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3114A -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3114A
KR20150023114A KR20130099783A KR20130099783A KR20150023114A KR 20150023114 A KR20150023114 A KR 20150023114A KR 20130099783 A KR20130099783 A KR 20130099783A KR 20130099783 A KR20130099783 A KR 20130099783A KR 20150023114 A KR20150023114 A KR 20150023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ype secondary
pouch
gas discharge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복규
이은주
성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30099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3114A/ko
Publication of KR2015002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3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출파이프(60)는 내부는 비어 있고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가 부풀어 오르면, 상기 뾰족한 가스배출파이프(60)가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케이스를 뚫고 들어가서 내부의 가스를 상기 파우치 케이스(20) 밖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팩 케이스(70)는 상술한 구조적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 및 가스배출파이프(50)의 위치를 배치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BATTERY PACK HAVING GAS DISCHARGE PIPE}
본 발명은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형 배터리 셀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화석 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으로 인해 화석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전기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 전기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저장 장치, 무정전 전원 장치 등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의 형태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이차전지로 구성된 배터리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리튬 이차전지가 널리 사용되며,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의 형상에 따라 원통형 (cylinder type), 각형(prismatic type) 및 파우치형(pouched type) 등으로 분류된다. 특히,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유연성을 가진 케이스로 제작되어 그 형상이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제조 공정이 비교적 쉽고, 제조 비용이 낮아서 이차전지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출력 또는 용량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기 용매 및 가소제들이 첨가되어 제조된다. 그리고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과충전이 발생하거나 고장으로 인한 내부 쇼트 발생 등에 의해 순식간에 셀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로 인한 발화성 가스 발생으로 파우치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웰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파우치 케이스 내부의 가스를 적절하게 방출시켜주어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08677에는 파우치 케이스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켜주는 종래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스배출장치가 연결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1)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은 가스배출을 위해 하나의 연결덕트(3)에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전지(2)를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3)의 일단에는 송풍을 위한 팬(4)을 연결하였다. 상기 송풍팬(4)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2)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각각의 파우치형 이차전지(2)와 연결덕트(4)를 연결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2)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 또는 전력저장장치를 구성할 경우, 상기 연결덕트(3) 및 송풍팬(4)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필요로 하여 배터리 팩 또는 전력저장장치의 규모가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적절하게 배출할 수 있으면서,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별도의 공간을 많이 요구하지 않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우치형 이차전지 내부에 발생한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양극판, 분리막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단위 셀이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내부는 비어 있고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뾰족한 일단이 상기 각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 케이스에 접하거나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가스배출파이프; 및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상기 가스배출파이프를 수용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상기 셀 어셈블리가 적층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전극 리드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전극 리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가스포집주머니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이고,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상기 가스포집주머니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은 리튬 천이금속 복합 산화물이다. 이때, 상기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천이금속의 질량 중 50% 이상이 망간(Mn)이거나, 상기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천이금속의 원자 개수 중 50% 이상이 망간(Mn)인 망간-리치 이차전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들의 타단은 상기 팩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하는 전기 구동 수단 또는 휴대용 기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구성된 배터리 팩에 있어서 파우치형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망간-리치 이차전지인 경우,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망간-리치 이차전지를 사용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스웰링 현상에 의해 파우치 케이스가 상당히 부풀어 오른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가스배출장치가 연결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10), 가스배출파이프(60) 및 팩 케이스(70)를 포함한다.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파우치 케이스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출파이프(60)는 내부는 비어 있고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스웰링 현상에 의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가 부풀어 오르면, 상기 뾰족한 가스배출파이프(60)가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케이스를 뚫고 들어가서 내부의 가스를 상기 파우치 케이스(20) 밖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팩 케이스(70)는 기본적으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 및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를 수용한다. 나아가, 상술한 구조적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 및 가스배출파이프(50)의 위치를 배치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은 파우치 케이스(20) 및 셀 어셈블리(30)를 기본 구조로 포함한다.
상기 셀 어셈블리(30)는 음극판, 세퍼레이터 및 양극판을 포함하는 단위 셀을 반복적으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진다. 각각의 단위 셀에는 양극 탭(31)과 음극 탭(32)이 구비되며, 양극 탭(31) 및 음극 탭(32) 들은 일정한 방향으로 수렴된 후, 절연 테이프(33)가 부착된 양극 리드(34) 및 음극 리드(35) 각각과 저항 용접, 초음파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상기 전극 리드(34, 35)는 파우치형 이차전지(10)와 외부 적용 기기 등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셀 어셈블리(30)는 파우치 케이스(20)에 의해 정의되는 내부 공간에 탑재된 후, 전해액 주입부(40)를 제외하고 파우치 케이스(20)의 주변부를 열 융착하여 실링하는 공정, 상기 전해액 주입부(40)를 통해 전해액을 주입하는 공정, 상기 전해액 주입부(40)를 열 융착하여 파우치 케이스(20)를 완전히 밀봉하는 공정, 전해액 주입부(40)의 불필요한 잔여 부분(50)을 재단하는 공정, 전해액이 습윤 되도록 숙성하는 공정, 초기 충전 및 테스트 등의 후처리 공정을 거쳐 파우치형 이차전지(10)로 제조된다.
도 3은 스웰링 현상에 의해 파우치 케이스(20)가 상당히 부풀어 오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우치형 이차전지(10)는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됨에 따라 전해액에서 가스가 발생하여 파우치 케이스(20)가 부풀어 오르는 스웰링(swelling) 현상이 발생한다. 스웰링 현상에 의한 파우치 케이스(20)의 부풀어 오른 정도에 따라 파우치형 이차전지 (10)의 내부에서 단락이 생기거나, 과충전, 과방전, 과열 등과 같은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웰링 정도가 과도하면 파우치 케이스(20) 내부의 가스 압력으로 파우치 케이스(20)가 마치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다.
한편, 상기 파우치 케이스(20)는 금속 박막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이 절연성 폴리머로 라미네이트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금속 박막은 외부의 수분, 가스 등이 셀 어셈블리(30) 측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파우치 케이스(20)의 기계적 강도 향상과 함께 파우치 케이스(20)에 주입된 화학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금속 박막은 철, 탄소, 크롬 및 망간의 합금, 철, 크롬 및 니켈의 합금, 알루미늄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 박막을 철이 함유된 재질로 할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강해지고, 알루미늄이 함유된 재질로 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좋아진다. 통상, 알루미늄 금속 호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가 부풀어 올랐을 때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가 파우치 케이스(20)를 뚫고 들어갈 수 있도록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위치가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뾰족한 일단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파우치 케이스(20)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뾰족한 일단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파우치 케이스(20)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가 배치되는 위치는 파우치 케이스(20)의 재질,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특성에 따른 부풀림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는 비가역적으로 상기 파우치 케이스(20)를 뚫어 버리기 때문에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스웰링 현상에 대한 안전성,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에게 요구되는 사용 기간 등을 고려하여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가 배치되는 위치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가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를 뚫고 들어가는 지점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뾰족한 일단은, 도 3에 도시된 가스배출파이프(60)의 위치처럼, 상기 셀 어셈블리(30)가 적층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뾰족한 일단은, 도 1에 도시된 가스배출파이프(60)의 위치처럼, 전극 리드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뾰족한 일단은 전극 리드가 형성되지 않은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10)에는 가스포집주머니가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전해액 주입부(40)와 연결된 부분을 불필요한 잔여 부분(50)으로 제거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주머니(50)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뾰족한 일단은 상기 가스포집주머니(50)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10)의 양극 활물질은 리튬 천이금속 복합 산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리튬 천이금속 복합 산화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FePO4 또는 Li1 + zNi1 -x-yCoxMyO2(0≤x≤1, 0≤y≤1, 0≤x+y≤1, 0≤Z≤1M은 Al, Sr, Mg, La, Mn 등의 금속)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상기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천이금속의 질량 중 50% 이상이 망간(Mn)이거나, 상기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천이금속의 원자 개수 중 50% 이상이 망간(Mn)인 이차전지 일명, '망간-리치(Mn-rich)' 이차전지가 될 수 있다.
최근에는 이차전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용량 밀도 및 출력 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과 전지의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기의 휴대가능화, 무선화가 진행됨에 따라 소형, 경량이고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 중, 리튬코발트 복합 산화물 (LiCoO2)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는 고전압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로 특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리튬 코발트 복합 산화물의 원료가 되는 코발트 공급원이 희소하고 고가인 문제점이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원료로 Li[Ni1 /3Co1 /3Mn1 /3]O2, Li[Ni1/2Mn1/2] O2 등의 층상형 복합 전이금속 활물질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층상구조의 전이금속 산화물 역시 급격히 발전하는 소형기기, 전력저장장치, 전기자동차 등의 소형 및 중대형 전지시장의 높은 에너지 밀도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흔히 망간-리치(Mn-rich)로 불리우는 xLi2MnO3?(1-x)LiMO2 (M은 Ni, Co, Mn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전이금속)와 같은 고용체 산화물이 높은 작동전압 및 방전용량을 가지는 재료로 다양하게 연구되었으나, 이러한 망간-리치(Mn-rich) 재료는 4.5 V 이상의 전압에서 적절한 활성화 단계를 거치면 240`~ 250 mAh/g 이상의 높은 방전용량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는 반면, 충방전 사이클이 반복될수록 전해액 분해 및 O2 방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전해액 분해로 인한 가스 및 O2의 방출량이 종래의 리튬 이차전지에 비해서 상당히 많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가스배출파이프(60)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100)은 망간-리치(Mn-rich)로 불리우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사용하여도 가스의 방출로 인한 문제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스배출파이프(60)의 타단은 상기 팩 케이스(70)의 외부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팩 케이스(70)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상기 배터리 팩(100)과 배터리 팩(10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구동 시스템의 일예로는 전기차(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전기 자전거(E-Bike), 전동 공구(Power tool), 전력 저장 장치(Energy Storage System), 무정전 전원 장치(UPS),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 휴대용 비디오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부하의 일예로는 배터리 팩(100)이 공급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또는 배터리 팩(100)이 공급하는 전력을 각종 회로 부품이 필요로 하는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 변환 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구성된 배터리 팩에 있어서 파우치형 이차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망간-리치 이차전지인 경우,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서 망간-리치 이차전지를 사용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파우치형 이차전지
20 : 파우치 케이스
30 : 셀 어셈블리
31 : 양극 탭
32 : 음극 탭
33 : 절연 테이프
34 : 양극 리드
35 : 음극 리드
40 : 전해액 주입부
50 : 잔여 부분(또는 가스포집주머니)
60 : 가스배출파이프
70 : 팩 케이스
100 : 배터리 팩

Claims (11)

  1. 양극판, 분리막 및 음극판을 포함하는 단위 셀이 적어도 2개 이상 적층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형 이차전지;
    내부는 비어 있고 일단이 뾰족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뾰족한 일단이 상기 각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파우치 케이스에 접하거나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가스배출파이프; 및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상기 가스배출파이프를 수용하는 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상기 셀 어셈블리가 적층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전극 리드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전극 리드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가스포집주머니가 형성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이고,
    상기 가스배출파이프의 뾰족한 일단은, 상기 가스포집주머니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은, 리튬 천이금속 복합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천이금속의 질량 중 50% 이상이 망간(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에 포함된 천이금속의 원자 개수 중 50% 이상이 망간(M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파이프들의 타단은, 상기 팩 케이스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팩; 및
    상기 배터리 팩으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 부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전기 구동 수단 또는 휴대용 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구동 시스템.
KR20130099783A 2013-08-22 2013-08-22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023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783A KR20150023114A (ko) 2013-08-22 2013-08-22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783A KR20150023114A (ko) 2013-08-22 2013-08-22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3114A true KR20150023114A (ko) 2015-03-05

Family

ID=5302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783A KR20150023114A (ko) 2013-08-22 2013-08-22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311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4330A (zh) * 2019-11-27 2020-02-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排气定位工装、电池模组和电池包
US11522249B2 (en) 2018-12-07 2022-12-06 Lg Energy Solution, Ltd. Pouch-type battery cell including vent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WO2023068659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유도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2249B2 (en) 2018-12-07 2022-12-06 Lg Energy Solution, Ltd. Pouch-type battery cell including venting memb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CN110854330A (zh) * 2019-11-27 2020-02-28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排气定位工装、电池模组和电池包
WO2023068659A1 (ko) * 2021-10-22 2023-04-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가스 벤팅 유도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12B1 (ko) 이차전지
KR101763055B1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US8758917B2 (en) Secondary battery
JP2004111219A (ja) ラミネート二次電池、複数のラミネート二次電池からなる組電池モジュール、複数の組電池モジュールからなる組電池ならびにこれらいずれかの電池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
KR101707335B1 (ko) 비수 전해액 2차 전지
KR20150123303A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JP2000260478A (ja) 非水系二次電池
CN112204791A (zh) 电池及电池包
KR102117076B1 (ko) 전지모듈의 어셈블리
CN111799440A (zh) 非水电解质二次电池
JP2014112463A (ja) パック電池
CN110021781B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JP2014120404A (ja) 二次電池
JP5462304B2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を用いた組電池
KR101799172B1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KR20150023114A (ko) 가스배출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806411B1 (ko) 가스이동파이프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02246068A (ja) 非水系二次電池
CN114069167A (zh) 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CN108075093B (zh) 电池组
JP2013033687A (ja) 蓄電池モジュール
JP201702783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1435729A (zh) 锂离子二次电池
KR20140013132A (ko) 이차전지
KR20140013134A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