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023A - 형광체를 구비한 글로잉 조명기구 하우징 - Google Patents

형광체를 구비한 글로잉 조명기구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7023A
KR20150027023A KR1020147003089A KR20147003089A KR20150027023A KR 20150027023 A KR20150027023 A KR 20150027023A KR 1020147003089 A KR1020147003089 A KR 1020147003089A KR 20147003089 A KR20147003089 A KR 20147003089A KR 20150027023 A KR20150027023 A KR 2015002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ight emitting
housing
emit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5880B1 (ko
Inventor
티에스 반 보멜
리팟 아타 무스타파 히크메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2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21V3/08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 material comprising photoluminescent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91Refle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원(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을 제공한다. 광원(110)은 하우징(120)의 광 출구 부(121)를 통해 광원 광(111)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조명 유닛(100)은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으로서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인터셉트 부(130), 및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재료 광(141)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재료(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발광 재료 광(141)이 하우징(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광 방출 부(150)를 추가로 포함한다.

Description

형광체를 구비한 글로잉 조명기구 하우징{GLOWING LUMINAIRE HOUSING WITH PHOSPHOR}
본 발명은 광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에 색 또는 글로우(glow)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든 종류의 조명기구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다수의 상이한 종류의 조명기구로부터 선택된 일부 예가 하기에 제시된다.
특허문헌 제WO2009144668호는 조명 유닛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조명 유닛은 광원, 및 광원 광을 시준하도록 배치된 실질적으로 편평한 시준기(collimator)를 포함한다. 시준기는 입구 창(entrance window), 에지 창(edge window), 시준기 상부면, 시준기 하부면, 제1 시준 측 에지 및 제2 시준 측 에지를 구비한다. 조명 유닛은 광축을 구비한다. 시준기 상부면, 시준기 하부면, 제1 시준 측 에지 및 제2 시준 측 에지의 하나 이상은 n*1/2 그루브(groove)(상기에서, n은 양의 정수이며, 그루브는 광축(O)이 ≥0˚ 및 <90˚인 그루브 방향 각(ω)을 갖는 종축을 독립적으로 가짐)를 포함한다. 특히, 시준기 상부면 및 시준기 하부면의 하나 이상은 광원과 일치하는 위치에 사실상 집중될 수 있는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제WO2007069185호는 가시광을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하는 표면을 조명하기 위한 램프 조립체를 설명한다. 램프 조립체는 확산 광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가시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확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상기 표면을 조명하기 위한 상기 확산광의 적어도 일부를 시준하도록 배치된 시준 수단을 추가로 수용한다. 램프 조립체는 주변 및 분위기 조명 응용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양태는 광을 제공하는 기능에 추가하여, 바람직하게는 조명 시스템이 온으로 스위치할 경우 유색 광을 발산할 수 있지만("글로잉 효과(glowing effect)"), 조명 시스템이 오프-상태일 경우에도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색일 수 있는 유색 하우징을 구비하는 다른 조명기구 또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광원(특히 발광 다이오드 광원)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또는 조명기구)을 제공하며, 상기에서 광원은 하우징의 광 출구 부를 통해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에서 조명 유닛은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된 광원 광으로서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인터셉트 부, 및 인터셉트된 광원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재료 광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유기 및/또는 무기 발광 재료, 양자 점, 나노결정 등과 같은 발광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에서 하우징은 발광 재료 광이 하우징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광 방출 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추가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출원에 (추가로) 설명된 바와 같은 조명 유닛과 같은,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의 하우징에 색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우징의 광 출구 부를 통해 (광원으로부터의) 광원 광을 제공하는 단계, 조명 유닛 내에서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수득된 인터셉트된 광원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재료를 이용하여 발광 재료 광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발광 재료 광이 하우징의 광 방출 부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유닛 및/또는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광 출구 부를 통해 백색광과 같은 광(즉, 광원 광)을 발산하는 조명 유닛 또는 조명기구를 제공할 가능성을 제공하며, 상기 조명 유닛은 온-상태 및 선택적으로 오프-상태에서도 적어도 일부가 유색 외관을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온-상태일 경우, 발광 재료가 광 방출 부에서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발광 재료 광(즉, 발광 재료에 의해 변환된 인터셉트된 광원 광)을 제공하는 사실로 인해, 하우징은 밝은 유색 외관("글로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유로 인해, 조명 유닛은 또한 "글로잉 조명기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광 출구 부 및 광 방출 부는 조명 유닛의 다른 부품이다. 전자는 비-인터셉트 광이 조명 유닛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여 조명 유닛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은 예를 들어, 실시형태에서 전체 조명, 타겟 조명, 국부 조명(spot lighting) 등 중 하나 이상에 적용될 수 있는 백색 광일 수 있다. 상기 광 출구 부는 예를 들어, 반사기 개구부와 같은 하우징의 개구부, 또는 PMMA, PMS 등과 같은 투명 재료의 시준기와 같은 내부 전반사 유닛(또한 하기 참조)의 전면일 수 있다.
광 방출 부는 하우징의 일부일 수 있으며, 하우징의 다른 곳(비록 이들 부분들은 실시형태에서 인접할 수 있지만; 광 출구 부 이외의 곳)에 배치되고, 일반적으로 투명 재료이다. 상기 광 방출 부로부터, 변환된 광이 빠져나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방출 부는 발광 재료가 내장된, PMMA, PMS 등과 같은 투명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재료가 유색일 경우, 오프-상태에서도 하우징의 광원(조명 유닛) 부(즉, 광 방출 부)가 유색일 수 있다. 용어 "광 방출 부"는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특히, 조명 유닛이 온-상태이고 발광이 광 방출 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상황을 지칭한다. 하지만, 비록 오프 상태에서 방출하지 않을 수 있지만, 오프-상태의 조명 유닛도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따라서, 온-상태에서, 조명 유닛의 2개의 상이한 부분인 광 출구 부 및 광 방출 부에서, 광이 조명 유닛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광 출구 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광은 주로 조명(lighting/illumination) 목적을 가질 수 있는 반면, 광 방출 부로부터 빠져나오는 광은 주로 하우징 글로잉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용어 "광 출구 부" 및 "광 방출 부"는 실시형태에서 또한, 각각 복수의 광 출구 부 또는 복수의 광 방출 부로 지칭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발광 재료는 광원의 오프-상태에서 하우징의 광 방출 부에 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유색 재료이며, 더욱 특별하게는 발광 재료는 유기 발광 재료를 포함한다. 유기 발광 재료는 저렴하고 효율적인 재료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형태에서, 광 방출 부는 발광 재료가 내장된(예를 들어, 분자로 용해된) 투과성(transmissive) 재료(예를 들어, 상기 예 참조)를 포함한다.
용어 "발광 재료"는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상이한 발광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발광 재료는 무기 발광 재료 및 유기 발광 재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발광 재료는 양자 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발광 재료는 (유색) 유기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재료의 예는, 예를 들어 BASF사의 상품명 Lumogen으로 시판되는, 퍼릴렌 유도체 기반의 발광 재료이다. Lumogen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Red f305, Orange f240, Yellow f083, f170 등을 포함한다. 양자 점 및 양자 로드는 CdSe, CdS 또는 InP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무기 발광 재료(또한 하기 참조)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Ce 도핑 YAG(Y3Al5O12) 또는 LuAG(Lu3Al5O12)를 포함할 수 있다. Ce 도핑 YAG는 황색 광을 방출하고, Ce 도핑 LuAG는 황녹색 광을 방출한다. 적색 광을 방출하는 다른 무기 발광 재료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ECAS(Ca1 - xAlSiN3:Eux(0<x≤1, 특히 x≤0.2)인 ECAS) 및 BSSN(Ba2 -x- zMxSi5 - yAlyN8 - yOy:Euz(M=Sr,Ca; 0≤x≤1, 특히 x≤0.2; 0≤y≤4, 0.0005≤z≤0.05)인 BSSNE)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따라서 발광 재료는 특히 유색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이 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광 출구 부는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셉트된 광원 광의 일부를 변환시키는 발광 재료는 광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발광 재료는 또한 "원격 발광 재료" 또는 "원격 형광체"로도 나타낼 수 있다.
온-상태에서 광 방출 부에 의해 발광 재료 광이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는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 발광 재료에 광이 주입되어야 한다. 상기 광은 광원으로부터 수득된다. 따라서, 광원에 의해 생성된 광원 광의 일부(따라서, 전부는 아님)는 멀리 가이드되고, 광 출구 부를 통해 조명 유닛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발광 재료로 멀리 가이드된다. 따라서, 광원 광의 일부가 "인터셉트"된다. 상기 인터셉트된 광원 광의 일부는 발광 재료에 의해 발광 재료 광으로 변환되어, 특히 온-상태에서,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즉, 광 방출 부)가 유색 외관을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용어 "광원"은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광원을 지칭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서, 광원은 고체 상태 LED(발광 장치)와 같은 고체 상태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은 하우징의 광 출구 부를 통해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 광원은 하우징에서 출구 부를 통해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에서, 광은 출구 부를 통해 조명 유닛의 외부로 제공된다.
광원은 백색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은 하나 이상의 발광 재료를 갖는 청색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발광 재료와 함께 청색 방출 LED는 백색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광원은 하나 이상의 발광 재료를 갖는 UV LED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발광 재료와 함께 UV 방출 LED는 백색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발광 재료는 LED 다이 상에 도포될 수 있고/있거나 LED 돔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광원(발광 재료 포함)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광은 본 출원에서 광원 광으로 나타내며, 그의 일부가 광원의 하류(downstream)에서 인터셉트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 광원은 추가 광 변환기를 포함하며, 상기에서 추가 광 변환기를 포함하는 광원은 광원 광(그의 일부는 광 출구 부를 통해 빠져나오고, 그의 일부는 광 인터셉트 부에서 인터셉트되며, 이후의 그의 적어도 일부는 발광 재료에 의해, 하우징의 광 방출 부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빠져나올 수 있는 발광 재료 광으로 변환됨)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광원은 또한, 유색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광원은 또한 유색 광원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 추가로 조명 유닛은, 특히 백색 광을 제공하도록, 유색 광원 광을 부분적으로 추가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조명 유닛은 광원 광의 일부를 변환된 광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추가 광 변환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 유닛은 하우징의 광 출구 부를 통해 (a) 광원 광 및 (b) 변환된 광 (모두)을 제공하도록(즉, 두 광의 적어도 일부가 광 출구 부에서 빠져나오도록)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광원 광과 변환된 광의 조합은 (다시) 백색 광일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광 인터셉트는 추가 광 변환기의 상류(upstream)가 아닌 광원의 하류에서 발생함을 주목한다.
광 변환기는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시, 용어 "발광 재료"는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발광 재료를 지칭할 수 있다. 발광 재료는 무기 발광 재료 및 유기 발광 재료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발광 재료는 양자 점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특히 추가 광 변환기에 사용된 발광 재료는, Y3Al5O12의 양이온 또는 음이온의 하나 이상이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대체된(Y의 적어도 일부가 Gd 및/또는 Lu로 대체되고/대체되거나 Al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어 Ga로 대체되는 것과 같은), Y3Al5O12:Ce 및 관련 화합물과 같은, 세륨 도핑 가넷 계통과 같은 무기 발광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광 방출 부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발광 재료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발광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발광 재료 중 하나 이상을 또한 추가 광 변환기로서도(또는 추가 광 변환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조명 유닛은, 예를 들어 원추형 반사기와 같은 반사기와 같은, 빔 성형 부재, 또는 내부 전반사(TIR) 광학체(본 출원에서는 간단히 "TIR"로 나타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은 광원 광을 수광하도록 구성된 (내부 전반사 유닛) 입사면(entrance surface), 및 조명 유닛의 광 출구 부 방향으로 광원 광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광원의 하류에 배치된 (내부 전반사 유닛) 출사면(exit surface)을 구비하는, 내부 전반사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출사면은 광 출구 부에 의해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내부 전반사 유닛의 출사면은 조명 유닛의 광 출구 부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은 조명 유닛의 광 출구 부 방향으로 광원 광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반사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반사기는 반사기 개구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에서, 반사기 개구부는 광 출구 부에 의해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반사기의 반사기 개구부는 조명 유닛의 광 출구 부이다.
빔 성형 부재는 광원 광(의 일부)을 인터셉트하고 인터셉트된 광원 광을 광 방출 부 방향으로 방향 전환(redirect)하거나, 방향 전환을 돕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방향전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은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가이드(본 출원에서는 도파관(wave guide)으로도 나타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는 (따라서)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고 인터셉트된 광원 광을 광 방출 부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광은 - 발광 재료에 의한 변환 후 -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빠져나갈 것이다(이는 하우징(의 일부)에 글로잉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의 출구 부는 출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구 플레이트는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TIR 광학체가 적용된 특정 실시형태에서, TIR 및 광 가이드는 단일 유닛일 수 있거나 단일 유닛으로 조립되었을 수 있다. 이는 또한 연장된 출구 창 또는 출사면을 갖는 TIR로 보여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또는 추가하여, 조명 유닛은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부재를 광 출구 부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전환 부재는 굴곡된 반사기 또는 각진 반사기와 같은 반사 부재일 수 있다. 따라서, 방향전환 부재는 하우징의 광 방출 부 방향으로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방향전환) 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추가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의 출구 부는 출구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구 플레이트는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굴절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의 출구 부는 출구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출구 플레이트는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산란 입자들을 포함한다. 산란 광은 광 방출 부로 방향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구 플레이트는 출구 부의 에지들에서 산란 입자들을 갖는 도파관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TIR 광학체를 적용할 경우, TIR 및 광 가이드는 단일 유닛이다(또한 상기 참조).
본 출원에서 출구 플레이트는 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며, 광원 광의 적어도 일부가 조명 유닛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같이, 출구 플레이트는 광 출구 부를 포함할 수 있거나 광 출구 부일 수 있다.
상기에서, 도파관/광섬유(fiber)가 적용되거나, 출구 부에 방향전환 부재가 적용된 일부 예가 제시된다. 하지만,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기 또는 TIR과 같은 빔 성형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빔 성형 부재는 광원 광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반사기는 반사기 벽에 (작은) 개구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TIR 광학체의 경우, TIR의 에지에 아웃커플링(outcoupling)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방향전환 부재에서 빔 성형 부재로부터 빠져나오는 광은 발광 재료에 도달하여 발광 재료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용어 "방향전환 부재"는 또한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방향전환 부재를 지칭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오직 한 종류의 유색 하우징 부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유닛이 사용된 상점의 종류 또는 인테리어의 종류 등에 따라, 색을 변경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글로잉 유색 하우징 부는 오렌지색 글로잉 유색 하우징 부를 위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형태에서, 광 인터셉트 부는 이동가능한 서브유닛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에서 조명 유닛은 복수의 상이한 발광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고, 조명 유닛은 이동가능한 서브유닛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조명 유닛은 이동가능한 서브유닛에 통합된 복수의 상이한 발광 재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에서 조명 유닛은 이동가능한 서브유닛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용어 "이동가능한"은 특히 조명 유닛의 일부가 조명 유닛의 다른 일부에 대해 이동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동가능한 부분은 예를 들어, 광 가이드, 광원 및 발광 재료의 하나 이상(일반적으로 상기 3가지 부품의 전부는 아님)을 포함할 수 있어서, 상이한 위치가 가능하고, 이는 위치에 따라 상이한 색과 같이, 상이한 글로잉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용어 "상류" 및 "하류"는 광 생성 수단(본 출원에서는 특히 제1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전파(propagation)에 대한 부품 또는 특징부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광 생성 수단으로부터의 광 빔 내의 제1 위치에 대해, 광 생성 수단에 더 가까운 광 빔 내에서의 제2 위치가 "상류"이고, 광 생성 수단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광 빔 내에서의 제3 위치가 "하류"이다.
"실질적으로 모든 방출" 또는 "실질적으로 구성된"에서와 같은, 본 출원의 용어 "실질적으로"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용어 "실질적으로"는 또한 "전적으로", "완전히", "모든" 등을 사용한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에서 형용사 실질적으로는 또한 삭제될 수도 있다. 적용가능할 경우, 용어 "실질적으로"는 또한, 100%를 포함하여, 90% 이상, 예를 들어 95% 이상, 특히 99% 이상, 더욱 특별하게는 99.5% 이상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용어 "포함하는"은 또한 용어 "포함하는"이 "~로 구성된"을 의미하는 실시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세설명 및 청구항에서 용어 제1, 제2, 제3 등은 유사한 부재들 간에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순차적 또는 발생시간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상황하에서 교체가능하며 본 출원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출원에서 설명되거나 예시된 것과 다른 순서로 작동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출원의 장치는 작동 중에 설명된 다른 것들 중의 하나이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 방법 또는 작동 중인 장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제한하기보다는 예시적이며,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수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계할 수 있을 것임이 주목되어야 한다. 청구항에서, 괄호 사이에 배치된 임의의 참조 부호가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동사 "포함하는" 및 그의 활용형의 사용은 청구항에 서술된 것 이외의 부재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부재 앞에 선행하는 부정관사 "a 또는 an"는 상기 부재가 복수로 존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수 개의 별도 부재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및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수 개의 수단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상기 수단의 수 개는 하나의 동일한 하드웨어 품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호 상이한 종속항에서 특정 수단이 인용된 단순한 사실이 상기 수단들의 조합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음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상세설명에 설명되고/설명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특징적인 특징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추가로 적용된다.
상응하는 참조 부호가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첨부의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오직 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1c는 조명 유닛의 일부 기본적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묘사하고;
도 2a-2m은 조명 유닛의 일부 변형을 개략적으로 묘사하고;
도 3a-3d는 이동가능한 서브유닛을 갖는 다른 것들 중에 일부 추가 변형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도면은 반드시 크기에 비례할 필요는 없다.
도 1a는 광원(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백색 발광 LED(예를 들어, 청색 광 및 황색 광(청색 광으로부터 변환된)을 기반으로 한)와 같은 광원(110)은 하우징(120)의 광 출구 부(121)를 통해 광원 광(111)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20)은 광 출구 부(121)를 포함한다.
조명 유닛(100)은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도 1a-1c에는 도시되지 않으며; 더욱 상세한 내용은 도 2a-2m 참조)으로서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인터셉트 부(1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인터셉트된 광은 발광 재료(140)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유닛(100)은 인터셉트된 광원 광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재료 광(141)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재료(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120) 또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글로잉하는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하우징(120)은 발광 재료 광(141)이 하우징(120)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광 방출 부(150)를 추가로 포함한다. 하우징(120) 전체가 반드시 글로잉할 필요가 없음을 주목한다. 예를 들어, 광 방출 부에 추가하여, 비-광 방출 부(151)도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용어 "광 방출 부" 및 "비-광 방출 부"는 (다른 또는 조합된) 실시형태에서 각각 복수의 광 방출 부 및 복수의 비-광 방출 부를 지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하우징(120)은 광 출구 부(121), 광 방출 부(150) 및 선택적으로 비-광 방출 부(151)를 포함한다.
조명 유닛(100)은 도 1b에 개략적으로 묘사한 바와 같은 내부 전반사 광학체(50)(TIR(50)으로도 나타냄) 또는 도 1c에 개략적으로 묘사한 바와 같은 반사기(60)와 같은, 빔 성형 부재(5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IR(50)은 광원 광(111)을 수광하도록 구성된 입사면(52) 및 출사면(51)을 포함할 수 있다. TIR(50)은 광원(110)의 하류에 배치되며 조명 유닛(100)의 광 출구 부(121) 방향으로(추가사항은 하기 참조) 광원 광(111)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하기에서도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출사면(51)은 광 출구 부(121)와 일치한다. 광원 광(111)은 TIR(50)의 에지(56)에서 반사될 수 있으며 이리하여 TIR(50)의 출사면(51)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TIR(50)의 에지(들)는 참조부호 56으로 나타낸다.
용어 "하류" 및 "상류"(또한 상기 참조)를 예시하자면: 입사면(52) 및 출사면(51)은 모두 광원(110)의 하류이고; 입사면(52)은 출사면(51)의 상류인 반면 출사면(51)은 입사면(52)의 하류이다.
TIR(50)과 같이, 반사기(60)는 조명 유닛(100)의 광 출구 부(121) 방향으로 광원 광(111)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또한 하기 참조). 반사기(60)는 반사기 캐비티(62) 및 반사기 출구(6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 또한 하기를 참조하여, 반사기 출구(61)는 광 출구 부(121)와 일치한다. 반사기(60)의 에지(들)는 참조부호 66으로 나타낸다.
TIR(50)은 육중하거나 속이 빈 재료 피스(piece)일 수 있는 반면, 반사기(60)는 속이 빈(오목한) 미러일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광원(110)은 적어도 일부가 반사기 캐비티(61)에 배치되는 반면, TIR(50)의 경우 광원(110)은 일반적으로 입사면(52)의 상류에 배치될 것이다.
도 2a-2b는 조명 유닛(10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묘사하며, 도 2a에서 조명 유닛(100)은 빔 성형 부재(55)로서 반사기(60)를 포함하고, 도 2b에서 조명 유닛(100)은 빔 성형 부재(55)로서 TIR(50)을 포함한다. 도 2a의 실시형태에서, 반사기 출구(61)는 광 출구 부(121)와 일치한다. 도 2b의 실시형태에서, TIR(50)의 출사면(51)은 조명 유닛(100)의 광 출구 부(121)와 일치한다. 빔 성형 부재(55)는 특히, 광 출구 부(121) 방향으로 광원 광(111)을 시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도면에서, 광 인터셉트 부(130)가 개략적으로 묘사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고 이를 광 방출 부(150) 방향으로 방향전환하는 반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셉트된 광원 광(111)은 참조부호 112로 나타낸다. 상기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의 적어도 일부는 (원격) 발광 재료(140)에 의해 변환되어 광 방출부(들)(150)로부터 발광 재료 광(141)으로서 방출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도 2a 참조), 유색 발광 재료 성분을 포함하여 하우징이 광 오프-상태에서 유색 외관을 갖는, 참조부호 135로 나타낸 도파관 또는 광 가이드의 사용이 제안된다. 광 온-상태에서, 조명기구로부터의 광은 도파관으로 부분적으로 가이드되어, 하우징으로부터의 글로잉 외관을 초래하여 장식 효과를 증가시킨다. 유사한 효과를 수득하기 위한 현재의 해결책은 추가 도파관에 OLED 또는 LED를 이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해결책은 고가이며 배선 및 히트 싱크를 필요로 하는 다소 복잡한 구성이다.
추가 실시형태에서(도 2b 참조), 원격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광 가이드(135)로 광 출구 창이 확대된 TIR 광학체와 함께 LED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시준된 광의 일부는 광 가이드에 커플링되고 유기 발광 재료에 의해 다른 색 온도로 변환된다. 이리하여, 조명기구 하우징은 글로잉 광 효과를 나타낸다. 도 2b 및 일부 다른 도면에서의 TIR(50)은 또한, 연장된 출구 창 또는 출사면(51)을 갖는 TIR로 나타낸다.
빔 성형 부재(55)는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2e는, 광 인터셉트 부(130)가 (i) 인터셉트된 광원 광(111)의 양을 증가시키고 이를 광 방출 부(150)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기 위한 숄더형(shoulder shaped) 특징부(131)(선택적으로 반사기와 같은)(도 2c), (ii) 인터셉트된 광원 광(111)의 양을 증가시키고 이를 광 방출 부(150)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기 위한 반사기(132)(도 2d), 및 (iii) 인터셉트된 광원 광(111)의 양을 증가시키고 이를 광 방출 부(150)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기 위한 (반사성) 격자(grating)(133)(도 2e)를 각각 포함하는 실시형태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상기 부재들은 또한 본 출원에서 방향전환 부재(30)로도 나타낼 수 있다. 도 2c-2e는 비록 동일한 원리가 반사기 기반의 조명 유닛(100)에 적용될 수 있기는 하지만, 특히, TIR(50)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을 묘사한다.
도 2c에 있어서, 도파관(135)으로의 광 인커플링(incoupling)을 개선하기 위해, 내부 전반사에 의해 TIR 광학체의 도파관 부분으로 좀더 많은 광이 커플링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파관-TIR 광학체를 성형하는 것이 제안된다.
도 2d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서, 도파관(135)으로 좀 더 많은 광이 반사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도파관(135) 상에 반사기(132)를 적용하는 것이 제안된다.
도 2e에 있어서, 동일한 방식으로, 광 가이드(135)로의 광 인커플링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파관(135)의 상부 상에 격자(133)를 추가하는 것이 제안된다. 격자(133)는 예를 들어 청색 LED 광과 같이 특정 색으로 도파관(135)에 커플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c-2e에서, 방향전환 부재(30)는 광 출구 부(121)에 인접한다. 하지만, 방향전환 부재(30)는 또한 더 상류, 즉, 광원(110)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 도 2f는, TIR(50)이 또한 적용되고 TIR(50)의 에지(56)가 아웃커플링 특징부와 같은 상기 방향전환 부재(30)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아웃커플링 특징부는 참조부호 53으로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방향전환 부재(30) 및 아웃커플링 특징부(53)는 또한 실시형태에서 각각 복수의 방향전환 부재(30) 또는 아웃커플링 특징부(53)를 지칭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 재료(140)는 아웃커플링 특징부(들)(63)의 하류이다.
따라서, 도 2f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서, 시준되는 광의 일부가 TIR(50)로부터 추출되고 원격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하우징에 의해 이후에 변환되도록, 예를 들어 TIR(50)을 부분적으로 조면화하는 것이 제안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글로잉) 하우징은, 시준되는 광의 일부가 TIR로부터 추출되어 원격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조명기구 하우징에 의해 이후에 변환되도록 TIR 광학체와 부분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PDMS)과 같은 투명 재료(고무)와 같은 TIR 광학체와 광학 접촉을 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져야 한다.
도 2g는 출구 부(121)가 출구 플레이트(160)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여기서, 예로서, 출구 플레이트(160)는 출구 부(121) 위로 연장되어 도파관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출구 플레이트(160)는 광원 광(111) 및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에 대해 투과성이다. 출구 플레이트(160)는 특히 출구 부(121)의 에지(들)에,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산란 입자(134)(예를 들어, Al2O3, MgO 또는 TiO2 입자)를 추가로 포함한다. 출구 플레이트(160)는 예를 들어 내장된 유기 발광 재료와 같은 발광 재료(140)를 추가로 포함함을 주목한다. 출구 플레이트 또는 출구 창(160)은 하우징의 일부로서 추가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 광원 광(111)은 출구 플레이트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반면, 유색 발광 재료 광(141)은 광 방출 부(들)(150)의 다른 곳에서 하우징(120)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
도 2g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서, 반사기(60) 전면에 유기 원격 발광 재료 플레이트를 추가하는 것이 제안된다. 발광 재료 도파관 플레이트(160)는, 예를 들어, 본 출원에서 참조부호 134로 나타낸 산란 입자, 구조 또는 반사 부재를 국소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충분한 광이 도파관으로 커플링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들은 방향전환 부재(들)(30)로서 적용될 수 있다.
도 2h는 도 2c 및 2d와 유사하다. 여기서, 도 2h에서, 조명 유닛(100)은 각도를 갖는 반사기(132)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기(132)는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고 이를 하우징의 광 방출 부(150)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발광 재료(140)에 의한 변환 후에, 발광 재료 광(141)은 광 방출 부(150)로부터 빠져나온다.
도 2h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서, 광(111)을 광 가이드(135)로 부분적으로 방향전환시키는 반사기(132)(방향전환 부재(들)(30))가 제안된다. 광 가이드(135)는 장식 목적을 위해, 방향전환된 광, 즉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을 변환시키는 원격 발광 재료(140)를 포함하는 출구 창, 즉 광 방출 부(150)를 포함한다.
도 2i는 도 2f와 유사하다. 하지만, 여기서 조명 유닛(100)은 빔 성형 부재(55)로서 반사기(60)를 포함한다. 반사기(60)는 (개략적으로 묘사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반사기 천공(들)(63)(방향전환 부재(들)(30))을 포함하는 반사기 에지(들)(66)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기 천공(들)(63)은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고 이를 하우징의 광 방출 부(150) 방향으로 방향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 발광 재료(140)는 반사기 천공(들)(63)의 하류이다.
따라서, 도 2i에 있어서, 다른 실시형태에서, (LED) 광원 광(111)을 부분적으로 시준하는 한편, 또한 광이,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으로서 천공(63)을 통해 원격 발광 재료 조명기구 하우징으로 부분적으로 방향전환되어, 하우징(120)으로부터의 글로잉 외관을 초래하여 증가된 장식 효과를 제공하는 천공 반사기(60)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도 2j는 조명 유닛(100)이, 특히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가이드(135)를 포함하는 실시형태가 개략적으로 묘사된다. 따라서, 광 가이드(135)는 광 인터셉트 부(130)의 일부이거나, 광 가이드(135)의 일부가 광 인터셉트 부(130)로서 작용한다. 광 가이드(135)의 일부는 광 방출을 허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우징의 비-광 방출 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가이드(135)는 하우징(120)에 통합될 수 있다. 광 가이드(135)의 일부는 하우징(120)의 광 방출 부(150)와 광학 접촉할 수 있거나; 광 가이드(135)의 일부는 광 방출 부(150)일 수 있다. 전자에서, 발광 재료(140)는 광 방출 부(150)에 포함될 수 있는(또는 광 방출 부(150)일 수 있는) 반면, 후자의 구성에서 발광 재료(140)는 광 가이드(135)(의 일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구성도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도 2j에 있어서, 유사한 목적을 위해, 다른 실시형태에서, (LED) 광원(110) 근처에 배치된 반사성 광 가이드(135)를 갖는 반사기(60)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광 가이드는 내부 전반사 및/또는 반사성 코팅으로 인해 반사성일 수 있다.
도 2j에서, 광 가이드(들)(135)는 분기(branches)로 간주될 수 있으며; 도 2k에서, 광 가이드는 반사기(60)에 부분적으로 포함된다. 개략적인 도 2j에서, 광 가이드(들)(135)의 일부는 반사기 캐비티(62)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도 2k에 있어서, 매우 특정한 구성에서, (LED) 광원(110)으로부터의 광은 반사기(60)에 배치된 도파관(135)(또는 광섬유)에 커플링될 수 있다. 발광 재료(140)는 도파관(또는 광섬유)의 단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20)에 글로잉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l-2m은 일부 변형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도 2l에서, 조명 유닛(100)은 복수의 광원(110)을 포함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용어 광원(110)은 복수의 광원(110)이 적용된 실시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두 도면 모두 상이한 발광 재료(140)가 적용된 변형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이는 예로서 참조부호 140a 및 140b로 나타내지만, 당연히 2개 초과의 상이한 발광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이한 발광 재료(140)는 공간적으로 분리되어(즉, 하나의 발광 재료 혼합물로 혼합되지 않고),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발광 특성이 가능하다.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141)을 참조부호 141a 및 141b로 나타낸다. 도 2m은 발광 재료(140)가 광 출구 부(121)를 둘러싸는 원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또다시, 예로서, 참조부호 140a 및 140b로 나타낸 상이한 발광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2개 초과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가 적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발광 재료가 적용된 것을 나타내기 위애, 본 출원에서 이는 용어 "140a, 140b,...."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복수의 광원(110)이 개별적으로 다뤄질 수 있다. 이리하여, 선택적으로 광원 광(111) 및 발광 재료 광의 색도 또한 제어될 수 있다.
도 3a는 광원(들)(110)의 하류에 추가 변환기(250)가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j 및 2l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추가 변환기(250)는 광원 광(111)의 일부를 변환된 광(111b)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명 유닛(100)은 하우징(120)의 광 출구 부(121)를 통해 광원 광(111) 및 변환된 광(111b)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원(110)은 청색 광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청색 광 일부는 추가 변환기(250)에 의해 흡수되어 황색 광(111b)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광(111b)과 함께, 추가 변환기의 하류에 잔류하는 광원 광(111)은 백색 광을 발산할 수 있다. 하지만, 광원 광(111)으로서 청색 광 및 변환된 광(111b)으로서 녹색 및 적색 광과 같이, 광원 광(111) 및 변환된 광(111b)의 다른 조합도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광원 광(111)의 인터셉트는 추가 변환기(250)의 상류에서 일어남을 주목한다. 실시형태에서, 추가 변환기는 세륨 도핑 가넷 계통(예를 들어, Y3Al5O12:Ce)의 하나 이상의 계통 멤버를 기반으로 한 발광 세라믹 재료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추가 변환기는 유기 발광 재료가 그 안에 내장되고/내장되거나 나노입자가 그 안에 내장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도 3b-3c 및 3d는 조명 유닛(100)이, 예를 들어 회전가능한 서브유닛(subunit)과 같은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을 포함하는 비 제한적인 수의 변형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이리하여, 여기서 다시 예로서 2개의 상이한 발광 재료(141a 및 141b)로서 도시된 상이한 발광 재료(141)가 다뤄질 수 있지만, 당연히 2개 초과의 상이한 발광 재료(141)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조명 유닛(100)은, 예를 들어 상기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에 통합된 상이한 발광 재료(140a, 140b,....)를 제외하고는, 예를 들어 도 3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리하여, 조명 유닛(100)은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141)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141)은 본 출원에서 "141a, 141b,...."로 나타낸다. 이는 적색 및 녹색과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을 시사한다. 도 3b-3c는 회전에 의해 색이 어떻게 선택될 수 있는 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3a에 있어서, 광 가이드(들)(135)는 위치에 머무르지만, 발광 재료(140)는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에 포함되므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d는 추가 변형을 개략적으로 묘사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효과를 수득하기 위해 모든 종류의 이동 및 회전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형태에서(미도시), 광 인터셉트 부(130)는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의 일부일 수 있고, 상기에서 조명 유닛(100)은 복수의 상이한 발광 재료(140a,140b,....)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에서 조명 유닛(100)은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141)(즉, 141a,141b,....)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광원 광(111)의 일부는 조명 유닛 내에서 인터셉트되며, 다수의 실시형태에서는 심지어 빔 성형 부재(55) 내에서 인터셉트된다.

Claims (15)

  1. 광원(110)을 포함하는 하우징(120)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으로서,
    상기 광원(110)은 상기 하우징(120)의 광 출구 부(121)를 통해 광원 광(111)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명 유닛(100)은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된(intercepted) 광원 광(112)으로서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인터셉트 부(130), 및 상기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재료 광(141)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재료(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발광 재료 광(141)이 상기 하우징(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광 방출 부(150)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재료(140)는 상기 광원(110)의 오프-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광 방출 부(150)에 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유색 재료인 조명 유닛(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10)은 고체 상태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원 광(111)을 수광하도록 구성된 입사면(52), 및 상기 조명 유닛(100)의 광 출구 부(121) 방향으로 광원 광(111)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상기 광원(110)의 하류에 배치된 출사면(51)을 구비하는 내부 전반사 유닛(50)을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유닛(100)의 광 출구 부(121) 방향으로 광원 광(111)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반사기(60)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광 가이드(135)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부재(30)를 상기 광 출구 부(121)에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부(121)는 출구 플레이트(160)를 포함하며, 상기 출구 플레이트(160)는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산란 입자들(134)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빔 성형 부재(55) - 상기 빔 성형 부재(55)는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도록 구성된 방향전환 부재(30)를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변환된 광(111b)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 추가 광 변환기(250) - 상기 조명 유닛(100)은 상기 하우징(120)의 광 출구 부(121)를 통해 광원 광(111) 및 변환된 광(111b)을 제공하도록 구성됨 - 를 더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추가 광 변환기(250) - 추가 광 변환기(250)를 포함하는 상기 광원(110)은 상기 광원 광(111)을 제공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인터셉트 부(130)는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의 일부이고, 상기 조명 유닛(100)은 복수의 상이한 발광 재료(140a,140b,....)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 유닛(100)은 상기 이동가능한 서브유닛(200)의 위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의 발광 재료 광(141)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조명 유닛(100).
  13. 광원 광(111)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광원(110)을 포함하는 조명 유닛(100)의 하우징(120)에 색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하우징(120)의 광 출구 부(121)를 통해 광원 광(111)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조명 유닛(100) 내에서 상기 광원 광(111)의 일부를 인터셉트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수득된 인터셉트된 광원 광(112)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재료(140)를 이용하여 발광 재료 광(141)으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광 재료 광(141)이 상기 하우징(120)의 광 방출 부(15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재료(140)는 상기 광원(110)의 오프-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20)의 광 방출 부(150)에 색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유색 재료인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재료(140)는 유기 발광 재료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47003089A 2011-07-08 2012-07-31 형광체를 구비한 글로잉 조명기구 하우징 KR101955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05636P 2011-07-08 2011-07-08
PCT/IB2012/053912 WO2013008221A1 (en) 2011-07-08 2012-07-31 Glowing luminaire housing with phosph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023A true KR20150027023A (ko) 2015-03-11
KR101955880B1 KR101955880B1 (ko) 2019-03-08

Family

ID=4685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089A KR101955880B1 (ko) 2011-07-08 2012-07-31 형광체를 구비한 글로잉 조명기구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5921B2 (ko)
EP (1) EP2718612B1 (ko)
JP (1) JP6110849B2 (ko)
KR (1) KR101955880B1 (ko)
CN (1) CN103703300B (ko)
WO (1) WO20130082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285B2 (en) * 2012-12-11 2016-08-3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Downlight auxiliary ring
CN103968329B (zh) * 2013-01-31 2017-02-08 恩斯迈电子(深圳)有限公司 光线产生装置
AT13726U1 (de) * 2013-03-28 2014-07-15 Zumtobel Lighting Gmbh Leuchte
DE202014102021U1 (de) * 2014-04-30 2015-08-03 Zumtobel Lighting Gmbh Optisches Element für eine Lichtquelle einer Leuchte, sowie Leuchte
US9752754B2 (en) * 2014-05-28 2017-09-05 Abl Ip Holding, Llc Luminaire exhibiting secondary glow characteristics
US11867365B2 (en) 2014-11-07 2024-01-09 Axis Lighting Inc. Luminaire for emitting directional and non-directional light
US11553566B2 (en) * 2014-11-07 2023-01-10 Axis Lighting Inc. Luminaire for emitting directional and non-directional light
CN105759334A (zh) * 2016-02-01 2016-07-13 张汉新 一种滤光膜及一种灯具滤光装置
EP3433662A1 (en) * 2016-03-21 2019-01-30 Lumileds Holding B.V. Lighting arrangement
US10337685B2 (en) * 2016-07-22 2019-07-02 Valeo North America, Inc. Fiber optic light panel having aesthetic appearance in an unlit state
GB2557278B (en) * 2016-12-02 2019-01-09 Disruptive Marketing Ltd Halo lighting unit
US10443814B2 (en) * 2017-09-26 2019-10-15 Dialight Corporation Diffuser with uplight
DE202018102168U1 (de) * 2018-04-19 2019-07-22 Zumtobel Lighting Gmbh Flache LED-Leuchte
US10935212B1 (en) * 2019-12-16 2021-03-02 Kenall Manufacturing Company Lighting fixture with direct and indirect lighting
USD995885S1 (en) 2020-01-28 2023-08-15 Lucifer Lighting Company Waveguide for multi-zone illumination light fixtures
US11163100B2 (en) * 2020-01-28 2021-11-02 Lucifer Lighting Company Light fixtures having waveguides and related methods
US11725803B2 (en) * 2020-02-11 2023-08-15 Signify Holding B.V. Compact laser-based light generating device
WO2022010649A1 (en) 2020-07-07 2022-01-13 Patel Himanshu B Electric vehicle home microgrid powe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3530A2 (de) * 1999-03-03 2000-09-06 Siteco Beleuchtungstechnik GmbH Leuchte mit multiplen Spektraleigenschaften
DE20317403U1 (de) * 2003-11-12 2004-01-15 Draenert Studio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Möbel
JP2010514209A (ja) * 2006-12-20 2010-04-30 レンセレイアー ポリテクニック インスティテュート 多色発光源と散乱素子を使用する照明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6410A1 (de) * 2000-02-14 2001-08-16 Zumtobel Staff Gmbh Leuchte
US20040145910A1 (en) 2003-01-29 2004-07-29 Guide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Lighting assembly
JP2004311162A (ja) 2003-04-04 2004-11-04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DE10360945A1 (de) * 2003-12-23 2005-07-21 Engel, Hartmut S. Einbauleuchte
EP1780592A4 (en) * 2004-06-30 2014-07-09 Mitsubishi Chem Corp LIGHT-EMITTING COMPONENT, BACKLIGHT UNIT, DISPLAY UNIT AND DISPLAY UNIT
DE102004059786A1 (de) * 2004-12-10 2006-06-14 Aldi Einkauf Gmbh & Co Ohg Beleuchtungseinrichtung
EP1952056B1 (en) 2005-11-14 2014-01-22 Koninklijke Philips N.V. Thin and efficient light collimating device
TWI384182B (zh) 2005-12-12 2013-02-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燈組件
JP2008021561A (ja) 2006-07-13 2008-01-3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JP2008028181A (ja) * 2006-07-21 2008-02-07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US7837349B2 (en) 2007-06-15 2010-11-2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Near field lens
US7942556B2 (en) * 2007-06-18 2011-05-17 Xicato, Inc. Solid state illumination device
US7984999B2 (en) * 2007-10-17 2011-07-26 Xicato, Inc. Illumination device with light emitting diodes and moveable light adjustment member
WO2009144668A1 (en) 2008-05-30 2009-12-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llumination device comprising a collimator
EP2321576B1 (en) * 2008-08-08 2012-10-10 Xicato, Inc. Color tunable light source
US8004172B2 (en) 2008-11-18 2011-08-23 Cree, Inc.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apparatus including elongated hollow wavelength conversion tube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WO2010109381A1 (en) 2009-03-24 2010-09-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33530A2 (de) * 1999-03-03 2000-09-06 Siteco Beleuchtungstechnik GmbH Leuchte mit multiplen Spektraleigenschaften
DE20317403U1 (de) * 2003-11-12 2004-01-15 Draenert Studio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Möbel
JP2010514209A (ja) * 2006-12-20 2010-04-30 レンセレイアー ポリテクニック インスティテュート 多色発光源と散乱素子を使用する照明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8612B1 (en) 2016-09-14
CN103703300B (zh) 2018-05-11
KR101955880B1 (ko) 2019-03-08
EP2718612A1 (en) 2014-04-16
CN103703300A (zh) 2014-04-02
JP6110849B2 (ja) 2017-04-05
US20140140096A1 (en) 2014-05-22
WO2013008221A1 (en) 2013-01-17
JP2014522079A (ja) 2014-08-28
US9845921B2 (en) 2017-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5880B1 (ko) 형광체를 구비한 글로잉 조명기구 하우징
US10234616B2 (en) Simplified low profile module with light guide for pendant, surface mount, wall mount and stand alone luminaires
CN103339549B (zh) 发光装置
EP2769142B1 (en) Lighting device with omnidirectional light distribution
JP6165155B2 (ja) 導波路を含む照明ユニット
CN105229372A (zh) 作为照明设备的光导
US20130033164A1 (en) Planar remote phosphor illumination apparatus
CN102439351A (zh) 包括设置在半透明外壳内的光发射器的光源
KR20130139938A (ko) 포토루미네센스 파장 변환을 구비한 고체상태 발광 디바이스 및 표지판
WO2012088454A1 (en) An elongated led lighting arrangement
JP2020510969A (ja) 導光体を備える照明器具
EP2791574B1 (en) Optical arrangement with diffractive optics
EP2653775A1 (en) Acoustic light emitting element
JP5555318B2 (ja) 効率の高い発光デバイス及び斯様なデバイスを製造する方法
TW201214015A (en) Phosphor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6046067A (ja) 広角度拡散光学系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装置
RU2696671C2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етящихся поверхностей
JP2008300298A (ja) 面照明光源装置及び面照明装置
CN105026834A (zh) 照明设备
CN101510545B (zh) 发光装置
KR20110000608A (ko) 측광원에 의해 발광하는 비구면렌즈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CN106233062B (zh) 照明装置和灯具
JP5565775B2 (ja) Led照明装置
CN104832878A (zh) 照明部件和使用它的发光装置
KR20110113702A (ko) 광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