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165A -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165A
KR20150024165A KR20130101270A KR20130101270A KR20150024165A KR 20150024165 A KR20150024165 A KR 20150024165A KR 20130101270 A KR20130101270 A KR 20130101270A KR 20130101270 A KR20130101270 A KR 20130101270A KR 20150024165 A KR20150024165 A KR 20150024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jection
base material
inflat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계화
Original Assignee
손계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계화 filed Critical 손계화
Priority to KR20130101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165A/ko
Publication of KR20150024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1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having a "sandwich"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을 3중 구성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표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각적인 변화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새로운 형태의 안경프레임을 제공하여 형상과 모양에 따른 디자인 가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출성형 되고 착용자의 얼굴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와, 사출성형 되고 착용자의 얼굴 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트를 사출금형에 서로 이격되도록 인서트시키고, 상기 사출금형에 인서트한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 사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주입하여 미들플레이트를 형성하여 3중 구조를 가지는 모재를 얻고, 상기 모재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A SPECTACLE FRAME MANUFACTURING AND IT SELF}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재질로 만들어지는 안경프레임을 동일한 재질이면서 3가지의 색상과 두께를 통하여 새로운 미감과 디자인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제조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교정을 위한 기능과 더불어 햇빛을 가리기 위한 기능 및 운동과정에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미관과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한 장신(장식)기능을 겸하는 등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맞게 안경의 형상과 모양 및 소재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경은 크게 렌즈를 장착하기 위한 렌즈프레임과 렌즈프레임의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접철될 수 있도록 하면서 안면부에 안경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착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다리로 구성되고 있다.
안경이 초기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안경을 경량화를 통하여 착용감을 높이면서 다양한 형상과 모양을 표출할 수 있는 특성에 의하여 안경프레임과 다리를 플라스틱소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플라스틱소재의 안경의 또 다른 특징은 우수한 내구성과 더불어 형상복원력을 가진다.
종래에도 플라스틱재질의 안경프레임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안경프레임(1)은, 플라스틱재질{폴리아미드(Polyamid)나 나이론(Nylon) 계열의 티알(TR)90}로 안경을 구성할 경우에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성형을 통하여 얻어지는 모재 또는 판상소재를 가공하여 목적하고자 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안경프레임과 다리를 만들거나, 플라스틱재질을 바로 사출성형을 통하여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안경프레임과 다리를 만들고 표면가공과 후처리를 통하여 안경프레임을 완성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실용신안출원 제 20 - 1994 - 0025479 호 실용신안출원 제 20 - 2011 - 0002070 호 실용신안출원 제 20 - 2011 - 0009906 호 특허출원 제 10 - 2010 - 0046077 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프레임은, 단일의 색상으로만 표현되기 때문에 쉽게 식상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안경프레임에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아세테이트계 입체문양시트를 사전에 결정된 디자인 패턴으로 컷팅을 수행하여 얻는 방법과,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안경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가지는 전사시트를 말착시켜 열을 가함으로써 전사시트의 문양이 안경으로 전사되도록 하는 방식과, 문양을 가지는 시트를 안경의 표면에 접착시키는 방식 등이 있다.
종래기술이 적용되는 안경프레임의 경우, 아세테이트계의 입체문양시트를 열전사 또는 접착을 통하여 안경에 표현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안경에 목적하는 바의 무늬를 표현하기까지 많은 공정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생산성이 용이하지 못하고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전사시트 또는 시트를 열전사 또는 접착을 통하여 안경의 표면에 무늬를 표현할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인 신체와의 접촉과 더불어 안경을 벗을 상태에서 케이스 또는 다른 사물들과의 연접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쉽게 전사 또는 부착된 무늬가 쉽게 손상된다.
특히 무늬를 전사시켜 안경에 표현한 경우에는 쉽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으며, 무늬를 형성한 시트를 접착한 경우에는 접착제가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쉽게 탈락하게 되고, 탈락 된 부위가 안경의 전체적인 미감을 해치게 된다.
아세테이트계의 입체문양시트를 안경프레임의 표면에 부착하는 타입의 경우에는, 전체적인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성이 저하되고 착용기간이 길어짐과 아울러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기온변화를 겪으면서 쉽게 분리되는 현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된다.
아세테이트계 입체문양시트의 경우에는 정형화되지 않은 무늬의 표현은 가능할 것이나, 환경친화적인 소재, 자연소재의 무늬, 미술이나 예술작품 또는 의류패턴, 실사표현과 같이 다양한 표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무늬 표현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출성형 되고 착용자의 얼굴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와, 사출성형 되고 착용자의 얼굴 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트를 사출금형에 서로 이격되도록 인서트시키고, 상기 사출금형에 인서트한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 사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주입하여 미들플레이트를 형성하여 3중 구조를 가지는 모재를 얻고, 상기 모재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도록 함으로서;
안경프레임을 3중 구성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표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각적인 변화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새로운 형태의 안경프레임을 제공하여 형상과 모양에 따른 디자인 가변성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재질{폴리아미드(Polyamid)나 나이론(Nylon) 계열의 티알(TR)90}로 안경프레임을 3중 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사출성형을 통하여 모재를 얻고, 그 모재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안경프레임을 얻도록 함으로서 다양한 색상과 형상 및 무늬의 표현을 가능하게 하면서, 착용기간과 외부충격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경의 품질과 내구성을 높이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을 만들기 위한 모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재를 가공하여 완성된 안경프레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안경프레임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안경프레임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을 만들기 위한 모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재를 가공하여 완성된 안경프레임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안경프레임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안경프레임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경프레임(100)은, 플라스틱재질{폴리아미드(Polyamid)나 나이론(Nylon) 계열의 티알(TR)90}로 사출성형을 통하여 3중구조를 가지는 모재(101)를 얻고, 상기와 같이 얻어진 모재(101)를 커팅 등과 같은 가공을 통하여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안경프레임(100)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경프레임(100)은, 플라스틱재질로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얼굴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102)를 사출성형하는 아웃플레이트(102) 사출과정(S100)과, 안경을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얼굴 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트(103)를 사출성형하는 인플레이트(103) 사출과정(S200)과, 아웃플레이트 및 인플레이트 사출과정(S100,S200)를 통하여 사출성형 된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를 사출금형(104)의 내부에 인서트시켜 모재(101)를 성형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인서트과정(S300)과, 사출금형(104)에 인서트한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사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주입하여 미들플레이트(105)를 형성하는 모재사출과정(S400)과, 사출금형(105)으로부터 사출성형 된 3중 구조의 모재(101)를 분하는 모재분리과정(S500)과, 분리된 모재(101)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안경프레임(100)으로 가공하는 프레임가공과정(S600)으로 완성한다.
상기 모재(101)를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의 두께(T)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사이에 형성되는 미들플레이트(105)의 두께(T1)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의 두께(T)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출금형(104)에 인서트 된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사이로 미들플레이트(105)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출물을 주입할 때, 사출물의 온도에 의하여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의 온도를 높여 쉽게 미들플레이트(105)와 결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출금형(104)에 인서트 되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의 두께가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사이에 형성되는 미들플레이트(105)의 두께보다 두꺼울 경우에는, 미들플레이트(105)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입되는 사출물이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전체의 온도를 사출물과 근접한 형태로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출물이 급격하게 냉각되어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안경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하는 코받침(106)은 아웃플레이트(102)를 사출성형할 때 형성하고자 하는 코받침(106)의 크기와 형상만큼 외측으로 돌출시킨 코받침홈(107)을 일체로 형성하고, 미들플레이트(105)를 형성하면서 코받침홈(107)에 사출물이 채워져 코받침(106)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경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및 미들플레이트(105)는 모두 동일한 색상으로 구현하여도 되고,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및 미들플레이트(105)를 모두 다른 색상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는 동일한 색상으로 하고 미들플레이트(105)는 다른 색상으로 구형하거나 또는, 미들플레이트(105)는 불투명한 색상으로 하고,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색상이나 무채색으로 구현하여 미들플레이트(105)가 내,외측으로 투과되어 보이도록 구현하는 등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조합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안경프레임(10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기술내용으로 안경다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므로 안경프레임(100)에 국한되지 않고 안경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품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경프레임(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라스틱재질로 통상적으로 사출성형하듯이 안경프프레임(100)의 모재(101)를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를 각각 독립되세 사출성형하고, 사출성형된 아웃 및 인플레이트(102,103)를 모재(101)를 만들기 위한 사출금형(104) 내부에 인서트 시킨 후 사출물을 사출금형(104) 내부로 주입하여 사출물이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사이의 공간에서 미들플레이트(105)가 성형 되도록 함으로서 모재(101)를 얻는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모재(102)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안경프레임(100)을 얻게 되며, 이와 같이 얻어진 안경프레임(100)은 통상적으로 안경을 만들듯이 다리 등을 연결하여 안경을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경프레임(100)은, 모재(101)가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및 미들플레이트(105)로 3중 구성을 가지게 되므로, 가공완료된 상태에서는 두꺼운 두께(T1)를 가지는 미들플레이트(105)의 내,외측에 미들플레이트(105) 보다 얇은 두께(T)를 가지는 아웃 및 인플레이트(102,103)를 가지는 구성으로 되므로 시각적으로 기존의 안경과는 다른 외관을 가지게 된다.
특히, 안경프레임(100)이 3중 구성이면서,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및 미들플레이트(105)의 색상배열을 달리함과 아울러 투명 또는 불투명상태의 배열을 통하여 인플레이트(103)와 미들플레이트(105)의 색상이 아웃플레이트(102)를 통하여 표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아웃플레이트(102)와 미들플레이트(105)의 색상이 인플레이트(103)를 통하여 표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각적인 변화가 무상하게 된다.
또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경의 전방에서 보았을 때와 안경의 측방에서 보았을 때 또는 안경을 사시(전방과 측방 사이) 상태로 보았을 때 3중 구성을 이루는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 및 미들플레이트(105)의 노출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역시 시각적인 변화가 다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경프레임(100)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받침(106)의 경우 아웃플레이트(102)에 일체로 형성되는 코받침홈(107)에 미들플레이트(105)를 구성하는 사출물이 채워진 형태이므로 코받침(106)이 안경을 사시 방향으로 보았을 때 확연하게 드러나게 되므로 이 또한 시각적으로 다른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면서 안경 전체의 디자인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아웃플레이트(102)와 인플레이트(103)를 사출성형할 때 미들플레이트(105)와 결합 되는 면에 양각 또는 음각형태의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안경의 시각적인 변화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프레임을 3중 구성하여 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표출되도록 함으로서 시각적인 변화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 새로운 형태의 안경프레임을 제공하여 형상과 모양에 따른 디자인 가변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100; 안경프레임
101; 모재
102; 아웃플레이트
103; 인플레이트
104; 사출금형
105; 미들플레이트
106; 코받침
107; 코받침홈

Claims (4)

  1. 사출성형 되고 착용자의 얼굴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와, 사출성형 되고 착용자의 얼굴 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트를 사출금형에 서로 이격되도록 인서트시키고;
    상기 사출금형에 인서트한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 사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주입하여 미들플레이트를 형성하여 3중 구조를 가지는 모재를 얻고;
    상기 모재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
  2. 착용자의 얼굴 외측에 위치하는 아웃플레이트를 사출성형하는 아웃플레이트 사출과정과;
    착용자의 얼굴 측에 위치하는 인플레이트를 사출성형하는 인플레이트 사출과정과;
    아웃플레이트 및 인플레이트 사출과정을 통하여 사출성형 된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를 사출금형의 내부에 삽입시키는 인서트과정과;
    사출금형에 인서트한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 사이에 플라스틱 사출물을 주입하여 미들플레이트를 형성하는 모재사출과정과;
    사출금형으로부터 사출성형 된 3중 구조의 모재를 분리하는 모재분리과정과;
    분리된 모재를 목적하는 형상과 모양을 가지는 안경프레임으로 가공하는 프레임가공과정으로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를 구성하는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의 두께는 동일하게 하고;
    상기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미들플레이트의 두께는 아웃플레이트와 인플레이트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하는 코받침은, 아웃플레이트를 사출성형할 때 코받침의 크기와 형상만큼 외측으로 돌출시킨 코받침홈을 일체로 형성하고;
    미들플레이트를 형성하면서 코받침홈에 사출물이 채워져 코받침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
KR20130101270A 2013-08-26 2013-08-26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KR201500241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70A KR20150024165A (ko) 2013-08-26 2013-08-26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270A KR20150024165A (ko) 2013-08-26 2013-08-26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165A true KR20150024165A (ko) 2015-03-06

Family

ID=5302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270A KR20150024165A (ko) 2013-08-26 2013-08-26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4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7348A1 (zh) * 2016-04-14 2017-10-19 王道敏 一种眼镜框面压3d花纹新工艺
KR20230033841A (ko) * 2021-09-02 2023-03-09 전명희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7348A1 (zh) * 2016-04-14 2017-10-19 王道敏 一种眼镜框面压3d花纹新工艺
KR20230033841A (ko) * 2021-09-02 2023-03-09 전명희 플라스틱 안경테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584A (ko) 안경 프레임의 전면 덮개용 장식 요소, 및 상기 장식 요소를 포함하는 안경
CN101670676A (zh) 带有饰品之眼镜镜框或镜腿的制作方法
CN101058205B (zh) 一种用木头或竹子制作眼镜框架的眼镜的生产工艺
KR101097298B1 (ko) 합성수지재 안경다리의 이중사출제조방법
KR20150024165A (ko) 안경프레임 제조방법 및 안경프레임
CN103984116A (zh) 一种眼镜架及其制作方法
CN206848605U (zh) 新型眼镜
KR20080110315A (ko) 다색상 안경다리의 제조방법
JP3116517U (ja) 人造爪
KR101421475B1 (ko) 울템의 이중사출을 이용한 안경프레임의 제조방법
CN209327711U (zh) 一种具有可拆装饰镜框的无框眼镜
JP3205102U (ja) 眼鏡のテンプルおよび眼鏡フレーム
KR200454255Y1 (ko) 조립식 안경
CN205750167U (zh) 眼镜
CN204439965U (zh) 眼镜腿及眼镜架
CN213715627U (zh) 一种聚乙烯装饰眼镜
KR20200102202A (ko) 착용이 편리하고 심미감을 가지는 안경 조립체
CN205787443U (zh) 一种眼镜装饰结合结构
CN204439964U (zh) 眼镜框及眼镜架
KR20230091292A (ko) 금속안경용 온테장식구
US20240151986A1 (en) Frame for eyeglasses with color gradation
CN201938440U (zh) 一种用于观看三维电视电影的面具
KR20230091348A (ko) 금속안경용 반테장식구
CN2371574Y (zh) 一种眼镜架
KR20150096072A (ko) 쿠션기능을 갖는 안경다리용 팁 커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