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127A -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127A
KR20150029127A KR20130107871A KR20130107871A KR20150029127A KR 20150029127 A KR20150029127 A KR 20150029127A KR 20130107871 A KR20130107871 A KR 20130107871A KR 20130107871 A KR20130107871 A KR 20130107871A KR 20150029127 A KR20150029127 A KR 2015002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ensor
control function
electronic device
touch
application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봉
김경옥
김지웅
김현호
김영해
손효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9127A/ko
Publication of KR2015002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제어 기능 실행 방법은,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ROL FUNCTION USING FINGERPRINT SENSO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 및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각종 전자 장치들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음성 통화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방송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카메라 서비스 및 음악 재생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장치의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서비스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 및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이동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제어 기능 실행 방법은,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 및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와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 및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지문 센서의 활용도 및 사용자의 제어 기능 실행 편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표시부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문자 삭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문자 삭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태 전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용프로그램 전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음악 재생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영상 재생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한다.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스와이프(swipe)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장신구(accessory),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카메라(camera),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손목 시계(wrist watch),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인공 지능 로봇, TV,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공기 청정기, 전자 액자, 의료기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신호 수신기,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 전자 사전,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electronic equipment for ship),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전자 의복,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게임 콘솔(game consoles), HMD(head-mounted display),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 전자 앨범, 전자장치를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및 프로젝터(projecto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장치(100)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부(140), 표시부(150) 및 지문 센서(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 중 하나 이상은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버스(110)는 전자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전자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전자장치(100)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버스(110)를 통해 전자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예: 메모리(130), 사용자 입력부(140), 표시부(150), 지문 센서(160))로부터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어 기능 결정 프로그램(132)을 실행하여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1 방향(예: 아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50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500)에 매핑된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도 5b와 같이 지문 인식 모드 전환 정보(510)를 표시부(5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스와이프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일정 방향으로 드래그(drag)가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지문 센서(160)는 홈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도 6a와 같이 문자 입력 화면(6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부(140)을 통해 제공받은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 화면(600)에 표시할 수 있다. 만일, 문자 입력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패닝(panning)(610)을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60)의 패닝(610)에 매핑된 "입력 취소 기능"에 따라 도 6b와 같이 문자 입력 화면(6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620). 이때,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패닝이 감지되는 동안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패닝 거리에 기반하여 문자 입력 화면(6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패닝은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드래그(drag)가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지문 센서(160)는 홈 버튼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81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810)에 매핑된 "입력 취소 기능"에 따라 도 6b와 같이 제 2 방향에 매핑된 기준 길이만큼 문자 입력 화면(8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620).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이미지 편집 모드로 동작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91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910)에 매핑된 "실행취소(undo) 기능"에 따라 도 9b와 같이 제 3 이미지(906)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제 3 이미지(906)의 입력을 취소한 상태에서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92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920)에 매핑된 "다시실행(redo) 기능"에 따라 도 9a와 같이 제 3 이미지(906)의 입력 취소를 복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1000) 실행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01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010)에 매핑된 "작업 전환 기능"에 따라 도 10b와 같이 이전 작업인 제 2 응용프로그램(1020)으로 작업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0b와 같이 이전 작업인 제 2 응용프로그램(1020) 실행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03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030)에 매핑된 "작업 전환 기능"에 따라 도 10a와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1000)으로 작업을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1a와 같이 제 1 음악 파일(1100)을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11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110)에 매핑된 "다음 곡 선택 기능"에 따라 도 11b와 같이 다음 재생 곡인 제 2 음악 파일(1120)로 재생 파일을 전환할 수 있다. 도 11b와 같이 제 2 음악 파일(1120)을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13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130)에 매핑된 "이전 곡 선택 기능"에 따라 도 11a와 같이 이전 재생 곡인 제 1 음악 파일(1100)로 재생 파일을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2a와 같이 표시부(150)에 아이템 목록(120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4 방향(예: 위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21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4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210)에 매핑된 "스크롤 기능"에 따라 도 12b와 같이 위쪽 방향을 아이템 목록을 스크롤할 수 있다. 도 12b와 같이 표시부(150)에 아이템 목록(12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방향(예: 아래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23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230)에 매핑된 "스크롤 기능"에 따라 도 12a와 같이 아래쪽 방향을 아이템 목록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스와이프 거리에 기반하여 스크롤 거리를 결정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스크롤 거리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 13a와 같이 동영상(1300) 재생 중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31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310)에 매핑된 "빨리 감기 기능"에 따라 도 13b와 같이 동영상 재생 시점을 제 1 재생 간격만큼 빨리감기할 수 있다. 도 13b와 같이 동영상(1320)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330)를 감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330)에 매핑된 "되감기 기능"에 따라 도 13a와 같이 동영상 재생 시점을 제 2 재생 간격만큼 되감기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스와이프 거리에 기반하여 제 1 재생 간격 및 제 2 재생 간격을 결정하거나, 기 설정된 제 1 재생 간격 및 제 2 재생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 1 재생 간격과 제 2 재생 간격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장치(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프로세서(120), 사용자 입력부(140), 표시부(150), 지문 센서(160))로부터 수신되거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0)의 서비스를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Graphic User Interface) 프로그램(131), 제어 기능 결정 프로그램(132)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13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GUI 프로그램(131)은 표시부(150)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UI 프로그램(131)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부(1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기능 결정 프로그램(132)은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기능 결정 프로그램(132)은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예: 스와이프 방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기능 결정 프로그램(132)은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예: 스와이프 방향) 및 터치 이동 방향이 감지된 시점에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응용프로그램 특성은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133)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명령 또는 데이터를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40)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50)은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또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0)는 센서 표면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지문에 대응하는 지문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160)는 센서 표면에 손가락의 접촉에 따라 변화되는 전류의 양에 기반하여 손가락의 지문 모양에 대응하는 지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160)는 지문 입력 방향에 대한 방향을 감지하여 방향 감지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지문 센서(160)의 표면이 x축 및 y축을 포함하는 격자 모양의 배열로 구성되는 경우, 지문 센서(160)는 센서 표면에 접촉되는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되는 x축 값과 y축 값의 위치 좌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문이 입력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미 도시되었지만, 전자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주변 기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예: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네트워크 통신(예: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re area network), 전기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 network),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 위성 네트워크(satellite network),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하나의 모듈 내에서 메모리(13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실행하여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20)는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별개의 모듈들로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20)는 제어 기능 결정부(200),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10) 및 표시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제어 기능 결정부(200)는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10)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 기능 결정부(20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제어 기능 결정 프로그램(132)을 실행하여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10)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기능 결정부(200)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예: 스와이프 방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 기능 결정부(200)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이동 방향이 감지된 시점에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1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10)는 제어 기능 결정부(200)에서 결정한 제어 기능에 따른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응용프로그램 구동부(210)는 제 1 응용프로그램 구동 중 제어 기능 결정부(200)에서 결정한 제어 기능에 따라 제 1 응용프로그램을 제어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220)는 표시부(150)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표시 제어부(2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GUI 프로그램(131)을 실행하여 표시부(150)에 그래픽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120)를 이용하여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301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지문 센서(160)가 홈 버튼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홈 버튼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303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예: 스와이프 방향)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 및 터치 이동 방향이 감지된 시점에 구동되는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프로세서(120)를 통해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305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도 5a 내지 도 5b 및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화면 구성을 참조하여 지문 센서의 터치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401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5a 또는 도 6a와 같이 지문 센서(160)가 홈 버튼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홈 버튼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3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을 통해 감지한 터치에 대한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5a와 같이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스와이프(500)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a와 같이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패닝(610)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405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1 방향(예: 아래 방향)으로의 스와이프(50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500)에 따라 지문 인식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문자 입력 화면(600)을 통해 문자 입력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패닝(610)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문자 입력에 대한 "입력 취소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407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지문 센서(160)에 대한 제 1 방향으로의 스와이프(500)에 기반하여 "지문 인식 기능" 수행을 결정한 경우, 전자 장치는 지문 인식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지문 인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도 5b와 같이 지문 인식 모드 전환 정보(510)를 표시부(5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6a와 같이 지문 센서(160)에 대한 패닝(610)에 기반하여 "입력 취소 기능" 수행을 결정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도 6b와 같이 문자 입력 화면(6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620). 이때,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패닝이 감지되는 동안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패닝 거리에 기반하여 결정된 삭제 길이 또는 기준 길이만큼 문자 입력 화면(6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터치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701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홈 버튼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3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감지 시,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을 확인한다. 여기서,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은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5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을 통해 감지한 터치에 대한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스와이프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 특성을 확인한 경우, 전자 장치는 707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이동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한다.
이후, 전자 장치는 709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이동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8, 도 9a 내지 도 9b, 도 10a 내지 도 10b, 도 11a 내지 도 11b, 도 12a 내지 도 12b 및 도 13a 내지 도 13b 중 적어도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 센서(160)의 터치 이동 방향 및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문자 삭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8과 같이 표시부(150)에 문자 입력 화면(80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40)을 통해 제공받은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를 문자 입력 화면(800)에 표시할 수 있다.
문자 입력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8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 취소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6b와 같이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에 매핑된 제 1 기준 길이만큼 문자 입력 화면(8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620).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810)에 따라 "입력 취소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8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 취소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제 3 방향으로의 스와이프에 매핑된 제 2 기준 길이만큼 문자 입력 화면(800)에 입력된 문자의 적어도 일부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준 길이와 제 2 기준 길이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8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다시실행(redo)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6b와 같이 제 2 방향으로의 스와이프에 매핑된 제 1 기준 길이만큼 삭제한 문자를 도 8과 같이 복구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태 전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미지 편집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9a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140)를 통해 제공받은 입력 정보(902, 904, 906)를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900).
도 9a와 같이 이미지 편집 모드로 동작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9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실행취소(undo)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9b와 같이 입력 정보들의 입력 순서에 따라 가장 마지막에 입력된 제 3 이미지(906)의 입력을 취소할 수 있다.
도 9b와 같이 제 3 이미지(906)의 입력을 취소한 상태에서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92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다시실행(redo)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9a와 같이 "실행 취소 기능"에 의해 입력을 취소했던 제 3 이미지(906)를 복구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응용프로그램 전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0a와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 화면(10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응용프로그램(1000) 실행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0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작업 전환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10b와 같이 이전 작업인 제 2 응용프로그램으로 작업을 전환하여 제 2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 화면(102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2 응용프로그램(1020) 실행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03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작업 전환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10a와 같이 제 1 응용프로그램(1000)으로 작업을 전환하여 제 1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서비스 화면(10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음악 재생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음악 재생 서비스에 따라 제 1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1a와 같이 제 1 음악 파일에 대한 재생 화면(11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1 음악 파일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1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다음 곡 선택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다음 재생 곡인 제 2 음악 파일로 재생 파일을 전환하여 도 11b와 같이 제 2 음악 파일에 대한 재생 화면(112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제 2 음악 파일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13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이전 곡 선택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이전 재생 곡인 제 1 음악 파일로 재생 파일을 전환하여 도 11a와 같이 제 1 음악 파일에 대한 재생 화면(11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정보를 기반하여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표시부(150)를 비활성한 상태에서 음악 서비스 제공 중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스크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전화번호부와 같이 다수 개의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2a와 같이 아이템 목록(12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아이템 목록(12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한 상태에서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4 방향(예: 위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2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윗 방향으로의 "스크롤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12b와 같이 위쪽 방향을 아이템 목록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스와이프 거리에 기반하여 스크롤 거리를 결정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스크롤 거리를 할 수 있다.
도 12b와 같이 표시부(150)에 아이템 목록(12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1 방향(예: 아래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23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아래 방향으로의 "스크롤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12a와 같이 아래쪽 방향을 아이템 목록을 스크롤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스와이프 거리에 기반하여 스크롤 거리를 결정하거나, 기 설정된 기준 스크롤 거리를 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문 센서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동영상 재생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화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동영상 재생 서비스에 따라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도 13a와 같이 동영상 파일에 대한 재생 화면(1300)을 표시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동영상 파일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2 방향(예: 왼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310)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빨리 감기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13b와 같이 동영상 재생 시점을 제 1 재생 간격만큼 빨리감기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스와이프 거리에 기반하여 제 1 재생 간격을 결정하거나, 기 설정된 제 1 재생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3b와 같이 빨리감기한 시점부터 동영상 파일 재생 중 지문 센서(160)를 통해 제 3 방향(예: 오른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1330)를 감지한 경우, 전자장치는 "되감기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도 13a와 같이 동영상 재생 시점을 제 2 재생 간격만큼 되감기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스와이프 거리에 기반하여 제 2 재생 간격을 결정하거나, 기 설정된 제 2 재생 간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재생 간격과 제 2 재생 간격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지문 센서의 스와이프(swipe)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1401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홈 버튼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1403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큰지 확인한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전자 장치는 1411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는지 확인한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이용한 제어 기능 실행 모드로 전환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1403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큰지 확인한다.
1403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이 기준 시간보다 큰 경우, 전자 장치는 제어 기능 실행 모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1405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이동이 감지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스와이프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도 6a와 같은 패닝(610)이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이동을 감지한 경우, 전자 장치는 1407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이동 방향에 따른 제어 기능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를 통해 감지한 터치 이동 방향 및 지문 센서(160)를 통해 터치를 감지한 시점에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 특성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전자 장치는 1405단계에서 지문 센서(160)의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어 기능을 결정할 수 있다. 만일, 홈 버튼에 위치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 감지 시, 홈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홈 버튼의 입력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지문 센서(160)에 대한 터치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전자 장치의 동작 순서가 변경 또는 병합되거나 재사용 가능하며 생략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7)

  1. 전자 장치에서 제어 기능 실행 방법에 있어서,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방향에 매핑된 제어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패닝(panning)에 매핑된 제어 기능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시점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 및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은,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 및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문자 입력 제어 기능, 음악 재생 제어 기능, 스크롤 기능, 화면 전환 기능, 동영상 재생 제어 기능, 지문 인식 기능, 입력 취소 기능 및 복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9. 전자 장치에 있어서,
    지문 센서; 및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고, 상기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되는 홈 버튼의 상부에 위치하는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제어 기능 결정부; 및
    상기 제어 기능 결정부에서 결정한 제어 기능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 구동부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스와이프(swipe) 방향에 매핑된 제어 기능을 확인하는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패닝(panning)에 매핑된 제어 기능을 확인하는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상기 터치를 감지한 시점에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을 확인하고, 상기 전자 장치에서 구동 중인 응용프로그램의 특성 및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프로그램의 특성은, 응용프로그램의 종류 및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문자 입력 제어 기능, 음악 재생 제어 기능, 스크롤 기능, 화면 전환 기능, 동영상 재생 제어 기능, 지문 인식 기능, 입력 취소 기능 및 복원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유지 시간에 기반하여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지문 센서에 대한 터치 이동 방향에 기반하여 제어 기능을 결정하는 장치.
KR20130107871A 2013-09-09 2013-09-09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50029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871A KR20150029127A (ko) 2013-09-09 2013-09-09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871A KR20150029127A (ko) 2013-09-09 2013-09-09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127A true KR20150029127A (ko) 2015-03-18

Family

ID=5302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871A KR20150029127A (ko) 2013-09-09 2013-09-09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91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45A1 (en) * 2015-06-22 2016-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of the same
US11467680B2 (en) 2016-08-02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full front scre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8945A1 (en) * 2015-06-22 2016-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of the same
US10929851B2 (en) 2015-06-22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of the same
US11467680B2 (en) 2016-08-02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full front scre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750B1 (ko) 지문 인식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07861B1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JP636336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含む画面表示制御装置及び画面表示制御方法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326397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433976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50099259A (ko) 생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16123B1 (ko) 타스크 스위칭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WO2012091704A1 (en) Environment-dependent dynamic range control for gesture recognition
KR20150069801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127005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40040401A (ko) 한 손 제어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15000704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US20210109699A1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KR20180102262A (ko) 이동 단말기
KR20130102832A (ko)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단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9766054A (zh) 一种触屏设备及其控制方法、介质
CN105607847B (zh) 用于电子装置中的屏幕显示控制的设备和方法
KR102113509B1 (ko) 가상 키패드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0768804A (zh) 一种群组创建方法及终端设备
CN107229408B (zh) 终端及其输入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761164B2 (en) Method for displaying servic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20150331600A1 (en) Operating method using an input control objec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3528103B1 (en) Screen locking method, terminal and screen locking device
KR20150029127A (ko) 지문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