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344A -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 Google Patents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344A
KR20150026344A KR20130105057A KR20130105057A KR20150026344A KR 20150026344 A KR20150026344 A KR 20150026344A KR 20130105057 A KR20130105057 A KR 20130105057A KR 20130105057 A KR20130105057 A KR 20130105057A KR 20150026344 A KR20150026344 A KR 2015002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turn
relay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왕주
Original Assignee
(주)유비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비그린 filed Critical (주)유비그린
Priority to KR2013010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6344A/ko
Publication of KR2015002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둘 이상의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1릴레이; 기 설정된 감지 조건에 따라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2릴레이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멀티탭의 사용상태를 감지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온/오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MULTI-TAB FOR CUTTING OFF STANDBY-POWER}
본 발명은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멀티탭의 사용상태를 감지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온/오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다수의 콘센트를 내설한 것으로서 다수의 전자기기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멀티탭은 모든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스위치 및 각각 콘센트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 스위치들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각 콘센트들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절전 효과를 달성한다.
그러나, 멀티탭은 본체의 사용 유무 예를 들어, 컴퓨터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모니터, 프린터 등의 주변 장치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의 컴퓨터는 전원 제어 기능을 구비하여 자신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이 컴퓨터에 연결된 모니터, 프린터 등의 전원은 온/오프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주변 장치들을 위한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는 사용자의 작업이 매우 불편할 뿐 아니라, 사용자가 주변 장치들의 온/오프 상태를 제대로 체크하지 못했을 경우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980626호 : 적응형 과전력 및 대기전력 전력 차단 멀티탭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멀티탭의 사용상태를 감지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온/오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둘 이상의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1릴레이; 기 설정된 감지 조건에 따라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2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각기 다른 감지 대상에 대한 감지결과를 출력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 주변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동작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동작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전원이 차단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둘 이상의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1릴레이;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2릴레이; 감지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 주변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릴레이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에서 턴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릴레이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조도 센서에서 상기 턴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에서 턴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릴레이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사용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을 자동으로 온/오프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에 따르면 조도 감지결과와 동작 감지결과를 논리 회로를 통해 연산하여 멀티탭의 온/오프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둘 이상의 감지결과를 처리하여 멀티탭의 온/오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블럭도로서, 조도 센서(140)를 이용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원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은, 전원으로부터 멀티탭 내부의 각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동작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00)와 각 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130) 사이에, 전원을 온/오프 출력하는 두 개의 릴레이(Relay)(110, 120)와 조도 감지 센서를 이용한 자동 전력 차단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전력 차단 수단은 소켓부(130)의 공급 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소켓부(130) 및 제2릴레이(120) 중 어느 한 측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하는 제1릴레이(110)와, 조도 센서(140)의 입력신호에 따라 온/오프 동작하여 제1릴레이(1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차단 혹은 출력하는 제2릴레이(120)와,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140)를 포함한다.
제1릴레이(110)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원에 따라 기준 전원 이상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제1전원라인(L1)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제1릴레이(110)는 기준 전원보다 작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제2전원라인(L2)를 통해 제2릴레이(1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제1릴레이(110)의 기준 전원은 소켓부(130)에 연결된 모든 전자장치의 총 전원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 전원과 같거나 그 이상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 현재 소켓부(130)에는 전원장치가 연결되어 사용중인 상황이므로 제1릴레이(110)는 전원공급부(100)에서 출력된 전원을 제1전원라인(L1)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달한다.
제2릴레이(120)는 기준 전원 미만의 전원이 입력되고 있는 상황일 경우 전원의 인가 및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제2릴레이(120)는 조도 센서(140)로부터 턴온 신호(SW_on)가 입력된 경우 전원공급부(100)의 공급전원을 제3전원라인(L3)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달한다.
조도 센서(140)는 멀티탭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기준 전원 이상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릴레이(110)에 의해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되고 기준 전원 미만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조도 센서(140)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릴레이(120)에 의해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 혹은 차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블럭도로서, 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원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은 전원으로부터 멀티탭 내부의 각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동작전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00)와 각 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130) 사이에, 전원을 온/오프 출력하는 두 개의 릴레이(Relay)를 포함하고, 둘 이상의 감지 센서를 이용한 자동 전력 차단 수단을 추가함으로써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전력 차단 수단은 소켓부(130)의 공급 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소켓부(130) 및 제2릴레이(120) 중 어느 한 측으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하는 제1릴레이(110)와, 제1릴레이(1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차단 혹은 출력하는 제2릴레이(120)와, 멀티탭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기 위한 조도 센서(140) 및 동작감지 센서(150)와, 각 센서들의 감지값에 따라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는 논리회로(160)를 포함한다.
제1릴레이(110)는 소켓부(130)에 연결된 모든 전자장치의 총 전원을 기준 전원으로 하여, 기준 전원 범위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제1전원라인(L1)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제1릴레이(110)는 기준 전원보다 작은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 제2전원라인(L2)를 통해 제2릴레이(1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
제2릴레이(120)는 기준 전원 미만의 전원이 입력되고 있는 상황일 경우 전원의 인가 및 차단 여부를 결정한다. 제2릴레이(120)는 논리회로(160)로부터 턴온 신호(SW_on)가 입력된 경우 전원공급부(100)의 공급전원을 제3전원라인(L3)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달한다.
조도 센서(140)는 멀티탭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ON)를 출력한다.
동작감지 센서(150)는 멀티탭 주변의 사용자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턴온 신호(ON)를 출력한다.
논리회로(160)는 조도 센서(140)와 동작감지 센서(150)의 출력값을 논리 연산하여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한다. 여기서, 논리회로(160)는 조도 센서(140)의 ON/OFF 와 동작감지 센서(150)의 ON/OFF에 따라 발생하는 4가지 입력패턴에 따라 결과값을 출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조도 센서(140)와 동작감지 센서(150)의 입력 패턴에 따른 논리회로(160)의 출력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1
<표 1>에서 "0"은 오프(off) 상태를 의미하고 "1"은 온(on) 상태를 의미한다.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동작감지 센서(150)가 턴온(on)된 상태인 경우 논리회로(160)는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고, 조도 센서(140)와 동작감지 센서(150)가 모두 오프(off)된 상태일 경우 제2릴레이(120)가 턴 오프되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조도가 낮고 움직임 또한 감지되지 않는 경우 멀티탭은 자동으로 오프된다.
한편, 조도 센서(140)가 턴온(on)된 상태에서 동작감지 센서(150)가 오프(off)된 상태일 경우, 논리회로(160)는 일정 시간 제2릴레이(120)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도 동작감지 센서(150)가 오프(off)된 상태일 경우 제2릴레이(120)가 턴 오프되도록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기준 전원 이상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릴레이(110)에 의해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되고 기준 전원 미만의 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조도 센서(140), 동작감지 센서(150) 등의 감지결과에 따라 제2릴레이(120)에 의해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 혹은 차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흐름도로서, 조도 센서(140)를 이용하여 멀티탭에 연결된 전원장치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제1릴레이(110)의 기준 전원이 5W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전원공급부(100)에서 출력된 전원은 멀티탭의 소켓부(130)에 접속된 각 전자장치에 공급된다(S100).
제1릴레이(110)는 인가된 전원이 기준 전원인 5W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동작이 제어된다(S110).
인가된 전원이 기준 전원인 5W이상인 경우 제1릴레이(110)는 제1전원라인(L1)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S120).
5W이상인 경우 조도 센서(140)에서 턴온 신호(SW_on)가 발생할 수 있다(S140).
5W이상인 경우에는 조도 센서(140)에서 턴온 신호(SW_on)가 발생한 경우나 발생하지 않은 경우 모두 제1전원라인(L1)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원이 인가된다(S160, S162).
인가된 전원이 기준 전원인 5W 미만인 경우 제1릴레이(110)는 제2전원라인(L2)를 통해 제2릴레이(1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S130). 기준 전원 미만의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소켓부(130)에 접속된 전자장치에는 대기전력이 공급중인 상태일 수 있다.
5W 미만인 경우 조도 센서(14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기준조도 이상인 경우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한다(S150).
제2릴레이(120)는 조도 센서(140)에서 턴온 신호(SW_on)가 발생한 경우 제3전원라인(L3)을 통해 소켓부(13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동작한다(S170).
조도 센서(140)에서 턴온 신호(SW_on)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제2릴레이(120)는 전원을 차단한다(S172). 이에, 멀티탭에 연결된 전자장치에 대기전력이 공급중인 상태이고 조도가 낮은 상태, 즉, 주변이 어두운 상태인 경우 멀티탭은 자동으로 전력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대기전력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은 제1실시예에 따른 멀티탭과 동일한 제1릴레이(110), 제2릴레이(120)를 포함하며,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는 구성에 차이가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은 조도 센서(140) 및 동작감지 센서(150)와, 각 센서들의 감지값에 따라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는 논리회로(160)를 포함한다. 이에, 도 4의 흐름도는 조도 센서(140)와 동작감지 센서(150)의 감지 결과에 따른 전력 차단 기능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조도 센서(140)는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ON)를 출력하고, 동작감지 센서(150)는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 턴온 신호(ON)를 출력한다.
조도 센서(14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고(S200),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ON)를 출력한다(S210).
조도 센서(140)가 턴온 신호(ON)를 출력한 상태에서, 동작감지 센서(150)가 턴온 신호(ON)를 출력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논리회로(160)의 출력값이 결정된다(S220).
조도 센서(140)가 턴온 신호(ON)를 출력하고, 동작감지 센서(150) 또한 턴온 신호(ON)를 출력하면 논리회로(160)는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여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S230).
조도 센서(140)가 턴온 신호(ON)를 출력하고, 동작감지 센서(150)에서는 턴온 신호(ON)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기준시간 이상 동작감지 센서(150)에 동작이 감지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고(S240), 기준시간이 경과된 경우 논리회로(160)는 제2릴레이(120)에 아무 신호도 출력하지 않거나, 턴 오프(SW_off)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250). 이는, 조도가 높은 경우 낮 시간이거나 조명이 밝혀져 있는 상태로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웠을 경우를 감안하여 기준시간 동안은 대기하였다가 차단 기능이 실행되도록 한 것이다.
조도 센서(140)에서 감지된 조도가 기준 조도 미만인 경우에도, 동작감지 센서(150)가 턴온 신호(ON)를 출력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논리회로(160)의 출력값이 결정된다(S260).
조도 센서(140)에서 턴온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에도 동작감지 센서(150)에서 턴온 신호(ON)를 출력하면 논리회로(160)는 제2릴레이(120)에 턴온 신호(SW_on)를 출력하여 멀티탭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S270).
조도 센서(140)에서 턴온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작감지 센서(150) 또한 턴온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며 논리회로(160)는 제2릴레이(120)에 아무 신호도 출력하지 않거나, 턴 오프(SW_off)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S270). S250단계에서 전원을 차단하는 것과는 달리, 조도가 낮은 경우 밤 시간이거나 조명이 꺼져 있는 상태로서 사용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S240단계와 같이 전원 차단을 유예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원공급부 110 : 제1릴레이
120 : 제2릴레이 130 : 소켓부
140 : 조도 센서 150 : 동작감지 센서
160 : 논리회로

Claims (8)

  1.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둘 이상의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1릴레이;
    기 설정된 감지 조건에 따라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2릴레이를 포함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각기 다른 감지 대상에 대한 감지결과를 출력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상기 감지결과를 입력받아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
    주변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릴레이에 상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동작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동작감지 센서로부터 상기 턴온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 전원이 차단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6.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둘 이상의 전자장치에 동작전원을 출력하는 소켓부;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이상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1릴레이;
    상기 동작전원이 기준 전원 미만인 경우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거나 상기 소켓부로 전달하는 제2릴레이;
    감지된 조도값이 기 설정된 조도 이상인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조도 센서;
    주변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턴온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 및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2릴레이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조도 센서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에서 턴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릴레이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 회로는,
    상기 조도 센서에서 상기 턴온신호가 입력된 경우, 와 상기 동작감지 센서에서 턴온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릴레이가 상기 동작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KR20130105057A 2013-09-02 2013-09-02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KR20150026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057A KR20150026344A (ko) 2013-09-02 2013-09-02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5057A KR20150026344A (ko) 2013-09-02 2013-09-02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44A true KR20150026344A (ko) 2015-03-11

Family

ID=53022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5057A KR20150026344A (ko) 2013-09-02 2013-09-02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63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19A1 (ko) * 2017-01-04 2018-07-12 이슬기 사용전력 표시기능을 갖는 멀티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19A1 (ko) * 2017-01-04 2018-07-12 이슬기 사용전력 표시기능을 갖는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4699B2 (en) Multi-mode control device
GB2427514B (en) Socket assembly with standby sockets
US9686840B2 (en) Multi-mode control device
KR101633297B1 (ko) 전자 디바이스의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
JP2007124136A5 (ko)
KR20150026344A (ko) 자동 전력 차단 기능을 갖는 멀티탭
US10727689B2 (en) Power outle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981248B1 (ko) 주변기기 대기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컴퓨터
KR200469313Y1 (ko) 다기능 스위치장치
TW200504498A (en) Power control system for providing different output voltage based on operation state of computer system
KR20020024631A (ko) 전자 기기용 전력 절감 장치 및 그 전력 절감 방법
US9213383B2 (en) Switching circuit module,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uter system reset thereof
JP2012094980A (ja) 外部アダプター
WO2015111106A1 (ja) プロセッサ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731266B1 (ko) 대기전력 자동차단 콘센트
JP3766243B2 (ja)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信号処理装置
JP2007295704A (ja) アクチュエータ用節電装置
CN109428238B (zh) 电源插座装置及其控制方法
JP5741184B2 (ja) スイッチ装置および該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機器
KR101723194B1 (ko) 모니터의 전원 관리기능을 내장한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581207B2 (en) Power outlet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4177229A (ja) 給電制御システム
KR101826184B1 (ko) 대기전력 절감기능을 갖는 대기전력 제어장치
KR101778335B1 (ko) Plc의 아날로그 출력모듈
WO2018151558A3 (ko) 낭비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모니터 및 전원 어댑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