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817A -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817A
KR20150025817A KR20130103872A KR20130103872A KR20150025817A KR 20150025817 A KR20150025817 A KR 20150025817A KR 20130103872 A KR20130103872 A KR 20130103872A KR 20130103872 A KR20130103872 A KR 20130103872A KR 20150025817 A KR20150025817 A KR 2015002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electrostatic
terminal
high voltage
electrostatic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564B1 (ko
Inventor
최지은
김우진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3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64B1/ko
Priority to JP2016538859A priority patent/JP6437556B2/ja
Priority to PCT/KR2014/008105 priority patent/WO2015030538A1/en
Priority to EP14840740.6A priority patent/EP3039351B1/en
Priority to CN201480047871.7A priority patent/CN105492834B/zh
Publication of KR2015002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57Arrangements for discharg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using a gun or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53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e.g. charging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75Nozzle arrangements in gas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전분무모듈은 단자가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고전압발생기에 연결되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단자와 통전되는 통전기구를 포함하고, 통전기구는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접촉부재를 단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정전분무캡슐을 신뢰성 높게 장착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의 서비스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Electrostatic spray modul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전분무장치는 액체를 무화시킬 수 있는 무화장치로서, 전극과 대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액체를 무화시키는 장치이다.
정전분무장치는 액체가 담겨지는 용기와, 용기로부터 액체를 흡입하는 전극과, 전극과 전위차를 형성하기 위한 접지 전극과,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분무장치는 액체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전극으로 흡수될 수 있고, 고전압 전원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액체의 표면장력 보다 높은 전기력이 생성되고,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액체의 액적이 미립하되고 미스트(Mist)로 분열되어 액체가 분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전분무캡슐을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게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단자가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통전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단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일부가 상기 정전분무캡슐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단자와, 일부가 상기 정전분무캡슐 외부로 노출되는 고전압인가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전기구는 상기 접지단자와 통전되는 접지단자 통전기구와, 상기 고전압인가단자와 통전되는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의 접촉부재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의 접촉부재 중 하나는 상기 볼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는 상기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가 설치된 하판과; 상기 하판에 돌출되고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가 배치된 제 1 벽과; 상기 하판에 상기 제 1 벽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홀더가 배치된 제 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지단자의 일부와 고전압인가단자의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지단자 통전기구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고전압인가단자와 접촉되는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고전압인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은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 중 하나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 사이에 송풍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송풍유로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공기를 공기 흡입부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부로 토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정전분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분무모듈은 단자가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통전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단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모듈은 상기 정전분무 캡슐 홀더가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토출부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공간이 개방된 토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 바디는 상기 정전분무모듈이 수용되는 모듈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모듈은 상기 공기토출공간으로 기능성물질을 분무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캡슐은 상기 공기토출공간을 통해 상기 정전분무 캡슐 홀더로 출입될 수 있다.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전분무캡슐을 신뢰성 높게 장착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의 서비스 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정전분무캡슐이 통전기구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통전기구와 접촉되므로, 정전분무캡슐의 착탈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지 않고, 정전분무캡슐을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정전분무캡슐이 외부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의 접지단자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의 전압인가단자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정전분무캡슐 홀더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접지단자가 정전분무캡슐 홀더의 통전기구에 접촉될 때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이 정전분무캡슐 홀더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고전압인가단자가 정전분무캡슐 홀더의 통전기구에 접촉될 때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이 정전분무캡슐 홀더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에서 정전분무캡슐을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정전분무캡슐이 외부로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의 접지단자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의 전압인가단자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정전분무모듈(2)은 정전분무캡슐(4)과, 정전분무캡슐 홀더(6)와, 고전압발생기(8)를 포함한다.
정전분무캡슐(4)은 용기(42)의 내부에 기능성 물질(A)이 담겨질 수 있고, 외부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기능성 물질(A)이 미립화되어 외부로 분무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기능성 물질(A)에 유체를 하전시켜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기능성 물질(A)을 분무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기능성 물질(A)은 로즈마일 아로마오일, 페퍼민트 아로마오일, 레몬 아로마오일, 바질 아로마오일 등의 아로마 오일일 수 있다. 기능성 물질(A)은 액체 상태로 용기(42)에 담겨질 수 있고, 고전압인가에 의해 생긴 전기력에 의해 액적이 미립화되어 분무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기능성 물질(A)이 담겨지는 용기(42)와; 용기(42)에 배치되고 기능성 물질(A)이 모세관 현상으로 상승되는 다공성 전극(44)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단자는 다공성 전극(4)과 전위차를 발생하는 접지단자(46)와 고전압 발생기(8)에서 발생된 고전압을 기능성 물질(A)에 인가하는 고전압인가단자(48)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42)에는 다공성 전극(44)을 지지하는 전극 서포터(51)가 형성될 수 있다. 용기(42)는 접지단자(46)가 관통되는 접지단자 관통공(52)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42)는 고전압인가단자(48)가 관통되는 고전압인가단자 관통공(53)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2)는 그 내부에서 발생된 미스트(M)가 배출되는 배출공(54)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42)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기능성 물질(A)이 담겨지는 공간이 형성된 바디(55)와, 바디(55)의 상면을 덮는 덮개(56)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55)는 중공 통(57)과, 중공 통(57)의 하부를 막는 하판(58)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42)는 바디(55)에 전극 서포터(51)와, 접지단자 관통공(52) 및 고전압인가단자 관통공(53)이 형성될 수 있고, 덮개(56)에 배출공(54)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서포터(51)는 다공성 전극(44)의 하부를 지지하게 용기(42)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서포터(51)는 용기(42)의 내부에 위치되게 용기(42)에서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전극 서포터(51)는 바디(55)에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서포터(51)는 하판(58)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서포터(51)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극 서포터(51)는 복수개가 다공성 전극(44)의 둘레부 일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기능성 물질(A)는 복수개의 전극 서포터(51) 사이의 틈을 통해 다공성 전극(44)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접지단자 관통공(52)은 중공 통(57)에 형성될 수 있고, 고전압인가단자 관통공(53)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접지단자 관통공(52)은 중공 통(57)에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고, 2개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전압인가단자 관통공(53)은 중공 통(57)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관통공(53)과 접지단자 관통공(52)은 중공 통(57)의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하판(58)으로부터 고전압인가단자 관통공(53)의 높이는 하판(58)으로부터 접지단자 관통공(52)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배출공(54)은 상부의 개구면적이 하부의 개구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54)은 상부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54)은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14)은 외부에서 기능성 물질(A)가 유입될 때, 기능성 물질(A)가 용기(42)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도울 수 있다. 덮개(56)는 하면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54)은 덮개(56)에 형성될 수 있고, 덮개(56) 중 다공성 전극(44)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공(54)은 덮개(56)로 바디(55)의 상면을 덮었을 때, 접지단자(46) 중 용기(42)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배출공(54)을 통해 보이지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전극(4)은 용기(2)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다공성 전극(4)은 하부가 용기(2)에 고정될 수 있고, 상부가 접지단자(6)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정전분무장치는 다공성 전극(4)과 접지단자(6) 사이에서 발생한 전위차에 의하여 분무가 실현되며, 다공성 전극(4)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탄소 화이버 등의 부도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2) 내의 액상 기능성 물질(A)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다공성 전극(4)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정전 분무는 다양한 분무 모드를 가지고 있지만, 콘 형상을 가지는 콘젯 모드의 분무가 가장 안정적이다, 한편, 기능성 물질(A)이 무극성 유체의 경우에는 낮은 전기 전도도로 인하여 코 젯(cone-jet)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상단을 콘 형상(Cone tpye)으로 제작하여 무극성 유체의 안정적인 분무를 유도할 수 있다. 다공성 전극(4)은 상하 방향으로 긴 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공성 전극(4)의 상부는 콘 형상으로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공성 전극(4)은 뾰족한 상단(42)이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전극(4)은 고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뾰족한 상단(42)에서 강한 전기장이 발현될 수 있고, 이때 발생한 단극 전하들은 기능성 물질(A) 내에서 침투하게 되어 단극 하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접지단자(46)는 일부가 정전분무캡슐(4)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46)는 용기(42)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단자부(46A)와, 용기(42)를 관통하는 용기 관통부(46B)와; 용기(42) 외부에 위치되는 아우터 단자부(46C)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46)는 아우터 단자부(46C)가 용기(42)의 상부 외측에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48)는 일부가 정전분무캡슐(4)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48)는 용기(2)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단자부(48A)와, 용기를 관통하는 용기 관통부(48B)와; 용기(42) 외부에 위치되는 아우터 단자부(48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48)는 아우터 단자부(48C)가 용기(42)의 하부 외측에 외부로 토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로 미스트(M)를 분무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되었을 때, 통전기구와 접촉될 수 있고, 통전기구를 통해 고전압발생기(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통전기구와 정전분무캡슐(4)의 접촉성이 중요하고, 통전기구는 정전분무캡슐(4)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이면서 정전분무캡슐(4)과의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통전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전,후,좌,우 4면 중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이 막히고, 나머지 면 중 적어도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좌측면과 우측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정전분무캐슐 홀더(6)의 전면과 정전분무캐슐 홀더(6)의 배면 각각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전면과 배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정전분무캐슐 홀더(6)의 좌측면과 정전분무캐슐 홀더(6)의 우측면 각각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작업자(이하, 사용자라 칭함)는 정전분무캡슐 (4)의 착탈시 개구부로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을 정전분무 캡슐 홀더(6)에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8)는 통전기구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통전기구는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될 수 있고, 고전압발생기(8)에 연결될 수 있다. 통전기구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정전분무캡슐(4)에 설치된 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8)는 안정적인 분무를 위해 대략 6∼8 kv의 고전압을 발생하여 통전기구로 인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분무모듈(2)은 정전분무모듈(2)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정전분무 캡슐(4)이 출입되는 출입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102)는 정전분무 캡슐(4)이 정전분무 캡슐 홀더(6)에 장착되었을 때, 정전분무 캡슐(4)의 배출공(54)의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와 고전압발생기(8)는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출입구(102)를 통과해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될 수 있고, 출입구(102)를 통과해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출입구(102)는 정전분무캡슐(4)이 하우징(10) 내부로 출입되게 하는 정전분무캡슐 출입구로 기능 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에서 분무된 미스트(M)가 정전분무모듈(2)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미스트 출구로 기능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를 보호하는 어퍼 하우징(104)과, 고전압발생기(8)를 보호하는 로어 하우징(10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0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04)은 상판(105)에 출입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04)은 로어 하우징(106)의 상측에 위치되게 로어 하우징(106)에 설치될 수 있다. 어퍼 하우징(104)은 로어 하우징(106)에 후크 등의 걸이수단으로 결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출입구(102)는 어퍼 하우징(104)의 상판(123)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출입구(102)는 면적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 보다 작고, 정전분무캡슐(4)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출입구(102)의 상측 위치에서 출입구(102)를 통과하여 정전분무캡슐 홀더(6)로 삽입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안착될 수 있다. 로어 하우징(106)은 고전압발생기(14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그 내부를 상하 구획하는 구획판(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구획판(108) 위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전압발생기(140)는 구획판(108)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정전분무캡슐 홀더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접지단자가 정전분무캡슐 홀더의 통전기구에 접촉될 때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이 정전분무캡슐 홀더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 일실시예의 고전압인가단자가 정전분무캡슐 홀더의 통전기구에 접촉될 때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정전분무캡슐이 정전분무캡슐 홀더에서 분리되었을 때의 단면도이다.
통전기구(12)(14)는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되고 고전압발생기(8)에 연결되며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단자(46)(48)와 접촉될 수 있다.
통전기구(12)(14)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22)(14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단자(46)(48)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24)(144)와; 접촉부재(124)(14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24)(144)를 단자(46)(48)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6)(146)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전기구(12)(14)는 연결단자(122)(142)가 탄성부재(126)(146)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탄성부재(126)(146)가 접촉부재(124)(144)와 연결단자(122)(14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통전기구(12)(14)는 접촉부재(124)(144)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연결단자(122)(142)와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통전기구(12)(14)는 정전분무캡슐(4) 장착시 접촉부재(124)(144)가 정전분무캡슐(4)에 의해 연결단자(122)(142)의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이때 접촉부재(124)(144)와 연결단자(122)(142)가 직접 접촉되고, 정전분무캡슐(4) 장착시 탄성부재(126)(146)에 의해 연결단자(122)(142)의 반대 방향으로 밀릴 수 있고, 이때, 접촉부재(124)(144)와 연결단자(122)(142)가 비접촉되는 것이 가능하다.
통전기구(12)(14)는 접지단자(46)와 통전되는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48)와 통전되는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를 구분하여 설명할 때는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로 각각 설명하고,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공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통전기구(12)(14)로 칭하여 설명한다. 통전기구(12)(14)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탄성적으로 변형됨과 아울러 정전분무캡슐(4)의 단자와 접촉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통전기구(12)(14)와 접촉된 상태에서 통전기구(12)(14)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임의 탈거가 제한된 상태에서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통전기구(12)(14)는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모두가 탄성 통전기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둘 중 어느 하나만 탄성 통전기구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가 비탄성 통전기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탄성 통전기구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통전기구일 수 있고, 비탄성 통전기구는 그 전부가 변형되지 않는 통전기구일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적어도 하나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22)(14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단자(46)(48)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24)(144)와; 접촉부재(124)(14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24)(144)를 단자(46)(48)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6)(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모두가 탄성 통전기구일 경우, 접지단자 통전기구(12)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2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24)와; 접촉부재(12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24)를 접지단자(46)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4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44)와; 접촉부재(14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44)를 고전압인가단자(48)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중 접지단자 통전기구(12)가 탄성 통전기구이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가 비탄성 통전기구일 경우, 접지단자 통전기구(12)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2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24)와; 접촉부재(12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24)를 접지단자(46)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되고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와 접촉되는 접촉 연결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중 접지단자 통전기구(12)가 비탄성 통전기구이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가 탄성 통전기구일 경우, 접지단자 통전기구(12)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되고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와 접촉되는 접촉 연결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4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44)와; 접촉부재(14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44)를 고전압인가단자(48)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모듈(2)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정전분무캡슐(4)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홀더(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홀더(16)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탄성적으로 변형됨과 아울러 정전분무캡슐(4)의 단자와 접촉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탄성홀더(16)와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홀더(16)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탄성홀더(16)는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설치된 스프링(162)과, 스프링(162)에 지지되고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정전분무캡슐(4)과 접촉되는 볼(164)을 갖을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볼(154)은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6)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볼(164)과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정전분무캡슐(4)의 접지단지(44)와 접촉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및 탄성홀더(16)는 정전분무캡슐 홀더(6) 중 이격된 위치에 각각 위치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여 정전분무캡슐(4)을 고정할 수 있다.
이하,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모두가 탄성 통전기구인 예로 설명한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2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24)와; 접촉부재(12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24)를 접지단자(46)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는 고전압발생기(8)가 연결된 연결단자(142)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와 접촉되는 접촉부재(144)와; 접촉부재(144)와 접촉되고 접촉부재(144)를 고전압인가단자(48)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 중 하나는 탄성홀더(16)의 볼(164)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중 하나와 탄성홀더(16)는 정전분무캡슐(4)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은 접지단자 통전기구(12)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 중 하나와 탄성홀더(16)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가 설치된 하판(62)과; 하판(62)에 돌출되고 접지단자 통전기구(12)가 배치된 제 1 벽(64)과; 하판(62)에 제 1 벽(64)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탄성홀더(16)가 배치된 제 2 벽(66)을 포함할 수 있다.
하판(62)에는 정전분무캡슐(4)의 하부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68)이 형성될 수 있다. 하판(62)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는 공간부(70)가 수용홈(68)과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하판(62)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가 수용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홈(75)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탄성부재 수용홈(75)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연결단자(142)는 일단(142A)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 외부에 위치되어 고전압발생기(8)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연결단자(142)는 타단(122B)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위치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연결단자(142)는 타단(122B)이 탄성부재 수용홈(75)에 위치될 수 있고, 타단(142B)이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 중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연결단자(142)는 적어도 1회 절곡되고 일단(122A)와 타단(122B)이 높이차를 갖을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연결단자(142)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연결단자(142)는 일단(122A)이 하판(62)의 외부를 향할 수 있고, 타단(122B)이 공간부(70)를 향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와 접촉되고, 정전분무캡슐(4)의 분리시 고전압인가단자(48)와 비접촉되는 것으로서,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가 미끄러지면서 접촉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고전압인가단자(48)에 의해 밀리면서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탄성부재 수용홈(75)으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정전분무캡슐(4)의 분리시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에 의해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일부가 공간부(70)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는 탄성부재 수용홈(75)에 수용된 상태에서 접지단자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고, 복원력에 의해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를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탄성부재(146)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형 스프링 등의 각종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 홀더(6)는 둘레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 1 벽(6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와 마주보는 면(72)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의 외둘레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벽(66)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와 마주보는 면(74)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의 외둘레와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벽(64)은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가 수용될 수 있는 탄성부재 수용홈(76)이 형성될 수 있고,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는 탄성부재 수용홈(76)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제 1 벽(64)과 제 2 벽(66)은 이격될 수 있다. 제 1 벽(64)과 제 2 벽(66) 사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일단(122A)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 외부에 위치되어 고전압발생기(8)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타단(122B)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위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타단(122B)이 탄성부재 수용홈(76)에 위치될 수 있고, 타단(122B)이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와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 중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고, 일단(122A)와 타단(122B)이 높이차를 갖을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일단(122A)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의 상부에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고, 타단(122B)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의 하부에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일단(122A)과 타단(122B)의 배치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는 일단(122A)이 정전분무캡슐 홀더(6)의 외부를 향할할 수 있고, 타단(122B)이 제 2 벽(66)의 방향을 향할 수 잇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와 접촉되고, 정전분무캡슐(4)의 분리시 접지단자(46)와 비접촉되는 것으로서,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는 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가 미끄러지면서 접촉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는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에 의해 밀리면서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탄성부재 수용홈(76)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는 정전분무캡슐(4)의 분리시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에 의해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일부가 공간부(70)로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는 탄성부재 수용홈(76)에 수용된 상태에서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고, 복원력에 의해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탄성부재(126)는 코일 스프링 또는 판형 스프링 등의 각종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벽(66)은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이 수용될 수 있는 스프링 수용홈(78)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홀더(16)의 볼(164)은 스프링 수용홈(78)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은 스프링 수용홈(78)에 수용된 상태에서 탄성홀더(16)의 볼(164)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고, 복원력에 의해 탄성홀더(16)의 볼(164)을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형 스프링 등의 각종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볼(164)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와 접촉되고, 정전분무캡슐(4)의 분리시 접지단자(46)와 비접촉되는 것으로서,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무빙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볼(164)은 구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가 미끄러지면서 접촉될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볼(164)은 정전분무캡슐(4)의 장착시 접지단자(46)에 의해 밀리면서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스프링 수용홈(78)으로 삽입될 수 있다. 탄성홀더(16)의 볼(164)은 정전분무캡슐(4)의 분리시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에 의해 탄성홀더(16)의 스프링(162)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 1 벽(64)을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설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접촉부재(124)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14)의 접촉부재(144)는 정전분무캡슐(4)의 높이가 서로 다른 부분을 함께 가압할 수 있다.
접지단자 통전기구(12)의 연결단자(122) 및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의 연결단자(122)는 정전분무 캡슐 홀더(6)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에서 정전분무캡슐을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부(200)와 공기 토출부(210)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부(200)와 공기 토출부(210) 사이에 송풍유로(220)가 형성된 본체(230)와; 송풍유로(220)에 설치된 열교환기(240)와; 공기를 공기 흡입부(200)로 흡입하여 열교환기(240)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부(210)로 토출하는 송풍기(250)를 포함할 수 있고, 정전분무모듈(2)은 본체(230)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00)는 공기 흡입구(202)가 형성된 흡입 바디(20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00)는 공기 흡입구(202)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2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200)는 필터(206)가 장착되고 흡입 바디(204)에 착탈되는 필터 커버(2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부(210)는 본체(230)에 단수개 또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공기 토출부(210)는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바디(21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토출부(210)는 무빙되게 배치된 무빙바디(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30)는 흡입 바디(204)를 지지하는 베이스(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30)는 송풍기(250)가 장착되고 열교환기(240)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30)는 에어 가이드(232)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패널(2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212)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공간(216)이 개방될 수 있다. 토출바디(212)는 송풍기(250)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면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212)는 공기토출공간(216)으로 유입된 공기와 정전분무모듈(2)에서 분무된 미스트(M)가 함께 토출되는 토출면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212)의 공기토출공간(216)은 사용자의 손이 출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공간(216)은 전면이 개방될 수 있고, 열교환기(240)에서 열교환된 공기와 정전분무모듈(2)에서 분무된 미스트(M)는 토출바디(212)의 전방으로 함께 토출될 수 있다. 토출 바디(212)는 정전분무모듈(2)이 수용되는 모듈 수용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모듈수용부(218)는 정전분무모듈(2)의 전부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전분무모듈(2)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무빙바디(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통로(215)가 형성될 수 있다. 무빙바디(214)는 흡입바디(204)와 에어 가이드(232) 사이로 하강되거나 흡입바디(204)와 에어 가이드(232) 사이 상측으로 상승될 수 있다.
열교환기(240)는 공기 흡입부(200)와 공기토출부(210) 사이에 위치되어, 공기 흡입부(200)로 흡입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송풍기(250)는 열교환기(240)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50)는 모터 등의 구동원과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블로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분무모듈(2)은 토출바디(212) 무빙바디(214)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잇고, 정전분무캡슐(4)에서 분무된 미스트(M)는 송풍기(250)에서 송풍된 공기와 함께 원거리로 토출될 수 있다. 정전분무모듈(2)은 정전분무캡슐(4) 자체가 교체되거나 정전분무캡슐(4)에 담겨진 기능성 물질이 교체될 수 있고, 정전분무모듈(2)은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지 않고 정전분무캡슐(4)을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분무모듈(2)은 토출바디(212) 무빙바디(214) 중 정전분무캡슐(4)의 서비스가 용이한 것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전분무모듈(2)은 토출바디(212)에 설치되어 공기토출공간(216)으로 기능성 물질을 분무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은 공기토출공간(216)을 통해 정전분무모듈(2)의 출입구(102)로 출입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전분무모듈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고전압발생기(8)는 통전기구(12)(14)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고, 송풍기(250)는 구동될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8)에서 발생된 고전압은 통전기구(12)(14)를 통해 정전분무캡슐(4)로 인가될 수 있고, 정전분무캡슐(4)은 그 내부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미스트(M)를 분무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에서 분무된 미스트(M)는 하우징(10)의 출입구(102)를 통과하여 토출바디(214)의 공기토출공간(216)으로 유동될 수 있다.
송풍기(25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부(200)를 통과하여 열교환기(240)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240)를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240)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250)에 의해 공기토출공간(216)으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기토출공간(216)으로 유동된 공기는 공기토출공간(216)에 위치하는 미스트(M)와 혼합될 수 있고, 공기토출공간(216)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공간(216)으로 미스트(M)가 혼합된 공기는 실내로 넓게 퍼지면서, 미립화된 기능성 물질을 실내로 퍼트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본체(230)에서 실내로 퍼지는 기능성 물질의 교체나 기능성 물질의 추가 투입을 희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230)에 기설치된 정전분무캡슐(4)을 하우징(10)의 출입구(102)와 공기토출공간(216)을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본체(230)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사용자는 기존과 다른 기능성 물질이 담겨지고 기존에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던 정전분무캡슐(4)과 구조가 동일한 타 정전분무캡슐을 공기토출공간(216)으로 삽입할 수 있고, 공기토출공간(216)에서 하우징(10)의 출입구(102)를 통과하여 정전분무캡슐 홀더(6)로 장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존에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있던 정전분무캡슐(4)에 기능성 물질을 추가하여 공기토출공간(216)으로 삽입할 수 있고, 공기토출공간(216)에서 하우징(10)의 출입구(102)를 통과하여 정전분무캡슐 홀더(6)로 장착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정전분무캡슐 홀더(6)에 장착될 때, 통전기구(12)(14) 및 탄성홀더(16)와 접촉되면서 탄성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정전분무캡슐(4)은 단자(46)(48)가 통전기구(12)(14)와 접촉되어 고전압발생기(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2: 정전분무모듈 4: 정전분무캡슐
6: 정전분무캡슐 홀더 8: 고전압 발생기
10: 하우징 12: 접지전극 통전기구
14: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 16: 탄성홀더
42: 용기 44: 다공성 전극
46: 접지단자 48: 고전압인가단자
62: 하판 64: 제 1 벽
66: 제 2 벽 102: 출입구
122: 연결단자 124: 접촉부재
126: 탄성부재 142: 연결단자
144: 접촉부재 146: 탄성부재
162: 스프링 164: 볼
200: 공기 흡입부 210: 공기토출부
212: 토출바디 216: 공기토출공간
218: 모듈 수용부 220: 송풍유로
230: 본체 240: 열교환기
250: 송풍기

Claims (20)

  1. 단자가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통전기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단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정전분무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연결단자와 접촉되는 정전분무모듈.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일부가 상기 정전분무캡슐 외부로 노출되는 접지단자와,
    일부가 상기 정전분무캡슐 외부로 노출되는 고전압인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기구는
    상기 접지단자와 통전되는 접지단자 통전기구와,
    상기 고전압인가단자와 통전되는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의 접촉부재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의 접촉부재 중 하나는 상기 볼과 마주보게 배치된 정전분무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는 상기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가 설치된 하판과;
    상기 하판에 돌출되고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가 배치된 제 1 벽과;
    상기 하판에 상기 제 1 벽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탄성홀더가 배치된 제 2 벽을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9. 접지단자의 일부와 고전압인가단자의 일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지단자 통전기구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고전압인가단자와 접촉되는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접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고전압인가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접지단자 통전기구와 고전압인가단자 통전기구 중 하나와 마주보게 배치된 정전분무모듈.
  14.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와 공기 토출부 사이에 송풍유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송풍유로에 설치된 열교환기와;
    공기를 공기 흡입부로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공기 토출부로 토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정전분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분무모듈은
    단자가 설치된 정전분무캡슐과;
    고전압발생기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착탈되는 정전분무캡슐 홀더와;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고전압발생기와 연결되며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일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통전기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기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가 연결된 연결단자와;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를 상기 단자의 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모듈은
    상기 정전분무 캡슐 홀더가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정전분무캡슐이 출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토출부는 실내로 공기를 토출하는 공기토출공간이 개방된 토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바디는 상기 정전분무모듈이 수용되는 모듈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전분무모듈은 상기 공기토출공간으로 기능성물질을 분무하는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캡슐은 상기 공기토출공간을 통해 상기 정전분무 캡슐 홀더로 출입되는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무캡슐 홀더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에 지지되고 상기 정전분무캡슐의 장착시 상기 정전분무캡슐와 접촉되는 볼을 갖는 탄성홀더를 더 포함하는 정전분무모듈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30103872A 2013-08-30 2013-08-30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7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872A KR102077564B1 (ko) 2013-08-30 2013-08-30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16538859A JP6437556B2 (ja) 2013-08-30 2014-08-29 静電噴霧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有する空気調和機
PCT/KR2014/008105 WO2015030538A1 (en) 2013-08-30 2014-08-29 Electrostatic spray modul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14840740.6A EP3039351B1 (en) 2013-08-30 2014-08-29 Electrostatic spray modul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201480047871.7A CN105492834B (zh) 2013-08-30 2014-08-29 静电喷雾模块及具有该静电喷雾模块的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872A KR102077564B1 (ko) 2013-08-30 2013-08-30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817A true KR20150025817A (ko) 2015-03-11
KR102077564B1 KR102077564B1 (ko) 2020-02-14

Family

ID=52586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872A KR102077564B1 (ko) 2013-08-30 2013-08-30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039351B1 (ko)
JP (1) JP6437556B2 (ko)
KR (1) KR102077564B1 (ko)
CN (1) CN105492834B (ko)
WO (1) WO20150305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85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섬유 대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626B1 (ko) * 2017-04-04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CN108094378A (zh) * 2017-12-25 2018-06-01 东风农业装备(襄阳)有限公司 静电喷淋装置及其喷淋方法和带有静电喷淋装置的工作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3766A1 (en) * 1991-03-13 1992-09-1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Electrostatic spraying of liquids
EP1629897A1 (en) * 2003-06-04 2006-03-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JP2009186114A (ja) * 2008-02-07 2009-08-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WO2012109556A1 (en) * 2011-02-11 2012-08-16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ostatic disinfectant too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32544T2 (de) * 1990-11-12 2001-07-05 Procter & Gamble Sprühvorrichtung
CN2088901U (zh) * 1991-06-20 1991-11-20 衡水市无线电厂 一种静电喷雾器
US5805768A (en) * 1996-07-08 1998-09-08 Bunny Moon Enterprises Aroma therapy diffuser
US5957771A (en) * 1997-05-07 1999-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romatic spray driving apparatus of air conditioner
KR20010104026A (ko) * 2000-05-12 2001-11-24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곰팡이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0302929Y1 (ko) * 2002-10-21 2003-02-05 만도공조 주식회사 방향제 분무장치를 구비한 실내기
CN101137446B (zh) * 2005-02-11 2010-06-09 巴特尔纪念研究所 电流体动力气雾剂分配装置及喷射方法
KR20070019335A (ko) * 2005-08-12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향발생 장치
CN201672633U (zh) * 2010-05-18 2010-12-15 广州市机电高级技工学校 一种汽车空调节能环保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3766A1 (en) * 1991-03-13 1992-09-16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Electrostatic spraying of liquids
EP1629897A1 (en) * 2003-06-04 2006-03-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static atomizer and air purifier using the same
JP2009186114A (ja) * 2008-02-07 2009-08-2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WO2012109556A1 (en) * 2011-02-11 2012-08-16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ostatic disinfectant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85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섬유 대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2554A (ja) 2016-10-20
CN105492834B (zh) 2018-08-10
EP3039351A1 (en) 2016-07-06
EP3039351B1 (en) 2018-08-15
EP3039351A4 (en) 2017-06-21
JP6437556B2 (ja) 2018-12-12
KR102077564B1 (ko) 2020-02-14
WO2015030538A1 (en) 2015-03-05
CN105492834A (zh)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272073B (zh) 静电喷雾装置
EP1802400B1 (en) Electrostatic spray nozzle with internal and external electrodes
TWI252114B (en) Electrostatic atomizing device and air cleaner using the same
KR20150025817A (ko) 정전분무모듈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14554535U (zh) 精油雾化器
CA2659198C (en) Air cleaner conductor system
CN104718009A (zh) 小容器及其静电雾化装置
KR102136157B1 (ko) 정전분무장치
US20150182978A1 (en) Electrostatic atomizing device
CN110088543B (zh) 冷藏装置、离子产生装置及收纳库
KR0164877B1 (ko) 영상 표시 기기의 음이온 배출 장치
CN113145375A (zh) 超声静电喷雾装置
CN114777270A (zh) 净化装置
CN113731660A (zh) 静电喷雾装置和静电喷雾方法
CN216701632U (zh) 雾化装置及雾化设备
KR20210029407A (ko) 휴대용 분무기
CN217140789U (zh) 静电喷雾器
CN215784197U (zh) 一种静电液体喷洒装置
CN217391238U (zh) 一种超声波雾化扩香仪
CN219069460U (zh) 雾化结构、雾化组件及雾化装置
CN215784196U (zh) 一种静电液体喷洒装置
CN213996362U (zh) 一种便携式喷雾设备
CN214047250U (zh) 一种静电喷雾器
CN114405699A (zh) 静电喷雾器
US9943873B1 (en) Atomizing plug assembly and atomizer form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