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938A - Aerial cableway type cart - Google Patents
Aerial cableway type c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5938A KR20150025938A KR20130104135A KR20130104135A KR20150025938A KR 20150025938 A KR20150025938 A KR 20150025938A KR 20130104135 A KR20130104135 A KR 20130104135A KR 20130104135 A KR20130104135 A KR 20130104135A KR 20150025938 A KR20150025938 A KR 201500259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bracket
- basket
- mounting frame
- guid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1/00—Cable cranes, i.e. comprising hoisting devices running on aerial cable-ways
- B66C21/08—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 B66C21/10—Sag carriers or rope trolleys, suspended or not, e.g. fixed but offering clearance for travelling gear travel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공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cart)에서 벌채 작업을 함으로써 벌채 작업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with a machined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chined bead that can perform a cutting operation stably and efficiently by performing a beating operation on a cart moved along a machining line. .
일반적으로 가공선로에 접근하는 지장수목의 벌채는 벌목하거나 지상에서 사다리나 기구적 장치를 활용하여 해당 수목에 올라가서 인위적으로 톱이나 벌목용 공구를 이용하여 전지하고 있다.In general, the logging of trees that are approaching to the processing track is carried out by using cutting tools such as cutting or artificially climbing on the trees using ladders or mechanical devices on the ground.
가공선로를 이용하여 벌채할 수 있는 종래 기술들은 현재 구현되어 있지 않다.Conventional technologies that can be harvested using processed lines are not currently implemented.
특히, 산에서 발생되는 산불은 인적이 드물고 진입로가 형성되지 않거나 협소한 오지에서 발생되어 대화(大火)로 번지게 되는 것이 상례이므로, 초기 화재 발생시 소방도로를 빨리 확보하여 진압하는 것이 주안점이었다.
Especially, it is a common practice that the forest fires generated in the mountains are spread out to a large fire due to the lack of human resources, the lack of access roads, or the narrow area. Therefore, in the event of an initial fire,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99-0040919호(공개일 : 1999.12.06.)인 "벌채용 낫"이 제안되었다.
As a prior art,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20-1999-0040919 (date of publication: 1999.12.06.) Was proposed.
일반적으로 벌채는 지상에서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바, 큰 장비의 진입도로 등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고, 작업자가 나무에 올라가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Generally, harvesting is performed using a crane on the ground, and there is a difficulty in securing entry roads of large equipment, etc.,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safety accident occurs because a worker goes up to a tre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공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에서 벌채 작업을 함으로써 벌채 작업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ized beveled cart with a machining line capable of performing a cutting operation stably and efficiently by performing a cutting operation in a cart moved along a machining line. have.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바스켓을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키고, 바람에 많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ized beveled cart with a machining line capable of stably lifting and lowering a basket on which a worker is mounted an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from being shaken to a large extent by the wind.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는: 거치프레임, 상기 거치프레임에 연결되어 가공선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안내부재,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강제 이송시키는 구동부, 상기 거치프레임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에 연결되는 바스켓을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electric wire type pick-up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frame; a conveying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mounting frame to be conveyed along the processing line; a driving unit for forcibly conveying the conveying guide member; And a basket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가공선로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veying guide member includes a roller that is rotated along the machining line.
상기 구동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에 연결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가동으로 발전하고, 상기 동력원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발전기, 및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이송안내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Wherein the drive unit includes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stationary frame, a generator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of the power source and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power source, and a power generator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conveyance guide member,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력전달롤러부재, 및 상기 동력원과 상기 동력전달롤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동력전달롤러부재와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power transmitting roller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mounting frame and a belt membe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power transmitting roller member and connecting the power transmitting roller member and the feeding guide member do.
상기 동력전달롤러부재는 브레이크부재에 의해 회전 단속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ower transmitting roller member is rotationally interrupted by a brake member.
상기 거치프레임은 수평유지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frame has a horizontal holding member.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하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스켓은 로킹부재에 의해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 단속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unting frame defines a receiving space which is vertically opened to receive the basket therein, and the basket is fixedly engaged with the mounting frame by a locking member.
상기 바스켓은 둘레면에 삽입안내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aske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roller rotatably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가공선로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롤러로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은 수평유지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브라켓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veying guide member is rotatably provided on a bracket rotatable along the machining line, and the bracket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bracket by a horizontal holding elastic member.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공선로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가동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롤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강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bracket includes a movable roller that rotates along a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chining line, and the movable roller is forcibly rotated by the driving unit.
상기 가동롤러는 접촉유지부에 의해 상기 가공선로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able roller maintains a contact state with the constant pressure on the machined line by the contact holding portion.
상기 접촉유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접촉유지핀,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유지핀을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지지된 상기 접촉유지핀이 상기 가동롤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유지핀과 상기 가동롤러를 연결하는 가압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롤러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한 슬롯홀부를 포함한다.The contact holding portion may include a contact holding pin hing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a stopper provided on the bracket to support the contact holding pin, the contact holding pin held by the stopper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able roller, A pressing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contact holding pin and the movable roller, and a slot hole formed in the bracket to allow the movable roller to move up and down.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공선로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롤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접촉유지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구비한다.The bracket has a cylinder member connected to the contact holding pin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so as to press the machining line and fix the movable roller.
상기 승하강부재는, 상기 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강제 양방향 회전되는 권취릴, 및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채 상기 권취릴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한다.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includes a take-up reel rotatably provided on the stationary frame and rotated forcibly bi-directionally, and a wire member wound or unwound on the take-up reel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asket.
상기 거치프레임과 바스켓은 보조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frame and the basket are connected by an auxiliary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는 가공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카트에서 벌채 작업을 함으로써 벌채 작업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The motorized bevel-equipped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cutting operation stably and efficiently by performing the cutting operation in the cart moved along the machining line.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탑승하는 바스켓을 안정적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고, 바람에 많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raise and lower a basket on which a worker is mounted, and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being shaken by a large amount of win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초기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하강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초기 상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하강 상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브라켓 확대 정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initial perspective view of a motoriz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owered state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nitial front elevational view of a motoriz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the lowered state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bracket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초기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하강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itial state of a motoriz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wnwardly moving motoriz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100)는 가공선로(2)를 따라 이동하며 작업자가 벌채 작업할 수 있는 설비이며, 거치프레임(110), 이송안내부재(120), 구동부(130), 승하강부재(140) 및 바스켓(150)을 포함한다.1 to 3, a motor-operated
여기서, 가공선로(2)는 지상으로부터 유격된 상태로 배선되는 송전선로나 조가선 또는 통신선 등을 의미한다.Here, the
거치프레임(110)은 이송안내부재(120)를 연결하고, 구동부(130)와 승하강부재(140) 및 바스켓(15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물론, 거치프레임(1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거치프레임(110)은 사각틀 형상으로 도시된다. 이에 따라, 거치프레임(110)은 바스켓(15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하 개방되는 수용공간(112)을 형성한다.Of course, the
이송안내부재(120)는 거치프레임(110)에 연결되어 가공선로(2)를 따라 이송된다. 이때, 이송안내부재(12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가공선로(2)와 큰 마찰 없이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가공선로(2)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롤러로 함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거치프레임(110)은 이송안내부재(1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송안내부재(120)가 나란하게 배선되는 한 쌍의 가공선로(2)를 따라 이송되도록, 거치프레임(110)은 복수 개의 이송안내부재(120)를 구비한다. 편의상, 이송안내부재(120)는 가공선로(2) 각각에 한 쌍씩 이송 안내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즉, 이송안내부재(120)는 거치프레임(110)을 최소한 4곳을 가공선로(2)에 연결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거치프레임(110)은 안정적으로 이송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물론, 이송안내부재(120)는 거치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개수 및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이송안내부재(120)는 간접적으로 거치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직접적으로 거치프레임(11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된다.Of course, the
또한, 구동부(130)는 복수 개의 이송안내부재(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안내부재(120)를 강제 회전시키면서 가공선로(2)를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구동부(130)는 동력원(132), 발전기(134) 및 동력전달부재(136)를 포함한다.The
동력원(132)은 거치프레임(110)에 연결 즉, 거치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동력원(132)은 스텝모터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동력원(132)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동력원(132)의 필요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The
발전기(134)는 동력원(132)의 가동으로 발전하고, 동력원(13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동력원(132)은 발전기(134)의 발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발전기(134)는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된다. 물론, 발전기(134)의 개수 및 용량은 한정되지 않는다.The
또한, 동력전달부재(136)는 동력원(132)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이송안내부재(120)에 전달하여 이송안내부재(1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 동력전달부재(136)는 동력전달롤러부재(137) 및 벨트부재(139)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롤러부재(137)는 거치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복수 개 구비된다. 이때, 동력전달롤러부재(137)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안내부재(12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아울러, 벨트부재(139)는 대응되는 동력원(132)과 동력전달롤러부재(137)를 연결하고, 대응되는 동력전달롤러부재(137)와 이송안내부재(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동력원(132)이 가동되면, 동력원(1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동력전달롤러부재(137)가 강제 회전된다.The
연이어, 벨트부재(139)가 무한 회전되면서, 다른 동력전달롤러부재(137)가 강제 회전된다. 이때, 최종 위치의 동력전달롤러부재(137)가 이송안내부재(120)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벨트부재(139)를 통해 대응되는 이송안내부재(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송안내부재(120)는 동력원(132)에 연결되어 강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이송안내부재(120)가 가공선로(2)를 따라 구름 회전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채용 카트(100)는 가공선로(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이송안내부재(120)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벌채용 카트(100)는 가공선로(2)를 따라 양방향 이동 가능하게 된다.Subsequently, while the
한편, 승하강부재(140)는 거치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된다. 승하강부재(140)는 거치프레임(110)에 복수 개 구비되는 다단의 신축붐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또한, 바스켓(150)은 승하강부재(140) 각각의 단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바스켓(150)은 작업자가 타고 벌채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물론, 바스켓(15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따라, 벌채용 카트(100)가 가공선로(2) 상에서 위치 설정 후에는, 승하강부재(140)가 자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바스켓(150)은 벌채를 위한 작업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승하강부재(140)는 거치프레임(110)과 바스켓(150)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Further, the
한편, 가공선로(2) 상에서 위치 설정된 벌채용 카트(100)는 위치 고정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로서, 동력전달롤러부재(137) 또는 이송안내부재(120)는 브레이크부재(138)에 의해 회전 단속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브레이크부재(138)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력전달롤러부재(137) 또는 이송안내부재(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것으로서, 토글브레이크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레이크부재(138)는 거치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어 자동 또는 수동 조작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가공선로(2)는 휘어진 채 송전철탑(도시하지 않음)과 송전철탑을 잇도록 배선된다. 휘어진 가공선로(2)를 따라 이동되는 거치프레임(110)이 최대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거치프레임(110)은 수평유지부재(160)를 구비한다. 수평유지부재(160)는 무게추로 함이 바람직하고, 거치프레임(110)의 가장자리 또는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Further, the workin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초기 상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하강 상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의 브라켓 확대 정면도이다.FIG. 4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an initial state of an electric-powered type suitably us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elevation view of a lowered state of the electric- Fig. 7 is a plan view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bracket of a motor-operated beveled c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선로(2) 이동식 벌채용 카트(100)는 거치프레임(110), 이송안내부재(120), 구동부(130), 승하강부재(140) 및 바스켓(150)을 포함한다. 특히, 거치프레임(110)은 바스켓(150)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하 개방되는 수용공간(112)을 형성한다.4 to 7, the movable
아울러, 거치프레임(110)은 수용공간(112)에 수용된 바스켓(150)을 로킹부재(210)로써 고정 단속한다. 즉, 로킹부재(210)는 바스켓(150)을 거치프레임(110)에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로서, 로킹부재(210)는 로킹핀(212) 및 로킹홀(214)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로킹핀(212)은 바스켓(150)에 매달려 있다. 이때, 로킹핀(212)의 개수 및 굵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로킹홀(214)은 로킹핀(212)을 일대일 삽입하거나 뺄 수 있도록 거치프레임(110)의 수용공간(112)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바스켓(150)은 거치프레임(110)의 수용공간(112)에 안정적으로 삽입 안내됨이 바람직하다.The
바스켓(150)은 둘레면에 삽입안내롤러(252)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삽입안내롤러(252)는 수용공간(112)으로 삽입되는 바스켓(15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삽입안내롤러(252)는 거치프레임(110)과 부딪힘 발생시 완충 역할도 한다. 물론, 삽입안내롤러(25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안내부재(120)는 가공선로(2)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롤러이다. 이때, 이송안내부재(120)는 브라켓(22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onveying
브라켓(222)은 하나 이상의 이송안내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편의상, 브라켓(222)은 나란한 한 쌍의 가공선로(2)를 따라 한 쌍씩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222)은 한 쌍의 이송안내부재(12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물론, 브라켓(222)과 이송안내부재(120)는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브라켓(222)은 상부프레임(224)에 연결된다. 이때, 상부프레임(224)은, 거치프레임(110)과 동일하게,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브라켓(222)은 상부프레임(224)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The
또한, 거치프레임(110)은 브라켓(222)과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거치프레임(110)은 수평유지탄성부재(226)에 의해 브라켓(222) 각각과 연결된다. 수평유지탄성부재(226)는 휘어진 가공선로(2)에 의해 상부프레임(224)이 휘어지더라도 거치프레임(11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수평유지탄성부재(226)는 브라켓(222) 각각과 거치프레임(11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코일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수평유지탄성부재(226)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브라켓(222)은 가공선로(2)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가동롤러(260)를 구비한다. 이때, 이송안내부재(120)는 가공선로(2)의 상측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하게 된다. 특히, 브라켓(222)은 가공선로(2)를 따라 최소한 2개 구비됨에 따라, 가동롤러(260)는 하나의 가공선로(2)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The horizontal holding
복수 개의 가동롤러(2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구동부(130)에 의해 강제 회전된다. 여기서, 구동부(130)는 동력원(132) 및 발전기(134)를 포함한다. 동력원(132)은 해당되는 가동롤러(260)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동력원(132)은 스텝모터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동력원(132)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해당 가동롤러(26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동력원(132)의 필요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발전기(134)는 동력원(132)의 가동으로 발전하고, 동력원(13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동력원(132)은 발전기(134)의 발전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발전기(134)는 다양한 방식으로 거치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발전기(134)의 개수 및 용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거치프레임(110)은 발전기(134) 등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케이싱(213)을 가장자리에 구비한다. 케이싱(213)은 거치프레임(110)에 일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가동롤러(260) 각각은 접촉유지부(270)에 의해 휘어지거나 굴곡진 가공선로(2)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촉유지부(270)는 접촉유지핀(272), 스토퍼(274), 가압탄성부재(276) 및 슬롯홀부(278)를 포함한다.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접촉유지핀(272) 각각은 대응되는 브라켓(222)에 일측이 힌지 연결된다. 물론, 접촉유지핀(272)은 다양한 방식으로 브라켓(222)에 힌지 연결된다.Each of the contact holding pins 272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스토퍼(274)는 브라켓(222)에 구비되어 접촉유지핀(272)의 타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274)는 일측이 브라켓(222)에 힌지 연결된 접촉유지핀(272)의 하향 기울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스토퍼(27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개수로 변형 가능하다.The
또한, 가압탄성부재(276)는 스토퍼(274)에 지지된 접촉유지핀(272)이 가동롤러(260)를 탄성 지지하도록 접촉유지핀(272)과 가동롤러(260)를 연결한다. 가압탄성부재(276)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방식에 의해 접촉유지핀(272)의 타측과 가동롤러(260)의 중심축에 연결된다. 특히, 가압탄성부재(276)는 가동롤러(260)가 회전 가능하도록 가동롤러(260)의 중심축에 연결된다. 아울러, 슬롯홀부(278)는 가압탄성부재(276)의 탄성력이나 가공선로(2)의 곡률에 따라 가동롤러(260)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브라켓(222)에 형성된다. 따라서, 가동롤러(260)의 중심축은 슬롯홀부(278)를 따라 이동 안내된다.The pressing
한편, 브라켓(222)은 가공선로(2) 상에서 위치 설정된 후 벌채 작업 중에 위치 고정되어야 한다. 그래서, 브라켓(222)은 가동롤러(260)로써 가공선로(2)를 가압하여 가동롤러(260)를 고정하기 위해 접촉유지핀(272)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부재(280)를 구비한다. 즉, 실린더부재(280)는 일측이 브라켓(222)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실린더부재(280)의 타측은 접촉유지핀(272)의 타측에 연결된다. 편의상, 실린더부재(280)가 후진됨으로써 접촉유지핀(272)과 가동롤러(260)로써 가공선로(2)의 하측면을 이송안내부재(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으로 도시된다.On the other hand, the
한편, 승하강부재(140)는 거치프레임(110)에 대해 바스켓(150)을 승하강시키며 벌채 작업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승하강부재(140)는 권취릴(242) 및 와이어부재(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권취릴(242)은 거치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강제 양방향 회전된다. 특히, 권취릴(242)은 케이싱(213)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아울러, 권취릴(242)은 권취모터(243)에 연결되어 권취모터(243)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양방향 강제 회전된다. 특히, 권취모터(243)는 케이싱(213) 내측면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권취릴(242)은 거치프레임(11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된다.The take-up
또한, 와이어부재(244)는 바스켓(150)에 연결된 채 권취모터(243)의 구동에 의해 권취릴(242)에 감기거나 풀린다. 이에 따라, 바스켓(150)은 와이어부재(244)에 지지된 채 승하강하게 된다.The
한편, 와이어부재(244)가 절단될 경우, 바스켓(150)은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바스켓(150)은 와이어부재(244)에 의해 거치프레임(110)에 연결됨에 따라 바람으로 인해 흔들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치프레임(110)과 바스켓(150)은 별도의 보조연결부재(290)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보조연결부재(290)는 거치프레임(110)과 바스켓(150)을 더 연결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보조연결부재(290)는 팬터그래프(pantograph)로 도시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The auxiliary connect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벌채용 카트 110: 거치프레임
120: 이송안내부재 130: 구동부
132: 동력원 134: 발전기
136: 동력전달부재 140: 승하강부재
150: 바스켓 160: 수평유지부재
210: 로킹부재 222: 브라켓
224: 상부프레임 226: 수평유지탄성부재
242: 권취릴 244: 와이어부재
260: 가동롤러 270: 접촉유지부100: bee hiring cart 110: mounting frame
120: conveying guide member 130:
132: power source 134: generator
136: power transmitting member 140: lifting member
150: basket 160: horizontal holding member
210: locking member 222: bracket
224: upper frame 226: horizontal holding elastic member
242: take-up reel 244: wire member
260: movable roller 270: contact holding portion
Claims (15)
상기 거치프레임에 연결되어 가공선로를 따라 이송되는 이송안내부재;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강제 이송시키는 구동부;
상기 거치프레임에 연결되어 승하강 작동되는 승하강부재; 및
상기 승하강부재에 연결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Mounting frame;
A transfer guide member connected to the stationary frame and transferred along the processing line;
A driving unit for forcibly transferring the conveying guide member;
An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connected to the stationary frame to move up and down; And
And a basket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가공선로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veying guide member includes a roller rotated in a rolling manner along the machining line.
상기 거치프레임에 연결되는 동력원;
상기 동력원의 가동으로 발전하고, 상기 동력원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발전기; 및
상기 동력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이송안내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A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stationary frame;
A generator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of the power source and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power source; And
And a power transmitting member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conveying guide member to rotate the conveying guide member.
상기 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력전달롤러부재; 및
상기 동력원과 상기 동력전달롤러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동력전달롤러부재와 상기 이송안내부재를 연결하는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3,
A power transmission roller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ationary frame; And
And a belt member connecting the power sour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roller member and connecting the power transmission roller member and the feed guide member.
상기 동력전달롤러부재는 브레이크부재에 의해 회전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power transmission roller member is rotationally interrupted by the brake member.
상기 거치프레임은 수평유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tionary frame has a horizontal holding member.
상기 거치프레임은 상기 바스켓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해 상하 개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바스켓은 로킹부재에 의해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unting frame forms a receiving space which is vertically opened to receive the basket therein;
Wherein the basket is fixedly interlocked to the mounting frame by a locking member.
상기 바스켓은 둘레면에 삽입안내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8. The method of claim 1 or 7,
Wherein the basket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guide roller rotatably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이송안내부재는 상기 가공선로를 따라 구름 회전되는 롤러로서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부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은 수평유지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veying guide member is a roller that is rotated in a rolling manner along the machining line, and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racket;
The bracket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bracket by a horizontal holding elastic member.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공선로의 하측 둘레면을 따라 구름 회전되는 가동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롤러는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강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racket includes a movable roller which is rotated in a rolling manner along a low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chining line;
Wherein the movable roller is forcibly rotated by the driving unit.
상기 가동롤러는 접촉유지부에 의해 상기 가공선로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ovable roller is kept in contact with the machining line at a constant pressure by the contact holding portion.
상기 브라켓에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접촉유지핀;
상기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접촉유지핀을 지지하는 스토퍼;
상기 스토퍼에 지지된 상기 접촉유지핀이 상기 가동롤러를 탄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접촉유지핀과 상기 가동롤러를 연결하는 가압탄성부재; 및
상기 가동롤러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에 형성한 슬롯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1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1,
A contact holding pin hinged to one side of the bracket;
A stopper provided on the bracket to support the contact holding pin;
A pressing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contact holding pin and the movable roller so that the contact holding pin supported by the stopper elastically supports the movable roller; And
And a slot hole formed in the bracket to allow the movable roller to move up and down.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가공선로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롤러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접촉유지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bracket includes a cylinder memb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act holding pin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so as to press the machining line and fix the movable roller.
상기 거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강제 양방향 회전되는 권취릴; 및
상기 바스켓에 연결된 채 상기 권취릴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7, wherein the lifting /
A take-up reel rotatably provided in the stationary frame and forcibly bi-directionally rotated; And
And a wire member connected to the basket and wound or unwound on the take-up reel.
상기 거치프레임과 상기 바스켓은 보조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선로 전동식 벌채용 카트.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mounting frame and the basket are connected by an auxiliary connecting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4135A KR102064165B1 (en) | 2013-08-30 | 2013-08-30 | Aerial cableway type c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4135A KR102064165B1 (en) | 2013-08-30 | 2013-08-30 | Aerial cableway type ca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5938A true KR20150025938A (en) | 2015-03-11 |
KR102064165B1 KR102064165B1 (en) | 2020-01-10 |
Family
ID=5302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4135A KR102064165B1 (en) | 2013-08-30 | 2013-08-30 | Aerial cableway type c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41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47306A (en) * | 2018-02-06 | 2018-06-12 | 东莞市粤惠建筑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 A kind of structure material lif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67297A (en) * | 2002-08-05 | 2004-03-04 | Daifuku Co Ltd | Conveyance device |
JP5595666B2 (en) * | 2009-01-31 | 2014-09-24 | 住友建機株式会社 | Excavator |
KR101283432B1 (en) * | 2012-11-27 | 2013-07-08 | 민선미 | The travelling worktable for test repair reparailroad cars |
-
2013
- 2013-08-30 KR KR1020130104135A patent/KR102064165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47306A (en) * | 2018-02-06 | 2018-06-12 | 东莞市粤惠建筑工程技术咨询有限公司 | A kind of structure material lifting device |
CN108147306B (en) * | 2018-02-06 | 2020-03-20 | 广东粤文建筑科技有限公司 | Material hoisting device for build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4165B1 (en) | 2020-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247336B (en) | Pay-off of electric power cable | |
KR101663458B1 (en) |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king Cable Raid Grommet | |
KR101874637B1 (en) | Lifting device for orchard working | |
JP6732221B2 (en) | Overhead wire collecting device and col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60049746A (en) | Pruning robot | |
KR101630133B1 (en) | Hoist of the semiconductor and LCD manufacturing equipment | |
CN105799966B (en) | Wire packing sorting equipment | |
KR20150025938A (en) | Aerial cableway type cart | |
CN209939050U (en) | Packaging equipment | |
KR101496226B1 (en) | Gondola for blade of wind generator | |
CN108040603B (en) | Fruit picking device | |
KR20160071182A (en) | Onion knob and root cutting device | |
CN112723010A (en) | Branching winding device for cable production | |
CN110217279B (en) | Conveyer for fiber processing | |
JP6374545B1 (en) | Long member recovery device | |
CN112845991B (en) | Shearing device for armored cable | |
CN111727154A (en) | Winding machine | |
CN106240869A (en) | The packer of bus duct | |
JP2006262720A (en) | Crop harvester | |
JP4374325B2 (en) | Container transfer device and crop harvester equipped with the container transfer device | |
US20160031579A1 (en) | Net wrap and twine removal system and methods | |
CN109463156B (en) | Anti-falling pruning tool | |
CN214069535U (en) | High-voltage cable winding and unwinding groove guiding device | |
CN218699229U (en) | Cutting device is used in filter cloth production | |
CA2849958A1 (en) | Device for controlling and cleaning wired audio heads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