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185A -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185A
KR20150026185A KR20130104656A KR20130104656A KR20150026185A KR 20150026185 A KR20150026185 A KR 20150026185A KR 20130104656 A KR20130104656 A KR 20130104656A KR 20130104656 A KR20130104656 A KR 20130104656A KR 20150026185 A KR20150026185 A KR 2015002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actile feedback
display device
size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730B1 (ko
Inventor
김용신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730B1/ko
Priority to US14/092,328 priority patent/US9507419B2/en
Priority to PCT/KR2013/011379 priority patent/WO2015030312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영역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인지 결정하는 단계,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하는 단계, 및 줌인된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Device with Tactile feedback}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으로, 특히 택타일 피드백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표면을 터치하여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오브젝트를 제어하고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터치한 영역이 어떠한 택타일을 갖는지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복수의 택타일 피드백이 혼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느낄 수 없다. 특히,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영역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 사용자는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텍팅된 터치 인풋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하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포함함,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 센서 유닛 및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경우,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zoom-in)하고, 줌인된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영역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인지 결정하는 단계,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하는 단계, 및 줌인된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여기서 디지털 이미지는 서로 다른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됨,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및 디스플레이 유닛, 센서 유닛 및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고,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디지털 이미지 중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이 포함된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고, 제1 영역의 크기가 제2 영역의 크기 이상인 경우 터치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1 영역의 크기가 제2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터치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의 넓이 또는 크기에 따라 확대하는 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확대 여부 또는 확대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 모드가 활성화되면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의 영역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이 되도록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영역의 디지털 이미지를 부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 해당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타일 피드백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면적에 대응하여 줌인 배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택타일 모드 활성화에 대응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줌인 배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별로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을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뮤직 플레이어, 스마트 테이블, 모니터, 리모컨 또는 텔레비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는 각기 다른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폐곡선(closed curve) 내에서 동일한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부분들을 각각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에서 디지털 이미지는 제1 영역(13)과 제2 영역(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하나의 영역 내에서는 하나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싱글 택타일 피드백이란 하나의 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하나의 택타일 피드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각각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제1 영역(13)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14)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13) 내의 어느 부분에서도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14) 내의 어느 부분에서도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각 영역들은 동일한 피드백을 발생하는 부분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좌측에서 컨트롤 인풋(15)은 제2 영역(14)을 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인풋(15)은 터치 인풋, 제스쳐 인풋 및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인풋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15)에 대응하여 제2 영역(14)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제2 영역(14)의 크기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 전체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15)이 터치한 영역 전체에서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사용자에게 제2 영역의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의 싱글 택타일 피드백인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에서 컨트롤 인풋(15)은 제1 영역(13)을 터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15)에 대응하여 제1 영역(13)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의 우측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스플레이된 제1 영역(13)의 크기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은 제1 영역(13) 뿐만 아니라 제2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제2 영역(14)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은 일부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하고, 다른 일부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15)이 터치한 영역 중 일부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하고, 다른 일부에서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사용자에게 제1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제공하기 어렵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 내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터치 영역 내에서 더 큰 비율을 갖는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터치하는 터치 인풋(15)을 디텍팅할 수 있다.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이 포함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에 포함된 제1 영역(13) 및 제2 영역(14)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의 크기가 제2 영역(14)의 크기 이상인 경우, 전체 터치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터치 영역 내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터치 영역 내에서 더 큰 비율을 갖는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의 크기가 제2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전체 터치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택타일 피드백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에 대응하여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에 각각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이 구분되는 최소 배율을 줌인 배율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2의 좌측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컨트롤 인풋(15)의 사이즈 스레시홀드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제1 영역(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즈 스레시홀드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인풋(15)이 제1 영역(13)을 터치하면, 터치 영역 내에는 제1 영역(13)뿐만 아니라 인접한 영역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13)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인접한 영역에 할당된 다른 택타일 피드백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 내에는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다른 택타일 피드백이 함께 발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 내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도 2의 우측과 같이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을 사이즈 스레시홀드보다 크게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를 컨트롤 인풋(15)이 디텍팅된 영역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15)의 위치를 이동하지 않아도, 줌인된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영역(13)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컨트롤 인풋(15)이 제1 영역(15) 및 인접한 제2 영역을 함께 터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이 제1 영역에서 디텍팅된 넓이인 제1 면적 및 제2 영역에서 디텍팅된 넓이인 제2 면적을 비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면적이 제2 면적 이상이면, 제1 영역을 중심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포함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면적이 제2 면적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을 기준으로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포함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 내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발생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의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의 면적에 대응하여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이 제1 영역(13) 내에 포함되는 배율로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이 제1 영역에 인접한 제2 영역에 할당된 제2 택타일 피드백과 구분되는 최소 배율을 줌인 배율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이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영역에 포함되도록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이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을 포함하도록 디지털 이미지를 제1 배율로 줌인할 수 있다.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이 제1 영역(13)에 포함되는 경우, 터치 영역은 싱글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를 제1 배율로 줌인하고, 컨트롤 인풋(15)이 디텍팅된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사용자에게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에 기설정된 비율 이상의 제1 영역(13)이 포함되도록 디지털 이미지를 제1 배율로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15)의 터치 영역 중 기설정된 비율 이상의 부분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확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여 컨트롤 인풋(15)이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영역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했던 터치 영역에 하나의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으며,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터치 면적에 대응하여 줌인 배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터치할 때의 힘 또는 사용 패턴에 따라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구분하고,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텍팅된 터치 영역의 크기에 따라 줌인 배율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가 제1 사이즈인 경우 제1 배율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가 제2 사이즈인 경우 제2 배율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만약, 제2 사이즈가 제1 사이즈보다 큰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배율을 제1 배율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도 3의 좌측과 우측은 서로 다른 크기의 터치 영역을 갖는 제1 컨트롤 인풋(31) 및 제2 컨트롤 인풋(32)을 디텍팅한 경우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줌인 배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갖는 제1 컨트롤 인풋(31)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사이즈의 터치 영역이 제1 영역(13)에 포함되도록 디지털 이미지를 제1 배율로 줌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이 제1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배율을 제1 배율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위에서 설명한 제1 배율로 줌인된 제1 영역(13)의 사이즈를 사이즈 스레시홀드로 설정할 수 잇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13)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갖는 제1 컨트롤 인풋(31)에 대해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3의 우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갖는 제2 컨트롤 인풋(32)을 디텍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사이즈는 제1 사이즈를 초과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컨트롤 인풋(32)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가 제1 컨트롤 인풋(31)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제2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컨트롤 인풋(31)과 제2 컨트롤 인풋(32)을 입력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 제2 컨트롤 인풋(32)의 터치 압력이 제1 컨트롤 인풋(31)의 터치 압력보다 큰 경우에 제2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사이즈의 터치 영역이 제1 영역(13)에 포함되도록 디지털 이미지를 제2 배율로 줌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이 제2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배율을 제2 배율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위에서 설명한 제2 배율로 줌인된 제1 영역(13)의 사이즈를 사이즈 스레시홀드로 설정할 수 잇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13)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사이즈의 터치 영역을 갖는 제2 컨트롤 인풋(32)에 대해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택타일 모드 활성화에 대응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비주얼 모드 또는 택타일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비주얼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각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경우에도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해도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없다.
택타일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의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영역을 터치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모드가 활성화되면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기설정된 줌인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줌인 배율은 줌인에 의해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각 영역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이 되는 배율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기설정된 레퍼런스 면적을 사이즈 스레시홀드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면적에 대한 평균치를 레퍼런스 면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터치 영역의 면적에 대한 평균치는 택타일 피드백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들에 대한 복수의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도 4의 좌측과 같이, 비주얼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각각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13) 및 제2 영역(14)을 포함할 수 있다. 비주얼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지 않고 보류할 수 있다.
비주얼 모드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모드를 활성화하는 소프트 버튼(4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인풋 또는 포인터(42)를 이용하여 소프트 버튼(41)을 동작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모드를 활성화하는 소프트 버튼(41)에 대한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되면, 비주얼 모드에서 택타일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소프트 버튼(41)의 이미지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택타일 모드임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로써 소프트 버튼을 이용할 수 있다.
택타일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된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 배율에 따라 줌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줌인에 의해 싱글 택타일 피드백을 갖는 각 영역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이 되는 배율을 줌인 배율로써 설정할 수 있다. 도 4의 좌측에서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영역들 중, 제1 영역(13)이 가장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13)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이 되는 배율을 줌인 배율로써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장 작은 크기의 영역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이 되는 배율을 줌인 배율로써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설정된 줌인 배율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각 영역은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설정된 줌인 배율로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각 영역을 개별적으로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설정된 줌인 배율에 따라 가장 작은 영역인 제1 영역(13)을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설정된 줌인 배율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되고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다른 영역도 줌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과 함께 제2 영역도 설정된 줌인 배율에 따라 줌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대된 각 영역을 터치하여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확대된 제1 영역(13)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비주얼 모드에서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택타일 모드에서 확대된 제1 영역을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줌인 배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함으로써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줌인 배율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영역 중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들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최대 비율로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5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52)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5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기초하여 줌인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줌인 배율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하는 배율로 정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확대된 디지털 이미지(51)에 포함된 제1 영역(52) 및 제2 영역(53)이 디스플레이 유닛(12)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포함되는 최대 배율을 줌인 배율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52) 또는 제2 영역(53)이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확대할 수 있다.
도 5의 우측은 확대된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스플레이 유닛(12)에 제1 영역(52) 및 제2 영역(53)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5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도 5의 좌측에 비해 확대된 제1 영역(52) 및 확대된 제2 영역(53)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대된 제1 영역(52) 및 제2 영역(53)을 터치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을 각각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영역별로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한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와 비교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즈 스레시홀드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사이즈 스레시홀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줌인된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의 크기를 유지한 채,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각 영역의 크기를 줌인함으로써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좌측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지털 이미지(61)에 대한 컨트롤 인풋(64)을 제1 영역에서 디텍팅한 때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이미지(61)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62)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6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62)에서 컨트롤 인풋(64)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64)이 디텍팅되면 제1 영역(62)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62)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62)을 도 6의 좌측과 같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62)을 제1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6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6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확대된 제1 영역(62)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확대된 제1 영역(62)을 통해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64)이 디텍팅되는 동안 확대된 제1 영역(62)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64)이 릴리즈되면 확대된 제1 영역(62)을 원본 크기로 되돌릴 수 있다.
도 6의 우측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지털 이미지(61)에 대한 컨트롤 인풋(64)을 제2 영역에서 디텍팅한 때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이미지(61)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62)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6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63)에서 컨트롤 인풋(64)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64)이 디텍팅되면 제2 영역(63)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2 영역(63)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63)을 도 6의 우측과 같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63)을 제2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6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6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2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확대된 제2 영역(63)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확대된 제2 영역(63)을 통해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64)이 디텍팅되는 동안 확대된 제2 영역(63)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64)이 릴리즈되면 확대된 제2 영역(63)을 확대되기 전의 원본 크기로 되돌릴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을 줌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1 영역에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한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와 비교할 수 있다.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하는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의 시각 정보를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하는 영역을 줌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본 크기와 동일한 크기의 제1 영역을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제1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사이즈 스레시홀드 및 제1 배율 중 적어도 하나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사이즈 스레시홀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확대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 및 각 영역의 크기를 유지한 채,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하는 영역의 크기를 줌인함으로써 각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
도 7의 좌측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가 디지털 이미지(71)에 대한 컨트롤 인풋(74)을 제1 영역에서 디텍팅한 때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이미지(71)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72)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7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72)에서 컨트롤 인풋(74)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74)이 디텍팅되면 제1 영역(72)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1 영역(72)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도 7의 좌측과 같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확대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은 도 7의 좌측에서 점선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제1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1 영역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7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7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1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확대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확대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통해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74)이 디텍팅되는 동안 확대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74)이 릴리즈되면 확대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원본 크기로 복원하고, 제1 영역(72) 내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7의 우측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디지털 이미지(71)에 대한 컨트롤 인풋(74)을 제2 영역에서 디텍팅한 때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이미지(71)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72)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7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2 영역(73)에서 컨트롤 인풋(74)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컨트롤 인풋(74)이 디텍팅되면 제2 영역(73)의 크기를 사이즈 스레시홀드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제2 영역(73)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에 할당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도 7의 우측과 같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다. 확대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은 도 7의 우측에서 점선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에 할당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제2 배율로 확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제2 영역에서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7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1 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디텍팅된 컨트롤 인풋(74)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제2 배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는 확대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에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확대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통해 제2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74)이 디텍팅되는 동안 확대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유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74)이 릴리즈되면 확대된 제2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확대되기 전의 원본 크기로 복원하고, 제2 영역(73) 내에서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101),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 센서 유닛(103) 및 컨트롤러(104)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영역은 싱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실시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자잉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은 택타일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택타일 피드백 유닛의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컨트롤 인풋에 대응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디지털 이미지 중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디지털 이미지의 각 영역의 시각 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에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각 영역의 크기보다 넓은 영역을 택타일 피드백 발생 영역으로 설정하고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이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미세 진동 액츄에이터 또는 초음파 진동 액츄에이터(actuator)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해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진동 주파수 및 진동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는 택타일 피드백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미세전류를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전류의 세기, 발생 주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초음파 공진을 사용하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복수의 초음파를 발생하여, 이들을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공진시켜 사용자에게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은 공진 주파수의 크기, 공진을 발생시키는 주기를 조절하여 서로 다른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1)과 택타일 피드백 유닛은 실시예에 따라 택타일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통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센서 유닛(10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입력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감압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3)은 센싱된 컨트롤 인풋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04)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유닛(101)과 센서 유닛(103)의 터치 센서는 실시예에 따라 터치 센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통합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04)는 센서 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1) 및 택타일 피드백 유닛(102)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유닛(10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을 터치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되면, 제1 영역의 크기와 사이즈 스레시홀드를 비교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제1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확대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을 제1 배율로 줌인할 수 있으며, 제1 배율은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아래의 세 가지 방식으로 제1 영역을 줌인할 수 있다. 첫째로 컨트롤러(104)는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여 제1 영역을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을 포함하여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영역들까지 줌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대된 제1 영역뿐만 아니라 확대된 다른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도 정확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로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104)는 디지털 이미지 중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원본 크기를 유지한 채 제1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컨트롤 인풋으로 선택한 제1 영역이 선택적으로 확대됨을 시각과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셋째로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트롤러(104)는 제1 영역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의 각 영역을 원본 크기로 유지한 채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만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본 크기의 디지털 이미지를 시각으로 확인하면서 제1 영역보다 넓은 영역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촉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104)는 세 가지 방법으로 제1 영역을 줌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엘러먼트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동작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0).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각 영역은 싱글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제1 영역에서 디텍팅할 수 있다(S20).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센서 유닛을 이용하여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을 제1 영역에서 디텍팅할 수 있으며, 컨트롤 인풋이 디스플레이 유닛에 컨택트한 영역의 크기를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이 사이즈 스레시홀드보다 작은지 결정할 수 있다(S30).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여 사이즈 스레시홀드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사이즈 스레시홀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생산과정에서 설정된 수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치에 기초하여 사이즈 스레시홀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복수 회의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의 면적에 대한 평균치를 사이즈 스레시홀드로써 설정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이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제1 영역을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으로 제1 배율만큼 확대할 수 있다(S40).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를 줌인하여 제1 영역을 줌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을 포함하여 디지털 이미지에 포함된 다른 영역들까지 줌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확대된 제1 영역의 제1 택타일 피드백뿐만 아니라 확대된 다른 영역의 택타일 피드백도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지털 이미지 중에서 제1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원본 크기를 유지한 채 제1 영역만을 부분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컨트롤 인풋에 의해 선택된 제1 영역을 선택적으로 확대하고, 확대된 제1 영역을 통해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에 할당된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영역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의 각 영역을 원본 크기로 유지한 채 제1 택타일 피드백의 발생 영역만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원본 크기의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제1 영역보다 확대된 영역에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확대된 제1 영역이 컨트롤 인풋의 터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최소 배율을 제1 배율로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확대된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S50).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이용하여 확대된 제1 영역에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하는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초음파 진동 액츄에이터, 미세 전류, 또는 초음파 공진을 이용하여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이즈 스레시홀드보다 작은 영역을 줌인하고, 줌인된 영역에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택타일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11: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 유닛
13: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14: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 15: 컨트롤 인풋

Claims (21)

  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포함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센서 유닛 및 상기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써,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경우,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하고,
    상기 줌인된 제1 영역에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인풋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를 터치하는 터치 인풋이고,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는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풋이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상기 제1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는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의 크기이고,
    상기 제1 배율은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1 영역이 확대되는 배율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풋이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상기 제1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는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의 크기이고,
    상기 제1 배율은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이 상기 제1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확대되는 배율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인풋이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상기 제1 영역을 터치한 경우,
    상기 제1 배율은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이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 내에 포함되도록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발생되는 영역이 확대되는 배율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 및 상기 제1 영역은 줌인되지 않고 원본 크기가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인풋은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택타일 모드를 활성화하는 컨트롤 인풋이고,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는 기설정된 레퍼런스 면적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면적은 사용자의 터치 면적의 평균치로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면적의 평균치는 택타일 피드백을 포함한 디지털 이미지들에 대한 복수의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배율은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각각 할당된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이 구분되는 최소 배율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인풋이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함께 터치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제1 면적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팅된 제2 면적을 비교하고,
    상기 제1 면적이 상기 제2 면적 이상이면, 상기 제1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줌인하고,
    상기 제1 면적이 상기 제2 면적 미만이면, 상기 제2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줌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배율은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 및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이 각각 할당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최대 배율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이미지가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작은 크기를 갖는 영역을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줌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작은 크기를 갖는 영역을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줌인할 때의 배율을 제2 배율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큰 크기를 갖는 영역을 상기 제2 배율로 줌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뮤직 플레이어, 스마트 테이블, 모니터, 텔레비젼, 리모컨 또는 태블릿 컴퓨터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및 전자잉크(Electronic ink)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타일 피드백 유닛은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출력하고, 상기 초음파 진동의 주파수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택타일 피드백 유닛은 상기 제1 영역에 미세전류를 발생하여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상기 미세전류의 세기 및 발생 주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팅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이미지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인지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 미만이면,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상기 제1 영역을 상기 사이즈 스레시홀드 이상의 크기로 제1 배율만큼 줌인하는 단계; 및
    상기 줌인된 제1 영역에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제어 방법.
  2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지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지털 이미지는 서로 다른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는 센서 유닛;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영역에 할당된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택타일 피드백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센서 유닛 및 택타일 피드백 유닛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써,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터치하는 터치 인풋을 디텍팅하고,
    상기 터치 인풋이 디텍팅된 터치 영역에 상기 디지털 이미지 중 제1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1 영역 및 제2 택타일 피드백이 할당된 제2 영역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2 영역의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상기 제1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고,
    상기 제1 영역의 크기가 상기 제2 영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상기 터치 영역에 상기 제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130104656A 2013-09-02 2013-09-0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0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656A KR102201730B1 (ko) 2013-09-02 2013-09-0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4/092,328 US9507419B2 (en) 2013-09-02 2013-11-27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11379 WO2015030312A1 (en) 2013-09-02 2013-12-10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656A KR102201730B1 (ko) 2013-09-02 2013-09-0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85A true KR20150026185A (ko) 2015-03-11
KR102201730B1 KR102201730B1 (ko) 2021-01-12

Family

ID=5258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656A KR102201730B1 (ko) 2013-09-02 2013-09-02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07419B2 (ko)
KR (1) KR102201730B1 (ko)
WO (1) WO2015030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2642B2 (ja) * 2014-08-11 2019-10-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車両用撮像装置、車両用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
US9870718B2 (en) * 2014-12-11 2018-01-1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Imaging devices including spacing members and imaging devices including tactile feedback devices
US10380914B2 (en) 2014-12-11 2019-08-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nig North America, Inc. Imaging gloves including wrist cameras and finger cameras
KR102591807B1 (ko) * 2016-11-21 2023-10-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촉감자극을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391019A (zh) * 2017-07-25 2017-11-24 Tcl移动通信科技(宁波)有限公司 一种图片缩放方法、存储介质及终端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31541A1 (en) * 2009-03-12 2010-09-1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extur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US20110057886A1 (en) * 2009-09-10 2011-03-10 Oliver Ng Dynamic sizing of identifie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110138275A1 (en) * 2009-12-09 2011-06-09 Jo Hai Yu Method for selecting functional icons on touch screen
US20120079390A1 (en) * 2006-12-14 2012-03-29 Ballagh Jonathan B Method and Apparatus of Graphical Object Selection in a Web Browser
US8451248B1 (en) * 2012-09-28 2013-05-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7576B2 (en) * 2002-03-04 2005-06-14 Microsoft Corporation Legibility of selected content
US8018452B1 (en) * 2007-06-27 2011-09-13 Adobe Systems Incorporated Incremental update of complex artwork rendering
JP4450038B2 (ja) * 2007-09-12 2010-04-14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138896B2 (en) 2007-12-31 2012-03-20 Apple Inc. Tactile feedback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498622B1 (ko) 2008-06-25 201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촉각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289286B2 (en) 2008-12-19 2012-10-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Zooming keyboard/keypad
KR101553842B1 (ko) * 2009-04-21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햅틱 효과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9501B1 (ko) 2009-08-24 2016-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103161B1 (ko) 2010-02-03 2012-01-04 주식회사 팬택 터치 스크린 입력을 이용해서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8405627B2 (en) 2010-12-07 2013-03-26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Touch input disambiguation
CN103477316B (zh) 2011-03-28 2017-03-15 富士胶片株式会社 触摸面板装置和其显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9390A1 (en) * 2006-12-14 2012-03-29 Ballagh Jonathan B Method and Apparatus of Graphical Object Selection in a Web Browser
US20100231541A1 (en) * 2009-03-12 2010-09-16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extures in Graphical User Interface Widgets
US20110057886A1 (en) * 2009-09-10 2011-03-10 Oliver Ng Dynamic sizing of identifier on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110138275A1 (en) * 2009-12-09 2011-06-09 Jo Hai Yu Method for selecting functional icons on touch screen
US8451248B1 (en) * 2012-09-28 2013-05-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312A1 (en) 2015-03-05
US9507419B2 (en) 2016-11-29
KR102201730B1 (ko) 2021-01-12
US20150062024A1 (en)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8122B2 (ja) 入力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
KR10195877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8062B1 (ko)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스마트 워치 및 그 제어 방법
EP2541376B1 (en) Electronic apparatus
JP5832784B2 (ja)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395816B2 (en) Display device for selectively outputting tactile feedback and visual feedback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47689B1 (ko) 택타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니-맵을 제공하는 터치 센서티브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201730B1 (ko)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2530573B1 (en) Touch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RU2015114577A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локальной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для этого
KR20110041915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단말기
JP2012168890A (ja) 表示装置、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11387A (ko) 터칭 도구 또는 손가락의 사용에 따라 제공 정보를적합화하는 터치 스크린
JP5780438B2 (ja) 電子機器、位置指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49896B1 (en) Display device generating tactile feedback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8026128A (ja) タッチ入力装置の圧力タッチ方法
KR20120023405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50006382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선택된 키 식별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4886B1 (ko) 택타일 피드백 및 비주얼 피드백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0198290A (ja) 入力装置、ポインタの表示位置調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3235359A (ja) 情報処理装置及び入力装置
JP2011107738A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86880A (ja) 座標入力装置および座標入力方法
GB2470418A (en) Haptic information delivery
JP2005208992A (ja) 位置情報出力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