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438A -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438A
KR20150024438A KR20157002696A KR20157002696A KR20150024438A KR 20150024438 A KR20150024438 A KR 20150024438A KR 20157002696 A KR20157002696 A KR 20157002696A KR 20157002696 A KR20157002696 A KR 20157002696A KR 20150024438 A KR20150024438 A KR 20150024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ircuit
fault current
current limiter
fa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2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센 디. 테클레트사딕
Original Assignee
베리안 세미콘덕터 이큅먼트 어소시에이츠,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리안 세미콘덕터 이큅먼트 어소시에이츠, 인크. filed Critical 베리안 세미콘덕터 이큅먼트 어소시에이츠, 인크.
Publication of KR20150024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1Current limitation using saturable rea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9/023Current limitation using superconduc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고장 전류 제한기 및 가변 분류기 전류 분할 장치를 포함하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전류 분할 장치는 제 1 및 제 2 전도성 권선들을 포함하고, 제 1 전도성 권선은 고장 전류 제한기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방향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도성 권선은 고장 전류 제한기와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제 1 권선의 리액턴스(reactance)가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의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 제 2 권선의 리액턴스에 의해 무효화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 전류의 제 1 부분은 고장 전류 제한기를 통해 전달되고 전류의 제 2 부분은 전류 분할 장치를 통해 전달된다. 이에 따라, 고장 전류 제한기 상의 정상 상태 전류 부하는 감소된다.

Description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CURRENT SPLITTING DEVICE, SYSTEM FOR CARRYING CURRENT, AND FAULT CURRENT LIMITER SYSTEM WITH THE CURRENT SPLITTING DEVICE}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그 출원 전체가 참조를 위해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2011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계류 중인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475,976호의 정규 출원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고장 전류 제한기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고장 전류 제한기와, 고장 전류 제한기를 통해 흐르는 정상 상태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가변 분류기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장 전류 제한기(FCL : fault current limiter)는 전형적으로, 전력 시스템에서 고장 전류들을 제한하는 장치이다. 초전도 고장 전류 제한기(SCFCL :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들, 고체 상태(solid state) 고장 전류 제한기들, 유도성(inductive) 고장 전류 제한기들 뿐만 아니라, 당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는 다른 다양한 것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들의 FCL들이 지난 수십 년에 걸쳐 개발되었다. FCL이 구현되는 전력 시스템은 전력을 발전하여 다양한 산업용, 상업용, 및/또는 주거용 전기 부하들에 전달하는 발전, 송전, 및 배전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장 전류는 단락(short circuit)과 같은 시스템에서의 고장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전기 시스템에서의 비정상적인 전류이다. 전력선(power line)들 또는 다른 시스템 부품들이 혹독한 날씨(예를 들어, 낙뢰(lightning strike))에 의해 손상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수의 사건들 또는 장애들로 인해, 고장 전류가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장이 발생할 때, 큰 부하가 순간적으로 회로에 나타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는 다량의 전류(즉, 고장 전류)를 고장 부하에 전달한다. 전류의 이러한 서지(surge)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자체 또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비일 수 있는 부하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 1a는 정상 상태 조건에서 예시된 기존의 고정된 분류기(114)를 구비한 FCL을 갖는 예시적인 종래 기술의 전력 시스템(100)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전력 시스템(100)은 AC 전원(102), 정상적으로는 닫혀 있는 회로 차단기(108), 및 다양한 부하들(110)을 포함한다. 정상 상태 조건들 하에서는, AC 전원(102)이 전력을 부하들(110)에 제공한다. 회로 차단기(108)는 닫혀 있고, AC 전원으로부터의 전류의 100%는 화살표(15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도체(103), FCL(106), 및 도체(105)를 통해 부하들(110)에 흐른다.
도 1b는 회로 차단기(108)가 열리기 전에 고장 조건에서 예시된 도 1a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고장 조건은 접지(ground)로의 의도하지 않은 경로에 의해 표현된 장소(112)에서 발생할 수 있다. 고장에 응답하여, AC 전원(102)은 다량의 고장 전류를 고장 부하에 전달하는 것을 시도하고, FCL(106)은 고정된 분류기(114)보다 훨씬 큰 저항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FCL이 초전도의 정상 상태 조건에서 본질적으로 제로 저항(zero resistance)을 나타내는 초전도체(superconductor)를 갖는 초전도 FCL("SCFCL : superconducting FCL")인 경우, 고장 전류는 초전도체가 퀀칭(quenching)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고정된 분류기(114)의 저항보다 훨씬 큰 저항을 나타낸다. FCL의 저항이 훨씬 더 크므로, 화살표(152)에 의해 표현된 고장 전류는 고정된 분류기(114)로 전환(commutate)된다. 고정된 분류기(114)는 회로 차단기(108)가 열릴 수 있기 전에 고장 전류의 피크-투-피크(peak-to-peak)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수용가능한 레벨로 제한한다. 기존의 회로 차단기(108)는 열리기 전에 전형적으로 기존의 60 Hz 주파수의 2개 내지 5개의 사이클(cycle)들을 차지한다. 고장 이후의 시간 간격 동안에는, 회로 차단기(108)가 열리고, FCL 또는 고정된 분류기(114)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해서는 전류가 부하들(110)에 전혀 제공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고정된 분류기 FCL 시스템들은 고장 전류들을 제한하는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의 중요한 결점은 도 1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FCL이 정상적인 동작 동안에 회로의 예측된 정상 상태 전류를 모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고전류 응용들에서는, 이것은 큰 물리적 점유공간(footprint) 및 높은 에너지 소비를 갖는 FCL을 일반적으로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SCFCL의 경우, FCL은 극저온 탱크(크라이오스탯(cryostat)) 내에 실장된 초전도체(superconductor)를 포함할 것이다. 거의 제로 임피던스(zero impedance), 초전도 상태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초전도체가 그 임계 온도, 임계 전류 밀도, 및 임계 자기장 미만에서 동작되어야 한다. 이 3개의 레벨들 중 임의의 하나가 초과되는 경우, 초전도체는 그 초전도 상태로부터 정상 상태로 퀀칭하고, 고정된 분류기(114)의 저항보다 훨씬 큰 저항을 나타낸다. 초전도체를 그 임계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유지하기 위하여, 냉동 시스템은 극저온 냉각 유체를 크라이오스탯에 전달한다. 따라서, 초전도체 재료의 수량뿐만 아니라, 초전도체를 그 임계 온도 미만으로 유지하기 위한 연관된 냉각 시스템의 용량도 시스템에서 모든 정상 상태 전류를 수용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이것은 상당한 장비 및 에너지 비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응용을 위해 요구된 SCFCL의 물리적 크기는 응용 부위에서의 설치를 어렵게 하거나 비실제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수의 병렬 부품들을 채용하고, 높은 전력 손실들을 나타내며, 높은 시스템 부하 전류들을 취급하기 위한 대형이며 고비용인 냉각 시스템들을 필요로 하는 고체 상태 고장 전류 제한기들을 채용하는 시스템들에서 유사한 과제들이 존재한다. 본 개선사항들이 필요하였던 것은 이러그 그리고 다른 고려사항들에 대한 것이다.
상기한 것을 고려하여, 고장 전류 제한기에서의 감소된 정상 상태 전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류 분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분류기를 갖는 전류 분할 장치를 포함하는 FCL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FCL 시스템의 실시예는 가변 분류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FCL을 포함할 수 있다. FCL은 초전도 FCL, 고체 상태 FCL, 또는 유도성 FCL과 같은 임의의 유형의 FCL일 수 있다. 전류 분할 장치는 바이파일러 배치(bifilar arrangement) 또는 권선들 사이의 강한 자기적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구성에서와 같이, 코어 둘레로 감긴 제 1 및 제 2 전도성 권선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결합의 존재 또는 손실은 전류 제한 응용들을 위해 이용되도록 가변 임피던스(분류기)를 도입한다. 제 1 전도성 권선은 고장 전류 제한기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제 1 방향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도성 권선은 고장 전류 제한기와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FCL 시스템의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는, 전류 분할 장치가 순 제로(net zero) 또는 무시할 수 있는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하여 반대 방향들로 전도성 권선들을 통해 흐르는 2개의 가지(branch)들로 분할하고, 이에 따라, 회로에서 무시할 수 있는 등가(equivalent) 또는 순(net) 임피던스로 귀착된다. 그러므로, 제 1 권선의 리액턴스는 제 2 권선의 반대 방향의 리액턴스에 의해 실질적으로 무효화된다. 따라서, 적절한 회전수를 갖는 제 1 및 제 2 권선들을 선택함으로써, 정상 상태 전류의 미리 결정된 부분은 가변 분류기를 통해 경로가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FCL 상의 정상 상태 전류 부하는 기존의 FCL 시스템들에 대해 감소된다. 그러므로, FCL의 비용 및 물리적 크기도 감소될 수 있다.
고장 조건의 발생 시에, FCL은 고장 상태로 구동되고, FCL이 나타내는 임피던스는 증가하고, 제 2 권선 및 FCL을 통한 전류의 부분은 정상 상태 동작 동안의 전류들의 부분에 비해 제 1 권선에 대해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더 이상 동일하고 대향하는 자기장들을 생성하지 않을 것이고, 그 강한 자기적 결합을 상실할 것이다. 그러므로, 권선들은 정상 상태 동작에 대하여 더 높은 등가 또는 순 전류-제한 임피던스를 나타낼 것이고, 이에 따라, 시스템에서 고장 전류를 제한할 것이다. 초전도 FCL의 경우, 고장 상태는 FCL이 퀀칭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고, 이에 따라, FCL을 통한 전류의 부분은 감소된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장치의 실시예는 고장 전류 제한기 및 가변 분류기를 포함하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분류기는 코어(core) 둘레로 감긴 제 1 및 제 2 전도성 권선들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전도성 권선은 고장 전류 제한기와 병렬로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 1 방향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전도성 권선은 고장 전류 제한기와 직렬로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전류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제 1 권선의 제 1 리액턴스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의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 제 2 권선의 제 2 리액턴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쇄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 전류의 제 1 부분은 고장 전류 제한기에 의해 전달되고, 정상 상태 전류의 제 2 부분은 가변 분류기에 의해 전달된다.
일례로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 장치의 특정 실시예에 대해 지금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정상 상태 조건에서의 FCL 및 고정된 분류기를 갖는 종래 기술의 전력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1b는 고장 조건에서의 도 1a와 일치하는 종래 기술의 회로도이다.
도 2a는 발명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FCL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2b는 정상 상태 조건에서의 도 2a와 일치하는 회로도이다.
도 2c는 고장 조건에서의 도 2a와 일치하는 회로도이다.
도 2d는 전압 제어 분류기를 갖는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와 일치하는 회로도이다.
도 2e는 전압 제어 분류기(voltage control shunt) 및 튜닝 리액터(tuning reactor)를 갖는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와 일치하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FCL로서 이용하기 위한 SCFCL의 하나의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가변 분류기 구성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동심 권선들을 갖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대안적인 가변 분류기 구성의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십자형 권선들을 갖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또 다른 대안적인 가변 분류기 구성들의 회로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고장 전류 제한기(FCL : fault current limiter) 시스템(200)의 회로도들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FCL 시스템(200)은 FCL(206)과 결합된 전류 분할 장치(202)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2b는 정상 상태 동작 동안의 FCL 시스템(200)을 예시하고, 도 2c는 고장 조건 동안의 FCL 시스템(200)을 예시한다.
FCL 시스템(200)은 도체들(203 및 205)을 통해 AC 전원(201) 및 하나 이상의 전기 부하들(210) 중간에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고장 전류 제한이 바람직한 전력 시스템 구성들 및 다양한 다른 응용들에서 FCL 시스템(200)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될 것이다. 그러므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특정한 전력 시스템은 일례로서만 도시되어 있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초전도 고장 전류 제한기(SCFCL)들, 고체 상태 고장 전류 제한기들, 유도성 고장 전류 제한기들, 및 당 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는 다른 유형들의 고장 전류 제한기들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유형들의 FCL들이 FCL 시스템(200)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예시의 목적으로, FCL 시스템(200)은 초전도 FCL(206)을 통합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다양한 FCL들 중의 임의의 것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명명되지 않은 다수의 다양한 FCL들도 본 발명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초전도 FCL(206)을 대체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류 분할 장치(202)는 고장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2b에 도시된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는 최소의 임피던스를 나타내고 도 2c에 도시된 고장 조건 동안에는 비교적 더 큰 임피던스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정상 상태 조건 동안에는, 전류 분할 장치(202)의 권선들(404 및 406)이 병렬 경로들(207 및 209)을 따라 미리 정의된 방식으로 정상 상태 전류를 분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 상태 전류의 x%가 경로(207)를 따라 흐르는 경우, 정상 상태 전류의 나머지(100-x)%는 경로(209)를 따라 흐른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류는 50%가 경로(207)를 따라 흐르고 50%가 경로(209)를 따라 흐르도록 분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그 비율이 경로(207)를 따라 흐르는 40% 및 경로(209)를 따라 흐르는 60%로 설정될 수 있고; 경로(207)를 따라 흐르는 30% 및 경로(209)를 따라 흐르는 70%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하 등등과 같다.
다시, 도 2c는 고장 조건 동안의 시스템(200)을 예시한다. 이러한 고장 조건 동안에는, FCL(206)의 임피던스가 전류 분할 장치(202)의 임피던스보다 더 크므로, 고장 전류는 경로(209)를 따라 전류 분할 장치(202)의 제 1 권선(404)으로 전환된다. 전류 분할 장치(202)는 부하들(210)에 대하여 고장 전류를 수용가능한 피크-투-피크(peak-to-peak) 진폭들로 제한하기에 충분히 큰 등가 임피던스를 여전히 나타낸다.
도 3은 FCL 시스템(200)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FCL(206)의 블록도이다. FCL(206)은 내부 챔버(303)를 정의하는 극저온 탱크(크라이오스탯)(302), 챔버(303) 내에 위치된 초전도체(307), 냉동 시스템(312), 제어기(320), 온도 센서(308), 및 전류 센서(326)를 포함하는 SCFCL일 수 있다. 예시 및 설명의 용이함을 위하여, 오직 하나의 FCL(206)이 단상 AC 전력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해 예시되어 있다. 당업자들은 3개의 별개의 FCL들이 3상 AC 전력 시스템을 수용하기 위하여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초전도체(307)는 그 임계 온도, 임계 전류 밀도, 및 임계 자기장 미만으로 유지될 때에 적당한 초전도 특성들을 나타내는, 이트륨 바륨 구리 옥사이드(YBCO : yttrium barium copper oxide)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초전도 재료일 수 있다. 초전도체(307)는 특정한 응용을 위해 요구되는 초전도 재료의 양에 따라 복수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즉, 더 큰 전류들을 전달하는 시스템들은 더 큰 양들의 초전도 재료를 갖는 FCL을 일반적으로 요구할 것이다). 냉동 시스템(312)은 초전도체(307)의 온도를, 고온 초전도체들에 대해 약 77
Figure pat00001
및 93
Figure pat00002
사이일 수 있는 그 임계 온도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냉동 시스템(312) 및 크라이오스탯(302)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급 도관(supply conduit)(316) 및 복귀 도관(return conduit)(314)을 거쳐 크라이오스탯(302)을 통해 극저온 냉각 유체를 순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동 시스템(312)은 냉각된 유체를 공급 도관(316)을 통해 크라이오스탯(302)으로 다시 순환하기 전에 복귀 도관(314)으로부터 받아들여진 입력 극저온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극저온 냉각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크라이오스탯(302)은 유전체 재료들 및/또는 열절연 재료들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극저온 냉각 유체는 액체 질소(nitrogen), 액체 헬륨(helium), 액체 아르곤(argon), 액체 네온(neon), 및 그 다양한 혼합물들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임의의 적당한 냉각 유체일 수 있다. 냉동 시스템(312)은 유체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밸브들, 펌프들, 및 센서들과, 추가적인 분량의 극저온 냉각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아래에서 더욱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들에 따라 냉동 시스템(312)의 동작을 관리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308) 및 전류 센서(326)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들 및 부품들로부터 입력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희망하는 입력/출력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general-purpose computer) 또는 범용 컴퓨터들의 네트워크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320)는 응용 특정 집적 회로들, 다른 하드와이어드(hardwired) 또는 프로그램가능한(programmable) 전자 장치들, 및 이산 소자(discrete element) 회로들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전자 회로 또는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20)는 통신 장치들(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 데이터 저장 장치들, 및 소프트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308)는 크라이오스탯(302)의 내부 챔버(303) 내의 초전도체(307) 및/또는 극저온 냉각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러한 온도 측정치를 제어기(320)에출력하기 위해 제공된다. 크라이오스탯(302) 내에서 달성된 것들과 같은 낮은 온도들을 측정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기존의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온도 센서(308)는 크라이오스탯(302)의 외부 상에 장착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중요하지 않다.
전류 센서(326)는 전류 분할 장치(202) 및 부하들(210) 중간의 위치에서 도체(205)에 동작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전류 센서(326)는 도체(205) 상에서 실시간 전류 드로우(real-time current draw)를 측정하고, 이러한 전류 드로우 측정치를 제어기(320)에 출력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체(205) 둘레에 위치된 전류 트랜스포머(current transformer)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기존의 전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동작 시에, 초전도체(307)는 3개 파라미터들, 즉, 임계 온도, 임계 밀도, 및 자기장 중의 하나가 초과될 때까지 초전도 상태에서 유지될 것이다.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는, 냉동 시스템(312)이 초전도체(307)의 온도를, 고온 초전도체들에 대해 약 77
Figure pat00003
및 93
Figure pat00004
사이일 수 있는 그 임계 온도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류 분할 장치(202)는 유리하게도 정상 상태 전류의 일부가 이 경로를 따라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류의 70%는 전류 분할 장치(202)를 통해 흐를 수 있고, 나머지 30%는 FCL(206)을 통해 흐를 수 있다. 그러므로, SCFCL일 수 있는 FCL(206)은 예측된 정상 상태 전류 레벨들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분류기와 함께 이용하기 위한 SCFCL에 비해, 초전도체(307)를 위해 필요한 초전도 재료의 양이 감소될 수 있고, 그러므로, 극저온 탱크(302)의 크기도 더 작을 수 있고, 극저온 유체의 필요한 부피(volume)를 포함하는 냉동 시스템(312)의 용량(capacity)도 이에 대응하여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냉동 시스템(312)을 위한 에너지 비용들도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당한 재료 및 에너지 비용 절감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FCL(206)의 물리적 크기가 감소될 수 있어서, 비현실적이지 않으면, 물리적 크기가 감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곤란했을 수 있는 장소들에 FCL(206)이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제 2 권선(406)과 역병렬(reverse-parallel) 관계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전도성 권선(404)을 포함하는 본 발명과 일치하는 가변 분류기(402)로서 역할하는 전류 분할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도면을 예시한다. 가변 분류기(402)에 진입하는 전류는 제 1 권선(404)을 통해 제 1 방향으로 그리고 제 2 권선(406)을 통해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보내진다. 선택적으로, 가변 분류기(402)는 아래에서 명백해질 방식으로 시스템에서의 전류 제한의 정밀한 튜닝(tun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 1 권선(404)과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도성 튜닝 권선(408)을 더 포함한다. 권선들(404 및 406)은 예를 들어, 바이파일러 코일(bifilar coil) 배치에서와 같이, 코어(core)(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코어(603)) 둘레로 감길 수 있다. 다른 권선 배치들이 이용가능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코어는 당업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응용의 전류 제한 요건들에 의해 기술되는 치수들을 가지는 철 코어(iron core) 또는 공기 코어(air core)일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가변 분류기(402)의 제 1 권선(404)은 FCL(206)과 병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가변 분류기(402)의 제 2 권선(406)은 FCL(206)과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예를 들어, 고장 조건이 없을 경우에) 시스템(200)의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는, 초전도체(307)가 초전도 상태로 유지될 것이고 실질적으로 제로 임피던스(zero impedance)를 나타낼 것이다. 그러므로, 제 1 권선(404)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 2 권선(406)을 통해 흐르는 전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것이고, 권선들(404 및 406)이 상기 설명된 역병렬(reverse-parallel) 구성으로 배치되므로, 권선들은 자기적으로 결합될 것이고 무시할 수 있는 순 임피던스(net impedance) 또는 등가 임피던스(equivalent impedance)를 나타낼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수의 회전들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권선들을 선택함으로써, 시스템(200)의 정상 상태 동작은 평행한 경로들(207 및 209)을 따라 정상 상태 전류를 분배하도록 설계될 수 있어서, 정상 상태 전류의 x%가 경로(207)를 따라 흐르는 경우, 정상 상태 전류의 나머지 (100-x)%는 경로(209)를 따라 흐른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권선들(404 및 406)은, 전류의 50%가 경로(207)를 따라 흐르고 50%가 경로(209)를 따라 흐르는 것과 같이, FCL 시스템(200)에서의 전류를 경로들(207 및 209) 사이에서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적절한 회전수들을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고려된 실시예들에서는, 예를 들어, 각각의 경로들(207 및 209)을 따르는 비율이 40/60, 30/70, 20/80,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류 분배가 더욱 정밀하게 설정되어야 하는 일부의 경우들에 있어서, 외부 튜닝 권선(408)은 선택적인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고장 조건의 발생 시에, 시스템(200)을 통한 전류는 갑자기 증가하고, 증가된 고장 전류는 전류 센서(326)(도 3에 도시됨)에 의해 측정된다. 미리 정의된 레벨을 초과하는 고장 전류를 표시하는 전류 센서(326)로부터의 출력의 수신 시에, 제어기(320)는 FCL(206)을 즉시 "트립(trip)"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어기(320)는 FCL(206)이 고장 상태로 들어가게 하고, 이 고장 상태에서는, FCL(206)이 제 1 권선(404)의 임피던스보다 훨씬 큰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FCL(206)이 SCFCL인 특정한 경우에, 이것은 FCL(206)이 퀀칭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되고, 이에 따라, FCL(206)을 높은 임피던스의 비-초전도 상태로 구동하고, 이 비-초전도 상태에서는, FCL(206)의 임피던스가 제 2 권선(406)의 임피던스보다 훨씬 더 크다. 그러므로, 고장 전류는 제 1 권선(404)으로 전환된다. 제 1 및 제 2 권선들(404 및 406)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들은 결합해제되고 더 이상 서로 상쇄되지 않으며, 제 1 권선의 임피던스는 고장 전류를 효과적으로 제한하고 FCL(206)을 위한 분류기 리액터로서 작용하는 전류 제한 임피던스까지 증가한다. 회복 동안에, FCL(206)은 회복하고 IW2는 증가하여, 궁극적으로 IW1의 값에 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시 리액턴스 상쇄(reactance cancellation)가 있다.
잠시 도 2c 및 도 4로 돌아가면, 고장 조건 동안의 경로(207)(제 1 권선(404) 및 선택적으로, 튜닝 권선(408)을 포함함)에 대한 경로(205)(트립된 FCL(206) 및 제 2 권선(406)을 포함함)의 상대적으로 높은 임피던스는 실질적으로 전체 고장 전류가 전류 분할 장치(202)의 제 1 권선(404)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귀착된다. 그러므로, 제 2 권선(406)을 통한 전류는 제 1 권선(404)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상쇄시키기에 이제 더 이상 충분하지 않고, 이에 따라, 제 1 권선(404)의 전체 임피던스는 정상 상태 동작 동안에 나타낸 임피던스보다 더 크다. 따라서, 전류 분할 장치(202)는 FCL(206)을 위한 분류기 리액터로서 작용하고, 고장 전류를 수용가능한 피크-투-피크 진폭들로 제한할 정도로 충분히 큰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회복 동안, FCL(206)은 정상 상태 조건으로 복귀하므로, 제 1 및 제 2 권선들(404 및 406)을 통한 전류들은 궁극적으로 그 정상 상태 값들로 복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된 정상 상태 리액턴스-상쇄(reactance-cancellation)를 달성할 수 있다.
전류 분할 장치(202)가 시스템(200)에서 정상 상태 전류의 상당한 부분을 취급하는 시스템(200)의 상기 설명된 구성을 고려하면, FCL(206)은 그렇지 않을 경우에 수용하도록 요구될 것보다 훨씬 적은 정상 상태 전류를 취급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재료 및 노동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FCL의 물리적 크기도 감소될 수 있어서, 비현실적이지 않으면, 물리적 크기가 감소되지 않을 경우에는 곤란했을 수 있는 장소들에 FCL이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력들 및 그 효과들도 더 적은 능동 FCL 부품들로 인해 감소될 수 있다. FCL(206)에서 손실되는 에너지의 양도 감소될 수 있다. FCL(206)이 SCFCL일 때, 정상 상태 전류의 50%가 전류 분할 장치(202)로 전환될 경우에는, 초전도 재료의 수량이 50%만큼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초전도 재료를 그 임계 온도 미만으로 냉각하기 위해 더 적은 에너지가 요구된다. 요구되는 극저온 유체의 부피를 포함하는 냉동 시스템 용량도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고장 전류 제한기들에 비해 더욱 비용 및 공간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d 및 도 2e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튜닝 리액터(208) 없이 또는 외부 튜닝 리액터(208)로 기존의 방식으로 전압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된 분류기(214)(전압 제어 분류기)가 FCL(206)과 병렬로 결합되는 FCL 시스템(200)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이 고려된다. 전압 제어 분류기는 리액터, 저항, 배리스터(varistor)(MOV) 또는 전압을 바람직한 값으로 클램프(clamp)하거나 설정하는 임의의 다른 전기 장치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권선들(404 및 406)이 바이파일러 코일 배치로 도 4에 예시되어 있지만, 다른 권선 구성들이 고려되고 대안적으로 전류 분할 장치(202)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대향하는 동심 배치(opposing concentric arrangement)로 감긴 제 1 권선(504) 및 제 2 권선(506)을 갖는 가변 분류기(502)를 예시한다. 튜닝 권선(408)은 직렬로 제 1 권선(504)에 접속되고, 제 2 권선(506)은 FCL(206)에 접속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6은 각각의 권선이 동일한 회전수를 갖는 십자형 배치(crisscrossed arrangement)로 자기 코어(603) 둘레로 감긴 제 1 권선(604) 및 제 2 권선(606)을 갖는 가변 분류기(602)를 예시한다. 또한, 제 1 권선(604)은 튜닝 권선(408)에 접속되고 제 2 권선(606)은 FCL(206)에 접속된다. 또 다른 예에서, 도 7은 FCL(706)을 통한 정상 상태 전류 흐름의 분배를 더욱 제어 및 제한하기 위하여 동일하지 않은 회전수로 십자형 배치로 자기 코어(703) 둘레로 감긴 제 1 권선(704) 및 제 2 권선(706)을 갖는 가변 분류기(702)를 예시한다. 제 1 권선(704)은 튜닝 권선(408)에 접속되고 제 2 권선(706)은 FCL(206)에 접속된다.
발명의 어떤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었지만, 발명은 기술이 허용하는 바와 같이 범위가 넓고 명세서가 마찬가지로 판독되도록 의도한 것이므로,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상기한 설명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의 예시들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들은 부속된 청구항들의 범위 및 취지 내에서 다른 수정들을 상상할 것이다.

Claims (23)

  1. 제 1 회로; 및
    제 2 회로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로서,
    상기 제 1 회로 및 제 2 회로는 정상 동작 조건 동안에는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부하에 전달되는 전류의 양을 제한하기 위하여, 고장 조건 동안에는 자기적으로 결합해제되어 있는, 전류 분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는 코어 둘레로 감긴 제 1 권선을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코어 둘레로 감긴 제 2 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제 1 전류는 제 1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 2 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제 2 전류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 분할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바이파일러 코일(bifilar coil) 배치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대향하는 동심 배치(opposing concentric arrangement)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동일한 회전수로 십자형 배치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동일하지 않은 회전수로 십자형 배치(crisscrossed arrangement)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 및 상기 제 2 회로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고장 전류 제한기를 더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초전도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고체 상태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유도성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류 분할 장치의 임피던스 및 전류 분배의 미세 튜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회로와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튜닝 권선을 더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13. 정상 동작 조건 동안에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고장 조건 동안에 자기적으로 결합해제되는 제 1 회로 및 제 2 회로를 갖는 전류 분할 장치; 및
    상기 제 2 회로와 직렬로 접속된 고장 전류 제한기로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 및 상기 제 2 회로의 직렬 접속은 상기 제 1 회로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상기 전류 분할 장치와 함께, 정상 동작 조건 동안에 등가 임피던스를 제공하고 고장 조건 동안에 전류 제한 임피던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는 코어 둘레로 감긴 제 1 권선을 포함하는,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로는 상기 코어 둘레로 감긴 제 2 권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제 1 전류는 제 1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 2 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제 2 전류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바이파일러 코일 배치(bifilar coil arrangement)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대향하는 동심 배치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동일한 회전수로 십자형 배치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권선들은 동일하지 않은 회전수로 십자형 배치로 감기는, 전류 분할 장치.
  20.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초전도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21.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고체 상태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22.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고장 전류 제한기는 유도성 고장 전류 제한기를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23.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류 분할 장치의 임피던스 및 전류 분배의 미세 튜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회로와 직렬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튜닝 권선을 더 포함하는, 전류 분할 장치.
KR20157002696A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KR20150024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5976P 2011-04-15 2011-04-15
US61/475,976 2011-04-15
PCT/US2012/033182 WO2012142201A1 (en) 2011-04-15 2012-04-12 Fault current limiter system with current splitt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706A Division KR20140039188A (ko)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438A true KR20150024438A (ko) 2015-03-06

Family

ID=4602815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7002696A KR20150024438A (ko)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KR1020137029706A KR20140039188A (ko)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KR1020167010179A KR20160045940A (ko)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706A KR20140039188A (ko)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KR1020167010179A KR20160045940A (ko) 2011-04-15 2012-04-12 전류 분할 장치,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전류 분할 장치를 갖는 고장 전류 제한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787999B2 (ko)
EP (1) EP2697882B1 (ko)
KR (3) KR20150024438A (ko)
CN (1) CN103858299B (ko)
AU (2) AU2012242835B2 (ko)
TW (2) TWI548172B (ko)
WO (1) WO20121422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87999B2 (en) * 2011-04-15 2014-07-22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ult current limited system with current splitting device
US8914085B2 (en) * 2011-06-09 2014-12-16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monitoring
US9754716B2 (en) * 2011-08-01 2017-09-05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Current limiter
US9520713B2 (en) * 2013-08-22 2016-12-1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st switch fault current limiter
US9331476B2 (en) * 2013-08-22 2016-05-0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Solid state fault current limiter
US9270110B2 (en) * 2013-12-10 2016-02-2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ult current limiter with interleaved windings
US10109997B2 (en) 2016-02-19 2018-10-2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ult current limiter having self-checking power electronics and triggering circuit
US10270241B2 (en) * 2016-05-16 2019-04-23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ult current limiter having fault checking system for power electronics and bypass circuit
US10447031B2 (en) 2016-10-31 2019-10-15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ult current limiter with modular mutual reactor
US10784673B2 (en) * 2017-08-18 2020-09-22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Current protection device with mutual reactor
CN108305763A (zh) * 2017-12-27 2018-07-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研究所 一种在屏蔽装置内复现微弱磁场的方法
CN112635151A (zh) * 2020-11-28 2021-04-09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测温和自动降温的阻抗型超导限流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2431T2 (de) * 1988-07-13 1994-07-07 Toshiba Kawasaki Kk Supraleitender Schalter und Strombegrenzer unter Verwendung eines solchen Schalters.
US5667711A (en) 1996-05-20 1997-09-16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incorporating trip coil as shunt resistor in parallel with current limiting polymer
US5812353A (en) * 1996-10-15 1998-09-22 Lockheed Martin Corporation Current limiter for electrical transmission/distribution protection systems
JP3495590B2 (ja) 1997-06-30 2004-02-0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軟窒化処理を施した歯車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5892644A (en) * 1997-11-20 1999-04-06 The University Of Chicago Passive fault current limiting device
JP2000165175A (ja) * 1998-11-27 2000-06-16 Kyosan Electric Mfg Co Ltd インピーダンス整合装置
US6751075B2 (en) * 2001-12-12 2004-06-15 The University Of Chicago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controller/current controller
DE602004012035T2 (de) * 2003-10-15 2009-03-19 Nexans Supraleitender Strombegrenzer mit magnetfeldunterstütztem Quench
US8169756B2 (en) 2006-03-29 2012-05-01 Rolls-Royce Plc Fault current limiting
KR100780706B1 (ko) * 2006-08-17 2007-1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복합형 초전도 한류기
KR100888147B1 (ko) * 2007-08-20 2009-03-13 한국전력공사 하이브리드 초전도 한류기
KR100929394B1 (ko) * 2008-01-30 2009-12-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초전도선재를 이용한 전류 제한 모듈 및 하이브리드전류 제한기
US9117586B2 (en) * 2009-03-09 2015-08-25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Trimmable transformer arrangement
US8787999B2 (en) * 2011-04-15 2014-07-22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Fault current limited system with current spli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57490A1 (en) 2014-12-04
AU2016210745A1 (en) 2016-08-25
CN103858299A (zh) 2014-06-11
KR20140039188A (ko) 2014-04-01
TWI548172B (zh) 2016-09-01
TWI491133B (zh) 2015-07-01
AU2016210745B2 (en) 2018-09-06
TW201515355A (zh) 2015-04-16
WO2012142201A1 (en) 2012-10-18
KR20160045940A (ko) 2016-04-27
TW201304340A (zh) 2013-01-16
US8787999B2 (en) 2014-07-22
AU2012242835B2 (en) 2016-06-23
EP2697882B1 (en) 2019-12-18
CN103858299B (zh) 2017-03-15
US10326269B2 (en) 2019-06-18
AU2012242835A1 (en) 2013-11-07
EP2697882A1 (en) 2014-02-19
US20120264613A1 (en) 201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10745B2 (en) Current splitting device, system for carrying current, and fault current limiter system with the current splitting device
Pei et al.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 for HVDC systems
Yamaguchi et al. Performance of DC reactor type fault current limiter using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coil
US6664875B2 (en) Matrix-typ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KR101142124B1 (ko) 병렬 연결된 hts fcl 장비
Schmidt et al. Design and test of current limiting modules using YBCO-coated conductors
TWI542103B (zh) 超導故障電流限制器回復系統
Tixador et al. Design of ReBaCuO-coated conductors for FCL
Aly et al. Comparison between resistive and inductiv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s for fault current limiting
Choi et al.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hybrid-type SFCL by the number of secondary windings with YBCO films
Ganev et al. Fault current limiters–principles and application
Park et al. Analysis of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 resistive SFCL by using the YBCO coated conductor
CN107851992B (zh) 具有线圈和开关的电流限制装置
WO2012125540A1 (en)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Min-Cheol et al. Fault Current Limiting Characteristic of Non-inductively Wound HTS Magnets in Sub-cooled $ LN_2 $ Cooling System
Neumueller et al. Economically viable fault current limiters using YBCO coated conductors
Imparato et al. Investigation of shunt resistor's connection for a DC Resistive SFCL
DIXIT et al.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BASED FAULT CURRENT LIMITER FOR DISTRIBUTION SYSTEMS
Mukai et al. Study on reduction of steady-state impedance in magnetic shielding type 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