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921A -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921A
KR20150025921A KR20130104105A KR20130104105A KR20150025921A KR 20150025921 A KR20150025921 A KR 20150025921A KR 20130104105 A KR20130104105 A KR 20130104105A KR 20130104105 A KR20130104105 A KR 20130104105A KR 20150025921 A KR20150025921 A KR 20150025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n
value
packet
content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3511B1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5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9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a combination of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04L43/0882Utilisation of link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2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discarding or delaying data units, e.g. packet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 CCN)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있어서, CCN의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로부터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주기별 모니터링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하는 과정과, 소정 필드에 마킹값이 할당된 인터레스트 패킷을 CCN에서 릴레이된 다음- 홉(next-hop)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CCN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DYNAMICALLY IN NETWORK BASED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제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은 주소 중심의 통신 구조를 갖고 있어 향후 컨텐츠 중심의 서비스 환경에서는 노드의 이동성이나 멀티캐스팅, 정보 보안 등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에 기존 IP 주소 중심의 인터넷 통신 방식을 컨텐츠 이름(contents name)을 식별자로 하는 CCN 이라고 하는 새로운 네트워킹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기존 CCN에서는 컨텐츠 패킷 단위별로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을 전송하여 네트워크 캐쉬 혹은 컨텐츠 생성자를 룩업(lookup)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획득하게 한다. 즉,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전달되는 컨텐츠 오브젝트(contents object) 패킷은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과 동일한 경로 상에서 반대 방향으로 하여 전달된다.
그러나, 악의적 사용자 혹은 계약을 위반하여 과도한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사용자로 인해 CCN 네트워크의 성능은 크게 감소될 수 있는 문제를 갖고 있다.
아울러, 전체 네트워크의 실패(failure)를 야기하여 서비스 단절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입구 컨텐츠 라우터(ingress content router)에서 기설정된(pre-defined) 한계치 이상으로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에 대해 계약 위반 여부를 알리는 마킹(marking) 필드를 추가하여 CCN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에서 네트워크 폭주 시 마킹 레벨(marking level)에 따라 해당 패킷을 폐기시킴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 하락을 차단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며,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 CCN)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있어서, CCN의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로부터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주기별 모니터링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하는 과정과, 소정 필드에 마킹값이 할당된 인터레스트 패킷을 CCN에서 릴레이된 다음- 홉(next-hop)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CCN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CCN 내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을 수신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CCN 페이스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하는 트래픽 모니터링부와, 상기 트래픽 모니터링부에서 주기별 모니터링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고, 관련 마킹값을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생성하는 마커 생성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인터레스트 패킷을 릴레이된 다음-홉(next-hop)으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와, CCN 내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는 CCN 노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CCN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트래픽을 제어하여 공정성(fairness)에 근간한 트래픽 제어 기능 제공을 통해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UX를 향상하고, 트래픽 제어를 위한 복잡한 기능의 추가 없이 소프트웨어적 처리에 의해 효율적으로 트래픽 양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서 CCN 입구 라우터 노드에 관한 상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 CCN)에서 트래픽 처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CCN 환경에서 과도한 네트워크 트래픽의 교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네트워크 실패(network failure) 문제 감소를 위해 입구(ingress) 컨텐츠 라우터 측에서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하고, 임계치 초과 시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부여하고 이를 수신한 CCN 노드에서 마킹값이 부여된 필드값을 추출하여 추출된 마킹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폐기하거나 혹은 지연값을 추가하여 포워딩함으로써 CCN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트래픽을 제어하여 공정성(fairness)에 근간한 트래픽 제어 기능 제공을 통해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UX를 향상하고, 트래픽 제어를 위한 복잡한 기능의 추가 없이 소프트웨어적 처리에 의해 효율적으로 트래픽 양을 제어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kr: CCN)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외부 인터넷으로부터 들어오는 패킷의 인그레스(ingress)인 CCN의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로부터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CCN 페이스는 인터레스트 패킷이 수신된 페이스(face) 또는 포트(port)를 포함하며, 인터레스트 패킷이 수신된 인터페이스 정보를 통해 인터레스트 패킷이 수신된 페이스 또는 포트 또는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패킷이 제공되는 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112 과정에서는 주기별 모니터링된 CCN 페이스별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초과한 경우 114 과정으로 이동하여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한다.
이때,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은, 널(null),옐로우(yellow) 및 레드(red)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널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하로 임계치 레벨 제1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옐로우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상으로 상기 제1 범위보다 크고, 제2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 대응하고, 상기 레드 값은 인터리스 패킷의 유입이 상기 제2 범위에 대응한다.
116 과정에서는 상기 114 과정의 동작을 통해 식별된 관련 마킹값을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정보를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한다.
이와 같이 소정 필드에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특정 마킹값으로 할당된 인터레스트 패킷을 118 과정에서 CCN에서 릴레이(relay)된 다음-홉(next-hop)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110 ~ 118 과정의 동작을 환언하면, 상기 입구 CCN 라우터 노드에서는 각 CCN 페이스별로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단위 시간당 평균 유입량이 미리 규정된 한계치 값을 초과하는지 유무를 감시한다. 이를 통해 기설정된 임계치(pre-defined threshold) 이상으로 과도하게 트래픽이 발생되는 CCN 페이스로부터의 인터레스트 패킷들에 마킹 옵션(marking option)값을 추가하여 다음-홉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마킹 옵션의 값은 한계치 초과 범위에 따라 다르게 마킹 값(marking value)이 할당되게 한다. 즉, 첫 번째 한계치 (th1) 이하로 패킷이 유입되는 경우, 별도의 마킹 옵션을 추가하지 않는다.
패킷 유입량 (Tr)이 th1<= Tr <th2 범위에 있는 경우, 옐로우 값(yellow value)을 마킹 옵션에 추가한다. 마지막으로, Tr>= th2 인 경우에는 레드 값(red value)을 추가한다. 이를 통해 향후 CCN 코어 네트워크의 컨텐츠 라우터들이 네트워크 정체(congestion) 사건 발생시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들에 대한 선별적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
이후, 120 과정에서는 CCN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120 과정에서 추출된 마커(marker)가 표시된 필드의 마킹값이 널(null)인지의 여부를 122 과정에서 확인하여 널 값인 경우 128 과정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은 CCN의 전송 플로우에 따라 다음-홉으로 포워딩을 수행한다.
상기 122 과정에서 확인 결과, null이 아닌 경우, 124 과정으로 이동하여 추출된 마커가 표시된 필드의 마킹값이 옐로우 값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옐로우 값인 경우 130 과정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소정의 지연(delay)값을 추가하여 다음-홉으로 포워딩한다.
상기 124 과정에서 옐로우 값이 아닌 경우, 126 과정으로 이동하여 레드값을 확인하고, 132 과정으로 이동하여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폐기한다.
이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CCN 라우터들은 정상적인 인터레스트/데이터 교환을 통해 네트워크 병목현상을 억제한다. 즉, 레드 마커(Red marker)를 갖는 인터레스트 패킷은 더 이상의 전송 없이 해당 CR에서 폐기한다.
이와 달리 옐로우 마커(yellow marker)를 갖는 인터레스트 패킷은 폐기 대신 임의의 지연 값을 더해 다음-홉으로 포워딩하여 인위적 전송 지연을 가한다. 어떠한 마커도 갖지 않는 인터레스트 패킷은 정상적인 포워딩 과정을 거쳐 다음 홉으로 전달한다. 이를 통해 전체 네트워크 내 트래픽 양의 억제 및 성능 하락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CCN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200)은 CCN 컨텐츠 제공 노드(210), CCN 컨텐츠 요청 노드(214), CCN 입구 라우터 노드(212), CCN 페이스(216) 및 CCN 클라이언트 노드(218)을 포함하며, 상기 CCN 입구 라우터 노드(212)에서 CCN 페이스별 기설정된 한계치 이상으로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에 대해 계약 위반 여부를 알리는 마킹(marking) 필드를 추가하여 CCN 코어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폭주 시 마킹 레벨에 따라 해당 패킷을 폐기시킴으로써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 하락을 차단하는 전송 플로우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서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에 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입구 CCN 라우터 노드(300)는 CCN에서 CCN 컨텐츠 제공/요청 노드와 CCN 클라이언트 노드 간에 위치하여 CCN 메시지/패킷 및 컨텐츠를 중계하는 것으로, 인터레스트 패킷 수신부(312), 트래픽 모니터링부(314), 제어부(316), 마커 생성부(318) 및 전송부(320)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 수신부(312)는 CCN 페이스(310)의 페이스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을 수신한다.
상기 트래픽 모니터링부(314)는 CCN 내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을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 수신부(312)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CCN 페이스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어부(316)는 트래픽 모니터링부(314)에서 주기별 모니터링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고, 관련 마킹값을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6)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널(null), 옐로우(yellow) 및 레드(red) 값의 마킹값을 식별한다.
이때, 상기 널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하로 임계치 레벨 제1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옐로우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상으로 상기 제1 범위보다 크고, 제2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 대응하고, 상기 레드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상기 제2 범위에 대응한다.
상기 마커 생성부(318)는 제어부(316)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생성하여 제어부(316)로 출력한다.
상기 전송부(320)는 제어부(316)의 제어 하에 인터레스트 패킷을 릴레이(relay)된 다음-홉(next-hop)으로 전달한다.
상기 입구 CCN 라우터 노드(300)의 전송부(320)를 통해 출력된 인터레스트 패킷은 CCN 내 CCN 노드의 패킷 처리부(322)로 전달된다.
상기 패킷 처리부(322)는 CCN 내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한다.
이때, 상기 패킷 처리부(322)는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레드 값(red-value)이 할당된 레드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폐기하고,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옐로우 값(yellow-value)이 할당된 옐로우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소정의 지연 값을 추가하여 다음-홉으로 포워딩한다.
또한, 상기 패킷 처리부(322)는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레드 값(red-value)이 할당된 레드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폐기하고,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옐로우 값(yellow-value)이 할당된 옐로우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소정의 지연 값을 추가하여 다음-홉으로 포워딩한다.
한편,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은, 다수의 필드로 구성되어 각 필드에,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해당 컨텐츠를 찾아가기 위해 필요한 컨텐츠의 이름에 해당하는 컨텐츠 프리픽스(prefix), 컨텐츠가 복수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경우에 필요한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의 세그먼트(segment),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노드 지정을 위한 캐시 토큰(cache token) 및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음을 컨텐츠 제공자에게 알리기 위한 캐퍼빌리티 비트(capability bit),트래픽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마킹 값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컨텐츠 프리픽스는, 상기 CCN 노드가 속한 CCN 도메인의 프리픽스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310: CCN Face 312: 인터레스트 패킷 수신부
314: 트래픽 모니터링부 316: 제어부
318: 마커 생성부 320: 전송부
322: 패킷 처리부

Claims (11)

  1.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Content Centric Network: CCN)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에 있어서,
    CCN의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로부터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주기별 모니터링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하는 과정과,
    소정 필드에 마킹값이 할당된 인터레스트 패킷을 CCN에서 릴레이된 다음- 홉(next-hop)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CCN 노드로부터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은,
    널(null),옐로우(yellow) 및 레드(red)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널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하로 임계치 레벨 제1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옐로우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상으로 상기 제1 범위보다 크고, 제2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 대응하고, 상기 레드 값은 인터리스 패킷의 유입이 상기 제2 범위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레드 값(red-value)이 할당된 레드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폐기하고,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옐로우 값(yellow-value)이 할당된 옐로우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소정의 지연 값을 추가하여 다음-홉으로 포워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널(null) 값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은 CCN의 전송 플로우에 따라 다음-홉으로 포워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5.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CCN 내 CCN 페이스(face)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interest) 패킷을 수신부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CCN 페이스별 유입되는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을 기설정된 주기별로 모니터링하는 트래픽 모니터링부와,
    상기 트래픽 모니터링부에서 주기별 모니터링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량에 대한 기설정된 임계치 초과 여부를 판단하고,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고, 관련 마킹값을 생성하도록 제어하여 기설정된 임계치가 초과되어 인터레스트 패킷이 유입되는 해당 CCN 페이스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에 할당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마킹 값(marking value)을 식별하여 관련 마킹값을 생성하는 마커 생성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인터레스트 패킷을 릴레이된 다음-홉(next-hop)으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입구(ingress) CCN 라우터 노드와,
    CCN 내 수신된 인터레스트 패킷의 소정 필드를 추출하여 추출된 필드에 할당된 값에 따라 선별적으로 인터레스트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는 CCN 노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CCN 라우터 노드의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 레벨 범위별로 할당된 널(null), 옐로우(yellow) 및 레드(red) 값의 마킹값을 식별하고,
    상기 널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하로 임계치 레벨 제1 범위에 대응하고, 상기 옐로우 값은 인터레스트 패킷의 유입이 임계치 이상으로 상기 제1 범위보다 크고, 제2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 대응하고, 상기 레드 값은 인터리스 패킷의 유입이 상기 제2 범위에 대응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레드 값(red-value)이 할당된 레드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폐기하고,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옐로우 값(yellow-value)이 할당된 옐로우 마커(marker)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을 소정의 지연 값을 추가하여 다음-홉으로 포워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처리부는,
    상기 추출된 필드로부터 추출된 값이 널(null) 값인 경우 해당 인터레스트 패킷은 CCN의 전송 플로우에 따라 다음-홉으로 포워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CCN 라우터 노드는,
    CCN에서 CCN 컨텐츠 제공/요청 노드와 CCN 클라이언트 노드 간에 위치하여 CCN 메시지/패킷 및 컨텐츠를 중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스트 패킷은,
    다수의 필드로 구성되어 각 필드에,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해당 컨텐츠를 찾아가기 위해 필요한 컨텐츠의 이름에 해당하는 컨텐츠 프리픽스,
    컨텐츠가 복수 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된 경우에 필요한 컨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컨텐츠의 세그먼트(segment),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노드 지정을 위한 캐시 토큰(cache token) 및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음을 컨텐츠 제공자에게 알리기 위한 캐퍼빌리티 비트(capability bit),
    트래픽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마킹 값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프리픽스는,
    상기 CCN 노드가 속한 CCN 도메인의 프리픽스 정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제어 방법.
KR1020130104105A 2013-08-30 2013-08-30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4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05A KR101543511B1 (ko) 2013-08-30 2013-08-30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105A KR101543511B1 (ko) 2013-08-30 2013-08-30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921A true KR20150025921A (ko) 2015-03-11
KR101543511B1 KR101543511B1 (ko) 2015-08-11

Family

ID=5302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105A KR101543511B1 (ko) 2013-08-30 2013-08-30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56B1 (ko) * 2019-10-11 2020-10-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Icn 라우터 및 콘텐츠 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토큰 기반 캐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056B1 (ko) * 2019-10-11 2020-10-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Icn 라우터 및 콘텐츠 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토큰 기반 캐싱 시스템의 제어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511B1 (ko)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8757B2 (en) In-situ passive performance measurement in a network environment
US9276852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warding node, received packet process method, and program
US8023504B2 (en) Integrating security server policies with optimized routing control
EP2667548A1 (en) Network traffic volume distribution method, network node, and system
JP2021512567A (ja) データ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候補フロー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306858B2 (en) Network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bnormal traffic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CN102356601B (zh) 网络中的路径特性
JP2007201966A (ja) トラフィック制御方式、装置及びシステム
US8520534B2 (en) In-service throughput testing in distributed router/switch architectures
US8787160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judging path congestion
WO2021093465A1 (zh) 发送报文、接收报文以进行oam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455886B1 (ko) 서비스 기능 체이닝 혼잡 피드백
KR101712168B1 (ko) 패킷 입력 메시지 제어 방법, 이를 수행하는 스위치 및 컨트롤러
Asaeda et al. Mtrace Version 2: Traceroute facility for IP multicast
JP4678652B2 (ja) P2pトラフィック監視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3179678A (ja) ルータ装置
Krishnan et al. Mechanisms for optimizing link aggregation group (LAG) and equal-cost multipath (ECMP) component link utilization in networks
CN112437017A (zh) 一种数据流控系统、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1543511B1 (ko)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동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5328087B2 (ja) ルータ装置
JP2014229982A (ja) 攻撃トラヒック対策システム、経路制御装置、攻撃トラヒック対策方法及び経路制御プログラム
US20180123913A1 (en) Method and network entity for control of value added service (vas)
McNerney et al. A 2-dimensional approach to qos provisioning in adversarial mobile ad hoc network environments
US10778546B2 (en) Aggregate energy consumption across a network
Lobato et al. An architecture for intrusion prevention using software defin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