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160A -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160A
KR20150026160A KR20130104598A KR20130104598A KR20150026160A KR 20150026160 A KR20150026160 A KR 20150026160A KR 20130104598 A KR20130104598 A KR 20130104598A KR 20130104598 A KR20130104598 A KR 20130104598A KR 20150026160 A KR20150026160 A KR 20150026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image
panel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252B1 (ko
Inventor
김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20130104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252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the 3D volume being generated by moving a 2D surface, e.g. by vibrating or rotating the 2D surf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패널부; 상기 패널부에 연결되어 패널부의 수평 이동 및 기울어짐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완성된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는 수직화면 표시기간 동안 상기 패널부에 완성된 하나의 화면인 제1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수직동기 신호기간 또는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 후, 이어지는 수직화면 표시기간 동안 상기 위치 이동된 패널부에 상기 제1영상에 이어지는 완성된 하나의 화면인 제2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패널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완성된 입력 영상이 패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영상이 입력되지 않을 때 패널부를 위치 이동시켜며, 이어지는 하나의 완성된 영상이 위치 이동된 패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화면 표현의 다양성을 높이고 영상의 잔상 효과에 의한 입체 화면이 구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of Multi-Layer}
본 발명은 단위 화면을 프레임 단위로 완성하고, 복수의 단위 화면 사이의 수직 블랭킹 기간에 영상표시를 하지 않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그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블랭킹 기간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동시킨 다음, 그 이동 지점에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위치 이동지점이 복수개 인 경우 복수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이 형성되고, 복수개의 디스플레이패널은 그 영상의 깊이 차이로 인해 입체감을 발휘 시키는 효과가 있는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 블랭킹 기간이 아닌 화면표시 기간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하여 영상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순한 평면 디스플레이는 일상적인 화면을 표시할 수 있지만, 게임이나 광고 등에서는 다양하고 심도 있는 형태의 화면표시가 요구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형태의 입체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는 생산되어 판매되고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 방법 중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셔터(Shutter) 방식이나 폴(Pole)의 위상 차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안경을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무 안경식인 베리어(Barrier) 방식이나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 사용 방식의 경우 화면 밝기 저하, 시야 각 제한과 어지럼증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무 안경 식이면서 시야 각 제한이나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으며 화면의 심도를 제한적이지만 느낄 수 있는 멀티 레이어(Multi-Layer) 방식이 제안되어 일부 상용화되어 있다.
멀티 레이어 방식의 경우 백 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 위에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TFT LCD)을 얹고 그 위에 평면 디스플레이를 겹쳐 사용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무아레(Moire) 현상을 저감시킬 목적의 확산 판을 배치하고, 그 위에 다시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놓아 완성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화면시청의 자연스러움은 달성하였으나 두 장의 패널 사이에 확산 판이 필요하여 아래쪽 화면의 선명도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고, 특히 현재 TFT LCD의 경우 백 라이트 유닛 이용 효율이 6~7%정도로 하나의 패널을 사용하여 약 300Cd/m2의 최종화면 밝기를 내려면 4,615Cd/m2(6.5%효율로 가정) 밝기의 백 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따라서, 멀티 레이어 방식의 입체를 표현하려면 두 장의 패널이 필요하므로 각 패널의 백 라이트 유닛 이용 효율을 고려하여 최종 화면 밝기 300Cd/m2를 내기 위해서는 71,000Cd/m2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백 라이트 유닛이 필요하게 되어 1Watt당 150Cd/m2를 내는 LED 광원이라 가정하였을 때, 하나의 패널을 사용할 때 대비 15배 이상의 전력소비를 하게 되고 그에 따른 발열도 심하게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입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3차원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상기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2차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 이상의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서로 거리를 두고 적층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적층 방향을 따라 상기 거리만큼 왕복 운동시키는 진동 제어부와; 외부로부터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상기 진동 제어부로부터 상기 왕복 운동에 따른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3차원 영상 데이터의 깊이 정보 및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각각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에 2차원 영상 데이터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3차원 영상 표시 장치는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이 하나 이상 복수로 구비되어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제어부는 깊이 정보가 포함된 3차원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으므로, 영상 제어부에서 데이터의 처리량이 많아지며, 디스플레이 패널이 투명하여도 복수로 구비되므로 패널의 적층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영상의 선명도 및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1633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패널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완성된 입력 영상이 패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영상 정보가 없는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에 패널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이어지는 하나의 완성된 영상이 위치 이동된 패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왜곡 현상 없이 영상의 잔상 효과에 의한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패널부를 한 개만 사용함으로써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기간에 패널부를 위치 이동시켜 페이드인 또는 페이드 아웃 등 화면 표현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는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위 화면을 구성하는 수직화면 표시기간, 복수의 단위 화면 사이에 수직동기 신호에 따라 화면이 출력되지 않는 수직 블랭킹 기간을 갖는 영상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에 연결되어 패널부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블랭킹 기간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를 미리 정해진 전방 또는 후방 위치로 수평 이동시킨 후에, 그 수평 이동된 지점에서 상기 단위 화면을 상기 패널부로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위치 이동된 지점마다 가상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신호 제어하는 제어부; 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특정 내용의 설정된 영상이 입력되거나, 입력장치로 특정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위 화면을 출력으로 완성하는 기간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가 미리 정해진 전방 또는 후방 위치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단위 화면을 상기 패널부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의 기울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측면이 스크린부로 이루어진 박스 형태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부는 하프미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의 모서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조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널부가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패널부가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는 선형모터이고, 상기 제2구동부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직동기 신호기간을 포함한 수직 블랭킹 기간 또는 수직화면 표시기간에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 형태의 이동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서 패널부가 길이방향으로의 전진이 이루어지면, 다른 하나의 신호에서 패널부가 길이방향으로의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위 화면은 순차주사방식인 경우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 해당되고, 비월주사방식인 경우 하나의 필드 영상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홀수 번째의 프레임 또는 홀수 번째의 필드 영상인 경우 다른 하나의 영상은 각각 짝수 번째의 프레임 또는 짝수 번째의 필드 영상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하나의 패널부를 구비하여 하나의 완성된 입력 영상이 패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영상 정보가 없을 때 패널부를 위치 이동시키며, 이어지는 하나의 완성된 영상이 위치 이동된 패널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왜곡 현상 없이 영상의 잔상 효과에 의한 입체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패널부를 한 개만 사용함으로써 제작비가 절감될 수 있으며,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기간에 패널부를 위치 이동시켜 페이드인 또는 페이드 아웃 등 화면 표현의 다양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 신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패널부의 위치 이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서 엑스(X)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하고, 제트(Z)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동 신호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패널부의 위치 이동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부(100)와, 패널구동부(150)와, 보조가이드부(200)와, 제1구동부(300)와, 제2구동부(400)와, 제어부(7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패널부(100)는 2차원 등 일반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패널로써, TFT LCD, LED, OLED, Plasma Display 등과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패널구동부(150)는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패널부(10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패널부(100)에서의 화소 표시신호, 수직 제어신호, 수평 제어신호 등을 발생시킨다.
상기 보조가이드부(200)는 상기 패널부(100)의 모서리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보조가이드부(200)를 따라서 상기 패널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부(300)는 상기 패널부(100)에 연결되어 패널부(100)가 길이 방향으로 수평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것으로, 응답속도가 빠르고 구동 노이즈(Noise)가 적으며 위치제어 정밀도가 높은 초음파 선형모터(Piezo Linear motor) 또는 선형모터(Linear moto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00)의 구동으로 인해 패널부(100)는 보조가이드부(200)를 따라 길이방향 전후로 이동되면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지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400)는 상기 패널부(100)가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것으로, 스텝 모터(Step Moto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부(400)의 구동으로 인해 패널부(100)는 특정 영상이나 음향에 맞추어 흔들림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패널부(100)에 터치스크린 형태의 터치입력부(600)가 구비되면, 터치입력부(600)의 작동 시 이에 의한 반응 효과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부(300)와 제2구동부(400)는 구동 파워를 가지는 주 구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외부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패널구동부(150)로 입력받은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패널부(100)로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1구동부(300) 및 제2구동부(400)로 상기 패널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그래픽 카드(Graphic Card)를 구비한 PC 또는 이와 유사한 제어신호 등을 프로그램에 의해 출력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평면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VESA 등의 정해진 화면표시 규약이 존재하는데 통칭 표준영상 신호(Standard Signal)이라 표현한다.
표준영상 신호는 신호를 만들어 보내는 쪽과 받아서 평면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하는 쪽이 항상 일치하도록 왜곡 없는 올바른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수평신호와 수직신호로 신호를 구성하며, 각 수평신호와 수직신호에 동기신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쪽과 수신하는 쪽이 이 동기신호를 기준으로 화면을 표현함으로 왜곡 없이 일정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동기신호의 앞, 뒤로 여유시간을 확보하여 신호처리에 따른 지연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를 블랭킹(Blanking) 기간이라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신호기간에서 완성된 하나의 화면이 표시되는 수직화면 표시기간 동안 상기 패널부(100)로 완성된 하나의 2차원 화면인 제1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고,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수직동기 신호기간을 포함하는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 상기 제1구동부(300)를 구동시켜 패널부(100)가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패널부(100)의 이동의 기준신호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I)에서 수직동기 신호이며 복합영상 신호의 경우 영상신호에서 분리하여 사용 가능하고, 분리신호의 경우 수직동기신호를 별도로 받아 사용 가능하다.
이동의 기준신호는 수직화면 표시기간에 이은 수직동기 신호의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 형태의 제1이동신호(M1), 제2이동신호(M2)를 상기 제1구동부(300)로 전송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신호에서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서 패널부(100)가 길이방향으로의 전진이 이루어지면, 다른 하나의 신호에서 패널부(100)는 길이방향으로의 후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이어지는 수직신호기간에서 수직화면 표시기간 동안 상기 위치 이동된 패널부(100)에 상기 제1영상에 이어지는 완성된 하나의 2차원 화면인 제2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화면 표시기간 동안 고정된 위치에서 패널부(100)로 'A'로 표시되는 제1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수직동기 신호기간 또는 수직 블랭킹 기간 동안 패널부(100)를 위치 이동시키며, 이어지는 수직화면 표시기간 동안 고정된 다른 위치에서 패널부(100)로 'B'로 표시되는 제2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완성된 하나의 화면인 제1영상 또는 제2영상은 영상신호(I)가 순차주사방식(Progressive Scanning)인 경우 하나의 프레임(Frame) 영상에 해당되고, 비월주사방식(Interlaced Scanning)인 경우 하나의 필드(Field) 영상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홀수 번째의 프레임 또는 홀수 번째의 필드 영상인 경우 다른 하나의 영상은 각각 짝수 번째의 프레임 또는 짝수 번째의 필드 영상이 된다.
이처럼, 수직동기 신호기간 또는 수직 블랭킹 기간 중에 패널부(100)의 위치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제1구동부(300)를 통하여 수평 이동시킨 후 패널부(100)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실행하면 각 위치에서의 잔상효과에 의해 두 개의 화면표시 평면을 갖는 즉 심도 있는 다층 입체영상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수평 이동 지점에서 하나의 단위 화면인 프레임 또는 필드 영상을 상기 패널부(100)로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수평 위치 이동 지점마다 가상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구비시킨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700)는 제1구동부(300)를 구동시켜 패널부(100)가 수평 이동될 때 제2구동부(400)로 기울어짐 신호를 전송하여 패널부(100)가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길이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흔들리도록 하면 화면구성 내용에 맞는 추가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입력부(600)가 구비된 패널부(100)에 버튼이 포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터치입력부(600)를 통하여 화면상의 버튼을 누를 경우 패널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흔들리도록 하여, 버튼이 눌러졌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실감나는 효과를 구현할 수가 있다.
표시화면의 내용에 따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동기 신호기간을 포함하는 수직 블랭킹 기간이 아닌 수직화면 표시기간 중에 인위적으로 화면 이동 속도에 맞추어 패널부(100)를 길이방향 전후로 이동하면 화면이 점점 작아지거나 커지는 등의 페이드인(Fade-In) 및 페이드아웃(Fade-Out)도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화면표현의 다양성을 높이고, 입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동신호(M2)를 상기 제1구동부(300)로 전송하여 수직동기 신호기간을 포함하는 수직 블랭킹 기간에 미리 정해진 전방 또는 후방 위치에 패널부(100)가 정지되도록 하고 수직화면 표시기간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어서, 특정 내용의 설정된 영상이 입력되거나, 입력장치로 특정 외부 신호가 입력되어 프레임 또는 필드 영상이 완성되는 수직화면 표시기간 중에 인위적으로 화면 이동 속도에 맞추어 패널부(100)를 길이방향 전후로 이동시키면, 화면이 점점 작아지거나 커지는 등의 페이드인(Fade-In) 및 페이드아웃(Fade-Out)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즉, 제2이동신호(M2)에 수직화면 표시시간 중에 패널부(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를 포함시켜서 패널부(100)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대해 페이드인 또는 페이드 아웃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다.
참고로, 페이드인 또는 페이드 아웃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펄스 신호의 폭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거나 하면서 패널부(1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패널부(100)가 2개의 위치에서 잔상효과를 갖는 입체 영상의 표현뿐만 아니라 3개 위치 이상,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A', 'B', 'C'로 디스플레이되는 3개의 위치에서도 상술한 동일한 방법으로 패널부(100)가 위치 이동되도록 구현이 가능하며 3개 이상의 위치 이동으로 영상을 표현하면 더 깊은 심도와 다양한 종류의 입체감을 가지는 화면 구현이 가능하다.
이처럼, 수직동기 신호기간 또는 수직 블랭킹 기간에 패널부(100)를 이동시키려면 고속 이동이 필요한데, 패널부(100)의 모서리에 보조가이드부(200)가 구비되어 상기 패널부(100)가 고속으로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패널부(100)의 수직주파수가 120Hz를 넘어 180Hz 내지 240Hz 까지 사용 가능하므로, 패널부(100)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위치의 개수를 늘려 표현하더라도 수직주파수 분할에 따른 화질 선명도가 떨어지지 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가이드부(200)에는 위치센서부(5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위치센서부(500)를 통하여 패널부(100)의 위치 정보에 대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입력받아 패널부(100)의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나의 패널부(100)를 사용하여 블랭킹 기간에 각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며, 하나의 패널부(100)로 2개 이상의 가상의 패널부 사용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실제의 2개 이상의 패널부를 사용하는 것보다 전력 소비가 적고 이에 따른 발열이 적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면이 스크린부(S)로 이루어진 박스 형태의 하우징(B)의 내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B)의 내부는 진공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B)의 내부에도 모서리 또는 평면상에 보조가이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우징(B) 내부에서 보조가이드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S)는 하프미러(Half Mirror)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S)를 하프미러로 구성하면, 하프미러의 특성에 의해 상기 패널부(100)로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때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내부 구성 등은 보이지 않고, 패널부(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만 잔상 효과에 의해 여러 층의 화면으로 보이게 되어 더욱 실감나고 효과적인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린부(S)를 터치스크린으로 구성하면, 터치 기능에 반응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하프미러 형태로 구성하면 터치 기능과 더불어 하프미러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패널부 300: 제1구동부
400: 제2구동부 700: 제어부

Claims (13)

  1. 단위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수직 신호기간을 이용하고, 복수의 단위 화면 사이에 수직동기 신호에 따라 화면이 출력되지 않는 수직 블랭킹 기간을 갖는 방식의 영상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패널부(100); 및
    상기 패널부(100)에 연결되어 패널부(100)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블랭킹 기간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100)를 미리 정해진 전방 또는 후방 위치로 수평 이동시킨 후에, 그 수평 이동된 지점에서 상기 단위 화면을 상기 패널부(100)로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위치 이동된 지점마다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도록 신호 제어하는 제어부(700);
    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특정 내용의 설정된 영상이 입력되거나, 입력장치로 특정 외부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단위 화면을 출력으로 완성하는 기간에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100)가 미리 정해진 전방 또는 후방 위치로 수평 이동하면서 상기 단위 화면을 상기 패널부(100)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패널부(100)의 기울어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면이 스크린부(S)로 이루어진 박스 형태의 하우징(B); 및
    상기 하우징(B)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청구항 1에 의해 구현된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S)는 하프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S)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100)의 모서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보조가이드부(2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패널부(100)가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구동부(300)와, 상기 패널부(100)가 폭 방향을 축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시키는 제2구동부(400)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300)는 선형모터이고, 상기 제2구동부(400)는 스텝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는 수직동기 신호기간을 포함한 수직 블랭킹 기간 또는 수직화면 표시기간에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 형태의 이동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펄스 또는 하부 펄스 중 어느 하나의 신호에서 패널부(100)가 길이방향으로의 전진이 이루어지면, 다른 하나의 신호에서 패널부(100)가 길이방향으로의 후진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면은 순차주사방식인 경우 하나의 프레임 영상에 해당되고, 비월주사방식인 경우 하나의 필드 영상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 및 제2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이 홀수 번째의 프레임 또는 홀수 번째의 필드 영상인 경우 다른 하나의 영상은 각각 짝수 번째의 프레임 또는 짝수 번째의 필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4598A 2013-09-02 2013-09-02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0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598A KR101508252B1 (ko) 2013-09-02 2013-09-02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4598A KR101508252B1 (ko) 2013-09-02 2013-09-02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160A true KR20150026160A (ko) 2015-03-11
KR101508252B1 KR101508252B1 (ko) 2015-04-07

Family

ID=5302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4598A KR101508252B1 (ko) 2013-09-02 2013-09-02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2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403A (zh) * 2016-07-18 2018-01-26 杨军 三维立体成像显示仪
CN115190290A (zh) * 2022-06-10 2022-10-14 魏首勋 三维影像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30077933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제품 홍보를 위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3348B2 (ja) * 1992-06-09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3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JP3268625B2 (ja) * 1995-08-11 2002-03-25 シャープ株式会社 3次元画像表示装置
KR101170798B1 (ko) * 2005-06-01 2012-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층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체적형 3차원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1109362B1 (ko) * 2009-08-24 2012-02-06 의료법인 우리들의료재단 2차원 영상의 입체화 표시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32403A (zh) * 2016-07-18 2018-01-26 杨军 三维立体成像显示仪
KR20230077933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와이드테크 제품 홍보를 위한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CN115190290A (zh) * 2022-06-10 2022-10-14 魏首勋 三维影像显示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8252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04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image sequence while adjusting frame rate
US8040307B2 (en) 2D/3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0283056B2 (en)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ime division
US9019353B2 (en)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2D and 3D images
US7859484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101380517B1 (ko)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최적 시청 거리 제어 방법
JP493384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3d映像−立体変換機
KR20100032284A (ko)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4226835A (ja) 表示装置及び方法
EP2054752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CN103813157B (zh) 自动立体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KR20070053216A (ko) 뷰 모드의 검출
US91672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imensional image
US201301278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508252B1 (ko) 다층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202738032U (zh) 图像处理设备
EP2456211A2 (en) 3D display device and 3D display method
US1071579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2209938A (ja) 表示システム
JP2006115151A (ja) 立体表示装置
KR102279816B1 (ko) 무안경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276206B1 (ko) 가변형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1951297B1 (ko) 영상표시장치
US899479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KR20130134405A (ko) 시간 분할 방식의 무안경식 3차원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