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194A -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194A
KR20150024194A KR20130101359A KR20130101359A KR20150024194A KR 20150024194 A KR20150024194 A KR 20150024194A KR 20130101359 A KR20130101359 A KR 20130101359A KR 20130101359 A KR20130101359 A KR 20130101359A KR 20150024194 A KR20150024194 A KR 20150024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acility
unit
graphic object
us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6159B1 (ko
Inventor
윤상원
전덕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1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1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4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설비 제어 장치를 통해 실내 공간에 대한 관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 및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비 제어 장치 혹은 설비 제어 장치를 통해 연결된 장치들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ARATUS FOR CONTROLLING FACILIT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설비가 설치된 실내 공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들은 고기능화되어 감에 따라 공조, 전력, 조명, 수처리 등의 각종 설비들이 복잡하게 설치되고, 이들의 설비를 관제하기 위해 다양한 설비 제어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설비 제어 장치가 상가, 주택, 사무실, 공장, 빌딩이 등의 실내 공간에 대한 관제를 위해 사용되는 경우, 설비 제어 장치는 테이블 형식으로 나열된 설비의 이름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히 어느 위치의 설비를 관제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실내 공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설비 제어 장치를 통한 실내 공간의 조명, 온도 따위 등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설비 제어 장치를 통해 실내 공간에 대한 관제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 및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건물 또는 빌딩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포함한 제어 영역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된 설비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및 공기청정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복수 선택된 상기 설비에 제어명령을 일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인식된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축소 출력시,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일정 시간 벗어난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및 공기청정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복수 선택된 상기 설비에 제어 명령을 일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제어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거나, 위치 인식 모듈을 통해 인식된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축소 출력시,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일정 시간 벗어난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실내 공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설비 제어 장치 혹은 설비 제어 장치를 통해 연결된 장치들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영역 및 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모델링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한 관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타 제어 영역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또는 이에 설치된 설비에 대한 용이한 제어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에 대한 관제시 지도를 통해 관제 대상의 지도상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제1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비 제어 장치의 제2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설비 제어 장치에는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TV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 그리고 이외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설비 제어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피씨(Slate PC), 테블릿 피씨(Tablet PC), 울트라북(Ultra Book), 넷북(Netbook)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채용할 수 있는 연산처리수단을 포함한 각종의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비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출력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설비 제어 장치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센싱부(140)는 제어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습도 센서(humidity sensor), 공기청정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센서는 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등을 검지하고, 제어부(110)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140)는 실내의 특정 공간의 일 면 기타 다양한 위치에 배치 설치될 수 있고, 이와 달리,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냉장 및/또는 냉동을 위해 냉기를 제공하는 쇼케이스(show case) 등과 같은 장치 내외에도 설치될 수 있다.
출력부(17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디스플레이부(171) 및 음향출력부(17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1)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수단으로서,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TOLED(Transparant OLED)와 같은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설비 제어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출력부(170)는 2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은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이와 다르게 서로 다른 면에 복수의 디스플레이부(171)들이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7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7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7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에 의해 처리되어 제어부(110)에 전송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172)는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각종 정보를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수단으로, 일 예로, 제어부(110)에서 센싱부(140)를 통해 획득한 정보가 비정상인 경우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음향출력부(17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설비 제어 장치(100)가 사용자로부터 각종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보드(keyboard), 키 패드(key pad), 마우스(mouse),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디스플레이부(171)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를 포함),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설비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각종 명령어를 실행하고, 제어부(110)에 연결된 각 구성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통신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로부터 획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를 출력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건물 또는 빌딩 내 적어도 하나의 특정 공간을 포함한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170)를 통해 화면에 출력한다. 사용자에게 관제 화면 제공시, 단순히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의 이름이 나열된 리스트(list)나 테이블(table) 형식으로 제공하지 않고,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평면 혹은 입체 형태의 모델링된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를 관제시 정확히 어떤 지점 및/또는 설비에 관한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상기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의 외형을 그대로 묘사한 모양이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표하거나 간략화한 모양일 수 있다.
물론,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화면 출력함과 동시에, 제어부(110)는 리스트(list)나 테이블(table) 형식으로 나열된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의 이름을 출력부(170)에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출력부(170)를 통해 특정 공간 및 상기 특정 공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화면 출력시 3차원 형태로 디스플레이부(171) 화면 중심에 출력(도면 부호 D 참조)하고, 모델링한 화면 주변 외곽에 상기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어 영역의 적어도 일 지점 및/또는 설비를 선택하는 선택 입력을 받고, 이에 따라 선택된 제어 영역의 적어도 일 지점 및/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센싱부(14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수집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로부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 또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의 주변에 위치한 각종 센싱부(140)로부터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설비들로부터 직접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거나 설비에 연결된 전력 측정 수단을 통해 전력 소비량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전력 소비량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주, 월, 분기 등의 소정의 기간 동안의 총 전력 소비량 및/또는 평균 전력 소비량 등의 통계 결과를 출력하거나, 설비별로 전력 소비량을 비교하여 출력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표전력량과 소정의 기간 동안 누적 전력 소비량을 비교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가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및/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때,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공기조화기를 통해 측정된 실내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상 범위의 실내 온도 값인 24℃ ~ 26℃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파란색으로 표시하거나, 이와 반대로 공기조화기에 의해 측정된 실내온도가 정상 범위의 실내 온도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빨간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영역의 적어도 일 지점 및/또는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경우, 복수의 상태 정보의 정도를 고려하여, 상태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공기조화기의 풍량에 따라 명도를 달리하여 출력하되, 정상 범위의 실내 온도 값에 미치지 못하는 온도이고 풍량이 약풍인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밝기가 어두운 파란색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달리, 정상 범위의 실내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이고 풍량이 강풍인 경우에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밝기가 밝은 빨간색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50)는 설비 제어 장치(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여, 인터페이스부(15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설비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설비 제어 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설비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쇼케이스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제어 명령(일 예로, 공기조화기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 상하한 온도 설정, 풍량, 냉/난방 등, 조명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 조도 등 제습기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 공기 중의 습도 등, 공기청정기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 공기의 오염도 등, 냉장고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 설정 등, 쇼케이스에 대한 전원의 온/오프,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온도 설정 등)을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된 모델링된 화면(도면 부호 D 참조) 또는 모델링된 화면(도면 부호 D 참조) 주변의 버튼 따위를 포함한 제어창을 통해,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설비(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쇼케이스 등)에 입력받은 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 대상 설비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어 명령을 제어 대상 설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 대상 설비가 시간에 따라 제어되도록 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복수의 선택 입력을 받고, 복수 선택된 제어 대상 설비에 상기 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일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 선택된 제어 대상 설비는 동종의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및 쇼케이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종의 설비일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10)는 외부 기기로부터 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외부 기기의 전원의 온/오프 등과 같은 각종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렇게 수신한 상태 정보는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통신부(120)는 타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서버 등과 연결된 네트워크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설비 제어 장치(100)와 타 설비 제어 장치 혹은 서버 등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20)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사용하여 XML 기반의 메세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인 SOAP 또는 빌딩 자동화용 통신 프로토콜인 BACnet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로컬 영역"은 설비 제어 장치가 타 설비 제어 장치 따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상태 정보를 수신하거나, 제어 명령을 직접 전송할 수 있는 대상을 포함한 영역을 말한다)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가 통신부(170)를 통해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170)를 통한 화면 출력한 경우,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170)를 통한 화면 출력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설비에 대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어 명령(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반대로,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제어부(110)는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의해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에 연결된 외부 기기(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서도 제어 영역 및/또는 이에 배치된 설비에 대한 관제가 가능해진다.
통신부(120)는 상기와 같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유선통신모듈, 무선통신모듈 및/또는 이동통신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통신모듈(미도시)은 네트워크와 유선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설비 제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으며, RS-485, RS-232 등과 같은 시리얼 통신이나 LAN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은 무선 네트워크와 접속을 위한 모듈로서, 설비 제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으며,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로서, 설비 제어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위치 인식 모듈(111)을 포함할 수 있고, 위치 인식 모듈(111)은 설비 제어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모듈로서, 일 예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설비 제어 장치가 실내에 위치한 경우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파이(wi-fi) 핑거프린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실내 위치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상기 위치 인식 모듈(111)을 통해 획득한 설비 제어 장치(100)의 위치를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서버에 전송하는 경우, 위치 인식 모듈(111)에 의해 획득한 설비 제어 장치(100)의 위치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타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서버는 설비 제어 장치 위치 및 그에 따른 제1 그래픽 오브젝트나 이에 대응되는 각종 상태 정보를 함께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를 통계를 내어 유사한 환경을 가진 설비 제어 장치를 그룹화함으로써, 그룹화된 복수의 설비 제어 장치에 대해서 동일한 원격 제어를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를 구비하지 못하거나 고장이 있는 설비 제어 장치(100)에 대해서도, 사용자는 유사 환경에 있는 실내 공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출력부(170)를 통해 화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화면을 회전, 확대/축소하거나, 모델의 단면 혹은 모델이 투시된 화면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지점 혹은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정확히 선택하여, 선택된 대상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일정 범위 이상 축소시 모델링된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 및/또는 이에 배치된 설비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가 표시(도 2c의 도면 부호 Z1 내지 Z4)된 지도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그래픽 오브젝트 역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와 마찬가지로, 상기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의 외형을 그대로 묘사한 모양이거나 일부 또는 전부를 대표하거나 간략화한 모양일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설비 제어 장치의 제2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의 특정 공간 및 이에 배치된 설비를 모델링한 화면을 사용자 입력 등에 의해 축소시, 제어부(110)는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부(17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타 제어 영역을 함께 나타내는 지도를 출력할 수 있고, 다시 도 2c와 같은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을 함께 나타내는 지도에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타 제어 영역에 대한 확대 입력을 받으면, 제어부(110)는 출력부(170)를 통해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을 근거로 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이때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설비에 대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또는 설비에 대한 용이한 제어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설비 제어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시 출력부(170)를 통해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일정 시간동안 벗어난 경우, 디스플레이부(171)를 통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음향출력부(172)를 통해 경고 음향을 출력하여, 설비 제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서버에 경고를 줄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설비 제어 장치(100)로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설비 제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이 처리한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저장부(160)는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으며,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대응되는 주소를 저장하여, 제어부(110)가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쇼케이스 등의 설비와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한 통신시, 상기 저장부(160)를 참조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실체의 설비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저장부(16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와 이에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부(150)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매칭(matching)시키기 위한 주소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원 공급부(180)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설비 제어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설비 제어 장치 제어방법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을 단계별 흐름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도 3a, 도 3b 및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S100, S110),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S200, S210) 및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300, S31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되, 앞선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에 갈음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10)는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한다(S100)(도 3a 참조).
제어부(110)는 출력부(170)를 통해,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외형을 모델링한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바람직하게는 3차원 형태로 출력(도 2a 및 도 2b 참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평면 혹은 입체 형태로 화면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관제시 관제 대상에 대한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S200),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한다(S300).
한편, 제어부(110)가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및/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때,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경우, 복수의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의 조합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상태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센싱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수집할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로부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 또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의 주변에 위치한 각종 센싱부(140)로 상태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인터페이스부(150)와 통신하여, 설비 제어 장치(100)와 연결된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쇼케이스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어할 수 있다. 즉,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된 제어영역 및 이에 배치된 설비의 외형을 모델링한 화면 또는 모델링 화면 주변의 버튼 따위를 포함한 제어창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쇼케이스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10)가 제어 대상 설비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설비를 제어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제어 대상 설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해 상기 제어 대상 설비에 대한 복수의 선택 입력을 받고, 복수 선택된 제어 대상 설비에 상기 온도, 조도, 공기 중의 습도, 공기 오염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일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10)(도 3b 참조).
따라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S110)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S210)에 의해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S310)할 수 있다.
이때,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310)는 사용자로부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한 선택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 또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의 주변에 위치한 각종 센싱부(140)로 상태 정보를 통신부(120)를 통해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통신부(120)를 통해 타 설비 제어 장치와 통신하여,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전달받거나 센싱부(140)를 통해 수신한 상태 정보를 전달받아 저장부(160)에 저장/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또는 이에 배치된 상기 설비를 모델링한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근거로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설비에 제어 명령을 통신부(120)를 통해 전송(S41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지의 제어 영역 및/또는 설비에 대한 관제가 가능하며, 또한 원격지에서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설비에 대한 관제가 가능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에 포함된 위치 인식 모듈(111)을 이용하여, 위치 인식 모듈을 통해 인식된 설비 제어 장치(100)의 위치를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영역 및 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수신하는 경우,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에 포함된 위치 인식 모듈(111)에 의해 획득한 설비 제어 장치(100)의 위치를 제2 그래픽 오브젝트와 함께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 관제시 관제 대상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3c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모델링한 화면을 회전, 확대/축소하거나, 모델의 단면 혹은 모델이 투시된 화면 등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 혹은 설비를 정확히 가리켜 그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제1 그래픽 오브젝트 축소시, 타 제어 영역 및/또는 이에 배치된 설비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지도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도 2c 참조).
이로써, 사용자에게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또는 설비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에 대한 관제시 지도를 통해 관제 대상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즉,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을 근거로 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어부(110)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S100, S110)하고,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S200, S210)에 대응하는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및/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S300, S310)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제1 그래픽 오브젝트 및/또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설비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전송(S400, S410)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 영역 또는 이에 배치된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일정 시간 벗어난 경우, 알람을 출력부(170)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설비 제어 장치(100)의 이벤트 발생시 출력부(170)를 통해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140)를 통해 감지된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일정 시간동안 벗어난 경우, 디스플레이부(171)를 통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거나, 음향출력부(172)를 통해 경고 음향을 출력하여, 설비 제어 장치(100) 주변의 사용자에게 경고를 주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 또는 서버에 경고를 줄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설비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11: 위치 인식 모듈 120: 통신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인터페이스부 160: 저장부
170: 출력부 171: 디스플레이부
172: 음향출력부 180: 전원 공급부

Claims (23)

  1. 사용자 입력부; 및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는,
    건물 또는 빌딩 내 적어도 하나의 공간을 포함한 제어 영역 및 상기 공간에 배치된 설비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및 공기청정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복수 선택된 상기 설비에 제어명령을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비 제어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 모듈; 을 포함하고, 인식된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축소 출력시,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범위를 일정 시간 벗어난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
  12. 제어 영역 및 상기 제어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상기 상태 정보의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공기조화기, 조명, 제습기 및 공기청정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복수 선택된 상기 설비에 제어 명령을 일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원격지의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 및 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응되는 제2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로컬 영역에 위치한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설비에 제어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위치 인식 모듈을 통해 인식된 상기 타 설비 제어 장치의 위치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를 축소 출력시, 원격지의 타 제어 영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영역의 일 지점 또는 설비에 대한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일정 시간 벗어난 경우, 상기 출력부를 통해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1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설비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101359A 2013-08-26 2013-08-26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13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359A KR102136159B1 (ko) 2013-08-26 2013-08-26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359A KR102136159B1 (ko) 2013-08-26 2013-08-26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94A true KR20150024194A (ko) 2015-03-06
KR102136159B1 KR102136159B1 (ko) 2020-07-21

Family

ID=53020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359A KR102136159B1 (ko) 2013-08-26 2013-08-26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1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84B1 (ko) * 2007-05-23 2008-04-17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
KR20120064325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049262A (ko) * 2011-10-31 2013-05-14 주식회사 케이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384B1 (ko) * 2007-05-23 2008-04-17 (주) 인바이런먼트 리딩 테크놀러지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의 통합형 컨트롤러
KR20120064325A (ko) * 2010-12-09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KR20130049262A (ko) * 2011-10-31 2013-05-14 주식회사 케이티 시설물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159B1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172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item of equipment in a direction of interest
US10095393B2 (en) Mobile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US8830267B2 (en) Augmented reality building operations tool
RU2557468C2 (ru) Переносной полево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функцией базовой информированности
JP5460891B2 (ja) 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92967B2 (en) Presenting information regarding conditions of an environment with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environment
US20160131388A1 (en) Contextual scoring in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RU26749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ботой множества исполнительных механизмов
EP3575698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4797992A (zh) 用于监测多个建筑物自动化系统的系统
WO2016051733A1 (ja) 換気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28750A (ko) 3차원 정보제공장치
US10984148B2 (en) Methods for generating a user interface based upon orientation of a smart device
US11481527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n item of equipment in a direction of interest
JPWO2015111204A1 (ja) 表示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JP2016212050A (ja) 位置管理システム、位置管理装置、位置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70613B2 (en) Layout creation method and light position registration system
KR20150024194A (ko)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24193A (ko) 설비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U2020200205B2 (en) Interfaces for resolving maintenance activities
KR102136160B1 (ko)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장치, 설비 제어 시스템 및 설비 제어를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CN113606732B (zh) 健康度评估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KR102409542B1 (ko) 제어 판넬의 원격 제어를 이용한 빌딩 층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2011191892A (ja) 画像表示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785683B1 (ko) 건물 내부 위치확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부 위치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