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478A -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478A
KR20150028478A KR20130107083A KR20130107083A KR20150028478A KR 20150028478 A KR20150028478 A KR 20150028478A KR 20130107083 A KR20130107083 A KR 20130107083A KR 20130107083 A KR20130107083 A KR 20130107083A KR 20150028478 A KR20150028478 A KR 20150028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ime
video
time difference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478A/ko
Publication of KR2015002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는,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전송한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영상표시장치의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및 원격제어신호의 생성과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생성하는 시간차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erformance of Video}
본 발명은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예컨대 셋탑 박스(STB)와 같은 영상수신장치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성능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리모컨 등을 이용해 채널 변경을 실시하여, 시청을 원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텔레비전 시청 중에 다른 채널로 채널을 변경할 때, 아날로그 신호를 이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텔레비전과 달리,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와 같은 디지털 방식의 텔레비전은 영상의 압축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된 GOP(group of picture) 구조로 인해, 원하는 채널의 프로그램이 방영될 때까지 약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예컨대 제품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성능 측정이 필수이므로 이에 성능 측정 작업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추가로 KT와 같은 셋탑 박스의 도소매업자와 삼성과 같은 제조업자 간 이루어지는 B2B(Business to Business) 시장에서 도소매업자들은 제조업자 측으로 가령 셋탑 박스의 영상처리에 관련된 성능을 요청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의 시청자가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채널 변경을 요청할 때, 변경 채널에 의해 해당 영상이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시간차를 알기 위하여 도소매업자가 제조업자 측으로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제조업자 측에서 가령 채널 변경 화면을 모두 녹화한 후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시간을 검출하였는데, 이로 인해 도소매업자와 같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컨대 셋탑 박스와 같은 영상수신장치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표시 성능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는,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전송한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생성하는 시간차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영상의 밝기를 상기 영상 표시 상태로서 검출하는 광검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차 생성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측정한 시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시간차를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관리하는 비디오 성능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측정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에서 온되어 상기 영상의 표시 시점에서 오프되는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표시는, 채널 변경에 의한 영상 표시, 녹화 영상의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 VOD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변경에 의해 추출한 시간차는,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 간에 측정된 시간차일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은, 영상의 해상도 및 영상을 구성하는 포맷이 다른 영상일 수 있다.
상기 비디오 성능 추출부는, 이전과 동일한 조건에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시간차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은,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를 상기 영상 표시 상태로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시간차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시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시간차를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에서 타이머를 온시키고, 상기 영상의 표시 시점에서 타이머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표시는, 채널 변경에 의한 영상 표시, 녹화 영상의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 VOD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변경에 의해 추출한 시간차는,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 간에 측정된 시간차일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은, 영상의 해상도 및 영상을 구성하는 포맷이 다른 영상일 수 있다.
상기 시간차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전과 동일한 조건에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시간차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에 의한 비디오 성능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시스템(90)은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 영상수신장치(110) 및 영상표시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수신장치(110) 및 영상표시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영상처리장치라 명명될 수 있으며, 위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영상수신장치(11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영상수신장치(110)가 영상표시장치(12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컴퓨터 등을 의미하거나, 컴퓨터의 내부에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가령 실제 방송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영상이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한 측정값을 영상표시장치(120)의 비디오 성능(혹은 영상 구현 성능 및 영상 표시 성능)으로서 관리하게 된다. 여기서, 비디오 성능은 영상표시장치(120)의 채널 변경시에 영상의 포맷 및 해상도 등에 따라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연되는지, 또 녹화된 영상물을 영상표시장치(120)에 재생할 때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연되는지, 나아가 VOD(Video On Demand) 재생시에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연되는지 등의 정도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성능에 대한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또는 도소매업자와 같은 고객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이전과 동일한 조건으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영상의 구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5번 채널에서 6번 채널로 방송 채널을 변경하여 측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수회에 걸쳐 반복하여 비디오 성능을 측정하게 된다. 또한 녹화된 영상물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작을 요청한 후 녹화된 영상물이 영상표시장치(120)에 얼마의 시간이 흐른 후에 재생되는지 등을 반복하여 측정하게 된다.
이때, 방송 채널의 경우에는, 모든 채널에 대하여 비디오 성능을 측정한다기보다 영상의 해상도 및 포맷이 다른 영상 간에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한 채널의 SD(Standard Definition) 영상과 다른 채널의 SD 영상 간, SD 영상과 HD 영상 간, HD 영상과 HD 영상 간에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크램블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 간, 보안이 설정된 영상과 그렇지 않은 영상 간에, 그리고 한 채널의 스크램블 영상과 다른 채널의 보안이 설정된 영상 간 등과 같이 다양한 구현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청과 사용자가 요청한 영상이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되기까지 얼마의 시간이 지연되는지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상기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예컨대 사용자, 더 정확하게는 측정자가 원하는 영상을 요청한 시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원격제어신호가 발생한 시점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혹은 카운터)와, 영상표시장치(120)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이 표시되는지 감시하기 위한 광검출 소자, 타이머에서 측정된 시간의 시간 값을 추출하는 연산부 등을 포함하며, 나아가 어떠한 영상구현 상태에서의 시간 값인지 영상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유형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형정보 획득부는 가령 방송국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영상수신장치(110)를 통해 제공받아 획득하거나, 수신된 영상을 영상수신장치(110)에서 분석(혹은 판단)하여 제공한 정보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이후에 좀더 다루기로 한다.
영상수신장치(110)는 셋탑 박스 등을 포함하며, DVD 플레이어나 캠코더와 같은 외부 장치에 연동하여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영상수신장치(110)는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표시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영상표시장치(120)에 제공할 수 있다.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수신장치(110)는 채널을 튜닝하고,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신호를 디먹싱(demuxing) 및 복호화하는 등의 정보 변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만약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에서 비디오 성능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채널별 영상에 대한 유형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영상수신장치(110)는 가령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유형 정보를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유형 정보로서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서로 다른 유형의 이전 채널 영상과 현 채널 영상 사이의 시간 지연에 대한 측정값을 유형 정보와 함께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상표시장치(120)는 영상수신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20)는 사용자, 즉 측정자로부터의 채널 변경 요청에 따라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두 채널 사이에 삽입되는 블랙 또는 화이트 영상을 함께 표시할 수 있으며,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이러한 상태, 즉 빛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채널 변경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녹화된 영상물이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영상표시장치(120)가 오프된 상태에서 비디오가 시작하는 시점에 화면에서 빛의 변화가 발생하는데,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이러한 빛의 발생을 검출하여 영상 표시 시점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구성 결과,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실제 방송 환경에서의 비디오 성능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양한 방송 수신 제품의 정확한 비디오 성능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영상수신장치(110)의 도소매업자와 같은 고객의 요구에 부합함으로써 제품의 수요 증대가 기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200),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 저장부(220), 제어부(230), 신호 발생부(240), 시간 측정부(250), 상태 감지부(260)의 일부 또는 전부 포함하며, 유형정보 획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 및 시간 측정부(250)는 시간차 생성부라 명명될 수 있고, 또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동일하며, 설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인터페이스부(200)는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부 또는 측정한 정보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의 채널 변경 등의 명령은 버튼부 또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는 비디오 성능, 즉 영상 구현 상태를 측정한 측정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측정값을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구분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는 측정값과 영상의 구현 상태를 매칭시켜 저장부(220)에 저장한 후 해당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는 알고리즘을 저장한 기록매체의 형태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실행해 비디오 성능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추출하고, 측정값을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는 성능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영상수신장치(110)의 도소매업자와 같은 고객의 요청에 만족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측정값을 추출할 수 있다. 가령 100회에 걸쳐 측정한 값이 요구되는 경우, 이전과 동일한 조건이 반복되도록 하여 측정값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기설정된 횟수에 대한 정보는 알고리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저장부(220)에 저장된 값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이전과 동일한 조건이란 채널 5에서 6으로 변경하는 상황을 반복함으로써 측정값을 추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혹은 채널 5에서 6으로, 다시 5로, 또다시 6으로 변경하는 것도 동일한 상황에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에 의해 추출된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때 영상의 구현 생태별로 구분하여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5가 SD 영상이고, 채널 6이 HD 영상이었다면, 사용자 요청에 따라 SD 영상에서 HD 영상으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는 정보와, 해당 채널 변경 상황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기설정된 횟수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는데, 이는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에서 요청이 있을 때 제어부(230)의 제어 하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230)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를 구성하는 인터페이스부(200),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 저장부(220), 신호 발생부(240), 시간 측정부(250) 및 상태 감지부(2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230)는 채널 변경, 녹화물 재생 및 VOD 재생과 같은 요청이 있는 경우,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의 구동과 함께 신호 발생부(240)에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측정부(250)에서 측정된 정보를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에 제공하여 측정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상태 감지부(26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시간 측정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240)는 도 1의 영상수신장치(11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에 저장된 알고리즘의 구현에 따라 채널 변경이 이루어졌다면, 신호 발생부(240)는 이에 따른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영상수신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시간 측정부(250)는 가령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측정부(250)는 채널 변경 등의 사용자 요청이 있는 경우, 타이머를 온시켜 동작을 시작하며, 영상표시장치(120)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26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타이머를 오프시켜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때, 사용자 요청은 신호 발생부(240)에서의 신호 발생 시점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발생된 신호가 영상수신장치(110)로 전송된 시점이 될 수 있다. 이때, 타이머의 온 및 오프 동작은 제어부(23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만약 비디오 성능 추출부(210)와 제어부(230)가 통합되어 구성되는 경우에는 알고리즘의 구현에 따른 명령에 의해 타이머가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동작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상태 감지부(260)는 가령 광검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검출 소자는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에 따라 가령 전류량이 변화할 수 있는데, 상태 감지부(26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표시장치(120)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감지부(260)는 영상표시장치(120)가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를 감지하거나, 채널 변경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되는 영상의 전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변경에 의한 비디오 성능 측정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한다(S301). 이때 사용자 요청은 채널 변경, 녹화물 재생 및 VOD 재생과 같은 요청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가령 타이머 등을 가동하여 시간의 측정을 시작하며(S303), 발생한 원격제어신호는 영상수신장치(110)로 전송된다(S305).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수신장치(110)는 현 채널의 영상 처리를 정지시키고, 채널을 변경하며, 다음 채널의 영상 처리를 시작하게 된다(S307, S309, S311).
그리고 영상수신장치(110)는 다음 채널의 영상에 대한 영상신호를 영상표시장치(120)로 전송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S313, S315). 이때, 영상표시장치(120)는 채널의 변경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해 두 채널의 영상 사이에 블랙 영상을 삽입하여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20)에 영상이 표시될 때, 영상표시장치(120)의 영상 표시 상태를 알 수 있는 빛이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로 제공된다(S317). 이때, 빛의 광량은 예컨대, 블랙 영상과 변경된 채널의 영상 사이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가령 영상표시장치(120)의 빛을 수신하여 영상표시장치(120)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319). 예컨대, 채널 변경의 경우, 두 채널의 영상 사이에서 발생되는 빛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감지 결과, 변경된 채널의 영상이 영상표시장치(120)에 표시되었다고 판단될 때,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가령 타이머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321).
이후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타이머가 가동을 정지한 시점까지의 시간을 추출한다(S323). 이때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영상이 어떠한 구현 상태에서 추출된 시간 값인지 알 수 있도록 영상의 유형 정보와 시간 값을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이전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하여 비디오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S325). 다시 말해, 비디오 성능의 측정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동일한 상황에 대한 복수의 측정값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동일한 조건이란 가령 채널 5에서 6으로 변경한 상태의 반복을 의미한다.
도면에 별도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이후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이와 같이 반복 측정된 측정값을 이용해 평균값 및 오차값을 산출하여 영상수신장치(110)의 도소매업자와 같은 고객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 및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20)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한다(S400). 물론 여기에서의 요청은 다양한 상황을 나타낼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채널 변경, 녹화물 재생 및 VOD 재생을 위한 요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전송한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영상표시장치(120)의 상태 변경을 감지한다(S410). 여기서, 상태 변경이란 예를 들어, 녹화물 재생의 경우 영상표시장치(120)가 꺼진 상태에서 녹화물 영상이 화면에 표시될 때의 상황을 의미하거나, 채널 변경의 경우에는 이전 채널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현 채널로 변경될 때의 영상 표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VOD 재생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물이 화면에 표시될 때의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원격제어신호의 생성과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생성한다(S420).
시간차의 생성을 위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혹은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의 표시 시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의 표시 시점은 영상 표시 상태의 감지를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측정을 위하여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가령 타이머를 가동시켜 영상의 표시 시점에서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이후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측정한 시간의 시간 값, 즉 시간차를 추출하고, 추출한 시간 값을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다.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타이머가 정지된 때의 시간을 영상의 구현 상태에 따른 측정값으로서 도출할 수 있는데, 여기서, 영상의 구현 상태란 크게는 채널 변경, 녹화물 재생 및 VOD 재생과 같은 상황을 의미할 수 있지만, 채널 변경의 경우에는 해상도 및 영상 포맷 상태와 같은 영상의 유형별 상황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과정에서, 추가로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영상의 동일한 구현 상태에 대하여 반복적으로 측정을 수행하여 수회에 걸친 측정값을 추출하고, 이후 이를 이용해 평균값 및 오차값 등을 추가로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결과,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100)는 실제 방송 환경에서의 비디오 성능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영상수신장치(110)의 도소매업자와 같은 고객의 요구에 부합함으로써 제품의 수요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110: 영상수신장치
120: 영상표시장치 200: 인터페이스부
210: 비디오 성능 추출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240: 신호 발생부
250: 시간 측정부 260: 상태 감지부

Claims (16)

  1.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전송한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생성하는 시간차 생성부;를
    포함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영상의 밝기를 상기 영상 표시 상태로서 검출하는 광검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 생성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부; 및
    상기 측정한 시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시간차를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관리하는 비디오 성능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측정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에서 온되어 상기 영상의 표시 시점에서 오프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의 표시는,
    채널 변경에 의한 영상 표시, 녹화 영상의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 VOD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에 의해 추출한 시간차는,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 간에 측정된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은,
    영상의 해상도 및 영상을 구성하는 포맷이 다른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성능 추출부는,
    이전과 동일한 조건에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시간차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9. 영상표시장치의 영상 표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한 원격제어신호에 의해 변경되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밝기를 상기 영상 표시 상태로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과, 상기 상태 변경에 의해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사이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한 시간의 시간차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시간차를 영상의 구현 상태별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원격제어신호의 생성 시점에서 타이머를 온시키고, 상기 영상의 표시 시점에서 타이머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표시는,
    채널 변경에 의한 영상 표시, 녹화 영상의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 VOD 재생에 의한 영상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변경에 의해 추출한 시간차는,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 간에 측정된 시간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유형의 영상은,
    영상의 해상도 및 영상을 구성하는 포맷이 다른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를 생성하는 단계는,
    이전과 동일한 조건에서 기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상기 시간차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KR20130107083A 2013-09-06 2013-09-06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KR20150028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083A KR20150028478A (ko) 2013-09-06 2013-09-06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7083A KR20150028478A (ko) 2013-09-06 2013-09-06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478A true KR20150028478A (ko) 2015-03-16

Family

ID=53023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7083A KR20150028478A (ko) 2013-09-06 2013-09-06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47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20A (ko) * 2019-06-25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03033A (zh) * 2020-09-30 2021-01-08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用于检测显控装置信号质量的方法
KR102408549B1 (ko) * 2021-02-08 2022-06-14 조정애 녹화 장치의 성능 분석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520A (ko) * 2019-06-25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203033A (zh) * 2020-09-30 2021-01-08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用于检测显控装置信号质量的方法
KR102408549B1 (ko) * 2021-02-08 2022-06-14 조정애 녹화 장치의 성능 분석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642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벤트 정보 제공 방법
CN101155289B (zh) 图像控制设备和图像控制方法
CN101257575B (zh) 摄像装置及重放装置
US20200280761A1 (en) Automated measurement of end-to-end latency of video streams
US100190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1212579A (zh) 摄像显示控制设备、摄像显示控制方法和摄像显示系统
CN112437242A (zh) 用于嵌入式应用的方法和装置
KR20150011943A (ko) 방송 제공 장치, 방송 제공 시스템 및 이들의 방송 제공 방법
KR20150028478A (ko) 비디오 성능 측정 장치 및 비디오 성능 측정 방법
JP5444611B2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184749A (ja) 映像遅延時間測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と装置
KR20150015250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테스트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
CN102055999A (zh) 显示控制器、显示控制方法、程序、输出设备和发送器
JP5783736B2 (ja) 通信装置
US20140270704A1 (en) Show number of seconds before program restart
JP6042675B2 (ja) 視聴状況調査システム及び方法、視聴状況調査処理プログラム、視聴状況計算装置
CN104809990B (zh) 显示设备和用于确定格式的方法
CN102065207A (zh) 当节目插播结束时的自动节目还原
US20170111703A1 (en) Device And Method For No-Signal Processing Of Television And Smart Television
JP5921575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70990B2 (ja) 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方法
US10771846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laying substitutional advertis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213765B2 (en)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digital signals in accordance with capability of recording medium
KR20170057056A (ko)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190055946A (ko) Av 출력 분석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