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308A -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308A
KR20150026308A KR20130104980A KR20130104980A KR20150026308A KR 20150026308 A KR20150026308 A KR 20150026308A KR 20130104980 A KR20130104980 A KR 20130104980A KR 20130104980 A KR20130104980 A KR 20130104980A KR 20150026308 A KR20150026308 A KR 20150026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rssi
power
bandwidth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210B1 (ko
Inventor
현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10B1/ko
Priority to US14/464,009 priority patent/US9432952B2/en
Publication of KR20150026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308A/ko
Priority to US15/239,290 priority patent/US998023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7Power control of multi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전송 파워로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정보처리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감지하면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의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고, 산출된 요구 대역폭에 기초하여 통신 인터페이스의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정보를 어플리케이션 등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장치와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전송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함에 있어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의 파워(power)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의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장치는 전기 등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데이터/정보를 다양한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제반 장치들의 총칭이다. 정보처리장치는 일반적인 컴퓨터만으로 구현 방식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반 사용자의 가정 내에서는 세탁기, 냉장고, 식기세척기와 같은 가전제품과,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TV와 같은 A/V 디바이스와, 퍼스널 컴퓨터와, 모바일 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등, 다양한 형식 및 특성의 정보처리장치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기술의 발달 및 사용자 요구의 확장에 부응하여, 이러한 정보처리장치는 단독으로 동작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외부장치와 통신함으로써 해당 외부장치와 데이터의 제공 및 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둘 이상의 장치들이 상호간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선통신 방식도 가능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휴대성이 강조되는 정보처리장치의 경우에는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보처리장치는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가진다. 이 무선통신모듈은 기 설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전송 범위를 최대화함과 동시에 전송 범위 내의 다수의 외부장치와 통신 접속이 가능하다. 정보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 신호세기 값을 수신하면, 이 수신 신호세기 값에 기초하여 송신에 적합한 모듈레이션(modualtion) 및 코딩(coding) 방식을 결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전송 파워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의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요구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장치의 수신 파워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를 각각 실제 수치 또는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로 변환하여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은 단위가 없는 정수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멀티캐스트 송신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외부장치 각각의 상기 RSSI 중에서 최소값의 상기 RSSI를 선택하여 상기 요구 대역폭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차감값만큼 차감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며,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증가값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증가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소 전송 파워와 비교하며,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와 비교하며,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면 상기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가값 및 상기 차감값은 임의의 수치로 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의 최초 산출 시에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RSSI를 상기 요구 대역폭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정의 전송 파워로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서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의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요구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전송 파워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수신 파워를 나타내는 RSSI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를 각각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로 변환하여 상호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은 단위가 없는 정수값 또는 실제 측정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멀티캐스트 송신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외부장치 각각의 상기 RSSI 중에서 최소값의 상기 RSSI를 선택하여 상기 요구 대역폭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차감값만큼 차감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증가값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증가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소 전송 파워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면 상기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가값 및 상기 차감값은 임의의 수치로 기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구 대역폭의 최초 산출 시에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프로토콜 아키텍쳐의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동작 과정 및 데이터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IEEE 802.11n 네트워크 규격 하의 MCS 레이트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시도,
도 5는 도 4에 기초하는 데이터 레이트 및 수신 파워에 각기 대응하는 MCS 레이트 인덱스 값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시도,
도 6은 도 2의 송신장치가 총 요구 대역폭 및 RSSI에 기초하여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장치 간 거리가 20m일 때에 수신 파워 대비 전송 파워의 향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에서, 최소 전송 파워에 따라서 전송 파워 및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도,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에서, 전송 파워의 마진 값에 따라서 전송 파워 및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00, 200)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00, 200)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되며, 상호간에 무선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 구현된 2개의 정보처리장치(100, 200)가 상호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본 발명의 사상은 단지 2개의 정보처리장치(100, 200)가 유니캐스트 방식에 따라서 상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셋 이상의 정보처리장치가 멀티캐스트 방식에 따라서 무선통신을 적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은 정보처리장치(100, 200)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만으로 한정할 수 없으며,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장치(100, 200)는 모바일 디바이스 이외의 전자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표현하는 정보처리장치(100, 200)는 데이터를 전송/송신하는 송신장치(100)와, 송신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200)로 구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분은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한 역할에 따라서 편의상 지칭되는 것으로서, 정보처리장치(200)가 정보처리장치(1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정보처리장치(100, 200)는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또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와, 데이터의 처리 및 정보처리장치(100, 200)의 제어를 위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정보처리장치(100, 200)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인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송신장치(100)가 기 설정된 레벨의 전송 파워를 사용하여 수신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관해 고려한다. 무선 네트워크의 특성 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수신장치(200)에게 낮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전송 파워의 낭비가 발생한다. 송신장치(100)가 모바일 디바이스라면, 전송 파워의 낭비는 송신장치(100)의 배터리 소모에 관련된 민감한 이슈가 될 수 있다. 반면, 송신장치(100)가 전송 파워의 낭비를 줄이도록 전송 파워의 레벨을 낮추게 되면, 전송 데이터의 대역폭이나 수신장치(200)의 거리에 따라서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장치(100)의 전송 파워를 제어함으로써 송신장치(100)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송신장치(1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즉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요구 전송률(required transmission rate)에 따라서, 전송 파워를 최소화시키는 방향으로 접근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EEE 802.11n 네트워크 규격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네트워크 규격에서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송신장치(100) 및 수신장치(200)의 프로토콜 아키텍쳐(protocol architecture)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장치(100)의 프로토콜 아키텍쳐는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모델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110),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120),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130), 링크 계층(link layer)(140)을 포함한다.
개략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계층(110)은 기본적으로 다른 계층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어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대표적 프로토콜에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이 있다. 트랜스포트 계층(120)은 메시지의 발신지 대 목적지 간의 제어 및 에러를 관리하며, 대표적 프로토콜에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등이 있다. 네트워크 계층(130)은 다중 네트워크 링크에서 패킷을 발신지로부터 목적지로 전달하며, 대표적 프로토콜에는 IP(Internet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등이 있다. 링크 계층(140)은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장치(200)로 데이터를 전달하며, 대표적 프로토콜에는 MAC, PPP 등이 있다.
수신장치(200) 또한, 송신장치(100)에 준하는 계층 구조(210, 220, 230, 240)를 가진다.
여기서, 송신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 계층(110)에는 대역폭 관리모듈(Bandwidth Manage module)(111)이 제공되며, 링크 계층(140)에는 파워 제어모듈(Power Control Module)(141)이 제공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계층(110) 및 링크 계층(140) 사이에는 크로스레이어(cross-layer) 프로토콜 아키텍쳐가 적용되므로, 대역폭 관리모듈(111)은 파워 제어모듈(141)에 트랜스포트 계층(120) 및 네트워크 계층(130)을 거치지 않고 소정의 정보를 다이렉트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송신장치(100) 및 수신장치(200)의 동작 과정 및 데이터 전송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여기서 언급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송신장치(100)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이 모두 대상이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대역폭 관리모듈(111)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네트워크 대역폭의 정보를 수집한다. 대역폭 관리모듈(111)은 각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대역폭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대역폭 관리모듈(111)은 수집된 대역폭 정보를 파워 제어모듈(141)에 전달한다.
S12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대역폭 관리모듈(111)로부터 수신한 대역폭 정보에 기초하여 총 요구 대역폭(total required bandwidth)을 산출한다.
S13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미리 지정된 초기 전송 파워로 데이터 전송상태를 설정한다. S14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초기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수신장치(200)에 전송한다.
S150 단계에서, 수신장치(20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ACK 신호를 송신장치(100)에 반환한다. 여기서, ACK 신호는 송신장치(100)의 수신 파워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포함한다.
S16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S120 단계에서 산출된 총 요구 대역폭 및 S150 단계에서 취득한 RSSI에 기초하여 송신장치(100)의 전송 파워 및 수신장치(200)의 수신 파워의 밸런스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전송 파워를 조정한다.
S17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S180 단계에서, 수신장치(200)는 RSSI를 포함하는 ACK 신호를 송신장치(100)에 반환한다. 이에, 파워 제어모듈(141)은 S160 단계를 반복한다.
한편, S130 단계에서의 초기 전송 파워는 전송 파워의 최대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는 최초 전송 파워를 최대값으로 설정한 이후에, 데이터 전송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서 전송 파워를 점차 줄여가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는, 전송 파워를 줄이면서도 데이터 전송 퍼포먼스를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것에 기여한다.
이상 설명한 대역폭 관리모듈(111) 및 파워 제어모듈(141)의 보다 자세한 동작에 관해, 이하 설명한다.
도 4는 IEEE 802.11n 네트워크 규격에 따른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이트(rate)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기초하여 작성된 데이터 레이트 및 수신 파워에 각기 대응하는 MCS 레이트 인덱스(index) 값을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IEEE 802.11n 네트워크 규격에는 모듈레이션 타입(modulation type) 및 코딩 레이트(coding rate)가 지정되어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도 4와 같은 테이블이 도출될 수 있다. 본 테이블에서 데이터 레이트(data rate) 및 수신 파워는 송신장치(100) 및 수신장치(200)의 특성이나 사용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서 다양한 값이 적용될 수 있으며, 사전에 지정되어 송신장치(100)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도 4의 테이블에 기초하여 도 5와 같은 테이블이 도출된다. 도 5의 테이블은 요구 데이터 레이트의 총량의 범위 및 수신 파워의 범위를 각각 정수값인 MCS 레이트 인덱스 값에 맵핑시킨 것이다.
이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서 총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서 대역폭 정보가 대역폭 관리모듈(111)로부터 전달되면(S110 단계, 도 3 참조)에, 파워 제어모듈(141)은 아래 수학식에 따라서 Brate를 산출한다. Brate는 송신장치(100)에서 현재 실행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최대 데이터 레이트의 총량이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Bj (Mbps)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최대 대역폭이며, 아랫첨자 j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련번호이다. 예를 들면, 5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일 때, Brate는 각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최대 대역폭을 총합하여 산출된다.
도 5의 테이블에는 Brate가 어느 범위에 해당하는가에 따라서, 해당 범위에 대응하는 MCS 레이트 인덱스 값이 지정되어 있다. Brate에 대응하는 MCS 레이트 인덱스 값을 편의상 Bindex라고 지칭한다. 파워 제어모듈(141)은 도 5와 같은 테이블을 참조하여 Mbps 단위의 Brate를 단위 없는 정수값인 Bindex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Brate가 20Mbps라면, 상기 테이블에 따라서 Bindex는 1을 나타낸다.
여기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최종 요구 MCS 레이트 인덱스 값인 Btotal을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2
여기서, α는 충분한 전송 파워를 유지하기 위한 마진(margin) 값으로서 0 이상의 정수값이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값이 지정될 수 있다.
이하, 총 요구 대역폭 및 RSSI에 기초하여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송신장치(100)가 총 요구 대역폭 및 RSSI에 기초하여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도면에서의 과정은 기본적으로 유니캐스트 방식인 경우이지만, 멀티캐스트 방식인 경우에도 이하 방법을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장치(100)가 수신장치(200)로부터 RSSI를 수신하면(S150 단계, 도 3 참조), S20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RSSI 값을 Preceive로 변환한다. 여기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Brate를 Bindex로 변환하는 방법과 유사한 원리로, 도 5와 같은 테이블에 기초하여 dbm 단위의 RSSI를 단위 없는 정수값인 Preceive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RSSI가 -75dbm이라면, Preceive는 1, RSSI가 -65dbm이라면, Preceive는 4가 된다.
S21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Pmargin을 산출한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3
즉, Pmargin은 Preceive에서 Btotal을 차감한 값이다.
한편, 멀티캐스트 방식인 경우에 송신장치(100)가 모든 수신장치(200)에 대해 손실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각 수신장치(200)들의 수신 파워 중에서 최소 수신 파워에 맞춰 전송 파워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Preceive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서 산출된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4
PMk는 k개의 수신장치(200)의 수신 파워이다. Preceive는 k개의 수신장치(200)의 수신 파워 중에서 최소 수신 파워로 결정된다.
S22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Pmargin=0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Pmargin=0 이라면 송신장치(100)의 전송 파워와 수신장치(200)의 수신 파워가 상호간에 파워의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전송 파워를 조정할 필요가 없다. 이에, S23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j-1 로 설정한다.
여기서, Pj 는 데이터가 주기적으로 순차 전송된다고 할 때에 현재 데이터 전송 시점에서의 전송 파워를 의미하며, Pj-1 는 1회 이전의 데이터 전송 시점에서 결정된 전송 파워를 의미한다.
반면 Pmargin=0 이 아니라면, S24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Pmargin>0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Pmargin>0 이라면 이는 송신장치(100)의 전송 파워가 수신장치(200)의 수신 파워보다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송 파워의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전송 파워를 낮춰야 한다. 이에, S25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j-1-β 로 설정한다. β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로서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값이 적용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Pj<Pmin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Pmin 은 기 설정된 최소 전송 파워이다. 만일 Pj<Pmin 이 아니라면,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j-1-β 로 최종 결정하고, S310 단계에서 최종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Pj<Pmin 이라면, S27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min 로 최종 결정한다.
한편, S240 단계에서 Pmargin>0 이 아니라면, 이는 송신장치(100)의 전송 파워가 수신장치(200)의 수신 파워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고 있지 못함을 의미하므로, 이 경우에는 전송 파워를 높여야 한다. 이에, S28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j-1+2β 로 설정한다.
여기서, 전송 파워를 낮추는 경우의 Pj=Pj-1-β 와, 전송 파워를 높이는 경우의 Pj=Pj-1+2β 를 비교하면, 전자의 경우에 차감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보다 후자의 경우에 증가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는, 전송 파워를 낮춤으로써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는 것 보다, 전송 파워를 높임으로써 양질의 통신 상태를 보장하는 것이 보다 우선순위에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가 높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보수적으로(conservatively) 전송 파워를 낮추며, 전송 파워가 낮은 상태라고 판단되면 적극적으로(aggressively) 전송 파워를 높인다. 이로써, 최종적으로는 에너지 소모를 절감하면서도, 사용자에게 양질의 통신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후자의 경우에 증가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이 반드시 전자의 경우에 차감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의 2배일 필요는 없으며, 후자의 경우에 증가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이 전자의 경우에 차감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보다 크다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전자의 경우에 차감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 및 후자의 경우에 증가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이 동일하거나, 전자의 경우에 차감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이 후자의 경우에 증가하는 파워 증감 패러미터의 값보다 클 수도 있다.
S29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Pj>Pmax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Pj>Pmax 이 아니라면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j-1+2β 로 최종 결정하고, S310 단계에서 최종 결정된 전송 파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반면, Pj>Pmin 이라면, S300 단계에서 파워 제어모듈(141)은 전송 파워를 Pj=Pmax 로 최종 결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Pj 의 조정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 수학식과 같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5
전송 파워 및 수신 파워가 밸런스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 파워 제어모듈(141)은 Pj=Pj-1 로 설정함으로써 전송 파워를 조정하지 않는다. 전송 파워가 수신 파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으로써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는 경우에, 파워 제어모듈(141)은 Pj=Pj-1-β 로 설정함으로써 전송 파워를 낮춘다. 전송 파워가 수신 파워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남으로써 데이터 전송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파워 제어모듈(141)은 Pj=Pj-1+2β로 설정함으로써 전송 파워를 높인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송신장치(100)는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이상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전체 요구 대역폭 및 RSSI를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로 변환하여 상호 비교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대비교에 관한 것이므로, 전체 요구 대역폭 및 RSSI는 각각 실제 수치를 이용하여 계산된 최종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험으로 시뮬레이팅한 결과에 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결과는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경우에 얻을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시뮬레이션에서의 수치, 환경 등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시뮬레이션은 Wi-Fi 다이렉트에서 송신장치(100) 및 수신장치(200)의 1:1 연결하에서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시스템 환경은 다음과 같다.
캐리어 주파수: 5.25GHz
채널 대역폭: 40MHz
데이터 스트림의 수: 1
전송 파워: 100mW
전송측 안테나 게인: 1dBi
수신측 안테나 게인: 1dBi
가드 인터벌(guard interval): 400ns
브레이크포인트(breakpoint) 거리: 10m
브레이크포인트 거리 이전의 쉐도우 페이딩(shadow fading) 표준편차: 3dB
브레이크포인트 거리 이후의 쉐도우 페이딩 표준편차: 5dB
이러한 환경 하에서, 20Mbps의 HD 영상스트림이 송신장치(100)로부터 수신장치(200)로 전송된다. Bindex는 1, α는 2, β는 10mW, Pmax는 100mW, Pmin는 10mW 로 각각 설정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장치 간 거리가 20m일 때에 수신 파워 대비 전송 파워의 향상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장치(100) 및 수신장치(200) 사이의 거리를 5m, 10m, 15m, 20m, 25m로 변경하여 1000회 시뮬레이팅한 결과, 전송 파워는 각각 12.75, 12.75, 14.35, 32.83, 72.25를 나타내었다. 종래 기술의 전송 파워가 100mW로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교하면, 장치 간 거리가 10m 이내인 경우에는 87.25%의 파워 절감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장치 간 거리가 20m일 때에 시간 경과에 따라서 전송 파워는 대략 20-30mW 안팎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바, 종래 기술의 고정된 100mW에 비해 에너지 소모가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receive 가 항상 Bindex 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전송 파워를 조정하더라도, 이 조정된 전송 파워는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은 최소 전송 파워에 따라서 전송 파워 및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전송 파워의 마진 값에 따라서 전송 파워 및 거리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in 이 낮을수록 15m 이내의 근거리에서 전송 파워가 낮게 형성된다. 반면, 20m 이상의 원거리가 되면 거리상의 문제 때문에 데이터의 전송에 파워가 보다 소모되므로, 전송 파워는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15m 이내의 근거리 무선통신에서 큰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min=10 인 상태에서 α를 1부터 5까지 변화시켜 각각의 경우에 전송 파워 및 거리의 관계를 살펴보면, α가 작을 때에 전송 파워는 낮게 형성되고, α가 클 때에 전송 파워는 높게 형성된다. α의 수치와 무관하게, 이 경우에도 15m 이내의 근거리에서 전송 파워가 낮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20Mbps의 HD 영상 스트림을 1:1로 전송함에 있어서, Pmin=10 이고 장치 간 거리가 5m일 때에 87.25%의 전송 파워의 절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와 같은 전송 파워의 절감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전송 퍼포먼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양질의 무선통신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송신장치(100)의 에너지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서 소정의 전송 파워로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정보처리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의 전체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며, 산출된 전체 요구 대역폭에 기초하여 전송 파워를 조정한다.
여기서, 정보처리장치는 외부장치로부터 RSSI를 수신하고, 전체 요구 대역폭과 RSSI를 상호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전송 파워를 조정한다.
이로써, 전송 파워가 소정 값으로 고정된 종래 기술에 비해, 송신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송신장치
111 : 대역폭 관리모듈
141 : 파워 제어모듈
200 : 수신장치

Claims (20)

  1.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전송 파워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의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요구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의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장치의 수신 파워를 나타내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를 각각 실제 수치 또는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로 변환하여 상호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은 단위가 없는 정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가 멀티캐스트 송신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외부장치 각각의 상기 RSSI 중에서 최소값의 상기 RSSI를 선택하여 상기 요구 대역폭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차감값만큼 차감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며,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증가값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증가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소 전송 파워와 비교하며,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와 비교하며,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면 상기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값 및 상기 차감값은 임의의 수치로 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요구 대역폭의 최초 산출 시에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RSSI를 상기 요구 대역폭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전송 파워로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서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무선통신의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요구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고, 조정된 상기 전송 파워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대역폭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수신 파워를 나타내는 RSSI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 사이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 및 상기 RSSI를 각각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로 변환하여 상호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 차원의 수치 레벨은 단위가 없는 정수값 또는 실제 측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장치가 멀티캐스트 송신 방식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 복수의 상기 외부장치 각각의 상기 RSSI 중에서 최소값의 상기 RSSI를 선택하여 상기 요구 대역폭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차감값만큼 차감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현재의 상기 전송 파워로부터 기 설정된 증가값만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전송 파워를 증가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요구 대역폭이 상기 RSSI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소 전송 파워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으면 상기 최소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소 전송 파워보다 작지 않으면 상기 감소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파워를 감소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해 높은 레벨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를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면 상기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가 상기 최대 전송 파워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증가 조정된 전송 파워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값 및 상기 차감값은 임의의 수치로 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대역폭의 최초 산출 시에 기 설정된 최대 전송 파워에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에 데이터가 전송되며, 상기 데이터의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RSSI가 상기 요구 대역폭에 비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104980A 2013-09-02 2013-09-02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07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80A KR102077210B1 (ko) 2013-09-02 2013-09-02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464,009 US9432952B2 (en) 2013-09-02 2014-08-20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5/239,290 US9980235B2 (en) 2013-09-02 2016-08-17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980A KR102077210B1 (ko) 2013-09-02 2013-09-02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308A true KR20150026308A (ko) 2015-03-11
KR102077210B1 KR102077210B1 (ko) 2020-02-13

Family

ID=5258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980A KR102077210B1 (ko) 2013-09-02 2013-09-02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432952B2 (ko)
KR (1) KR102077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778B2 (ja) * 2014-12-22 2017-08-1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端末、プログラム
CN110022601B (zh) * 2019-04-12 2022-07-22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功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1291A1 (en) * 2004-03-11 2005-09-15 Ixi Mobile (R&D) Lt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6531B1 (en) * 1997-12-31 2002-05-28 At+T Corp. Set top integrated visionphone user interface having multiple menu hierarchies
TWI257220B (en) 2005-03-25 2006-06-21 Ind Tech Res Inst Cross-layer rate adaptation mechanism for WLAN
US7603136B2 (en) * 2005-11-08 2009-10-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to perform stable distributed power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JP4986702B2 (ja) * 2006-06-02 2012-07-25 京セラ株式会社 割当方法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基地局装置
WO2011023096A1 (en) * 2009-08-24 2011-03-03 Intel Corporation Low power and fast application service transmission
KR20120044463A (ko) 2010-10-28 2012-05-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에너지 절약형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01291A1 (en) * 2004-03-11 2005-09-15 Ixi Mobile (R&D) Lt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80235B2 (en) 2018-05-22
US20160360494A1 (en) 2016-12-08
KR102077210B1 (ko) 2020-02-13
US9432952B2 (en) 2016-08-30
US20150065187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604B1 (ko) 간섭 관리를 위한 셀간 전력 제어
RU2520261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1301211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Energy Efficient Network Adapter
US9369964B2 (en) Mobile device radio power consumption and battery capacity management
JP2014197909A (ja) 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の動作方法及び無線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
TWI442800B (zh) 上行鏈路功率控制方法
CN107343289A (zh) 中继器带宽、无线配置及模数转换器时钟速率的调整
Chen et al. Energy-efficient coordinated scheduling mechanism fo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with multiple component carriers
JP563090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WO2011121914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management server
EP26184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
JP468717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ならびに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Della Penda et al. Potential games for subcarrier allocation in multi-cell networks with D2D communications
CN105900494B (zh) 无线网络中移动终端的节能方法
KR102077210B1 (ko) 정보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904857A2 (en) Uplink power control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WO2006040930A1 (ja) 基地局装置
Yu et al. End-to-end throughput evaluation of consensus TPC algorithm in multihop wireless networks
CN113747553B (zh) 一种上行传输资源调度方法、基站、用户设备及通信系统
WO201003809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performance policy
Zhang et al. Estimating the distance between macro base station and users in heterogeneous networks
Majumdar et al. Variable rate m-QAM assisted packet size optimization for cognitive radio and mimo cognitive radio based sensor networks
Wang et al. Location recommendation and power adjustment for D2D communication underlying LTE Cellular Networks
Yin et al. Inversely proportional carrier sense threshold and transmit power setting towards green WLANs
Chandra et al. QoS-Aware Traffic Offloading for Energy Efficient D2D Communication in 5G Network for Io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