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601A - 차량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601A
KR20150026601A KR20130105678A KR20130105678A KR20150026601A KR 20150026601 A KR20150026601 A KR 20150026601A KR 20130105678 A KR20130105678 A KR 20130105678A KR 20130105678 A KR20130105678 A KR 20130105678A KR 20150026601 A KR20150026601 A KR 20150026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ser
laser diode
collimator len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601A/ko
Publication of KR20150026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5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1/24 - F21S41/28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21S41/63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by moving refractors, filters or transparent cove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차폭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과;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 경계점에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판단하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가이드 장치{Guide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차량 진행 경로상의 장애물과의 충돌 유무를 시각적으로 운전자가 판단하게 할 수 있는 차량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특히 폭이 좁은 소로 등에서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운전자는 자신의 차량의 폭과, 도로의 폭에 유의하면서 운행하여야 한다. 또한 도로상에서의 자신의 차량 위치, 즉 자신의 차량이 우측 또는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운행되는지의 여부와, 폭이 좁은 도로에서 전방 차량을 추월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차량과 도로 폭의 인지는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차폭 또는 도로폭 및 자 차량의 도로상에서 위치 등의 정확한 인지 여부는 운전자가 경험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운전자는 직관적인 판단을 기반으로 도로의 폭과 차량의 너비를 비교 판단하여 차량을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좁은 도로에서 접촉 사고 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운전 미숙련자에게는 이의 정확한 인지가 어려우며, 따라서 차량 운행에 있어서 더욱 어려움을 주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00215호인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주행 보조 장치가 있다.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주행 보조 장치는 레이저 빔을 차량 전방 도로 상에 차량과 동일한 폭으로 평행하게 출력하여 가상의 선을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주행 보조 장치는 레이저를 출력하는 별도의 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공정 및 부품으로 인하여 원가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차량 진행 경로상의 장애물과의 충돌 유무를 시각적으로 운전자가 판단하게 할 수 있는 차량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를 조사하여 차폭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과;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 경계점에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기 레이저의 조사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레이저의 상(phase)을 변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와 황색 형광체(yellow phosph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 또는 황색 형광체가 상기 레이저의 조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전환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황색 형광체는 상기 프레임의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프레임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상기 차량과 동일한 너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는 상기 차량 전방의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는 원형, 화살표, 별모양, 삼각형,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출되어 상기 차량 주행 경계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측단 또는 사이드 미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판단하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관한 해결 방안을 명확화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관한 설명이 오히려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설계자, 제조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1)는 차량(2)에 설치되어, 차폭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차량 진행 경로상에 존재하는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운전자가 판단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차폭등(Position lamp)은 전방에 차의 존재와 너비를 표시하는 램프로서 일반적으로 차량 전면의 양쪽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가이드 장치(1)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100), 액츄에이터(200), 스위치(300) 및 전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100)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110)와 전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110)는 차폭등 광학계의 광학 중심에 위치하여 차량(2)의 전방으로 레이저가 조사되게 출력한다. 여기서, 레이저 다이오드(110)는 레이저 파장의 길이 한계에 의하여 블루 레이저 다이오드(blue laser diod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환부(120)는 프레임(121),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 122)와 황색 형광체(yellow phosphor, 12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콜리메이터 렌즈(122)와 황색 형광체(123)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콜리메이터 렌즈(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도로상에 차량(2)의 전폭(D)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조사되게 한다. 즉, 콜리메이터 렌즈(122)는 레이저 다이오드(1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차량(2)과 동일한 너비로 출력되게 한다.
여기서, 콜리메이터 렌즈(122)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레이저는 차량(2) 전방의 기 설정된 범위(L) 내로 조사된다. 여기서, 상기 범위(L)는 차량(2)의 전방으로부터 4~6m이며, 운전자의 시인성을 고려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5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콜리메이터 렌즈(122)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레이저는 차량(2)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 경계점을 표시한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정확한 차량의 폭을 시각적으로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주행 경계점은 일직선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차량(2)의 진행선상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일직선의 일그러짐으로 장애물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또한 장애물에 표시되는 차량 주행 경계점을 통하여 차량(2)이 통과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접촉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상기 차량 주행 경계점을 시각적으로 인식하여 장애물과의 충돌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주행 경계점은 상기 레이저에 의하여 원형, 화살표, 별모양, 삼각형,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출될 수 있다.
한편, 황색 형광체(123)는 레이저 다이오드(1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가 차폭등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액츄에이터(200)는 프레임(121)을 180도 회전시킨다. 여기서, 액츄에이터(200)는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액츄에이터(200)는 레이저 다이오드(11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의 조사선상에 콜리메이터 렌즈(122) 또는 황색 형광체(123)가 배치되게 한다. 그에 따라, 운전자는 상기 차량 가이드 장치(1)를 차폭등으로 이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차량(2)을 가이드 하는 장치로 상호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스위치(300)의 신호에 의하여 차폭등으로 이용하고 있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100)은 차량(2)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상기 차량 주행 경계점에 레이저를 조사토록 하여 시각적으로 운전자에게 인식되게 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게 된다.
전원부(400)는 레이저 다이오드(110), 액츄에이터(200) 및 스위치(30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의 헤드 램프의 측단에 설치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2)의 사이드 미러 또는 차량(2)의 전방 범퍼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는 물론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명세서에 언급된 내용 이외의 다른 여러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실시 예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이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차량 가이드 장치 2 : 차량
100 :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110 : 레이저 다이오드
120 : 전환부 121 : 프레임
122 : 콜리메이터 렌즈 123 : 황색 형광체
200 : 액츄에이터 300 : 스위치
400 : 전원부

Claims (9)

  1. 레이저를 조사하여 차폭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차량에 설치되는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과;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 경계점에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시각적으로 인식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기 레이저의 조사선상에 위치하여 상기 레이저의 상(phase)을 변환하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와 황색 형광체(yellow phosph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 또는 황색 형광체가 상기 레이저의 조사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위치를 전환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와 상기 황색 형광체는 상기 프레임의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프레임을 180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하는 상기 레이저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상기 차량과 동일한 너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는 상기 차량 전방의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조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상기 레이저는 원형, 화살표, 별모양, 삼각형, 사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표출되어 상기 차량 주행 경계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헤드 램프의 측단 또는 사이드 미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가이드 장치.
KR20130105678A 2013-09-03 2013-09-03 차량 가이드 장치 KR20150026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678A KR20150026601A (ko) 2013-09-03 2013-09-03 차량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678A KR20150026601A (ko) 2013-09-03 2013-09-03 차량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601A true KR20150026601A (ko) 2015-03-11

Family

ID=5302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678A KR20150026601A (ko) 2013-09-03 2013-09-03 차량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6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269A (zh) * 2019-02-20 2019-05-07 刘述伟 一种车辆驾驶激光辅助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0269A (zh) * 2019-02-20 2019-05-07 刘述伟 一种车辆驾驶激光辅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6873B2 (en) Vehicle lamp and vehicle lamp control system
KR101760995B1 (ko) 차량의 운전 지원 장치
JP6355364B2 (ja) 車両用灯具の制御システム
CN106794792B (zh) 车辆用路面绘制系统
JP6429413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8129764A (ja) 車両用衝突防止装置
KR101101174B1 (ko) 주차 지원 장치
KR101962727B1 (ko) 네비게이터와 연동되는 차량용 조명 시스템
WO2018069792A1 (en) Additional brake light for rear vehicle window having light guides
JP4688196B2 (ja) 自動車用暗視システム
JP2015201296A (ja) 車両用灯具
JP2012234410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5074301A (ja) 注意喚起システム
JP5953655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2234409A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KR20150026601A (ko) 차량 가이드 장치
JP2016004641A (ja) 照明装置と、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CN112770936A (zh) 灯具系统
JP5951976B2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371544B1 (ko) 주행 방향 가이드 장치 및 방법
CN112351913A (zh) 标记装置、车辆及计算机程序
JP2017138796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1303743B1 (ko) 레이저를 이용한 차량 주행 보조 장치
US20220055531A1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US20240013660A1 (en) Control device, warning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