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615A - 모션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션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615A
KR20150027615A KR20130106270A KR20130106270A KR20150027615A KR 20150027615 A KR20150027615 A KR 20150027615A KR 20130106270 A KR20130106270 A KR 20130106270A KR 20130106270 A KR20130106270 A KR 20130106270A KR 20150027615 A KR20150027615 A KR 20150027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tion device
electronic unit
h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Priority to KR2013010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7615A/ko
Publication of KR20150027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6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모션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모션 디바이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한 광송출 유닛; 상기 광송출 유닛에서 발산된 빛을 수신하는 광수신 유닛; 및 상기 광송출 유닛과 상기 광수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의 발산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션 디바이스{MOTION DEVICE}
본 발명은 모션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모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단말기는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왔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입력수단이 소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직접 터치를 통해서 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 등이 소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모션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한 광송출 유닛; 상기 광송출 유닛에서 발산된 빛을 수신하는 광수신 유닛; 및 상기 광송출 유닛과 상기 광수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의 발산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열패드는, 일측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과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대류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는,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모션 디바이스의 I-I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모션 디바이스의 II-II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모션 디바이스의 열 배출 상황을 도시한 실험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10)는, 터미널(100)에 연결될 수 있다.
터미널(100)은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TV, 이동 단말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입력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전자기기는 터미널(100)에 포함될 수 있다.
모션 디바이스(10)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H) 등을 이용하여 취한 제스쳐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터미널(100)로 전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션 디바이스(10)는, 테이블 등에 놓여져 그 상측 공간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모션 디바이스(10)는 특정 위치에 정지하여 상측의 일정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모니터링하던 일정 공간 내에 오브젝트가 진입하면 그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모션 디바이스(10)는, 휴대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손쉽게 모션 디바이스(10)를 사용하여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
모션 디바이스(10)를 통한 사용자의 제스쳐는, 사용자의 손가락 각각의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손과 오른손 각각의 손가락의 3차원 공간 상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3차원 공간 상에서 키보드를 타이핑하는 듯한 제스쳐를 취하면, 그에 대응된 타이핑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모션 디바이스(10)를 통한 사용자의 제스쳐는, 사용자 손의 제스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 및/또는 팔의 움직임이라는 상대적으로 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3차원 공간 상에서 공을 치는 듯한 제스쳐를 취하면, 그에 대응된 야구 게임이 가능할 수 있다.
모션 디바이스(10)에서 터미널(100)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3차원 공간상에서 사용자 손(H)의 위치를 포함하는 초기데이터(Raw data) 및/또는 초기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일 수 있다.
모션 디바이스(10)와 터미널(100)은, 유선 및/또는 무선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모션 디바이스(10)와 터미널(100)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모션 디바이스(10)와 터미널(100) 사이에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모션 디바이스(10)에 포함된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터미널(100)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션 디바이스(10)는 광송출 유닛(14)과 광수신 유닛(16)이 케이스(12)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광송출 유닛(14)은, 사용자의 손(H) 등을 향하여 광을 송출하는 전자유닛일 수 있다. 광송출 유닛(14)에서 송출되는 광은, 인간의 시각을 통하여 관측 가능한 파장의 빛 또는 관측 불가능한 파장의 빛일 수 있다.
광송출 유닛(14)에서 송출되는 광은, 센싱되는 영역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관측 가능한 파장의 빛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쳐를 감지함에 사용되는 빛은 시각을 통하여 관측이 불가능한 파장의 빛일지라도, 시각을 통하여 관측 가능한 파장의 빛을 함께 송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시각을 통하여 관측 가능한 파장의 빛이 함께 송출되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제스쳐가 감지될 수 있는 3차원 영역의 범위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그 3차원 영역의 범위 내에서 제스쳐를 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송출되는 파장에 따라서는 “전파”의 영역에 있을 수도 있으나,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광” 또는 “빛”으로 표현하기로 한다.
광송출 유닛(14)은 모션 디바이스(10)의 상측을 향하여 광을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손(H) 등을 사용한 사용자의 제스쳐도 그 영역에서 감지될 수 있다.
광수신 유닛(16)은, 광송출 유닛(14)에서 송출된 빛 중 제스쳐를 수행하는 오브젝트에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전자유닛일 수 있다. 광송출 유닛(14)에서 송출된 빛 중 사용자의 손(H)과 같은 오브젝트에서 반사된 빛 중 적어도 일부는 광수신 유닛(16)을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광수신 유닛(16)은 반사된 빛의 파장변화, 도달시간, 도달각도 등의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손(H)의 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특정 시각의 현재 상태인 손(H)의 포스쳐(posture)를 시간의 흐름을 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포스쳐의 변화인 제스쳐(gesture)를 생성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광송출 유닛(14), 광수신 유닛(16) 등 각종 전자유닛을 수용하여 모션 디바이스(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도 3의 12a)와 제2 케이스(도 3의 12b)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케이스(12)의 전부 또는 일부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열전도성이 높은 케이스(12)를 사용하면, 케이스(12) 내부에 수용된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의 방출을 촉진할 수 있다. 즉,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케이스(12) 표면으로 쉽게 전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위에 비하여 특정 지점의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 표면을 통한 열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다. 케이스(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18)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18)은, 케이스(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된 부분일 수 있다. 슬릿(18)은 케이스(12)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18)은, 케이스(12)의 상측 및/또는 측면측 등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18)은, 케이스(12) 내부에 위치한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대류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릿(18)은, 내부의 전자유닛 중 특히 발열이 심한 전자유닛과 대응된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POWER IC와 같이 열이 많이 나는 전자유닛의 상측 케이브(12) 부분에 슬릿(18)이 위치되도록 하여, POWER IC에서 발생된 열이 쉽게 외부로 발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도 1 모션 디바이스의 I-I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10)는, 전자유닛(EU)과 케이스(12) 사이에 위치한 방열패드(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유닛(EU)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션 디바이스(10)가 동작하기 위하여 필요한 각종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유닛(EU)은 LDD, LD, Image sensor, USBIC, POWER 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유닛(EU)은 동작시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유닛(EU)은, 모션 디바이스(10) 내부 복수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방열패드(22)는, 전자유닛(EU)과 케이스(12) 사이에 위치하여 전자유닛(EU)에서 발생한 열이 케이스(12)로 전달되록 하는 발산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단열된 경우라면, 전자유닛(EU)에서 발생된 열은 전자유닛(EU)에 고립되며 전자유닛(EU)의 온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일정 온도 이상 상승하면, 전자유닛(EU)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유닛(EU)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전자유닛(EU)의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팬(pan) 등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팬은 모션 디바이스(10)의 소형화에 걸림돌로 작용하며, 디자인상 제약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방열패드(22)는, 팬 등에 비하여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을 소비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방열패드(22)는,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EU)과 접촉되고 타측은 케이스(12)에 접촉될 수 있다. 방열패드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전자유닛(EU)에서 발생된 열은 빠르게 방열패드(22)로 전도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방열패드(22)로방열패드(22)로르게 케이스(12)로 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열이 전자유닛(EU)에 축적되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12)와 방열패드(22)는 서로 다른 열전달 수치를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패드(22)방열패드(22)스(12)가 보다 높은 열전달 성질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구배가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자유닛(EU)의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다.
방열패드(22)는, 제1,2 케이스(12a, 12b)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12)의 바닥부분인 제1 케이스(12a)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4는 도 1 모션 디바이스의 II-II 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션 디바이스(10)는, 전자유닛(EU)에서 발생한 열을 케이스(12) 외부로 방출하는 슬릿(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2)에는 슬릿(18)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슬릿(18)은, 제2 케이스(12b)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케이스(12b)는 케이스(12)를 구성하는 피스(piece) 중 상부측일 수 있다. 대류에 의하여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슬릿(18)은 제2 케이스(12b)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케이스(12)의 상부측에 슬릿(18)이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슬릿(18)이 제2 케이스(12b)에 위치함으로 인하여, 전자유닛(EU)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가 슬릿(18)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EU)에서 발생된 열은 적어도 2가지 경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즉, 전자기기(EU)의 상측에 마련된 슬릿(18)을 통해 공기의 대류를 통하는 제1 경로(H1)와, 전자기기(EU)와 케이스(12) 사이에 위치한 방열패드(22)를방열패드(22)를경로(H2)를 통해 배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경로(H1)와 제2 경로(H2)를 통하여 열이 배출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전자기기(EU)의 열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모션 디바이스의 열 배출 상황을 도시한 실험도면이다.
붉은색, 연두색, 파란색 화살표시는 열의 흐름을 나타낸다. 화살표시의 흐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자기기(EU)에서 발생된 열은 슬릿(18)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방열패드(22)를 통하여 케이스(12)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모션 디바이스 22 : 방열패드
18 : 슬릿

Claims (4)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한 광송출 유닛;
    상기 광송출 유닛에서 발산된 빛을 수신하는 광수신 유닛; 및
    상기 광송출 유닛과 상기 광수신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의 발산경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패드를 포함하는 모션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열패드는방열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과 접촉되고 타측은 상기 케이스에 접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바이스.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유닛에서 발생된 열이 대류를 통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 디바이스.
KR20130106270A 2013-09-04 2013-09-04 모션 디바이스 KR20150027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70A KR20150027615A (ko) 2013-09-04 2013-09-04 모션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70A KR20150027615A (ko) 2013-09-04 2013-09-04 모션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615A true KR20150027615A (ko) 2015-03-12

Family

ID=5302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270A KR20150027615A (ko) 2013-09-04 2013-09-04 모션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76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874B1 (ko)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7850871B (zh) 使用腕带作为可穿戴设备散热片的方法和装置
US9817168B2 (en) Circuit module
KR102472237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98672B1 (ko) 방열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090073659A1 (en) Heat sink structure for a power supply
US1076868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ctive edge
US10617033B2 (en) Heat-radia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921932A2 (en) Heat dissipating system using fans
US9210832B2 (en) Thermal buffering element
US20160150679A1 (en) Electronic device
TWI626523B (zh) 具裸露式散熱機制的可攜式電子產品
CN108347863A (zh) 电源供应装置
US10978853B2 (en) Optical scanning control device and retina scanning projection device
CN112638112B (zh) 电子设备、控制装置、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KR20150027615A (ko) 모션 디바이스
KR102301953B1 (ko) 모션 디바이스
CN105792612B (zh) 一种电子设备
JP2018142055A (ja) ヒートシンク、回路基板、及び無線通信装置
CN106793718B (zh) 移动终端壳体、移动终端
KR20190047789A (ko) 휴대 단말기용 방열 케이스
DE602005013394D1 (de) Kühlung von einem kleinen elektronischen Gerät mit einem USB Verbinder.
KR102110491B1 (ko) 휴대 단말기용 방열 케이스
US20120320286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359136A1 (en) Portabl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