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5631A -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5631A
KR20150025631A KR20130103445A KR20130103445A KR20150025631A KR 20150025631 A KR20150025631 A KR 20150025631A KR 20130103445 A KR20130103445 A KR 20130103445A KR 20130103445 A KR20130103445 A KR 20130103445A KR 20150025631 A KR20150025631 A KR 2015002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unit
icon
gesture
ve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595B1 (ko
Inventor
유제민
Original Assignee
유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제민 filed Critical 유제민
Priority to KR2013010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595B1/ko
Priority to PCT/KR2013/011525 priority patent/WO2015030313A1/ko
Publication of KR2015002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9분할된 영역 및 상기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제1 내지 제8 영역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부;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상기 중앙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키는 기능 설정부;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아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상기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하는 벡터 매칭부; 상기 결정된 벡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상기 아이콘 생성부, 상기 기능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싱부, 상기 벡터 매칭부 및 상기 기능 실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아이콘 생성부, 상기 기능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싱부, 상기 벡터 매칭부 및 상기 기능 실행부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 USING GESTURE AND MOBIL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스처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화면의 일측에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여 제스처의 입력 방향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키는 방법 및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phone) 및 타블릿(tablet)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는 자판과 같은 추가적인 입력 장치 없이도 일정 제스처(gesture)를 터치 스크린 상에 입력하여 표시 장치를 입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근래의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사용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선택하는 탭(tap) 제스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홈 화면(휴대용 전자 장치의 기본 화면 혹은 바탕 화면) 상에 위치한 경우라면 홈 화면에서 바로 아이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지만, 아이콘이 홈 화면 상에 있지 않은 경우 홈 화면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불러온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메뉴 버튼 선택과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선택이라는 2번의 제스처가 필요하다.
이에, 어플리케이션의 빠른 실행을 위해 많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홈 화면에 위치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과도하게 많은 아이콘이 홈 화면에 존재하면 화면의 간략성 및 아이콘의 인식성을 오히려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하나의 홈 화면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아이콘의 수도 제한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간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홈 화면으로 돌아가기 위해 홈 버튼을 누른 후, 홈 화면의 메뉴 버튼을 선택하고, 메뉴 항목 중 어플리케이션의 버튼을 선택하는 총 3번의 제스처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제스처를 통해 다양한 기능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고, 제스처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스처에 대한 직관적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9분할된 영역 및 상기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제1 내지 제8 영역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부;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상기 중앙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키는 기능 설정부;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아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상기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하는 벡터 매칭부; 상기 결정된 벡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상기 아이콘 생성부, 상기 기능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싱부, 상기 벡터 매칭부 및 상기 기능 실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아이콘 생성부, 상기 기능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싱부, 상기 벡터 매칭부 및 상기 기능 실행부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화면 전환 기능,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혹은 다른 가이드 아이콘으로 전환 기능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제1 내지 제8 홈 화면으로의 전환 기능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홈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탭(tap)하면, 상기 가이드 아이콘의 각 개별 기능 아이콘을 편집할 수 있는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의 각각에 표시되는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은 상기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위치 및 기능이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9분할된 영역은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3 by 3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한 영역이며,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매트릭스의 2행 2열에 해당하는 영역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9분할된 영역 및 상기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제1 내지 제8 영역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상기 중앙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아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상기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벡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스처 가이드 아이콘을 참조하여 제스처 종류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하면 화면의 공간적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제스처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가이드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벡터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로 화면을 전환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가이드 아이콘을 전환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아이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화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스처"란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짓 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등이 있을 수 있다.
"탭"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매우 빠르게 터치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 닿는 시점인 터치-인 시점과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가 화면에서 떨어지는 시점인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매우 짧은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홀드"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stylus)를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한 후 임계 시간 이상 터치 입력을 유지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즉, 터치-인 시점과 터치-아웃 시점 간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터치 입력이 탭인지 터치&홀드인지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터치 입력이 임계 시간 이상 유지되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드래그"는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에 터치한 후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나 터치 도구를 화면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의미한다. 드래그 동작으로 인하여 오브젝트가 이동되거나 후술할 패닝 동작이 수행된다.
"패닝"은 사용자가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고 드래그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패닝은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브젝트가 페이지 내에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 자체가 화면 내에서 이동하거나, 오브젝트의 그룹이 페이지 내에서 이동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아이콘 생성부(110), 기능 설정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센싱부(140), 벡터 매칭부(150), 기능 실행부(160), 통신부(170), 메모리(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휴대용 전자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아이콘 생성부(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제스처를 취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화면을 전환할 수 있으며, 가이드 아이콘은 드래그 제스처의 방향에 대한 가이드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아이콘은 9분할된 영역을 갖고,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제1 내지 제8 영역의 각각에 개별 기능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9분할된 영역은 3x3 매트릭스의 형상으로 분할된 영역으로, 중앙 영역은 상기 매트릭스의 2행 2열에 해당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아이콘의 중앙 영역의 좌측 상단 영역에서 시작하여 시계 방향으로 각 영역을 제1 내지 제8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가이드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화면(101) 및 홈 키(10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화면(101)에는 일반 아이콘(103)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아이콘(10)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홈 키(102)를 눌러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기본 화면인 홈 화면을 로딩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아이콘(10)은 원(circle) 모양일 수 있으며, 가이드 아이콘은 3 by 3 매트릭스 모양으로 9분할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영역(11)을 제외한 나머지 제1 내지 제8 영역(12-1 내지 12-8)은 중앙 영역(11)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 영역(12-1)을 시작으로 시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8 영역(12-1 내지 12-8)은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이 표시될 수 있다.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은 음악 재생기, 폴더 실행기와 같은 개별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가이드 아이콘(10)의 중앙 영역(11)에는 기본 도형 모양이 표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도 3의 예시 외에도, 본 발명의 가이드 아이콘(10)의 모양은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가이드 아이콘(10) 내의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 아이콘(10)은 항상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표시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상황에서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기능 설정부(120)는 아이콘 생성부(110)가 생성한 가이드 아이콘의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상기 중앙 영역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한다. 그리고, 기능 설정부(120)는 제1 내지 제8 벡터에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킨다. 예를 들어, 제2 영역(12-2)에 위치하는 개별 기능 아이콘(13-2)이 인터넷 브라우저 아이콘인 경우, 기능 설정부(120)는 제2 영역(12-2)에서 중앙 영역(11)으로 진행하는 제2 벡터(14-2)를 설정한 후, 제2 벡터(14-2)를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기능에 대응시킨다.
가이드 아이콘이 3 by 3 매트릭스 형상의 9분할된 영역을 갖는 경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은 상측(up)에서 하측(down) 방향, 좌상측(left-up)에서 우하측(right-down) 방향, 우상측(right-up)에서 좌하(left-down) 방향, 좌측(left)에서 우측(right) 방향 및 상기 방향들의 반대 방향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 벡터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가이드 아이콘이 9분할된 영역을 갖고, 제1 내지 제8 영역이 시계 방향으로 할당된 경우에 설정되는 제1 내지 제 8 벡터의 일 예이다. 도 4의 예에서, 제1 영역(12-1)에서 중앙 영역(11)으로 진행하는 제1 벡터(14-1)는 -45° 의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이다. 또한, 제2 영역(12-2)에서 중앙 영역(11)으로 진행하는 제2 벡터는(14-2)는 -90° 의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이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3 내지 제8 벡터(14-3 내지 14-8)이 각각 -45°씩 더한 각도의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로 설정될 수 있다.
기능 설정부(120)는 상술한 제1 내지 제8 벡터(14-1 내지 14-8)에 가이드 아이콘의 각 영역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킨다. 도 4의 예에서, 제2 영역(12-2)에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3-2)이 표시된 경우, 제2 벡터(14-2)에 대응하는 기능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아이콘 생성부(110)가 생성한 가이드 아이콘(10)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가이드 아이콘(10)은 직접 메뉴 버튼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가 제스처를 취하는 데 있어 제스처 방향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가이드 아이콘(10)을 홈 화면 내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상관없이 항상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혹은, 디스플레이 화면(101)이 홈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만 가이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30)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은 터치 입력 위치, 터치된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입력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상기 터치(real-touch) 뿐만 아니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도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터치(real-touch)"라 함은 화면에 실제로 포인터(pointer)가 터치된 경우를 말하고, "근접 터치(proximity-touch)"라 함은 포인터(pointer)가 화면에 실제로 터치는 되지 않고, 화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접근된 경우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인터(pointer)는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근접 터치하기 위한 도구를 말한다. 그 일례로 스타일러스 팬, 손가락 등이 있다.
센싱부(140)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받아 상요자 제스처의 방향 성분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싱부(140)가 방향 성분을 검출하는 사용자의 제스처는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연속적인 터치가 이루어지는 드래그(drag) 제스처일 수 있다. 센싱부(140)가 검출하는 제스처의 방향 성분은 제스처의 시작점부터 끝점까지 진행하는 벡터의 방향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싱부(140)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따라서,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상당히 길며 그 활용도 또한 상당히 높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벡터 매칭부(150)는 기능 설정부(120)가 설정한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센싱부(140)가 검출한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한다.
도 4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은 서로 45°만큼 차이날 수 있다. 이 경우, 벡터 매칭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어느 방향 벡터의 성분에 가장 가까운지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제스처 방향 성분의 각도가 제2 벡터(14
-2)의 방향 성분의 각도로부터 -22.5°에서 -22.5°사이에 위치한다면,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는 제2 벡터(14-2)라 결정할 수 있다.
기능 실행부(160)는 벡터 매칭부(150)가 결정한 벡터에 대응하는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한다. 기능 실행부(160)는 최종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수행 기능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프로세서(processo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제2 벡터(14-2)에 대응된 개별 기능 아이콘(13-2)의 기능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고,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는 제2 벡터(14-2)인 경우 기능 실행부(160)은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다.
통신부(17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와 외부 디바이스(200) 간에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인터넷 모듈은 유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의미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FD(Wi-Fi Direct)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은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0)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캡쳐 데이터,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8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제스처 인식,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190)는 아이콘 생성부(110), 기능 설정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센싱부(140), 벡터 매칭부(150), 기능 실행부(160), 통신부(170) 및 메모리(18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은 제어부(19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9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200)는 휴대용 전자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외부 디바이스(200)의 일례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CE 기기(Consumer Elctronics) 등이 있을 수 있다. 디지털 CE(Consumer Elctronics) 기기에는 DTV(Digital 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냉장고, 에어컨, 프린터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200)는 서버 장치(예컨대, Social Networking Service 서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에 의한 기능 실행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9분할된 영역 및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제1 내지 제8 영역 각각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한다(S1).
다음으로, 가이드 아이콘의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중앙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한다(S2).
다음으로, 제1 내지 제8 벡터에 가이드 아이콘의 영역에 표시된 각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킨다(S3).
다음으로, 생성된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4).
다음으로,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아 제스처 입력의 시작점에서 끝점으로 진행하는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한다(S5).
마지막으로,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하고, 결정된 벡터에 대응하는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한다(S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화면의 일 예이다.
먼저, 사용자는 도 5의 좌측 상단에 표시된 가이드 아이콘(10)을 통해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어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직관적 인식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이드 아이콘(10)을 통해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의 방향을 갖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음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상단에서 하단의 방향을 갖는 제스처를 입력하면 인터넷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도 5의 왼쪽 그림과 같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우측 상단에서 좌측 방향으로 진행하는 벡터 성분을 갖는 제스처를 터치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센싱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처 입력에서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하고, 벡터 매칭부(150)는 제1 내지 제8 벡터(14-1 내지 14-8)의 방향 성분 중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한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센싱부(140)는 사용자 제스처의 시작점에서 끝점 방향의 벡터를 검출하고, 벡터 매칭부(150)는 제3 벡터(14-3)가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벡터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제3 벡터(14-3)에 대응하는 개별 기능 아이콘은 제3 영역(12-3)에 위치하는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아이콘(13-3)이므로, 기능 실행부(160)는 오른쪽 화면과 같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는 한정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을 복수번의 터치 없이 간편히 한번의 제스처만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로 화면을 전환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홈 화면들(105, 105-1 내지 105-8)을 디스플레이 화면(101) 상에 축소하여 표시한 예이다. 도 6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홈 화면은 3 by 3 매트릭스 형태로 정렬된 9개의 홈 화면들(105, 105-1 내지 105-8)을 가질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난 디스플레이 화면(101)은 사용자가 홈 화면의 구성을 보기 위해 손가락 2개를 사용한 더블 터치로 실행한 홈 화면 전체 보기 모드의 화면일 수 있다. 도 6a의 실시예에서, 현재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보여지고 있는 홈 화면이 중앙에 위치한 홈 화면(105)으로 표시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환경에서는 복수개의 홈 화면을 가질 수 있었지만, 좌우 터치를 통해서만 홈 화면간의 전환이 가능하여 홈 화면의 수가 많아질수록 전환 횟수가 그만큼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첫번째 홈 화면부터 다섯번째 홈 화면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좌우로 이동하는 드래그 제스처가 총 4번 요구되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 화면을 9개까지 확장할 수 있으며, 현재의 홈 화면에서 다른 모든 홈 화면으로의 이동이 단 한번의 터치로 가능하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를 통해 홈 화면을 전환하는 방법을 표시하고 있다. 도 6b의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서 왼쪽은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중앙 홈 화면(105)을 표시한 상태이고, 오른쪽은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좌측 상단의 홈 화면(105-1)을 표시한 상태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가이드 아이콘(10)은 도 5의 가이드 아이콘(10)과 달리 각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의 모양으로 직사각형의 화면 모양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비록 개별 기능 아이콘의 모양은 같지만 기능 설정부(120)는 각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 및 각 벡터(14-1 내지 14-8)에 각기 다른 홈 화면으로의 전환 기능을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벡터(14-1)는 현재의 홈 화면(105)에서 좌측 상단의 홈 화면(105-1)으로 전환하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혹은, 제3 벡터(14-3)은 현재의 홈 화면(105)에서 우측 상단의 홈 화면(105-3)으로 전환하는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 아이콘(10)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의 모양을 보고 현재 제스처를 통해 홈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6b의 실시예에서, 왼쪽 그림과 같이 현재 보여지고 있는 홈 화면이 도 6a의 중앙 홈 화면(105)인 경우, 사용자는 현재 홈 화면을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있는 홈 화면(105-1)으로 전환하기 위해 도 6b와 같이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진행하는 제스처를 취할 수 있다.
도 6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상단에서 우측 하단으로 진행하는 제스처의 방향 성분은 제 1 벡터(14-1)의 방향 성분에 대응하고, 기능 설정부(120)가 제1 벡터(14-1)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설정한 현재의 홈 화면(105)에서 좌측 상단의 홈 화면(105-1)으로의 전환 기능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실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2 벡터(14-2)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제스처를 입력하는 경우, 현재의 홈 화면(105)에서 상단의 홈 화면(105-2)으로의 전환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홈 화면이 전환될 때, 전환 모양을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제스처와 동시에 롤 인(roll-in), 롤 업(roll-up) 등의 화면 전환 효과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이드 아이콘(10)의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가이드 아이콘(10) 내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용 개별 기능 아이콘 및 화면 전환용 아이콘이 함께 표시되는 경우도 물론 상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의 가이드 아이콘(10)과 도 6의 가이드 아이콘(10)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서로 전환 혹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화면(101)dp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도 6과 같은 화면 전환용 가이드 아이콘(10) 및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고, 홈 화면 이외의 메뉴 화면이나 어플리케이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는 도 5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용 가이드 아이콘(10) 및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스처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01)이 홈 화면의 상태일 때 화면을 전환하고, 어플리케이션 화면인 경우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가이드 아이콘(10)의 제1 내지 제8 영역(12-1 내지 12-8)에 위치한 개별 기능 아이콘은 다른 가이드 아이콘(10)으로의 전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스처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가이드 아이콘을 전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가이드 아이콘은 복수개 존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 아이콘(10-1)의 제5 영역(12-5)에는 가이드 아이콘(10) 모양의 개별 기능 아이콘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능 설정부(120)는 제1 가이드 아이콘(10-1)의 제5 벡터(14-5)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2 가이드 아이콘(10-2)의 실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가이드 아이콘(10-1)이 표시되고 있을 때 제5 벡터(14-5) 방향의 제스처를 취하여 제2 가이드 아이콘(102)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표시되는 가이드 아이콘(10)은 제1 가이드 아이콘(10-1)에서 제2 가이드 아이콘(10-2)으로 변경된다.
또한, 제2 가이드 아이콘(10-2)의 제1 영역(12-1) 및 제7 영역(12-7)에는 가이드 아이콘(10) 모양의 개별 기능 아이콘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능 설정부(120)는 제2 가이드 아이콘(10-1)의 제1 벡터(14-1)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1 가이드 아이콘(10-1)의 실행으로 설정하고, 제7 벡터(14-7)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3 가이드 아이콘(10-3)의 실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가이드 아이콘(10-2)이 표시되고 있을 때 제1 벡터(14-1) 방향의 제스처를 취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01)에 제1 가이드 아이콘(10-1)을 표시하거나, 제7 벡터(14-7) 방향의 제스처를 취하여 제3 가이드 아이콘(10-3)을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3 가이드 아이콘(10-3)의 제3 영역(12-3)에는 가이드 아이콘(10) 모양의 개별 기능 아이콘이 표시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기능 설정부(120)는 제3 가이드 아이콘(10-3)의 제3 벡터(14-3)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2 가이드 아이콘(10-2)의 실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아이콘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8의 왼쪽 그림과 같이, 사용자는 가이드 아이콘(10)을 탭(tap)하여 가이드 아이콘(10)의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의 위치 및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가이드 아이콘(10)을 탭하면 도 7의 오른쪽 그림과 같이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10a)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10-a) 내의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 혹은 제1 내지 제8 영역(12-1 내지 12-8) 중 하나를 탭하여 각 개별 기능 아이콘에 설정된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개별 기능 아이콘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은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및 화면 전환 기능 등이다. 개별 기능 아이콘에 적용된 기능이 변경되면, 개별 기능 아이콘의 모양 역시 해당 기능에 변경되는 모양으로 변경된다.
예를 들어, 현재 제3 영역(12-3)에 위치하는 아이콘(13-3)은 음악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지만, 사용자는 제3 영역(12-3)을 탭하여 나타나는 목록 중에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개별 기능 아이콘(13-3)을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3 벡터(14-3)에 대응하는 기능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으로 변경됨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는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 중 하나를 일정 시간 터치&홀드하여 개별 기능 아이콘(13-1 내지 13-8) 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2-1)에 위치한 아이콘(13-1)과 제2 영역(12-2)에 위치한 아이콘(13-2)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영역(12-1)에 위치한 아이콘(13-1)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한 상태로 유지한 후 아이콘(13-1)을 제2 영역(12-2)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drop)하여 두 아이콘 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의해, 화면의 공간적 한계에서 벗어나 여러가지 제스처에 의한 다양한 기능의 실행이 가능하며, 제스처에 대한 가이드 아이콘을 제공하여 제스처 방향과 실행 기능간의 관계에 대한 사용자의 직관적 인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휴대용 전자 장치 110: 아이콘 생성부
120: 기능 설정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센싱부 150: 벡터 매칭부
160: 기능 실행부 170: 통신부
180: 메모리 190: 제어부
200: 외부 디바이스

Claims (10)

  1. 9분할된 영역 및 상기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제1 내지 제8 영역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하는 아이콘 생성부;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상기 중앙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키는 기능 설정부;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아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하는 센싱부;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상기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하는 벡터 매칭부;
    상기 결정된 벡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기능 실행부;
    상기 아이콘 생성부, 상기 기능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싱부, 상기 벡터 매칭부 및 상기 기능 실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아이콘 생성부, 상기 기능 설정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센싱부, 상기 벡터 매칭부 및 상기 기능 실행부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화면 전환 기능,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및 다른 가이드 아이콘으로 전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인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제1 내지 제8 홈 화면으로의 전환 기능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홈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인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탭(tap)하면, 상기 가이드 아이콘의 각 개별 기능 아이콘을 편집할 수 있는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의 각각에 표시되는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은 상기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위치 및 기능이 변경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9분할된 영역은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3 by 3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한 영역이며,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매트릭스의 2행 2열에 해당하는 영역인 휴대용 전자 장치.
  6. 9분할된 영역 및 상기 9분할된 영역 중 중앙 영역을 제외한 제1 내지 제8 영역에 표시된 개별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는 가이드 아이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에서 상기 중앙 영역으로 진행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제1 내지 제8 벡터를 설정하고,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의 기능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제스처를 입력 받아 제스처 방향 성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의 방향 성분 중 상기 제스처 방향 성분에 대응하는 방향 성분을 갖는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벡터에 대응하는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화면 전환 기능,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혹은 다른 가이드 아이콘으로 전환 기능인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홈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제1 내지 제8 홈 화면으로의 전환 기능이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홈 화면이 아닌 다른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스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8 벡터에 대응하는 기능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기능인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탭(tap)하면, 상기 가이드 아이콘의 각 개별 기능 아이콘을 편집할 수 있는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1 내지 제8 영역의 각각에 표시되는 상기 개별 기능 아이콘은 상기 확대된 가이드 아이콘 상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위치 및 기능이 변경될 수 있는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9분할된 영역은 상기 가이드 아이콘을 3 by 3 매트릭스 형상으로 분할한 영역이며,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매트릭스의 2행 2열에 해당하는 영역인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KR20130103445A 2013-08-29 2013-08-29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50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445A KR101507595B1 (ko) 2013-08-29 2013-08-29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PCT/KR2013/011525 WO2015030313A1 (ko) 2013-08-29 2013-12-12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3445A KR101507595B1 (ko) 2013-08-29 2013-08-29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5631A true KR20150025631A (ko) 2015-03-11
KR101507595B1 KR101507595B1 (ko) 2015-04-07

Family

ID=5258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3445A KR101507595B1 (ko) 2013-08-29 2013-08-29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7595B1 (ko)
WO (1) WO201503031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8295B2 (en) 2009-09-16 2013-11-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acement of items in cascading radial menus
US20110102333A1 (en) * 2009-10-30 2011-05-05 Wayne Carl Westerman Detection of Gesture Orientation on Repositionable Touch Surface
KR20110116712A (ko)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동작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US20130019175A1 (en) * 2011-07-14 2013-01-17 Microsoft Corporation Submenus for context based menu system
KR101331498B1 (ko) 2012-02-07 2013-11-20 부가벤쳐스 아이디어 휠 논리구조를 갖는 데이터 객체 생성·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595B1 (ko) 2015-04-07
WO2015030313A1 (ko)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6252B2 (en)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712938B2 (en)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 of portable device
US1040196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haptic feedback
AU2014200250B2 (en) Method for providing haptic effect in portable terminal,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portable terminal
US9013368B1 (en) Foldable mobi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62967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12793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8994678B2 (en)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EP274120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contex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669786A2 (en) Method for displaying item in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168648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003328B2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260408A1 (en) Method for sharing screen with external display device by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30076659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50081012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931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키패드 표시 방법 및 장치
US20150106706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 display
KR20160004590A (ko)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전자 장치
US201500675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User Interface in a Device with Touch Screen
KR20170053410A (ko)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7966A (ko) 측면 터치 조합을 이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조작 방법 및 장치
KR101507595B1 (ko) 제스처를 이용한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30653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1165388B1 (ko) 이종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