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00A -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00A
KR20150022600A KR20130100727A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KR 20150022600 A KR20150022600 A KR 20150022600A KR 20130100727 A KR20130100727 A KR 20130100727A KR 20130100727 A KR20130100727 A KR 20130100727A KR 20150022600 A KR20150022600 A KR 2015002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function
chang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미
김석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2600A/ko
Publication of KR2015002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로 특정 기능 실행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function in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이 발전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시대의 경향(Trand)에 부합하여 하나의 기기나 서비스에 다양한 기술들이 융합되는 컨버젼스(convergence) 단말기를 다양한 형태로 개발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 통신 기능 등을 부가하거나, 디지털 시계에 통신 기능, 카메라 기능들을 부가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의 단말기는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에서 지원하는 특정 기능에 다양한 서브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작음 음량으로 출력하는 속삭임 모드뿐만 아니라, 속삭임 모드보다 상대적으로 큰 음량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출력 모드를 부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통화 도중에 사용자 편의에 따라 속삭임 모드와 스피커 출력 모드 사이를 전환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별도의 모드 변경 키를 조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단말기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의 모드를 전환 또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단말기의 움직임 조건을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실행된 기능의 모드 전환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그리고 중력 가속도 등에 의해 측정되는 다양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의 통화 모드 또는 특정 기능 실행 여부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은, 제1 모드로 특정 기능 실행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은,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은, 특정 모드를 운용하는 동안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의 상기 특정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는 단말기의 기울기값을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 및 상기 단말기의 기울기값을 기 정의된 조건과 비교하여, 기울기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운용 중 단말기의 움직임 정보(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의 실행함으로써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기능 전환 또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실행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에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경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모든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말의 움직임(motion)에 따른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변화를 검출하고, 움직임 변화에 단말기의 모드 전환 또는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하여 단말기 운용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부(110), 표시부(120), 입력부(130), 제스처 센싱부(140), 오디오 처리부(150), 카메라(160), 저장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지원 가능한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 채널을 음성 통신, 화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FR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단말기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사용자의 통신 기능 요청 또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나 외부 요청 등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구동 과정에서 통신 신호를 출력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단말기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작업 기능 실행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사용자 선택 또는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웹 브라우징 실행 화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실행 화면, 게임 실행화면, 멀티미디어 재생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터치 패널과 표시 패널의 중첩된 형태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수단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단말기의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값에 따라 비동작(turn off)) 또는 동작(turn 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단말기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부(13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들 예컨대, 사이드 키, 단축키, 홈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사용자 설정 및 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들을 제어한다. 단말기(100)가 풀 터치스크린 형태로 지원된 경우, 입력부(130)는 가상 터치 패드로 제공될 수 있다.
제스처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단말기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제스처 센싱부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동작 변경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동작은 물리적인 움직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센싱부(140)는 중력 가속도 센서(Gravitational Acceleration Sensor)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처 센싱부(140)는 기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단말기의 중력 가속도 값, 각속도 값을 측정하고, 각의 변화에 대한 방향 정보, 가속도 변경에 대한 기울기 정보, 이동 거리 등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스처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 놓인 경우, 지구 중심 방향으로만 중력 가속도가 발생한다. 단말기가 가속도 센서가 지면과 수평 상태에 놓여있다고 가정하면, z축에 대해서만 중력 가속도 값(예, X: 0, Y:0, Z: 9.8)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를 통해 중력 가속도의 방향 및 가속도 크기가 일정 기간 동안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기가 수평 상태로 놓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후,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움직이는 것과 같이 기울어지면 가속도가 z 축뿐 만 아니라, y, z 축에도 분산되어 측정될 수 있다. 제스처 센싱부(140)는 단말기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을 수치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 센싱부(14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특정 기능 실행 시 구동되거나, 슬립 모드 또는 표시부 턴 오프 모드 시 구동되어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통화 시 마이크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음성을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한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 통화 시 단말기의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변화에 따라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또는 묵음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카메라(160)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피사체를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방식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60)는 단말기가 카메라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단말기의 움직임(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변화에 따라 동작(turn on)또는 비동작(turn off)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단말기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네트워크와 송수신하는 메시지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다운로드 및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저장부(170)는 움직임 조건(또는 범위)(예컨대, 단말기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의 정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임 조건은 기능의 모드 변경 또는 단말기 기능 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조건은 특정 움직임 시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포함하여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움직임 조건을 가속도 값에 대해서만 정의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단말기의 움직임(기울임, 회전, 가속 등) 변화에 따른 각도, 방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움직임 조건에 따라 실행되는 기능의 모드 전환, 기능 실행의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조건은 특정 기능 실행 시 모드 전환을 위해 정의된 조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및 묵음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속삭임 모드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귀에 가까이 하여 통화음량의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은 모드이며, 스피커 출력 모드는 사용자와 단말기가 일정 이격 거리 간격으로 떨어져 통화 음량의 레벨의 상대적으로 높은 모드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스피커 출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움직임 조건 또는 속삭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움직임 조건을 정의할 수 있다. 상술한 움직임 조건에 따른 모드 전환 또는 기능 실행 여부는 단말기의 종류, 특성, 및 기능을 기반으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드 전환 기능에 따라 하나의 움직임 조건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움직임 조건에 따라 다양한 모드 변경이 가능한 경우, 상술한 움직임 조건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단계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전원이 공급되면, 단말기의 부팅 과정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단말기의 기능 실행을 위해 프로그램 영역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회전 변화, 각도 변화, 또는 중력 가속도 변화 등)를 검출하고, 단말기 운용 시 움직임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이 실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80)는 비교부(181) 및 변경부(18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181)는 제스처 센싱부(14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센싱 정보(움직임 정보: 기울기 정보, 회전 정보, 각도 정보, 중력 가속도 정보 등)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움직임 조건은 통화 기능 시 스피커 출력 모드로 변경하거나, 속삼임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또는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운용하거나, 표시부(120)가 턴 오프로 운용 중인 경우 표시부(120)를 턴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조건일 수 있다.
변경부(182)는 단말기의 변화된 움직임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변경부(182)는 단말기의 움직임이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자동으로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210에서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 또는 기 정해진 스케쥴 정보에 따라 단말기 운용에 따른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기능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기능들 중 모드 변경이 가능한 모든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특정 기능이 타 단말기와의 호(call) 연결 기능인 경우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호 연결 기능은 통신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 통화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220단계에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중력 센서 등)를 동작시키고, 단계 230에서 디폴트로 설정된 제1 모드로 특정 기능을 운용한다. 여기서, 제1 모드는 실행된 기능의 특성,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 형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스피커 출력 모드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이전 통화 시 설정된 음량 레벨로 통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반면에, 노멀 단말기는 통화 기능 시 단말기를 사용자의 얼굴 가까이에 근접하므로, 속삭임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240에서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는 기 정의된 일정 주기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 등)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움직임 변화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 또는 오류 방지를 위해,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예를 들어,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단말기는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통해 현재의 공간 위치도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가속도 센서가 지면과 수평 상태에 놓여있다고 가정하면, z축에 대한 중력 가속도 값(예, X: 0, Y:0, Z: 9.8)이 측정될 수 있다. 가속도 센서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인 경우에는 가속도가 z 축 뿐만 아니라, y, z 축에도 분산되어 측정될 수 있다.
단말기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에 포함된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과 측정된 센싱 값을 비교하고, 측정된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에 포함된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250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 예컨대, 기준이 되는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특정 기능을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시계 형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모드로 통화 기능 수행 시 단말기의 가속도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속삭임 모드로 통화 기능이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는 속삭임 모드로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른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60에서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단계 230로 복귀하여 제1 모드로 운용하도록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단계 270에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벗어나지 않고, 특정 기능의 종료 여부를 결정하고, 기능이 종료되지 않으면, 단계 250으로 복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시계형 단말기인 경우로 가정한다.
단계 310에서 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기 정해진 스케쥴에 따라 타 단말기와의 호(call) 연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연결 기능은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가 타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경우 타 단말기의 통화 연결 연결을 허용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거나, 타 단말기로부터 통화 연결 요청을 수신할 경우 이에 응답하여 통화 연결 요청을 허용하는 경우 실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단계 320에서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각도 변화, 회전 변화 등)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등)를 동작시키고, 단계330 에서 스피커 출력 모드로 콜 기능을 운용한다.
상세하게는, 시계형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목에 단말기를 장착할 수 있다. 시계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손목을 들어 사용자의 얼굴과 일정 이격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므로 스피커 출력 모드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이전 통화 시 설정된 음량 레벨로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등)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말기는 기 정의된 일정 주기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등)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센서 값(움직임 변화에 따른 정보)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예를 들어,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 또는 오류 방지를 위해, 기 정의된 조건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단말기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 등)과 측정된 센싱 값(움직임 변화)을 비교하고, 측정된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단말기는 센서 로그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움직임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측정된 센싱 값의 로그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기는 센싱 로그 정보 즉, 가속도 값의 변경 로그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의 가속도 값 변화를 통해 단말기가 움직임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목을 들어 사용자의 얼굴과 일정 이격 거리 떨어진 상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단말기는 지면과 수평 상태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손을 들어 사용자 귀에 가까이 근접하게 되면, 단말기는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드는 동작이 발생될 수 있다. 단말기는 센서 로그 정보를 통해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드는 동작이 발생됐다고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는 자이로 센서를 통해 x, y, z 축에 대한 각속도 값을 계산하고, 각속도 값을 통해 각의 변화를 감지하여 움직이는 방향을 검출할 수 도 있다.
단계 360에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임 있다고 결정되면,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속삭임 모드로 호 연결 기능을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시계형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타 단말기와 전화 통화 시 손목을 들어 스피커 출력 모드로 통화하는 도중에 통화 음량을 조절해야 할 경우, 손을 들어 시계형 단말기가 사용자 얼굴 가까이 근접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시계형 단말기는 시계형 단말기가 수평 상태에 놓여 있다가 가속도 값 또는 기울기 값이 기 정의된 조건 이내에 포함됐다고 결정하여, 자동으로 통화 음량을 조절하여 속삭임 모드로 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계 360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단계 330로 복귀하여 다시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손을 얼굴과 일정 간격 떨어진 상태 즉, 사용자가 시계의 시간을 확인하는 듯한 자세로 변경할 경우, 시계형 단말기는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게 되므로, 콜 연결 기능을 스피커 출력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단계 380에서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지 않고, 특정 기능이 종료되는지를 결정하고, 기능이 종료되지 않으면, 단계 360으로 복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 실행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단계 410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구성을 초기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단말기는 초기화가 완료되면, 표시부(120)에 홈 화면, 대기 화면 등 기 정의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표시부(120) 화면이 비동작(turn off)된 상태로 구동될 수 도 있다.
단계 420에서 단말기는 단말기의 다양한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회전 변화, 각도 변화, 중력 변화 등)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140)(예컨대, 가속도 센서 등)를 동작시키고, 단계 430에서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는 기 정의된 일정 주기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값)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된 움직임 변화에 따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상황 또는 오류 방지를 위해, 기 정의된 조건이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지되는 일정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측정하는 센싱 값(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공간 가속도 값)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단말기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과 측정된 센싱 값을 비교하고, 측정된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예컨대, x, y, z 축에 대한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결정하여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440에서 단말기는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 예컨대, 기준이 되는 가속도 값의 오차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경우, 기 설정된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가 비동작 상태(turn off) 또는 슬립 모드일 경우, 단말기는 저전력으로 제스처 센싱부(140)를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제스처 센싱부(140)를 통해 주기적으로 센싱 값을 검출하고, 센싱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단말기는 표시부(120) 턴 온(turn)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계형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 표시부(120)가 턴 오프 상태 또는 슬립 모드로 운용 중에 사용자가 시간을 확인하는 것과 같은 자세 즉, 시계형 단말기와 사용자의 눈이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마주보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는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값)가 기 정의된 조건을 만족했다고 결정하고, 표시부(120)를 턴 온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별도의 입력 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표시부(120)를 턴 온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기능은 표시부(120) 턴 온 기능에 한정하지 않으며, 단말기 운용 과정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단말기의 종류, 기능의 특성에 따라 단말기의 다양한 움직임 변화(예컨대, 기울기 변화, 회전 변화, 각도 변화, 중력 가속도 변화 등)에 따른 카메라 기능 또는 수신된 메시지 출력 기능을 실행할 수 있으며, 특정 기능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설계 자의 설계 시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단말기는 특정 기능이 실행된 상태에서 측정된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는지를 결정하고, 단계 460에서 단말기는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면, 실행된 특정 기능을 종료하고, 센서 값이 기 정의된 조건을 벗어나지 않으면, 단계 440으로 복귀하여 실행된 기능을 유지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10: 통신부 120: 표시부
130: 입력부 140: 제스처 센싱부
150: 오디오 처리부 160: 카메라
170: 저장부

Claims (18)

  1.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에 있어서,
    제1 모드로 특정 기능 실행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운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은 타 단말기와의 호 연결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디폴트로 설정되는 모드를 나타내며,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또는 묵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디폴트로 설정된 모드 외의 다른 모드를 나타내며, 속삭임 모드, 스피커 출력 모드 또는 묵음 모드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의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에 따른 로그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로그 변화에 따라 단말기의 움직임이 일정 방향으로 변화된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상기 제2 모드로 전환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변화를 측정하는 과정은,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의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특정 움직임을 기준으로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로 운용 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복귀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8.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또는 중력 가속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의 표시부가 턴 오프 시 턴 온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11. 단말기의 모드 전환 방법에 있어서,
    특정 모드를 운용하는 동안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과정;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면, 단말기의 상기 특정 모드를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12.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검출하는 제스처 센싱부; 및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 변화를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과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센싱부는
    상기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지자기 센서(Geo-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ravity Sensor)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단말기와의 호 연결 시 스피커 출력 모드, 속삭임 모드 및 묵음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운용하고, 상기 움직임 변화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모드로 전환하여 운용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단말 운용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가 턴 오프 또는 단말기가 슬립 모드로 운용 시 상기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턴 온 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가 전환되거나 기능이 실행된 후, 상기 움직임 변화가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전환된 모드를 다시 복귀하거나 실행된 기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움직임 변화의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움직임 변화의 로그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로그 변화에 따라 단말기의 움직임이 일정 방향으로 변화된 경우, 실행된 기능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움직임 조건은, 단말기의 기울기, 회전, 각도, 중력 가속도의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을 이용하여 설정되는 단말기의 기능 전환 장치.
KR20130100727A 2013-08-23 2013-08-23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50022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ko) 2013-08-23 2013-08-23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ko) 2013-08-23 2013-08-23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00A true KR20150022600A (ko) 2015-03-04

Family

ID=5302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0727A KR20150022600A (ko) 2013-08-23 2013-08-23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26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6086B2 (en) 2014-07-3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86086B2 (en) 2014-07-3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80249000A1 (en) 2014-07-31 2018-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554807B2 (en) 2014-07-31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153431B2 (en) 2014-07-31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37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motion sensor generated data
EP3100133B1 (en) Buttonless display activation
US11200022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playing audio data
US95632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02981B1 (en) Hand-held mobile terminal standby method, micro processor and cellular phone thereof
KR102067019B1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경로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055408B (zh) 一种应用程序控制方法及移动终端
US9733144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11405110B (zh) 屏幕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30051098A (ko) 화면 회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및 터치 시스템
US202002127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multi-mode charging,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04123075B (zh) 控制终端的方法及装置
CN110830063B (zh) 一种音频业务的干扰控制方法以及终端
CN111443803A (zh) 模式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160026135A (ko) 전자 장치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955285B1 (ko) 데이터 송수신 구간 설정 방법 및 장치
CN108683812B (zh) 音量调节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09062534B (zh) 发声控制方法、装置、电子装置以及存储介质
KR20150022600A (ko) 단말기의 기능 전환 방법 및 장치
CN112121409B (zh) 一种游戏交互方法、柔性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049080A (ko) 물리적 접촉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CN111708669B (zh) 系统运行的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10816A (zh) 网络切换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0377208B (zh) 音频播放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920126B (zh) 铃声音量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