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417A -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 Google Patents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417A
KR20150028417A KR20130106923A KR20130106923A KR20150028417A KR 20150028417 A KR20150028417 A KR 20150028417A KR 20130106923 A KR20130106923 A KR 20130106923A KR 20130106923 A KR20130106923 A KR 20130106923A KR 20150028417 A KR20150028417 A KR 20150028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dry dock
crane
pulling means
d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9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8417A/en
Publication of KR20150028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4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5/00Teth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dock docking method for a ship and a docking device. The dry dock docking method comprises: a block arranging step which arranges blocks on a dray dock; a water supplying step which fills water in the dry dock where the blocks are arranged, through a water supplying unit; a crane moving step which moves a crane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a ship towing step which tows a ship to the entry of the dry dock; a pulling means connecting step which connects a pulling means to the crane and the ship; a ship moving step which moves the crane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while the pulling means is pulled; a draining step which drains water from the dry dock using a draining unit so that the ship moving inside the dry dock can be seated on the block; and a pulling means releasing step which releases the pulling means connected to the crane and the ship. Therefore, the dry dock docking method for a ship can prevent deformation of a ship by avoiding the blocks from falling aside or being outside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process where the ship to be redelivered docks in the dry dock in order to sufficiently support the load of the ship in construction, and can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a draft limit of the dry dock in order to increase the mounting quantity thereof.

Description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및 입거장치{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docking method and a docking device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및 입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박을 이루는 반선 또는 전선이 도크 사이드에 구비된 크레인에 로프 또는 와이어를 걸어 당겨지는 형태로 드라이 도크내로 입거되도록 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 docking method and a docking apparatus for a ship,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 dock in which a rope or a wire is hooked on a crane equipped with a half line or a wire on a dock side.

일반적으로 드라이 도크는 주위 수면 보다 낮은 바닥을 갖는 웅덩이를 만들고, 웅덩이에 갑문을 만들어 물이 못들어 오게 한 다음 여기에 선박을 건조한 후 갑문을 열어 물을 유입시키면서 선박이 진수(물위에 띄우는 것)되는 것으로 선박이 건조된다. 이때, 웅덩이 지면에 반목이 있고, 크레인으로 선박을 조립한 후 갑문을 열어서 물을 넣어 진수하여 선박을 끌어 낸 다음 다시 갑문을 닫고 물을 빼내고 다음 선박이 건조되는 과정이 반복된다.Generally, a dry dock creates a puddle with a lower floor than the surrounding water, creates a lock on the puddle, prevents the water from coming in, then dries the ship here, then opens the door to allow water to enter the ship, And the ship is dried. At this time, there is a bump on the ground of the puddle. After assembling the ship with the crane, the lock is opened and the water is put in, and the ship is pulled out, then the lock is closed again and the water is drained and the next ship is dried.

수리 선박은 진수의 과정을 역으로 하여 선박을 도크에 넣은 후 갑문을 닫고 물을 빼어 선박을 지상에 노출시켜 작업이 진행된다.The repair ship reverses the process of opening the ship, puts the ship into the dock, closes the lock, drains the water and exposes the ship to the ground.

한편, 드라이 도크의 회전율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외부(플로팅 도크 또는 육상)에서 반선 건조 후 선수부/선미부 2개의 반선 상태인 선박을 드라이 도크로 입거시켜 전선 건조를 한다. 이때, 반선 상태인 건조 선박은 터그 보트(Tug boat)로 예인되어 미리 정렬 시켜 놓은 반목위에 도킹 시킨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ncrease the turnover rate of the dry dock, the ship is dried in a separate external (floating dock or land) At this time, the dry vessel in a half-line state is towed by a tug boat and docked on the pre-aligned bamboo line.

그러나 터그 보트를 이용하여 반선이 드라이 도크에 입거되는 과정에서 터그 보트 추진기에서 발생되는 와류로 인하여 반목이 쓰러지거나 정위치를 벗어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건조되는 선박의 자중을 충분하게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선박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due to the swirling vortex generated from the tugboat propeller during the process of residing in the dry dock using the tugboat, the anti-twist was caused to fall or deviate from the proper pos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deformation occurs in the ship due to failure.

또한, 선박의 대형화로 인한 중량 증가로 드라이 도크 한계 흘수에 근접되는 원인이 있었고, 이러한 원인으로 인하여 흘수 제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탑재범위가 변경되어 생산 효율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cause of approaching the dry dock limit draft due to the increase in weight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ship, and there was another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range was changed to lower the production efficiency in order to satisfy the draft limit condition.

본 발명은 반선이 드라이 도크로 입거되는 과정에서 드라이 도크의 바닥에 있는 반목이 쓰러지거나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건조되는 선박의 하중을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선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드라이 도크 흘수 제한 한계를 증가시켜 탑재되는 물량의 증가를 가져와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hip by allowing the load of the ship to be dried to be sufficiently supported so that the half-shell at the bottom of the dry dock collapses or does not deviate from the correct position during the half- And the dry dock draft limit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to be mounted, thereby enhanc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10)에 반목(11)이 배열되는 반목 배열단계(S100)와; 반목(11)이 배열된 드라이 도크(10)에 물이 급수부(15)를 통해 채워지는 급수단계(S200)와; 드라이 도크(10)의 외부까지 크레인(20)이 이동되는 크레인 이동단계(S300)와;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 예인선(31)에 의하여 선박(30)이 예인되는 선박 예인단계(S400)와; 크레인(20)과 선박(30)에 당김수단(40)이 연결되는 당김수단 연결단계(S500)와; 당김수단(40)이 당겨진 상태에서 크레인(20)이 드라이 도크(10)의 내부로 이동되는 선박 이동단계(S600)와; 선박(30)이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된 후 반목(11)에 안착되게 드라이 도크(10)의 물이 배수부(16)를 통해 배수되는 배수단계(S700); 및 크레인(20)과 선박(30)이 연결된 당김수단(40)이 해체되는 당김수단 해체단계(S8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ymmetrical arrangement step (SlOO) in which a bump (11) is arranged on a dry dock (10); A water supply step (S200) in which water is filled in the dry dock (10) in which the bumps (11) are arran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15); A crane moving step (S300) of moving the crane (20)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S400) of towing the ship (30) by the tugboat (31) to the entrance of the dry dock (10); A pulling means connecting step S500 in which the pull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crane 20 and the ship 30; A ship moving step (S600) in which the crane (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while the pulling means (40) is pulled; A drainage step (S700) in which the water in the dry dock (10)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rt (16) so that the ship (30) is moved into the dry dock (10) And a pulling means disassembling step (S800) in which the pulling means (40) connecting the crane (20) and the ship (30) are disassembled.

또한, 상기 반목 배열단계(S100)는 드라이 도크(10)의 바닥(101)에 반목(11)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배열되되, 드라이 도크(10)로 입거되는 선박(30)의 형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S100 of arranging the boats, the boom 11 is arranged on the floor 101 of the dry dock 10 so as to be rep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eigh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hape.

또한, 상기 급수단계(S200)는 드라이 도크(10)의 내부에 도크(10) 외부 같은 수위까지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supply step S200 is characterized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up to the water level outside the dock 10. [

또한, 상기 크레인 이동단계(S300) 중 크레인(20)은 골리아스 크레인(G) 또는 갠츄리 크레인(C)으로 드라이 도크(10)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ne 20 is moved along the rail 12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ide of the dry dock 10 by the gollier crane G or the gantry crane C during the crane moving step S300 .

또한, 상기 당김수단 연결단계(S500) 중 당김수단(40)은 로프 또는 와이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S500 of connecting the pulling means, the pulling means 40 includes a rope or a wire.

또한, 상기 선박 이동단계(S600) 중 선박(30)의 이동거리가 길 경우, 크레인(20)이 당김수단(40)인 로프 또는 와이어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크레인(20) 만이 먼저 레일(12)을 따라 드라이 도크(10)의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당김수단(40)이 다시 당겨지는 것이 반복되어 선박(30)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ship 30 is long during the ship moving step S600, only the crane 20 is moved to the rail 12 without pulling the rope or the wire as the pulling means 40, The pulling means 40 is repeatedly pulled out after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and the ship 30 is m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박(30)은 반선 또는 전선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p (30) includes a half line or a wire.

한편,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10)와; 드라이 도크(10)의 바닥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되도록 배열된 반목(11)과; 드라이 도크(10)에 물이 공급, 채워지도록 구비된 급수부(15)와; 드라이 도크(10)의 외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2)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크레인(20)과;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 선박(30)을 예인하는 예인선(31)과; 크레인(20)과 선박(30)에 연결된 당김수단(40); 및 선박(30)이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된 후 반목(11)에 안착되게 드라이 도크(10)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1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on the other hand, includes a dry dock 10; (11) arranged on the floor of the dry dock (10) so as to be rep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 water supply unit 15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dry dock 10; A crane (20) stably supported on a rail (12)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A tugboat (31) towing the ship (30) to the entrance of the dry dock (10); Pulling means (40) connected to the crane (20) and the ship (30); And a drainage unit 16 for draining the water of the dry dock 10 so that the ship 3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and then placed on the ship 11.

또한, 상기 반목(11)은 드라이 도크(10)로 입거되는 선박(30)의 형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hip 30 which is installed on the dry dock 10.

또한, 상기 크레인(20)은 골리아스 크레인(G) 또는 갠츄리 크레인(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rane 20 is constituted by a gollier crane (G) or a gantry crane (C).

또한, 상기 당김수단(40)은 로프 또는 와이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ulling means 40 is characterized in that a rope or wire is included.

또한, 상기 선박(30)은 반선 또는 전선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hip 30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half-line or a wire.

본 발명은 반선형태의 선박과 크레인에 사이에 로프 또는 와이어를 걸어 반선이 당겨지는 형태로 드라이 도크내로 입거되도록 하여 기존에 터그 보트의 추진기로 인한 와류 발생이 없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rope or a wire is inserted between a ship and a crane in the form of a half-line, and the half-line is drawn into the dry dock in a form in which the half-line is drawn so that the vortex due to the propeller of the tug boat can be eliminated.

또한, 이를 통해 반목이 쓰러지거나 정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되는 선박의 자중을 충분하게 지지하여 선박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hip from being caused by supporting the self weight of the ship to be dried by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double leg or the deviation from the correct position.

또한, 드라이 도크 흘수 제한 한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increasing the dry dock draft limit.

그리고 이를 통해 탑재되는 물량의 증가를 통해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duc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to be mount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of docking a ship on a dry doc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ry dock residence apparatus of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러한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이 사용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보다 더 낮게 형성된 드라이 도크(10)의 바닥에 건조될 선박(30)의 하부를 충분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반목(11)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반목(11)은 드라이 도크(10)로 입거되는 선박(30)의 형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있게 된다.Before describing the dry docking method of a 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 docking apparatus for a ship using such a dry docking method is a dry docking apparatus for a ship, as shown in FIGS. 2 and 3, A plurality of bumps 11 capable of sufficientl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hip 30 to be dried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peatedly. At this time, the elevation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hip 30 which is settled by the dry dock 10.

드라이 도크(10)에는 급수부(15)를 통해 외부로부터 드라이 도크(10)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채워지게 되고, 드라이 도크(10)의 사이드에는 크레인(20)이 안정되게 지지되는 가운데 길이방향으로 외부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12)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크레인(20)은 골리아스 크레인(G) 또는 갠츄리 크레인(C)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ater is supplied to the dry dock 10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5 and filled in the dry dock 10. The crane 20 is stably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dry dock 10, Direction to the outsid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ne 20 is constituted by a gollier crane (G) or a gantry crane (C).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는 예인선(31)에 의하여 선박(30) 예인되도록 구비되고,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는 예인된 선박(30)은 당김수단(40)에 의하여 크레인(20)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당김수단(40)은 로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와이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박(30)은 반선 또는 전선이 포함될 수 있다.The entrance of the dry dock 10 is provided with a tugboat 31 for guiding the ship 30 and the towed ship 30 to the entrance of the dry dock 10 is guided by the pulling means 40 to the crane 20 To be connected and moved. At this time, the pulling means 40 is preferably made of a rope and can be made of wire. Such a ship 30 may include a half-wire or a wire.

크레인(20)으로 당겨지는 당김수단(40)에 의하여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된 선박(30)은 드라이 도크(10)에 미리 구비된 반목(11)에 안착되게 배수부(16)를 통해 드라이 도크(10)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게 설치되어 있다.The ship 30 which has been moved into the dry dock 10 by the pulling means 40 pulled by the crane 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by the drainage portion 16 The water in the dry dock 10 is drain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를 통해 선박의 드라이 도크내로 입거되는 과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반목 배열단계(S100)로 드라이 도크(10)에 반목(11)이 배열된 후 반목(11)이 배열된 드라이 도크(10)에 물이 급수부(15)를 통해 채워지게 된다(급수단계(S200)). 이때, 상기 반목 배열단계(S100) 중 드라이 도크(10)의 바닥(101)에 반목(11)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배열되는 과정에서 드라이 도크(10)로 입거되는 선박(30)의 형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단계(S200) 중 드라이 도크(10)의 내부에 도크(10) 외부 같은 수위까지 채워질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hip into the dry dock of the ship through the dry docking apparatus of the ship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First, in step S100, Water is filled in the dry dock 10 in which the arranged bumps 11 are arran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15 (water supply step S200).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bumps 11 on the floor 101 of the dry dock 10 repeated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the cooperative arrangement step S100, The heigh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am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fill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to the water level such as the outside of the dock 10 during the water supplying step S200.

다음, 크레인 이동단계(S300)로 드라이 도크(10)의 외부까지 크레인(20)이 드라이 도크(10)의 사이드에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 한 후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 예인선(31)에 의하여 선박(30)이 예인된다(선박 예인단계(S400)). 이때, 크레인 이동단계(S300) 중 크레인(20)은 골리아스 크레인(G) 또는 갠츄리 크레인(C)으로 사용되도록 하고, 드라이 도크(10)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된다.The crane 20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along the rail 12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y dock 10 in the crane moving step S300, The ship 30 is towed by the ship 31 (step S400). During the crane moving step S300, the crane 20 is used as a gorillas crane G or a gantry crane C and is moved along the rail 12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dry dock 10. [ .

다음, 당김수단 연결단계(S500)로 드라이 도크(10)의 외부 즉, 입구까지 예인된 선박(30)과 크레인(20)에 당김수단(40)이 연결되도록 한 후 크레인(20)에 의하여 당김수단(40)이 당겨진 상태에서 크레인(20)이 드라이 도크(10)의 내부로 이동된다(선박 이동단계(S600)). 이때, 당김수단 연결단계(S500) 중 당김수단(40)은 로프 또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선박 이동단계(S600) 중 선박(30)의 이동거리가 길 경우에는 크레인(20)이 당김수단(40)인 로프 또는 와이어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크레인(20) 만이 먼저 레일(12)을 따라 드라이 도크(10)의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당김수단(40)이 다시 당겨지는 것이 반복되어 선박(30)이 이동될 수 있다.Next, the pull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ship 30 and the crane 20 which are towed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that is, to the entrance, by the pulling means connecting step S500. The crane 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means 40 is pulled (ship moving step S600). At this time, in the step of connecting the pulling means (S500), the pulling means (40) may be made of a rope or a wire. At this time,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ship 30 is long during the ship moving step S600, only the crane 20 can move the rail 12 without pulling the rope or the wire as the pulling means 40 Accordingly, after moving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the pulling means 40 is repeatedly pulled back so that the ship 30 can be moved.

다음, 배수단계(S700)로 선박(30)이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된 후 물이 배수부(16)를 통해 배수되어 반목(11)에 안착되고, 이어 크레인(20)과 선박(30)에 연결된 당김수단(40)이 해체된 후 건조작업이 진행된다(당김수단 해체단계(S800)).After the ship 3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in the drainage step S700, the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rt 16 and is seated in the bull's-eye 11, 30) is disassembled and the drying operation proceeds (disengagement step of the pulling means S800).

S100:반목 배열단계 S200:급수단계
S300:크레인 이동단계 S400:선박 예인단계
S500:당김수단 연결단계 S600:선박 이동단계
S700:배수단계 S800:당김수단 해체단계
10:드라이 도크 11:반목
12:레일 15:급수부
16:배수부 20:크레인
30:선박 31:예인선
40:당김수단 C:갠츄리 크레인
G:골리아스 크레인
S100: antagonistic arrangement step S200: water supply step
S300: Crane moving step S400: Vessel towing step
S500: Pulling means connecting step S600: Ship moving step
S700: drainage step S800: pulling means disassembly step
10: dry dock 11: antagonism
12: rail 15:
16: drainage part 20: crane
30: Ship 31: Tugboat
40: pulling means C: gantry crane
G: Goliath Crane

Claims (12)

드라이 도크(10)에 반목(11)이 배열되는 반목 배열단계(S100)와;
반목(11)이 배열된 드라이 도크(10)에 물이 급수부(15)를 통해 채워지는 급수단계(S200)와;
드라이 도크(10)의 외부까지 크레인(20)이 이동되는 크레인 이동단계(S300)와;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 예인선(31)에 의하여 선박(30)이 예인되는 선박 예인단계(S400)와;
크레인(20)과 선박(30)에 당김수단(40)이 연결되는 당김수단 연결단계(S500)와;
당김수단(40)이 당겨진 상태에서 크레인(20)이 드라이 도크(10)의 내부로 이동되는 선박 이동단계(S600)와;
선박(30)이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된 후 반목(11)에 안착되게 드라이 도크(10)의 물이 배수부(16)를 통해 배수되는 배수단계(S700); 및
크레인(20)과 선박(30)이 연결된 당김수단(40)이 해체되는 당김수단 해체단계(S8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A symmetrical arrangement step S100 in which the bumps 11 are arranged on the dry dock 10;
A water supply step (S200) in which water is filled in the dry dock (10) in which the bumps (11) are arranged through the water supply part (15);
A crane moving step (S300) of moving the crane (20)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S400) of towing the ship (30) by the tugboat (31) to the entrance of the dry dock (10);
A pulling means connecting step S500 in which the pulling means 40 is connected to the crane 20 and the ship 30;
A ship moving step (S600) in which the crane (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while the pulling means (40) is pulled;
A drainage step (S700) in which the water in the dry dock (10)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part (16) so that the ship (30) is moved into the dry dock (10) And
And a pulling means disassembling step (S800) in which the pulling means (40) connecting the crane (20) and the ship (30) are disassemb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목 배열단계(S100)는 드라이 도크(10)의 바닥(101)에 반목(11)이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되게 배열되되, 드라이 도크(10)로 입거되는 선박(30)의 형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S100, the bumps 11 are arranged on the floor 101 of the dry dock 10 so as to be rep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ship 30 which is settled on the dry dock 10 Wherein the height of the ship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S200)는 드라이 도크(10)의 내부에 도크(10) 외부 같은 수위까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step (S200) is performed to fill the inside of the dry dock (10) to a water level such as the outside of the dock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이동단계(S300) 중 크레인(20)은 골리아스 크레인(G) 또는 갠츄리 크레인(C)으로 드라이 도크(10)의 사이드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2)을 따라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ne 20 is moved along the rail 12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ide of the dry dock 10 with the Goliath crane G or the Gantry crane C during the crane moving step S300 How to dock a 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 연결단계(S500) 중 당김수단(40)은 로프 또는 와이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lling means (40) includes a rope or a wire during the step of connecting the pulling means (S5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이동단계(S600) 중 선박(30)의 이동거리가 길 경우, 크레인(20)이 당김수단(40)인 로프 또는 와이어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크레인(20) 만이 먼저 레일(12)을 따라 드라이 도크(10)의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당김수단(40)이 다시 당겨지는 것이 반복되어 선박(30)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ship 30 is long during the ship moving step S600, only the crane 20 is moved along the rail 12 in a state in which the crane 20 does not pull the rope or wire as the pulling means 40 Moving the outer side of the dry dock (10), and pulling the pulling means (40) again is repeated so that the ship (30) is 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30)은 반선 또는 전선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p (30) includes a half-line or a wire.
드라이 도크(10)와;
드라이 도크(10)의 바닥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반복되도록 배열된 반목(11)과;
드라이 도크(10)에 물이 공급, 채워지도록 구비된 급수부(15)와;
드라이 도크(10)의 외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레일(12)에 안정되게 지지되는 크레인(20)과;
드라이 도크(10)의 입구까지 선박(30)을 예인하는 예인선(31)과;
크레인(20)과 선박(30)에 연결된 당김수단(40); 및
선박(30)이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된 후 반목(11)에 안착되게 드라이 도크(10)의 물이 배수되는 배수부(16)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
A dry dock 10;
(11) arranged on the floor of the dry dock (10) so as to be repe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 water supply unit 15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dry dock 10;
A crane (20) stably supported on a rail (12)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side of the dry dock (10);
A tugboat (31) towing the ship (30) to the entrance of the dry dock (10);
Pulling means (40) connected to the crane (20) and the ship (30); And
And a drainage part (16) for draining the water of the dry dock (10) so that the ship (30) is moved into the dry dock (10) and then seated on the ship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목(11)은 드라이 도크(10)로 입거되는 선박(30)의 형태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lev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hip (30) which is installed on the dry dock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20)은 골리아스 크레인(G) 또는 갠츄리 크레인(C)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rane (20) comprises a gorillas crane (G) or a gantry crane (C).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수단(40)은 로프 또는 와이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ulling means (40) comprises a rope or a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30)은 반선 또는 전선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드라이 도크 입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ip (30) includes a half line or a wire.
KR20130106923A 2013-09-06 2013-09-06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KR201500284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923A KR20150028417A (en) 2013-09-06 2013-09-06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923A KR20150028417A (en) 2013-09-06 2013-09-06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417A true KR20150028417A (en) 2015-03-16

Family

ID=5302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923A KR20150028417A (en) 2013-09-06 2013-09-06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841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0078A (en) * 2019-08-08 2019-11-29 招商局邮轮制造有限公司 A kind of interior floating dock
CN115158603A (en) * 2022-05-16 2022-10-11 南通象屿海洋装备有限责任公司 Collapsible boats and ships of retrieving fall spacing frock of moun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0078A (en) * 2019-08-08 2019-11-29 招商局邮轮制造有限公司 A kind of interior floating dock
CN115158603A (en) * 2022-05-16 2022-10-11 南通象屿海洋装备有限责任公司 Collapsible boats and ships of retrieving fall spacing frock of m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122B1 (en) Ship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turbines, and method for installing offshore wind turbines using same
KR101230356B1 (en) Double float type marine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and marine column structure trans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EP3237688B1 (en) Pile upending system
CN101225638A (en) Method for mounting ground anchor type suspension bridge prestressed concrete stiffening box girder
CN106677258B (en) A kind of mounting process of power plant sea water intake caisson
KR100316291B1 (en) Deep Water Lowering Apparatus
CN108265628A (en) One kind rides cable-styled erection crane lifting cable-stayed bridge girder steel and bridge floor board construction method
KR101230357B1 (en) Radial wire drive type marine column structure construction apparatus
KR20150028417A (en) Dry dock the ship's docking method and docking device
US10875748B2 (en) Marine crane vessel and method of operation
CN104032718A (en) Light self-floating manual-erecting elevated structure
KR101722595B1 (en) Divided Erection Method Of Flare Tower
CN113825878A (en) Vessel and method for installing a pile suitable for supporting an offshore wind turbine
US20100269746A1 (en) Mating of buoyant hull structure with truss structure
KR1018257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a dispersant or other substances to a water surface
KR102239547B1 (en) Method for ballasting offshore floating body for wind power generation
US20180163704A1 (en) Saddle and hook system
CN102359122A (en) Method for installing buttress under assistance of buoyant boxes
KR20180042940A (en) Cradle seated thruster propeller fixing part and method of lifting the fixing part
KR101606693B1 (en) Method for loading big size block of barge to floating dock
CN208748525U (en) Swing shifting specific purpose tool
CN106629378B (en) A kind of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moved to ship on the bank or in dry dock
KR101584571B1 (en) Dock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floating dock and barge
KR102033530B1 (en) Joint setting apparatus for floating marine structure
CN112081451B (en) Automatic steel wire rope relea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