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02A - 언어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언어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02A
KR20150022602A KR20130100738A KR20130100738A KR20150022602A KR 20150022602 A KR20150022602 A KR 20150022602A KR 20130100738 A KR20130100738 A KR 20130100738A KR 20130100738 A KR20130100738 A KR 20130100738A KR 20150022602 A KR20150022602 A KR 20150022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modifier
sentence
modifiers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상
Original Assignee
이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상 filed Critical 이준상
Priority to KR20130100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602A/ko
Publication of KR20150022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어학습장치로서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문장을 만들어 학습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언어학습장치는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기본문장 및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언어학습장치{Language lea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언어를 학습함에 있어서, 학습자 자신이 학습할 학습문장을 스스로 만들어 언어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언어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제화 시대를 맞이하여 여러 부문에서 외국과의 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외국어 학습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학습자가 보다 쉽게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외국어 학습교재가 출판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외국어 학습교재는 학습자에게 학습할 문장을 제시하고, 학습문장의 문법, 형태 등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학습자는 제시된 학습문장에 대해서 학습을 할 수 있을 뿐,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내용과 관련된 학습문장을 스스로 만들 수 없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5796호 "영어 학습방법"에는 영어 문장의 형식을 결정하는 최소한의 어구로 구성된 기본 문장과 6 가지의 수식어인 형용사 수식어, 부사 수식어, 전치사구 수식어, 분사 수식어, 부정사 수식어 및 관계사 수식어를 포함하는 긴 영어문장에서 순차적으로 수식어들을 삭제하면서 기본 문장을 파악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도 기본 문장과 6 가지 수식어를 포함한 긴 영어문장이 학습문장으로 먼저 제시되고, 학습자가 수식어를 삭제하면서 최종적으로 기본 문장이 1형식 내지 5형식 중에서 몇 형식인가를 파악하는 것이 발명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영어 학습방법에서도 학습문장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학습자가 자신이 전달하거나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학습문장으로서 학습하는 것이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5796호 (2012.05.09)
본 발명은 위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습자 자신이 전달하거나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직접 학습문장으로 생성하여 학습할 수 있게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기본문장 및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수식어구들과 상기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요소들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과, 상기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표지를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여기서 상기 수식표지는 수식어구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기본문장 및 상기 수식표지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식표지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수식표지들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수식표지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요소들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표지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수식표지들에 대응하는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 및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언어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 및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요소들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1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언어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과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 및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된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입력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수식어구 DB에서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비교하는 판정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의 일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요소들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자는 자신이 전달하거나 표현하고자 하는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학습문장을 스스로 만들 수 있어, 학습효과가 향상된다.
학습자는 수식어구들과 함께 제공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참고함으로써, 자신이 수식하고 싶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식어구들을 쉽게 선택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만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더욱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학습자에게 직접 수식어구를 제시하지 않고 수식어구의 속성을 나타내는 수식표지만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 고민하는 기회를 주어 학습효과를 향상시킨다.
학습자는 수식표지들과 함께 제공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참고함으로써, 자신이 수식하고 싶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식어구들을 쉽게 선택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수식표지들만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더욱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학습자에게 모국어로 작성된 수식어구들 중에서 자신의 표현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한 수식어구들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초급자도 어렵지 않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로 하여금 제시된 모국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외국어 수식어구들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영작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국어 수식어구를 제공함에 있어 대응하는 외국어 수식어구의 일부를 제공하여 학습자에게 힌트를 제공함으로써, 초급 학습자도 쉽게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자는 모국어 수식어구들과 함께 제공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참고함으로써, 자신이 수식하고 싶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식어구들을 쉽게 선택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모국어 수식어구들만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더욱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포함하는 언어학습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에 의해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들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b 내지 3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에 의해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들을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4b 내지 4e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에 의해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포함하는 언어학습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b 내지 6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포함하는 언어학습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2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언어학습시스템(100)에 있어서, 언어학습장치(50)는 수식어구 DB(60), 기본문장 DB(70), 학습문장유닛(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언어학습장치(50)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결되거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언어학습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언어학습장치(50)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20)에 연결된 것을 예시로 하여 언어학습시스템(100)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언어학습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수식어구 DB(60)는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을 포함하고, 기본문장 DB(70)는 수식어구 DB(60)의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한다. 학습자 컴퓨터(20)에 표시되는, 예를 들어, 도 2a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화면(200)의 수식어구부(220)에 속하는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이 수식어구 DB(60)에 포함되는 수식어구들에 해당하고, 기본문장부(210)에 속하는 기본문장(211)이 기본문장 DB(70)에 포함되는 기본문장에 해당한다.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은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것으로서, 기본문장(211)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한다. 예를 들어, 수식어구인 "when I was back in the office"(221)는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211) 전체를 수식하고, "wearing a blue shirt"(222)와 "who was my superior"(223)는 문장의 일부인 "He"를 수식하며, "describing these results"(224)는 "the paper"를 수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장의 일부는 "He"와 같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211)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되거나, "the paper"와 같이 복수 개의 단어가 모인 청크(chunk)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는 단어나, 구 또는 절뿐만 아니라, 기본문장의 내용과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문장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e gave me the paper."가 기본문장인 경우에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지 않으나 기본문장과 내용이 연결될 수 있는 " And I reviewed it."과 같은 별도의 문장도 수식어구가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는 사용되는 수식은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서 그 말의 뜻을 꾸미거나 한정함"이라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학습문장유닛(80)은 기본문장과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선택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학습문장유닛(80)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200)과 같이 기본문장(211)과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화면(200)에 표시되는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 중에서 기본문장(211)에 추가하고 싶은 수식어구들을 선택한다. 도 2b의 디스플레이 화면(25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 중에서 "who was my superior"(223)와 "describing these results"(22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선택 수식어구들(223, 224)을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211)에 삽입하여, 학습문장부(230)에 나타나는 학습문장인 "He who was my superior gave me the paper describing these results."(231)를 생성한다. 학습자는 학습문장(231)을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기본문장 DB(70)가 하나의 기본문장(211)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60)는 하나의 기본문장(211)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기본문장 DB가 복수 개의 기본문장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는 각 기본문장에 따른 수식어구들을 포함한 경우에도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50)를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학습자는 기본문장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수식어구들을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기존 영어교재에서는 학습문장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학습문장을 찾아야 했고 유사한 학습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학습할 수 없었다. 언어학습장치(50)는 제공된 수식어구들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맞는 수식어구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수식어구들을 반영한 학습문장을 생성하여 보여줌으로써 학습자에게 선택 수식어구들이 기본문장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어 어떤 식으로 문장을 형성하는지를 알려 준다. 따라서 학습자는 생성된 학습문장을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어떻게 문장으로 만드는 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 DB(60)는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서 꾸며주는 대상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이 경우,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 컴퓨터(20)에 기본문장(211)과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 외에 수식대상정보들을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2c의 디스플레이 화면(260)과 같이 학습문장유닛(80)은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과 수식대상정보들(225 내지 227)을 함께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화면(260)을 참조하면, 수식대상정보들은 수식어구부(220)의 파란 글자의 "전체문장"(225), "He"(226), "the paper"(227)이다. "전체문장"(225)은 수식어구인 "when I was back in the office"(221)가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211) 전체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내고, "He"(226)는 "wearing a blue shirt"(222)와 "who was my superior"(223)가 기본문장(2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내며, "the paper"(227)는 "describing these results"(224)가 기본문장(211) 중에서 "the paper"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과 이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225 내지 227)을 함께 제공하면, 학습자는 수식대상정보들(225 내지 227)을 참고하여 기본문장(211)에서 자신이 수식하고 싶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식어구들을 쉽게 선택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기본문장(2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d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여 기본문장(2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270)을 참조하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211)를 5개로 나누어, 각 요소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제1 사각형 도형(212)는 기본문장(2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때 마우스 등으로 클릭하는 도형을 나타내고, 제2 사각형 도형(213)은 "gav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3 사각형 도형(214)은 "m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4 사각형 도형(215)은 "the paper"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5 사각형 도형(216)은 기본문장(211)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을 나타낸다. 기본문장 중에서 일부 요소를 선택하는 방식은 전술한 사각형 도형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270)에서 제1 사각형 도형(212)만 색깔이 틀린 것은 학습자가 제1 사각형 도형(212)을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식어구부(220)에는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222, 223)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만을 표시하고, 이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내용을 갖는 수식어구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 DB(60)는 수식어구 DB(60)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라는 것은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 삽입될 때 어느 위치에 삽입되는 가에 대한 정보이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할 때, 선택한 수식어구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도 2b의 디스플레이 화면(25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 중에서 기본문장(211)에 삽입될 수식어구들로 "who was my superior"(223)와 "describing these results"(22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80)은 선택 수식어구들(223, 224)에 대한 위치정보를 참고로 하여 학습문장(231)을 생성한다. "who was my superior"(223)의 위치정보는 기본문장(211)의 "He"와 "gave"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describing these results"(224)의 위치정보는 "paper" 다음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식어구 DB(60)가 수식어구들(221 내지 224)과 이들의 위치정보들을 함께 저장하고, 학습문장유닛(80)이 수식어구 DB(60)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수식어구들(223, 224)의 위치정보들을 읽어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포함하는 언어학습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b 내지 3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언어학습시스템(100)에 있어서, 언어학습장치(50)는 수식어구 DB(60), 기본문장 DB(70), 학습문장유닛(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언어학습장치(50)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결되거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언어학습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언어학습장치(50)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20)에 연결된 것을 예시로 하여 언어학습시스템(100)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언어학습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수식어구 DB(60)는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과,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응하는 수식표지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식표지는 수식어구의 속성을 의미한다. 기본문장 DB(70)는 수식어구 DB(60)의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한다.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사항을 설명하는 도 3a의 데이터를 참조하면, 수식어구 DB(60)는 데이터(300)의 수식어구부(320)에 포함된 수식어구들(321 내지 324)과, 이 수식어구들(321 내지 324)의 속성을 나타내는 수식표지부(330)의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을 포함한다. 기본문장 DB(70)는 수식어구들(321 내지 324)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부(310)에 속하는 기본문장(311)을 포함한다.
수식어구들(321 내지 324)은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것으로서, 기본문장(311)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한다. 예를 들어, 수식어구인 "when I was back in the office"(321)는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311) 전체를 수식하고, "wearing a blue shirt"(322)와 "who was my superior"(323)는 문장의 일부인 "He"를 수식하며, "describing these results"(324)는 "the paper"를 수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장의 일부는 "He"와 같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311)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되거나, "the paper"와 같이 복수 개의 단어가 모인 청크(chunk)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는 단어나, 구 또는 절뿐만 아니라, 기본문장의 내용과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문장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e gave me the paper."가 기본문장인 경우에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지 않으나 기본문장과 내용이 연결될 수 있는 " And I reviewed it."과 같은 별도의 문장도 수식어구가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는 사용되는 수식은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서 그 말의 뜻을 꾸미거나 한정함"이라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은 대응하는 수식어구의 속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식표지(331)는 수식어구(321)의 속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수식표지(331) 중에서 "문장전체"는 수식어구(321)가 수식하는 대상이 기본문장(311) 전체라는 것을 나타내고, "when 부사절"은 수식어구(321)의 문법형태를 나타내고, "시간 정보"는 수식어구(321)의 내용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식표지가 수식어구의 수식대상, 문법형태, 내용의 3가지 속성을 포함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전술한 3가지 외에 수식어구의 문법이나 단어의 난이도(상·중·하), 길이 등 다양한 속성을 수식표지가 포함할 수 있다.
학습문장유닛(80)은 기본문장과 수식표지들을 제공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수식표지들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 컴퓨터(20)에, 예를 들어, 도 3b의 디스플레이 화면(350) 형태로 기본문장(311) 및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화면(350)에 표시되는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 중에서 기본문장(311)에 추가하고 싶은 수식표지들을 선택한다. 도 3c의 디스플레이 화면(36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 중에서 "He, 관계대명사, 직급정보"(333)와 "the paper, 현재분사, 특성정보"(33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선택 수식표지들(333, 334)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들인 "who was my superior"(323)와 "describing these results"(324)을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311)에 삽입하여, 학습문장부(340)에 나타나는 학습문장인 "He who was my superior gave me the paper describing these results."(341)를 생성한다. 학습자는 학습문장(341)을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기본문장 DB(70)가 하나의 기본문장(311)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60)는 하나의 기본문장(311)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321 내지 324)과 이에 대응하는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기본문장 DB가 복수 개의 기본문장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는 각 기본문장에 따른 수식어구들과 이에 대응하는 수식표지들을 포함한 경우에도 전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영어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언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50)를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학습자는 기본문장을 수식하는 수식표지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수식표지들을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기존 영어교재에서는 학습문장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학습문장을 찾아야 했고 유사한 학습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학습할 수 없었다. 언어학습장치(50)는 제공된 수식표지들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맞는 수식표지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수식표지들에 대응하는 선택 수식어구들이 기본문장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어 어떤 식으로 문장을 형성하는지 알려 준다. 따라서 학습자는 생성된 학습문장을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어떻게 문장으로 만드는 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수식어구들을 직접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수식어구의 속성만을 표시하는 수식표지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수식표지를 보고 스스로 수식어구를 생각하는 기회를 갖게 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학습문장에 나타나는 선택한 수식표지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를 참고하여, 수식표지에 나타난 속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속성을 갖는 다른 수식어구를 표현하는 방식을 알게 된다.
또한 학습자가 기본문장(3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학습자 컴퓨터(20)에 제공하여 기본문장(3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370)을 참조하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311)를 5개로 나누어, 각 요소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제1 사각형 도형(312)는 기본문장(3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때 마우스 등으로 클릭하여 선택하는 도형을 나타내고, 제2 사각형 도형(313)은 "gav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3 사각형 도형(314)은 "m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4 사각형 도형(315)은 "the paper"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5 사각형 도형(316)은 기본문장(311)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을 나타낸다. 기본문장 중에서 일부 요소를 선택하는 방식은 전술한 사각형 도형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370)에서 제1 사각형 도형(312)만 색깔이 틀린 것은 학습자가 제1 사각형 도형(312)을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식표지부(330)에는 "He"를 수식하는 수식표지들(332, 333)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수식표지들만을 표시하고, 이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내용을 갖는 수식표지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 DB(60)는 수식어구 DB(60)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라는 것은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 삽입될 때 어느 위치에 삽입되는 가에 대한 정보이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할 때, 선택한 수식어구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도 3c의 디스플레이 화면(36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수식표지들(331 내지 334) 중에서 기본문장(311)에 삽입될 수식표지들로 "He, 관계대명사, 직급정보"(333)와 "the paper, 현재분사, 특성정보"(33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80)은 선택 수식표지들(333, 334)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들(323, 324)의 위치정보를 참고로 하여 학습문장(341)을 생성한다. "who was my superior"(323)의 위치정보는 기본문장(311)의 "He"와 "gave"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describing these results"(324)의 위치정보는 "paper" 다음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식어구 DB(60)가 수식어구들(321 내지 324)과 이들의 위치정보들을 함께 저장하고, 학습문장유닛(80)이 수식어구 DB(60)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수식표지들(333, 334)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들(323, 324)의 위치정보들을 독출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포함하는 언어학습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4b 내지 4e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언어학습시스템(100)에 있어서, 언어학습장치(50)는 수식어구 DB(60), 기본문장 DB(70), 학습문장유닛(80)을 포함한다. 그리고 언어학습장치(50)는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결되거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언어학습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언어학습장치(50)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20)에 연결된 것을 예시로 하여 언어학습시스템(100)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언어학습장치(50)가 디스플레이 유닛(10)과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10)을 포함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수식어구 DB(60)는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제1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한다. 기본문장 DB(70)는 수식어구 DB(60)의 제1 언어 수식어구들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언어(영어)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이고 제2 언어는 학습자가 모국어(한국어)로 사용하는 언어로 설정하였다.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사항을 설명하는 도 4a의 데이터를 참조하면, 수식어구 DB(60)는 데이터(400)의 제1 언어 수식어구부(420)에 포함된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과 이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부(430)의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을 포함한다. 기본문장 DB(70)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부(410)에 속하는 기본문장(411)을 포함한다.
제1 언어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은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것으로서, 기본문장(411)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한다. 예를 들어, 수식어구인 "when I was back in the office"(421)는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411) 전체를 수식하고, "wearing a blue shirt"(422)와 "who was my superior"(423)는 문장의 일부인 "He"를 수식하며, "describing these results"(424)는 "the paper"를 수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장의 일부는 "He"와 같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411)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되거나, "the paper"와 같이 복수 개의 단어가 모인 청크(chunk)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는 단어나, 구 또는 절뿐만 아니라, 기본문장의 내용과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문장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e gave me the paper."가 기본문장인 경우에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지 않으나 기본문장과 내용이 연결될 수 있는 " And I reviewed it."과 같은 별도의 문장도 수식어구가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는 사용되는 수식은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서 그 말의 뜻을 꾸미거나 한정함"이라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은 제1 언어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을 다른 언어로 표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서는 제1 언어를 영어로, 제2 언어를 한국어로 하여 설명하지만, 제1 언어와 제2 언어는 영어와 한국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 언어와 제2 언어는 서로 다르면 된다.
학습문장유닛(80)은 기본문장과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 컴퓨터(20)에, 예를 들어, 도 4b의 디스플레이 화면(450) 형태로 기본문장(411)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화면(450)에 표시되는 수식표지들(431 내지 434) 중에서 기본문장(411)에 추가하고 싶은 수식표지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4c의 디스플레이 화면(46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 중에서 "나의 상관인"(433)과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43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3, 434)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인 "who was my superior"(423)와 "describing these results"(424)를 수식어구 DB(60)로부터 독출하여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411)에 삽입함으로써, 학습문장부(440)에 나타나는 학습문장인 "He who was my superior gave me the paper describing these results."(441)를 생성한다. 학습자는 학습문장(441)을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기본문장 DB(70)가 하나의 기본문장(411)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60)는 하나의 기본문장(411)을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과 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기본문장 DB가 복수 개의 기본문장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는 각 기본문장에 따른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한 경우에도 전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50)를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학습자는 기본문장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수식어구들을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기존 영어교재에서는 학습문장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학습문장을 찾아야 했고 유사한 학습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학습할 수 없었다. 언어학습장치(50)는 제공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맞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이 기본문장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어 어떤 식으로 문장을 형성하는지를 알려 준다. 따라서 학습자는 생성된 학습문장을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어떻게 문장으로 만드는 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학습자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국어로 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갖게 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제2 언어로 만들어진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쉽게 자신이 표현하려는 바와 맞는 수식어구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선택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이 제1 언어로 어떻게 표현되며, 제1 언어 기본문장의 어느 위치에 삽입되어야 하는 것을 생성된 학습문장을 통해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식어구 DB(60)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서 꾸며주는 대상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이 경우,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 컴퓨터(20)에 기본문장(411)과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 외에 수식대상정보들을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4d의 디스플레이 화면(470)과 같이 학습문장유닛(80)은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과 수식대상정보들(435 내지 437)을 함께 제공한다. 수식대상정보들(431 내지 434)은 제2 언어 수식어구부(430)의 파란 글자의 "전체문장"(435), "He"(436), "the paper"(437)이다. "전체문장"(435)은 수식어구인 "내가 사무실로 돌아왔을 때"(431)가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411) 전체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내고, "He"(436)는 "파란 셔츠를 입고 있는"(432)과 "나의 상관인"(433)이 기본문장(4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내며, "the paper"(437)는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434)이 기본문장(411) 중에서 "the paper"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과 이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435 내지 437)을 함께 제공하면, 학습자는 수식대상정보들(435 내지 437)을 참고함으로써 기본문장(411)에서 자신이 수식하고 싶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식어구들을 쉽게 선택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기본문장(4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e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여 기본문장(4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480)을 참조하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411)를 5개로 나누어, 각 요소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제1 사각형 도형(412)는 기본문장(4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때 마우스 등으로 클릭하는 도형을 나타내고, 제2 사각형 도형(413)은 "gav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3 사각형 도형(414)은 "m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4 사각형 도형(415)은 "the paper"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5 사각형 도형(416)은 기본문장(411)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을 나타낸다. 기본문장 중에서 일부 요소를 선택하는 방식은 전술한 사각형 도형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480)에서 제1 사각형 도형(412)만 색깔이 틀린 것은 학습자가 제1 사각형 도형(412)을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언어 수식어구부(430)에는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432, 433)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만을 표시하고, 이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내용을 갖는 수식어구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 DB(60)는 수식어구 DB(60)에 포함된 제1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라는 것은 제1 언어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 삽입될 때 어느 위치에 삽입되는 가에 대한 정보이다. 학습문장유닛(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할 때, 대응된 제1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도 4c의 디스플레이 화면(46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1 내지 434) 중에서 기본문장(411)에 삽입될 수식어구들로 "나의 상관인"(433)와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43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80)은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3, 434)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인 "who was my superior"(423)과 "describing the results"(424)에 대한 위치정보를 참고로 하여 학습문장(441)을 생성한다. "who was my superior"(423)의 위치정보는 기본문장(411)의 "He"와 "gave"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describing these results"(424)의 위치정보는 "paper" 다음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식어구 DB(60)가 제1 언어 수식어구들(421 내지 424)과 이들의 위치정보들을 함께 저장하고, 학습문장유닛(80)이 수식어구 DB(60)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3, 434)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423, 424)의 위치정보들을 읽어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를 포함하는 언어학습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b 내지 6e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컴퓨터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다.
언어학습시스템(500)에 있어서, 언어학습장치(550)는 수식어구 DB(560), 기본문장 DB(570), 학습문장유닛(580), 판정유닛(5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언어학습장치(550)는 디스플레이 유닛(510)과 연결되거나,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5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언어학습장치(550)가 디스플레이 유닛(5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언어학습장치(550)가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 컴퓨터(520)에 연결된 것을 예시로 하여 언어학습시스템(500)을 설명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언어학습장치(550)가 디스플레이 유닛(510)과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510)을 포함한 경우에도 적용된다.
수식어구 DB(560)는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제1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한다. 기본문장 DB(570)는 수식어구 DB(560)의 제1 언어 수식어구들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언어(영어)는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언어이고 제2 언어는 학습자가 모국어(한국어)로 사용하는 언어로 설정하였다.
수식어구 DB와 기본문장 DB에 포함된 사항을 설명하는 도 6a의 데이터를 참조하면, 수식어구 DB(560)는 데이터(600)의 제1 언어 수식어구부(60)에 포함된 수식어구들(621 내지 624)과 이 수식어구들(621 내지 624)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부(630)의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을 포함한다. 기본문장 DB(70)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621 내지 624)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부(610)에 속하는 기본문장(611)을 포함한다.
제1 언어 수식어구들(6421 내지 624)은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것으로서, 기본문장(611)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한다. 예를 들어, 수식어구인 "when I was back in the office"(621)는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611) 전체를 수식하고, "wearing a blue shirt"(6422)와 "who was my superior"(623)는 문장의 일부인 "He"를 수식하며, "describing these results"(624)는 "the paper"를 수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문장의 일부는 "He"와 같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611)을 구성하는 단어들 중 하나가 되거나, "the paper"와 같이 복수 개의 단어가 모인 청크(chunk)가 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는 단어나, 구 또는 절뿐만 아니라, 기본문장의 내용과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문장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He gave me the paper."가 기본문장인 경우에 기본문장의 전체 또는 일부를 수식하지 않으나 기본문장과 내용이 연결될 수 있는 " And I reviewed it."과 같은 별도의 문장도 수식어구가 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는 사용되는 수식은 "체언이나 용언의 앞에서 그 말의 뜻을 꾸미거나 한정함"이라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은 제1 언어 수식어구들(621 내지 624)을 다른 언어로 표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서는 제1 언어를 영어로, 제2 언어를 한국어로 하여 설명하지만, 제1 언어와 제2 언어는 영어와 한국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 언어와 제2 언어는 서로 다르면 된다.
학습문장유닛(580)은 기본문장과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학습문장유닛(580)은 학습자 컴퓨터(520)에, 예를 들어, 도 6b의 디스플레이 화면(650) 형태로 기본문장(611)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화면(650)에 표시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 중에서 기본문장(611)에 추가하고 싶은 수식어구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어, 도 6c의 디스플레이 화면(66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 중에서 "나의 상관인"(633)과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3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5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3, 634)을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611)에 삽입함으로써, 학습문장부(640)에 나타나는 학습문장인 "He 나의 상관인 gave me the paper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41)를 생성한다.
판정유닛(590)는 기본문장에 삽입된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입력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수식어구 DB(560)에서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비교하여 맞고 틀림을 판정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알려 준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660)에서 학습문장인 "He 나의 상관인 gave me the paper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41) 중에서 한국어로 표시된 제2 언어 수식어구인 "나의 상관인"(633)에 대응하여 학습자가 입력하는 입력 제1 언어 수식어구인 "was my superior"(642)을 수식어구 DB(560)에서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인 "who was my superior"(623)과 비교하여 맞고 틀림을 판정하고 판정결과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학습자의 입력 제1 언어 수식어구(642)가 틀린 경우로서, 학습자로 하여금 새롭게 입력하게 하거나, 일정 횟수 이상 틀린 경우에는 정답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 제1 언어 수식어구인 "describing these results"(643)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맞고 틀림을 판정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기본문장 DB(70)가 하나의 기본문장(611)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560)는 하나의 기본문장(611)을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621 내지 624)과 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기본문장 DB가 복수 개의 기본문장을 포함하고, 수식어구 DB는 각 기본문장에 따른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이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한 경우에도 전술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언어학습장치(550)를 이용하여 언어학습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학습자는 기본문장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수식어구들을 선택하여 스스로 학습문장을 만들 수 있다. 기존 영어교재에서는 학습문장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학습자는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학습문장을 찾아야 했고 유사한 학습문장이 없는 경우에는 표현하고 싶은 내용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학습할 수 없었다. 언어학습장치(550)는 제공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맞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선택하면, 선택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생성된 학습문장을 생성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해당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입력하게 함으로써 영작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학습자는 이렇게 영작을 통해 완성된 학습문장을 통해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어떻게 문장으로 만드는 지에 대해 배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학습자가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국어로 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스스로 생각할 기회를 갖게 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제2 언어로 만들어진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쉽게 자신이 표현하려는 바와 맞는 수식어구들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학습문장유닛(580)은 기본문장과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제2 언어 수식어구들과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의 일부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660)에서 제2 언어 수식어구인 "내가 사무실로 돌아왔을 때"(631) 옆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인 "when I was back in the office"(621)의 일부인 "when I"를 적색글자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언어 수식어구인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34) 옆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인 "describing these results"(624)의 일부인 "describing"을 적색글자로 표시하였다.
이렇게 제1 언어 수식어구의 일부를 함께 표시하여 학습자에게 힌트를 줌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용이하게 학습문장(641)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해당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힌트를 주어 학습자가 전술한 학습이 너무 어려워 포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 DB(560)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6431 내지 634)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서 꾸며주는 대상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이 경우, 학습문장유닛(580)은 학습자 컴퓨터(520)에 기본문장(611)과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 외에 수식대상정보들을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도 6d의 디스플레이 화면(670)과 같이 학습문장유닛(580)은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과 수식대상정보들(635 내지 637)을 함께 제공한다. 수식대상정보들(631 내지 634)은 제2 언어 수식어구부(630)의 파란 글자의 "전체문장"(635), "He"(636), "the paper"(637)이다. "전체문장"(635)은 수식어구인 "내가 사무실로 돌아왔을 때"(631)가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611) 전체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내고, "He"(636)는 "파란 셔츠를 입고 있는"(632)과 "나의 상관인"(633)이 기본문장(6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내며, "the paper"(637)는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34)이 기본문장(611) 중에서 "the paper"를 수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과 이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635 내지 637)을 함께 제공하면, 학습자는 수식대상정보들(635 내지 637)을 참고함으로써 기본문장(611)에서 자신이 수식하고 싶은 부분에 해당하는 수식어구들을 쉽게 선택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기본문장(6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e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여 기본문장(611)에서 수식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680)을 참조하면, 기본문장인 "He gave me the paper."(611)를 5개로 나누어, 각 요소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수 있게 하였다. 제1 사각형 도형(612)는 기본문장(611) 중에서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할 때 마우스 등으로 클릭하는 도형을 나타내고, 제2 사각형 도형(413)은 "gav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3 사각형 도형(614)은 "m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4 사각형 도형(615)은 "the paper"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이고, 제5 사각형 도형(616)은 기본문장(611)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를 선택하는 도형을 나타낸다. 기본문장 중에서 일부 요소를 선택하는 방식은 전술한 사각형 도형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680)에서 제1 사각형 도형(612)만 색깔이 틀린 것은 학습자가 제1 사각형 도형(612)을 선택한 것을 나타낸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언어 수식어구부(630)에는 "He"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632, 633)만 표시된다.
이와 같이 학습자가 기본문장 중에서 선택하는 요소만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만을 표시하고, 이 중에서 학습자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와 유사한 내용을 갖는 수식어구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보다 빠르고 쉽게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바를 학습문장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수식어구 DB(560)는 수식어구 DB(560)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정보라는 것은 제2 언어 수식어구가 기본문장에 삽입될 때 어느 위치에 삽입되는 가에 대한 정보이다. 학습문장유닛(580)은 학습자가 선택한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기본문장에 삽입할 때,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학습문장을 생성한다.
도 6c의 디스플레이 화면(660)을 참조하면, 학습자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 중에서 기본문장(611)에 삽입될 수식어구들로 "나의 상관인"(633)와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34)를 선택하였다. 학습문장유닛(580)은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3, 634)에 대한 위치정보를 참고로 하여 학습문장(641)을 생성한다. "나의 상관인"(633)의 위치정보는 기본문장(611)의 "He"와 "gave"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결과들을 설명하는"(634)의 위치정보는 "paper" 다음에 삽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식어구 DB(560)가 제2 언어 수식어구들(631 내지 634)과 이들의 위치정보들을 함께 저장하고, 학습문장유닛(580)이 수식어구 DB(560)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제2 언어 수식어구들(433, 434)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읽어 학습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20 : 학습자 컴퓨터 50 : 언어학습장치
60 : 수식어구 DB 70 : 기본문장 DB
80 : 학습문장유닛 100 : 언어학습시스템
200 : 디스플레이 화면 210 : 기본문장부
211 : 기본문장 220 : 수식어구부
221 내지 224 : 수식어구 230 : 학습문장부
231 : 학습문장 330 : 수식표지부
331 내지 334 : 수식표지 420 : 제1 언어 수식어구부
421 내지 424 : 제1 언어 수식어구 430 : 제2 언어 수식어구부
431 내지 434 : 제2 언어 수식어구 500 : 언어학습시스템
520 : 학습자 컴퓨터 560 : 수식어구 DB
570 : 기본문장 DB 580 : 학습문장유닛
590 : 판정유닛

Claims (16)

  1.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기본문장 및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수식어구들과 상기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요소들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5.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수식어구들과, 상기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표지를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여기서 상기 수식표지는 수식어구의 속성을 포함하고;
    상기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기본문장 및 상기 수식표지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식표지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수식표지들에 대응하는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수식표지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요소들을 수식하는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표지들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수식표지들에 대응하는 선택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8.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 및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언어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및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 및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요소들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11. 청구항 8 내지 10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1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12. 문장의 일부 또는 전체를 수식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는 수식어구 DB;
    상기 제1 언어 수식어구들 및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포함하지 않는 제1 언어 기본문장을 포함하는 기본문장 DB;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과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고, 제공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학습문장유닛; 및
    상기 기본문장에 삽입된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입력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수식어구 DB에서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과 비교하는 판정유닛을 포함하는 언어학습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제1 언어 수식어구들의 일부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수식대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식대상정보는 수식어구가 수식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과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에 대응하는 수식대상정보들을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학습문장유닛이 상기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제공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선택되는 선택 요소들을 수식하는 제2 언어 수식어구들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16. 청구항 12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어구 DB는 상기 수식어구 DB에 포함된 제2 언어 수식어구들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위치정보는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학습문장유닛은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의 위치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 제2 언어 수식어구들을 상기 제1 언어 기본문장에 삽입하여 학습문장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학습장치.
KR20130100738A 2013-08-24 2013-08-24 언어학습장치 KR20150022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738A KR20150022602A (ko) 2013-08-24 2013-08-24 언어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738A KR20150022602A (ko) 2013-08-24 2013-08-24 언어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02A true KR20150022602A (ko) 2015-03-04

Family

ID=5302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738A KR20150022602A (ko) 2013-08-24 2013-08-24 언어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6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5111A (zh) * 2016-12-02 2019-01-04 记忆支持合同会社 学习支持系统、方法及程序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5111A (zh) * 2016-12-02 2019-01-04 记忆支持合同会社 学习支持系统、方法及程序
CN109155111B (zh) * 2016-12-02 2020-11-03 记忆支持合同会社 学习支持系统、方法及非易失性的机器可读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terson Learning responsive web design: a beginner's guide
US201503715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music
US8662895B2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tructure which are used to facilitate language understanding and/or language learning
Nietzio et al. Towards techniques for easy-to-read web content
Reynolds A Web-based EFL writing environment as a bridge between academic advisers and junior researchers: A pilot study.
Renduchintala et al. Creating interactive macaronic interfaces for language learning
KR20150022602A (ko) 언어학습장치
El-daly Paradigm shifts in translation studies: Focus on linguistic, cultural, social and psychological turns
Albin Translating and formatting medical texts for patients with low literacy skills
Benaida et al. The link between automated translation of the Arabic language and quality of websites
Kearns et al. Designing online courses for screen reader users.
KR102454909B1 (ko) 문장 매듭 및 꼬리표에 의한 영어 학습교재 및 교구와 그 시스템
Halima English-Arabic-English Translation: A Novel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The Standardization of Translation Parameters
Damaskinidis Image analysis for translating English multimodal texts into Greek: a multimodal semiotics approach to translation training in a Greek higher education context
KR102112954B1 (ko) 영어 학습 제공 방법
JP2018092619A (ja) 請求の範囲のパソコン自動翻訳装置
Kubicka So-called dictionary equivalents confronted with parallel corpora (and the consequences for bilingual lexicography)
Silva Writing to Learn Academic Words: Assessment, Cognition, and Learning
Park et al. Korean language math-to-speech rules for digital books for people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their usability evaluation
Silalahi et al. My Adventure in Translation: Experience the Excitement of Translation World
Mossop et al. Computer aids to checking
Andrews THE TEXTUS RECEPTUS: The “Received Text” of the New Testament
Setyaningsih Translation Errors on Tugu Pahlawan Museum Labels
Seydel Probably certain: Translating hedges in academic research articles from Swedish to English
B. Silva The Importance of General and Academic Vocabulary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