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583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583A
KR20150023583A KR20150012697A KR20150012697A KR20150023583A KR 20150023583 A KR20150023583 A KR 20150023583A KR 20150012697 A KR20150012697 A KR 20150012697A KR 20150012697 A KR20150012697 A KR 20150012697A KR 20150023583 A KR20150023583 A KR 2015002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carrier
information
scheduling
scheduling g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1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883B1 (ko
Inventor
김영범
이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8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와, 제2 제어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OWNLINK CONTROL SIGNALL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전송자원의 여유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를 활용하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셀룰러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의 캐리어를 통해 향상된 상향링크향 전송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유럽식 이동통신 시스템인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s)을 기반으로 하고 광대역(Wideband) 부호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칭함)을 사용하는 제3 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시스템은, 이동 전화나 컴퓨터 사용자들이 전 세계 어디에 있든지 간에 패킷 기반의 텍스트, 디지털화된 음성이나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2 Mbps 이상의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일관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UMTS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부터 기지국(Base Station: BS, Node B)으로의 역방향, 즉 상향링크(Uplink: UL) 통신에 있어서 패킷 전송의 성능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향상된 상향링크 전용채널(Enhanced Uplink Dedicated Channel: 이하 EUDCH 또는 E-DCH라 칭함)이라는 전송채널을 사용한다. E-DCH는 보다 안정된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적응적 변조/부호화(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AMC), 복합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HARQ),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 짧은TTI(Shorter Transmission Time Interval) 크기 등의 기술 등을 지원한다.
AMC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 채널의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을 결정해서, 자원의 사용효율을 높여주는 기술이다. 변조방식과 코딩방식의 조합은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라고 하며, 지원 가능한 변조 방식과 코딩 방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 MCS 레벨의 정의가 가능하다. AMC는 MCS의 레벨을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결정해서, 자원의 사용효율을 높여준다.
HARQ는 초기에 전송된 데이터 패킷에 오류가 발생했을 경우 상기 오류 패킷을 보상해 주기 위해 패킷을 재전송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복합재전송 기법은, 오류 발생시 최초 전송시와 동일한 포맷의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체이스 컴바이닝 기법(Chase Combining: 이하 CC이라 칭함)과, 오류 발생시 최초 전송시와 상이한 포맷의 패킷들을 재전송하는 중복분 증가 기법(Incremental Redundancy: 이하 IR이라 칭함)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은, E-DC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상향 데이터의 전송 여부 및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의 상한치 등을 기지국에 의해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정보를 스케줄링 명령으로서 단말로 전송하면, 단말이 상기 스케줄링 명령을 참조하여 가능한 상향링크 E-DCH의 데이터 전송률을 결정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짧은 TTI 크기는, 현재 Rel5의 최소 TTI인 10ms 보다 작은 TTI를 허용함으로써 재전송 지연시간을 줄여주고 결과적으로 높은 시스템 throughput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E-DCH 를 사용하는 시스템 혹은 서비스를HSUPA(High Speed Packet Access)라고 부른다.
도 1은 전형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E-DCH를 통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번호 100은 E-DCH를 지원하는 기지국, 즉 Node B를 나타내며(이하 기지국과 node B는 혼용하여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참조번호 101, 102, 103, 104는 E-DCH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들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들(101 내지 104)은 각자 E-DCH(111, 112, 113, 114)을 통해 기지국(100)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100)은 E-DCH를 사용하는 단말들(101 내지 104)의 데이터 버퍼 상태, 요청 데이터 전송률 혹은 채널 상황 정보를 활용하여 각 단말별로 EUDCH 데이터 전송 가능 여부를 알려주거나 혹은 EUDCH 데이터 전송률을 조정하는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한다. 스케줄링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기지국의 측정 잡음증가(Noise Rise 또는 Rise over thermal: RoT, 이하, "RoT"로 칭함)값이 목표 값을 넘지 않도록 하면서 기지국에서 멀리 있는 단말들(예를 들어 103, 104)에게는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할당하고, 가까이 있는 단말들(예를 들어 101, 102)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할당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단말들(101 내지 104)은 상기 스케쥴링 정보에 따라 E-DCH 데이터의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허용 데이터 전송율 내에서 E-DCH 데이터 전송율을 결정하여 E-DCH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향링크에서 서로 다른 단말들이 송신한 상향링크 신호들은 상호간에 동기가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직교성이 없어서 상호간에 간섭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기지국이 수신하는 상향링크 신호들이 많아질수록 특정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간섭의 양도 많아지게 되어 수신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상기 특정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전력을 크게 할 수도 있지만, 이는 다시 다른 상향링크 신호에 대해 간섭으로 작용하여 수신 성능을 저하시킨다. 결국 기지국이 수신 성능을 보장하면서 수신할 수 있는 상향링크 신호의 전체 전력은 제한되게 된다. RoT(Rise Over Thermal)는 기지국이 상향 링크에서 사용하는 무선자원을 나타내며,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ROT = I_0 / N_0
*상기에서 I_0은 기지국의 전체 수신 대역에 대한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al density)로서 기지국이 수신하는 전체 상향링크 신호의 양을 나타낸다. N_0은 기지국의 열잡음 전력 스펙트럼 밀도이다. 따라서, 허용되는 최대 ROT는 기지국이 상향 링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체 무선자원이다.
기지국의 전체 ROT는 셀간 간섭, 음성 트래픽 그리고 E-DCH 트래픽의 합으로 나타내어진다. 기지국 제어 스케쥴링을 사용한다면 여러 단말들이 동시에 높은 데이터 전송율의 패킷을 전송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수신 ROT를 목표(target) ROT로 유지하여 수신 성능을 항상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지국 제어 스케줄링은, 특정 단말에게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단말에게는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수신 ROT가 목표 ROT 이상으로 증가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도 2는 전형적인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과 단말은 202 단계에서 E-DCH를 설정한다. 상기 202 단계의 설정 과정은 전용 전송 채널(dedicated transport channel)을 통한 메시지들의 전달 과정을 포함한다. E-DCH의 설정이 이루어지면, 단말은 204 단계에서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정보를 알려준다. 상기 스케줄링 정보는 역방향 채널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 송신 전력 정보,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 정보, 단말의 버퍼에 쌓여 있는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들의 양 등이 될 수 있다.
통신 중인 복수의 단말들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은 206 단계에서 각 단말들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단말들의 스케줄링 정보를 모니터링 한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208 단계에서 단말에게 역방향 패킷 전송을 허용할 것으로 결정하고, 단말에게 스케줄링 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스케줄링 명령은 단말한테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의 증가/유지/감소를 RG(relative grant) 명령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또는, 스케줄링 명령은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와 전송이 허용된 타이밍을 포함하는 AG(Absolute grant) 명령을 통해 지시할 수 있다. 상기 RG 명령을 전송하는 하향링크 물리채널을E-RGCH(E-DCH Relative Grant Channel)라고 하고, AG 명령을 전송하는 하향링크 물리채널을E-AGCH(E-DCH Absolute Grant Channel) 라고 한다.
단말은 210 단계에서 상기 스케줄링 명령을 이용하여 역방향으로 전송할 E-DCH의 전송 형식(Transport format: TF)을 결정하고, 212 및 214 단계에서 E-DCH를 통해 역방향(UL)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TF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TF 정보는 E-DCH를 복조하는데 필요한 자원 정보를 나타내는 전송형식 자원 지시자(Transport Format Resource Indicator: 이하 TFRI라 칭함)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214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최대 허용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와 채널 상태를 고려하여 MCS 레벨을 선택하고, 상기 MCS 레벨을 사용하여 상기 역방향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216 단계에서 상기 TF 정보와 상기 패킷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216 단계의 판단 결과 어느 하나에라도 오류가 나타난 경우, 기지국은 218 단계에서 NACK(Negative Acknowledge, 부정적 인지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한편, 상기 216 단계의 판단 결과 모두 오류가 없을 경우는, 기지국은 218 단계에서 ACK(Acknowledge, 인지 정보)를 ACK/NACK 채널을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패킷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어 단말은 새로운 사용자 데이터를 E-DCH를 통해 보내지만, NACK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단말은 같은 내용의 패킷 데이터를 E-DCH를 통해 재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ACK/NACK가 전송되는 하향링크 물리채널을 E-HICH(E-DCH HARQ Indicator Channel) 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환경에서 기지국이 스케줄링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버퍼상태와 파워 상태와 같은 정보를 단말로부터 전달 받을 수 있다면 기지국은 멀리 있는 단말 또는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 서비스하려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낮은 단말에게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하거나 가까이 있는 단말 또는 채널 상황이 좋거나 서비스하려는 데이터의 우선 순위가 높은 단말에게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할당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기존 HSUPA 시스템의 시스템 성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상향링크에서 2개의 캐리어 (상향링크 캐리어#1, 상향링크 캐리어#2), 그리고 하향링크에서 2개의 캐리어 (하향링크 캐리어#1, 하향링크 캐리어#2)를 조합하여 운용하는 DC(Dual carrier 혹은 Dual cell)-HSUPA 가 논의되고 있다. 각각의 캐리어는 기존 UMTS 시스템의 5MHz 대역폭에 해당하므로, DC-HSUPA 시스템은 상향링크로 10MHz, 하향링크로 10MHz 대역폭을 각각 지원한다.
본 발명은 DC-HSUP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특정 캐리어에 시그널링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DC-HSUP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시그널링이 특정한 하향링크 캐리어에 집중되어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지국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와, 제2 제어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와,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와,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상기 기지국으로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확인하며,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와 제2 제어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와,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와,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상기 기지국으로터 수신하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로부터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한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 여부 및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단말에 알리는 과정과, 상기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에 따라 제어 채널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방법은, 기지국으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여부 및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에 따라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장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여부 및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기 상기 결정한 복수의 캐리어 사용여부 및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포함하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생성하여 각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처리모듈 및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생성한 제어정보를 상기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에 따라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제어 채널 전송 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방법은, 상기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결정된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 여부 및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알리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수신모듈 상기 수신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에 따라 제어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가 지시하는 캐리어의 위치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제어정보 수신모듈을 포함한다.
도 1은 전형적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E-DCH를 통한 상향링크 패킷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전형적인 E-DCH를 통한 송수신 절차를 나타낸 메시지 흐름도.
도 3은 DC-HSUPA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자원 운용의 비효율적인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하향링크 전송자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되는 본 발명은 UMTS 통신 시스템에서 E-DCH가 복수개의 상향링크 캐리어에 적용되는 시스템, 특히 2개의 상향링크 캐리어와 2개의 하향링크 캐리어가 운용되는 DC-HSUPA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DC-HSUPA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전송하는 방법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할 것이다.
1개의 상향링크 캐리어를 사용하는 기존 HSUPA 시스템을 상기 DC-HSUPA와 구분하기 위해 SC(single cell 혹은 single carrier)-HSUPA라고 부르기로 한다. SC-HSUPA 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로는E-AGCH, E-RGCH, E-HICH 등이 있다. E-AGCH는 확산지수(spreading factor; SF) 256인 channelization code 및 각 단말의ID로서, 각 단말 별로 구분된다. E-RGCH 와 E-HICH는 확산지수 128인 channelization code 와 추가적으로 길이 40인 직교코드로서, 각 단말 별로 구분된다. 각 단말별로 어떤 channelization code 와 직교코드를 사용할지는 앞서 설명한 도2의 202 단계의 E-DCH 설정 단계에서 기지국이 단말한테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도 3은 기존 SC-HSUPA 시스템을 DC-HSUPA에 그대로 확장하여 적용한 경우의 하향링크 자원 운용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E-HICH 혹은 E-RGCH의 경우 channelization code 하나에 길이 40인 직교코드를 사용하여 최대 40개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숫자는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 별로 하나의 channelization code에SC-HSUPA 혹은 DC-HSUPA 단말을 각각 몇 개를 지원할 수 있는지 의미한다. 도 3의 기본 가정은,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캐리어#1(303)을 통해서 전송되고,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캐리어#2(306)를 통해서 전송되는 것을 가정한다.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303, 306)에서 최대 지원 가능한 단말 수가 각각40이고, 하향링크 캐리어#1(303)에서 SC-HSUPA 단말 30명을 이미 서비스하고 있는 상태라면(301), DC-HSUPA 단말은 최대 10명 밖에 지원할 수 없게 된다(302, 305). 도 3의 가정에서 DC-HSUPA 단말은 각각의 캐리어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수신해야 하므로, 비록 하향링크 캐리어#2(306)의 자원 40개를 사용 가능하다 할지라도, 하향링크 캐리어#1(303)에는 10개의 자원밖에 여분이 없으므로(302), 최대 10 (= min(10, 40))명의 DC-HSUPA 단말밖에 지원할 수 없다.
도 3의 예시와 같은 자원사용의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의 상향링크 캐리어#1 혹은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캐리어#1 혹은 하향링크 캐리어#2 어디로든 전송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채널이 전송되는 하향링크 전송자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하향링크 캐리어#1(403)에서 SC-HSUPA 단말이 이미, 30명을 서비스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401), 하향링크 캐리어#1의 여분의 자원 10개(402) 및 하향링크 캐리어#2의 여분의 자원 40개(404, 405)를 모두 DC-HSUPA 단말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지원 가능한 DC-HSUPA 단말은 25(=(10+40)/2) 명이 된다.
25명의 DC-HSUPA 단말 중에서, 10명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각각 하향링크 캐리어#1 및 하향링크 캐리어#2에 나눠서 전송되고(402, 405), 나머지 15명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캐리어#2에 모두 전송된다(404).
기지국이 상기 DC-HSUPA 단말에 대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지는,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별로 가용한 제어채널 전송용 자원, 즉 channelization code 혹은 직교 코드의 양에 따라 결정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DC-HSUPA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지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한테 알려준다.
DC-HSUPA 단말이라 하더라도,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 양, 채널 상황 등에 따라 DC-HSUPA 혹은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이 전송할 데이터 양이 적을 경우에는 굳이 DC-HSUPA 방식보다는 SC-HSUPA 방식으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한테 DC-HSUPA 방식으로 동작할지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할지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을 통해 알려준다. 그리고 기지국은 상기 DC-HSUPA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지에 대한 정보와 DC-HSUPA 방식으로 동작할지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할지에 대한 정보를 단말한테 한꺼번에 알려줌으로써 추가적인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자신이 서비스 하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 여부(DC-HSUPA 방식/SC-HSUPA 방식) 및 복수의 캐리어 사용 여부에 따라 제어 채널(제어정보)이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를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라고 칭한다.
이러한 정보는HS-SCCH(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HS-SCCH를 통해 기지국은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HS-SCCH 제어정보)를 단말에 알린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 여부 및 제어 채널이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에 대한 정보이다. 좀 더 자세히, 기지국은 DC-HSUPA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할지에 대한 정보 및 DC-HSUPA 방식으로 동작할지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할지에 대해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통해 단말에 알린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HS-SCCH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전송된다.
HS-SCCH는 별도의 추가적인 데이터 채널은 수반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HS-SCCH는 총 37비트로 구성된다. 처음 8 비트는 사전 약속된 제 1 패턴으로 고정된 값을 사용한다. 사전 약속된 제1 패턴은 '11100000'이다.
상기 사전 약속된 제1 패턴 8비트 이후 다음의 6비트는 사전 약속된 제2 패턴으로 고정된 값을 사용한다. 상기 사전 약속된 제 2 패턴은 '111101'이다.
상기 사전 약속된 제2 패턴 6비트 이후 다음의 3비트는 사전 약속된 제3 패턴으로 고정된 값을 사용한다. 상기 사전 약속된 제 3 패턴은 '010'이다. 상기 제3 패턴으로서 기지국은 단말한테 상기 HS-SCCH가 DC-HSUPA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상기 제 3패턴이 '000' 이면 상기 HS-SCCH가 단말의 배터리 효율증대를 위한DRX(discontinuous reception), DTX(discontinuous transmission) 동작을 지시하는 용도임을 알려주고, 상기 제3 패턴이 '001' 이면 상기 HS-SCCH가DC-HSDPA에 관한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려준다.
상기 사전 약속된 제3 패턴 3비트 이후, 다음의 3비트는 구체적으로 DC-HSUPA의 동작을 지시하는 제4 패턴으로, 다음의 네 가지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복수의 캐리어 사용여부 및 어느 캐리어를 통해 제어채널(제어 정보)가 전송되는지를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다.
- 'DC-HSUPA 비활성화(deactivation)'
-'DC-HSUPA 활성화(activation) 타입1'
-'DC-HSUPA 활성화(activation) 타입2'
-'DC-HSUPA 활성화(activation) 타입3'
'DC-HSUPA 비활성화(deactivation)' 정보는 비록 단말이 DC-HSUPA 지원이 가능하더라도, 상기 시그널링을 수신하면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한다.
'DC-HSUPA 활성화(activation) 타입1'은 현재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말한테 D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함과 동시에 각각의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 전송됨을 지시한다. 이는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에 가용한 자원양이 비슷한 정도일 경우에 유용하다.
'DC-HSUPA 활성화(activation) 타입2'는 현재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말한테 D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함과 동시에 각각의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전송됨을 지시한다. 이는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에 가용한 자원양이, 하항링크 캐리어#2에 많을 경우 유용하다.
'DC-HSUPA 활성화(activation) 타입3'은 현재 S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는 단말한테 DC-HSUPA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지시함과 동시에 각각의 상향링크 캐리어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전송됨을 지시한다. 이는 각각의 하향링크 캐리어에 가용한 자원양이, 하항링크 캐리어#1에 많을 경우 유용하다.
상기 3비트로 구성되는 제4 패턴 이후, 다음의 1비트는 reserved 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1, 2, 3, 4 패턴 및 상기 추가적인 1비트는 제어정보 입력으로 생성한 CRC 16 비트를 단말 식별자(UE-ID) 16비트와 XOR 연산하여 생성한다. 기지국은 이렇게 생성한 총 37비트 제어정보를 컨벌루셔널 코딩하여 단말한테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는 HS-SCCH를 통해 전송되며, 이러한 이유로 HS-SCCH 제어정보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특히, HS-SCCH 제어정보의 제4 패턴에는 단말의 복수의 캐리어 사용여부 및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알리는 정보가 포함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DC-HSUPA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501 단계에서 E-DCH의 설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단말별로 E-DCH의 하향링크 제어채널인E-AGCH, E-RGCH, E-HICH 등의 자원을 할당한다. DC-HSUPA를 지원하는 단말에게는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하는 E-DCH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의 자원(이하 편의상 '자원#1'이라 칭함.)을 할당하고,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하향링크 제어채널들의 자원(이하 편의상 '자원#2'라 칭함.)을 함께 할당한다. 상기 '자원#1'과 '자원#2'는 상호간에 중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E-DCH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하향링크 캐리어#1에 모두 전송되거나 혹은 하향링크 캐리어#2에 모두 전송되는 경우를 용이하게 한다.
기지국은 502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단말 송신 전력 정보, 단말이 송신할 수 있는 여분의 전력 정보, 단말의 버퍼에 쌓여 있는 송신되어야 할 데이터들의 양 등을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다.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 기지국은 503 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스케쥴링 정보로부터 각 단말에 대한 DC-HSUPA 방식을 결정한다. DC-HSUPA 방식은 첫째, SC-HSUPA 방식, 즉, DC-HSUPA 비활성화 방식, 둘째 DC-HSUPA 활성화 타입1 방식, 셋째, DC-HSUPA 활성화 타입2 방식, 넷째, DC-HSUPA 활성화 타입3 방식을 포함한다.
'SC-HSUPA 방식('DC-HSUPA 비활성화')'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기지국은 504단계에서 해당 방식을 지시하는HS-SCCH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505 단계에서 HS-SCCH를 단말한테 전송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506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하는 E-DCH 제어채널을 전송한다.
'DC-HSUPA 활성화 타입1'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기지국은 507단계에서 해당 방식을 지시하는 HS-SCCH 제어정보를 생성하고, 508 단계에서 HS-SCCH를 단말에게 전송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509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전송하고,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전송한다.
'DC-HSUPA 활성화 타입2'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기지국은 510단계에서 해당 방식을 지시하는 HS-SCCH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511 단계에서 HS-SCCH를 단말한테 전송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512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과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모두 전송한다.
'DC-HSUPA 활성화 타입3'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기지국은 513단계에서 해당 방식을 지시하는 HS-SCCH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514 단계에서 HS-SCCH를 단말한테 전송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은 515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과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모두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방법에 대응하여 DC-HSUPA 시스템에서 단말이 E-DCH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60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E-DCH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은 상기 설정 정보로부터 E-DCH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자원 정보를 알게 된다. 단말은 601 단계에서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602 단계에서 HS-SCCH를 수신하여, DC-HSUPA 방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단말은 603 단계에서 상기 획득한 제어정보 중에서 제4 패턴의 값에 따라서, DC-HSUPA 방식을 인지하고, DC-HSUPA 방식에 따라, 604, 606, 608 또는 610 단계로 분기한다.
상기 제4 패턴의 값이 'SC-HSUPA 방식('DC-HSUPA 비활성화')'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604 단계에서 DC-HSUPA가 비활성화되었음을 인지하고, 605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수신한다.
한편, 상기 제4 패턴의 값이 'DC-HSUPA 활성화 타입1'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606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이 전송되며,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이 전송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607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수신하고,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4 패턴의 값이 'DC-HSUPA 활성화 타입2'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608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 및 상향링크 캐리어#2에 각각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이 모두 전송됨을 인지한다. 그런 다음, 단말은 609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2를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과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모두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4 패턴의 값이 'DC-HSUPA 활성화 타입3' 방식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610 단계에서 각각의 상향링크 캐리어#1 및 #2에 대응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이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전송됨을 인지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611 단계에서 하향링크 캐리어#1을 통해 상향링크 캐리어#1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과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E-DCH 제어채널을 모두 수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E-DCH 하향링크 제어정보 전송장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정보 전송 장치는 E-DCH 스케줄러(이하, "스케줄러"로 축약함)(702), HS-SCCH 제어정보 생성부(704), HS-SCCH 채널 코딩(706), HS-SCCH 송신부(708), DC-HSUPA 제어기(이하, "제어기"로 축약함)(709), E-AGCH 제어정보 생성부(710), E-AGCH 채널 코딩부(712), E-AGCH 송신부(714), E-RGCH 제어정보 생성부(716), E-RGCH 송신부(718), E-HICH 제어정보 생성부(720) 및 E-HICH 송신부(722)를 포함한다.
여기서, HS-SCCH 제어정보 생성부(704), HS-SCCH 채널 코딩부(706) 및 HS-SCCH 송신부(708)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기 위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처리모듈이며, E-AGCH 제어정보 생성부(710), E-AGCH 채널 코딩부(712), E-AGCH 송신부(714), E-RGCH 제어정보 생성부(716), E-RGCH 송신부(718), E-HICH 제어정보 생성부(720) 및 E-HICH 송신부(722)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기 위한 제어정보 처리모듈이다.
스케줄러(702)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스케쥴링 정보(703)를 이용하여 각 단말에 대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제어기(709)는 스케쥴러(702)로부터 스케줄링 결과를 입력 받아,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인 DC-HSUPA 방식을 결정한다. 즉, 제어기(709)는 'SC-HSUPA' 방식, 'DC-HSUPA 활성화 타입1' 방식, 'DC-HSUPA 활성화 타입2' 방식, 'DC-HSUPA 활성화 타입3'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정한다.
제어채널 전송자원 처리모듈(71)은 제어기(709)가 결정한 DC-HSUPA 방식에 따라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각 단말에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처리모듈(7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S-SCCH 제어정보 생성부(704)는 제어기(709)가 결정한 DC-HSUPA 방식에 해당하는 HS-SCCH 제어정보(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면, HS-SCCH 채널 코딩부(706)는 HS-SCCH 제어정보 생성부(704)가 생성한 HS-SCCH 제어정보를 컨벌루셔널 코딩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HS-SCCH 송신부(708)는 컨벌루셔널 코딩된 HS-SCCH 제어 정보를 스프레딩/스크램블링 등의 동작 및 RF 프로세싱을 거쳐 단말에 전송한다.
한편, 제어정보 처리모듈(72)은 제어기(709)가 결정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인 DC-HSUPA 방식에 따라, AG 정보, RG 정보, 및 재전송(ACK/NACK)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할당된 캐리어를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정보 처리모듈의 각 구성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AGCH 제어정보 생성부(710)는 E-DCH 스케쥴러(702)로부터 스케쥴링 결과를 입력 받아, AG(Absolute grant)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면, E-AGCH 채널 코딩부(712)는 E-AGCH 제어정보 생성부(710) 생성한 AG 정보를 컨벌루셔널 코딩한다.
E-AGCH 송신부(714)는 컨벌루셔녈 코딩된 AG 정보를 스프레딩/스크램블링 등의 동작 및 RF 프로세싱을 거쳐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E-AGCH 송신부(714)는 DC-HSUPA 제어기(709)로부터 상향링크 캐리어#1 및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하는 각각의 E-AGCH를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서 전송할지를 알리는 정보와 E-AGCH 전송에 사용될 자원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에 따라, E-AGCH 송신부(714)는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AG 정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E-RGCH 제어정보 생성부(716)는 E-DCH 스케줄러(702)로부터 스케줄링 결과를 입력 받아, RG(Relative grant) 정보를 생성한다.
E-RGCH 송신부(718)는 E-RGCH 제어정보 생성부(716)가 생성한 RG 정보를 직교코드 매핑/스프레딩/스크램블링 등의 동작 및 RF 프로세싱을 거쳐 단말한테 전송한다. 이때, E-RGCH 송신부(718)는 DC-HSUPA 제어기(709)로부터 상향링크 캐리어#1 및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각각의 E-RGCH를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서 전송할지를 알리는 정보와 E-RGCH 전송에 사용될 자원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에 따라, E-RGCH 송신부(718)는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RG 정보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E-HICH 제어정보 생성부(720)는 상향링크 데이터 디코딩 정보(719)를 입력 받아, 재전송 여부를 알리는 재전송(ACK/NACK) 정보를 생성한다.
E-HICH 송신부(722)는 생성한 재전송(ACK/NACK) 정보를 직교코드 매핑/스프레딩/스크램블링 등의 동작 및 RF 프로세싱을 거쳐 단말한테 전송한다. 이때, E-HICH 송신부(722)는 DC-HSUPA 제어기(709)로부터 상향링크 캐리어#1 및 상향링크 캐리어#2에 대응되는 각각의 E-HICH를 어느 하향링크 캐리어를 통해서 전송할지를 알리는 정보와 E-HICH 전송에 사용될 자원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에 따라, E-HICH 송신부(722)는 입력 받은 정보에 따라 재전송 정보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E-DCH 하향링크 제어정보 수신 장치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정보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정보 수신 장치는 DC-HSUPA 제어기(이하, "제어기"로 축약함)(802), HS-SCCH 제어정보 획득기(804), HS-SCCH 채널 디코딩부(806), HS-SCCH 수신부(808), E-AGCH 제어정보 획득기(810), E-AGCH 채널 디코딩부(812), E-AGCH 수신부(814), E-RGCH 제어정보 획득기(816), E-RGCH 수신부(818), E-HICH 제어정보 획득기(820), 및 E-HICH 수신부(822)를 포함한다.
여기서, HS-SCCH 제어정보 획득기(804), HS-SCCH 채널 디코딩부(806) 및 HS-SCCH 수신부(808)는 제어채널 전송자원 수신모듈(81)에 포함된다. 또한, E-AGCH 제어정보 획득기(810), E-AGCH 채널 디코딩부(812), E-AGCH 수신부(814), E-RGCH 제어정보 획득기(816), E-RGCH 수신부(818),E-HICH 제어정보 획득기(820), 및 E-HICH 수신부(822)는 제어정보 수신모듈(82)에 포함된다.
제어채널 전송자원 수신모듈(81)은 HS-SCCH를 통해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HS-SCCH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획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수신모듈(81)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다.
HS-SCCH 수신부(808)는 HS-SCCH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링/디스프레딩 한다. 그러면, HS-SCCH 채널 디코딩부(806)는 HS-SCCH을 디코딩한다. HS-SCCH 제어정보 획득기(804)는 HS-SCCH 채널 디코딩부(806)가 디코딩한 HS-SCCH로부터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획득한다. 즉, HS-SCCH 제어정보 획득기(804)는 복수의 캐리어 사용 여부 및 제어정보가 전송되는 캐리어의 위치를 알리는 DC-HSUPA 방식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런 다음, HS-SCCH 제어정보 획득기(804)는 획득한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를 제어기(802)에 입력한다.
제어기(802)는 입력 받은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에 따라 제어정보 수신모듈(82)을 제어한다. 제어정보 수신모듈(82)은 제어기(802)의 제어에 따라 제어채널 전송자원 정보가 지시하는 캐리어의 위치에서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어정보 수신모듈(82)의 각 구성은 다음과 같다.
E-AGCH 수신부(814)는 상기 제어기(802)로부터 E-AGCH를 하향링크 캐리어#1 혹은 하향링크 캐리어#2 중에서 어느 캐리어로부터 수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어느 자원을 통해 수신해야 하는지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따라 해당 캐리어 및 자원을 통해 E-AGCH를 수신하고, 수신한 E-AGCH를 디스크램블링/디스프레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E-AGCH 채널디코딩부(812)는 E-AGCH를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이어서, E-AGCH 제어정보 획득기(810)는 E-AGCH의 AG 값을 획득한다.
E-RGCH 수신부(818)는 상기 제어기(802)로부터 E-RGCH를 하향링크 캐리어#1 혹은 하향링크 캐리어#2 중에서 어느 캐리어로부터 수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어느 자원을 통해 수신해야 하는지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따라 해당 캐리어 및 자원을 통해 E-RGCH를 수신하고, 수신한 E-RGCH를 디스크램블링/디스프레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E-RGCH 제어정보 획득기(816)는 E-RGCH에서 RG 값을 획득한다.
E-HICH 수신부(822)는 상기 제어기(802)로부터 E-HICH를 하향링크 캐리어#1 혹은 하향링크 캐리어#2 중에서 어느 캐리어로부터 수신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어느 자원을 통해 수신해야 하는지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따라 E-HICH를 디스크램블링/디스프레딩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E-HICH 제어정보 획득기(820)는 E-HICH에서 재전송 정보인 ACK/NACK 값을 획득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반송파 결합 (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LTE-A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제어 정보와, 제2 제어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는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NACK를 전송하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전송 방법.
  4.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와,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와,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상기 기지국으로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는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NACK를 전송하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정보 수신 방법.
  7.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를 확인하고,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를 확인하며,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제어 정보와 제2 제어 정보와 제3 제어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는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NACK를 전송하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에 대한 제1 제어 정보와, 스케쥴링 방법을 지시하는 제2 제어 정보와, 스케쥴되는 캐리어에 대한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제3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제어 정보 및 제3 제어 정보에 기반하는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상기 기지국으로터 수신하며,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케쥴링 방법은 적어도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가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를 나르는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 또는 다른 캐리어에 대한 것인지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그랜트는 상기 단말의 복수 개의 캐리어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또는 NACK를 전송하는 캐리어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50012697A 2015-01-27 2015-01-2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565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97A KR101565883B1 (ko) 2015-01-27 2015-01-2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2697A KR101565883B1 (ko) 2015-01-27 2015-01-2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632A Division KR101524000B1 (ko) 2009-03-17 2009-03-1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583A true KR20150023583A (ko) 2015-03-05
KR101565883B1 KR101565883B1 (ko) 2015-11-05

Family

ID=5302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2697A KR101565883B1 (ko) 2015-01-27 2015-01-27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8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603A1 (en) * 2015-04-29 2016-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603A1 (en) * 2015-04-29 2016-1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28876A (ko) * 2015-04-29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통신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542490B2 (en) 2015-04-29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883B1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4865B2 (ja) 逆方向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順方向制御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RU238498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поддержки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нисходящей и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й связи
JP4920721B2 (ja) 上りリンク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ス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識別子を使用する上りリンクデータの伝送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装置
JP4504350B2 (ja) 無線データ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輻輳制御
KR101340224B1 (ko) 시그널링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 및 방법
US7817605B2 (en)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s for uplink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0600563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wnlink signaling for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JP6110458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ダウンリンク制御情報の送受信方法及び装置
KR2006010405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패킷 전송의 스케쥴링을 위하여 기지국으로 단말의 최대 송신기 전력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11198A (ko) 업링크 시그널링 정보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08005555A (ja) 無線送受信装置固有の情報を転送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2742632A1 (en) Communication terminals and communication devices
US9185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plink packet data service
US10455567B2 (en) Methods and nodes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s
KR10156588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정보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763245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usage of a c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