12-27 Enix Corporation Lock and switch using pressure-type fingerprint sensor
JP2002032009A (ja) * 2000-07-14 2002-01-31 Sharp Corp 仮想キャラクタ育成サーバ、仮想キャラクタ育成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機械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00099956A1 (en) * 2008-10-13 2010-04-22 Confidant Hawaii, Llc Wireless Device and Method for Secure Auto Transfer of Medical Device Information to a Network of Wireless and Non-Wireless Devices
US20110083170A1 (en) * 2009-10-06 2011-04-07 Validity Sensors, Inc. User Enrollment via Biometric Device
US8965449B2 (en) * 2011-04-07 2015-02-2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internal componen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9027A1 (ko) * 2015-06-24 2016-12-29 주식회사 페이턴틴 지문 인식 시스템
KR101700685B1 (ko) * 2015-11-27 2017-01-31 (주) 시큐어가드 테크놀러지 패스워드 변경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80067222A (ko) * 2016-12-12 2018-06-20 김희도 아이디를 자동적으로 기입하는 방법, 시스템 및 모바일 전자 장치
WO2020105899A1 (ko) * 2018-11-21 2020-05-28 주식회사 하이딥 생체인식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KR20200092225A (ko) * 2019-01-24 2020-08-03 노명진 다중 생체정보 사용자인증을 이용한 연속인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74786A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9253A (ko) 사용자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200167482A1 (en) Using biometric verification to grant access to redacted content
US10942580B2 (en) Input circuitry,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US9049983B1 (en) Ear recognition as device input
KR1016881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NL2013335B1 (en) User verification for changing a setting of an electronic device.
EP3104311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700531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gerprint identification
US2017015580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104123B1 (ko) 콘텐츠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90085543A (ko) 보안 질문들을 생성하고 아이덴티티들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6812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RU267956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распознавания отпечатков пальцев
JP2018500702A (ja) 領域認識方法及び装置
CN1453701A (zh) 便携终端、访问控制方法以及访问控制程序
CN105407098A (zh) 身份验证方法及装置
US10929517B2 (en)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CN105323372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7704759A (zh) 敏感操作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0429939B2 (en) Apparatus for project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4013955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parent display
CN104363205A (zh) 应用登录方法和装置
US20190258788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05880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18764B (zh) 指紋導航方法、建立指紋與導航目的地之連結的方法,及導航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