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232A -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232A
KR20150022232A KR20130099803A KR20130099803A KR20150022232A KR 20150022232 A KR20150022232 A KR 20150022232A KR 20130099803 A KR20130099803 A KR 20130099803A KR 20130099803 A KR20130099803 A KR 20130099803A KR 20150022232 A KR20150022232 A KR 2015002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lexible
light
electrochromic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335B1 (ko
Inventor
이화열
채기성
김진욱
엄성용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335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은 전체 화면에서 빛이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와 고상의 전해질을 이용하여 높은 투과 특성과 차광 특성을 가진 차광판을 제조하는 한편, 상기 차광판의 기판 배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시간 구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코팅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이 형성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여 차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FLEXIBLE TRANSPARENT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화면에서 빛이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정보화 사회에서 디스플레이는 시각정보 전달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 한층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주요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저소비전력화, 박형화, 경량화, 고화질화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자체가 빛을 내는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CRT), 전계발광소자(Electro Luminescence; EL),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VFD),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발광형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와 같이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는 비발광형으로 나눌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광학적 이방성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표현하는 장치로서, 기존의 브라운관에 비해 시인성이 우수하고 평균소비전력도 같은 화면크기의 브라운관에 비해 작을 뿐만 아니라 발열량도 작기 때문에 차세대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하,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화소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에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액정패널과 상기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액정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갭(cell gap)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hin film transistor array) 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 및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의 셀갭 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이 합착된 액정패널에는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전계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신호의 전압을 제어하게 되면, 상기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공통전극과 화소전극 사이의 전계에 따라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화소별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차단시켜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최근 들어 후방의 객체가 보이는 동시에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투명 디스플레이의 응용 가능성은 폭발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냄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전술한 액정표시장치는 자체적으로 독립된 표시장치로만 개발되어 있을 뿐, 투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전체 화면에서 투과되는 빛과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 사이의 빛 간섭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이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한 차광판이 요구된다.
상기 차광판으로 고분자 분산형 액정 디스플레이(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s; PDLC)를 사용하는 경우, 전계를 인가해야만 투명한 상태 표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투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전압이 상당히 높고, 차광 상태 역시 효율이 낮아 투명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개선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는 흑색 전기영동 입자를 사용하여 동일 목적을 달성할 수는 있으나, 투과 또는 차광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계인가가 필요하고, 전기영동 입자의 분산 상태 유지 및 구동을 위해 유체가 필요한데, 상기 유체의 누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장기간 구동에 불리한 점이 있다.
전기습윤 디스플레이(Electro-Wetting Display; EWD)는 흑색오일 내의 염료 또는 안료의 석출 가능성 및 상기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같이 유체의 누수 문제 발생 가능성으로 인하여 상기 차광판 목적의 기기 구현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투과 특성과 차광 특성을 가지며 장시간 구동이 가능한 차광판을 적용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패널; 및 상기 투명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판은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 패널로의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된 전해질; 및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보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투명 패널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의 표시와 관계없이 항상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편광을 전면으로 출사시켜 주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패널의 표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코어는 빛에 대한 투과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일차입자 기준으로 10nm에서 200nm의 크기를 가지며, 쉘은 0.1nm에서 2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경화된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되며, 끝단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은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코팅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이 형성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여 차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한 후에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플라즈마 반응로에 넣고 보호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른 일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때, NH3 가스 500sccm, SiH4 가스 70sccm, 히팅 온도는 80℃, RF 파워는 80W 조건으로 90초간 수행하여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200nm 두께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110℃의 온도에서 10분간 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한 후에 1J/cm2의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을 경화시킨 후 끝단을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은 전체 화면에서 빛이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 선택적으로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와 고상의 전해질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투과 특성과 차광 특성을 가진 차광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광판의 기판 배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차광판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있어, 차광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보호층의 형성 유무에 따른 차광판의 수분 투과율 및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
도 7은 구동횟수에 따른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
도 8a 및 도 8b는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A-A'선에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는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패널(101)과 상기 투명 패널(101)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명 패널(101)로의 빛의 투과 및 차단이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한 차광판(1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 패널(101)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D)와 정보의 표시와 관계없이 항상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T)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 패널(101)의 전체에 상기 표시부(D)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일 예로 상기 투명 패널(101)은 일측에 위치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편광을 전면으로 출사시켜 주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편광판의 전면에는 터치 기능을 위한 터치패널(touch panel)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투명 패널(101)에 디스플레이 된 영상 위에 펜글씨 쓰기(pen writing)를 하게되면 전자 칠판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패널은 캐드(Computer Aided Design; CAD), 생산시스템, 게임기, 키오스크(kiosk), 판매시점 정보관리(Point of sale; POS) 또는 의료분야 등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는 입력장치로서 출력장치인 디스플레이 면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출력되는 표시면을 눈으로 보면서 소정 위치를 직접 눌러 대화하는 식으로 여러 가지의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상기 액정패널은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및 그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에는 매트릭스 방식으로 나열되어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배선 및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층을 구동하기 위한 공통전극과 화소전극을 구비한다. 또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위치하는 입광면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광원은 냉음극 형광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나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와 같은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어레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이거나 다수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광원으로는 도광판의 일측 방향에서 입사된 자연광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실내등에 의해 발광된 편광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도광판의 하부 방향에서 입사된 자연광은 액정패널의 구동에 관계없이 제 2 편광판을 통해 투과되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관계없이 도광판 하부의 객체를 볼 수 있게 된다. 즉, 도광판에 입사되기 전의 광을 편광 시킴으로써 이 편광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한편, 도광판의 하부 방향에서 입사된 자연광을 이용하여 투명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투명 패널(101)의 배면에는 차광판(100)이 위치하는데,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판(100)은 투명 패널(101)로의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이 가변적으로 작용 가능하여 상기 투명 패널(101)의 전체 화면에서 투과되는 빛과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영역의 빛 간섭에 의한 시인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광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과율 저하를 막기 위해 높은 투과 특성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인성 향상을 위해 높은 차광 특성이 필요하다.
상기 차광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한 추가 장치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의 본래의 특성을 해치지 않아야 한다. 상기 차광판(100)은 투명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전계를 인가하여 빛을 차단할 때 구동되어야 하며, 전계를 인가하지 않아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상기 차광판(100)은 구동전압이 낮을수록 소비전력측면에서 유리하며, 플라스틱 기판(105, 110)을 사용할 수 있어야 플렉서블 기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광판(100)의 구성으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120)를 사용하는 한편, 고상의 전해질(125) 및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105, 110)을 사용함으로써 전계가 인가되지 않을 때 투명 상태를 유지하며 전계가 인가될 때 차광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전압(~ 5V 이하)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유체를 사용하지 않아 누수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플라스틱과 같은 플렉서블 기판(105, 110)을 이용함으로써 투명 디스플레이의 플렉서블 구현이 가능하다.
다만, 플라스틱 기판(105, 110)은 글라스 기판과는 다르게 외부에서 침투 가능한 습기 및 산소 등 다양한 기체에 대한 방지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기판(105, 110)의 외면에 소정의 보호층(109, 119)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투과도 및 차광도가 우수하며 장시간 구동에 유리한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차광판(100)을 제공하며, 상기 차광판(100)은 빛의 투과 또는 차광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전기변색 특성의 코어-쉘 구조를 지닌 나노입자(120), 고체 전해질(125) 및 보호층(109, 119)이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105, 1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판(100)은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120)에 전계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플라스틱 기판(105, 110)의 내면에 소정의 투명 전극(108, 118)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 전극(108, 118)은 상기 투명 패널(101)의 표시부(D)에 대향하는 위치의 플라스틱 기판(105, 110)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에 있어,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때, 상기 도 3a는 투과 상태의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를 나타내며, 상기 도 3b는 전계가 인가되어 차광 상태의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120)는 가시광선에 대한 투과도가 우수하면서 전자의 흐름이 용이하고, 비표면적이 커 많은 물질을 담지 혹은 흡착할 수 있는 결합 영역이 넓은 형태의 물질이며, 쉘(120a)은 전자에 의해 산화 또는 환원 작용을 하면서 투명에서 차광 또는 차광에서 투명으로 가변이 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코어(120b)의 크기는 빛에 대한 투과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일차입자 기준으로 10nm에서 200n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쉘(120a)은 0.1nm에서 20nm의 크기로 물질 구조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제조방법은 단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있어, 차광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 제조
일 예로, 50ml 광구병(wide-mouth(ed) bottle)에 1차입경이 10nm에서 20nm의 크기를 가지는 산화티타늄 20그램, 에탄올 30그램 및 2-(2-(2-메톡시)에톡시)아세틱 엑시드 0.5그램, 그리고 0.5mm 크기의 지르코니아 비드 100그램을 넣고, 페인트쉐이커(paint shaker)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분산한다.
이후, 지르코니아 비드를 제거하여 산화티타늄 나노 분산액을 제조한다.
또한, 질소분위기의 3구 플라스크(flask)에 4,4-biprydine 15.6그램(100밀리몰), 브로모에틸포스포네이트 21.9그램(100밀리몰)과 아세토니트릴 100그램을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환류(reflux)시킨 후, 8.5그램(50밀리몰)의 브로모벤젠, 4-클로로벤조니트릴 4.1그램(30밀리몰), 클로로살리실릭산 3.4그램(20밀리몰), 아세토니트릴 100그램을 첨가하여 8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이후, 디에틸에테르로 세정하고, 이소프로필알콜/에틸에테르가 2/1로 혼합된 용액에서 재결정하여 흰색의 물질을 얻는다.
상기 흰색의 물질 2.0그램을 메탄올 50그램에 넣고 고온 및 초음파를 사용하여 용해시킨 후 앞에서 먼저 제조한 고형분 40 중량%의 산화티타늄 나노 분산액 50그램과 혼합 및 교반 후 초음파분산을 진행하면서 12시간 동안 65℃의 온도에서 환류 및 반응을 진행한다.
이후, 미반응물을 정제하여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한다(S110).
고분자 전해질 용액 제조
교반기(agitator)가 부착된 플라스크에 아세토니트릴 300그램, 폴리에틸렌옥사이드(분자량 600K)10.0그램, 에틸렌옥사이드가 0.8몰 부가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10.0그램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한 후, LiTFSi 1.77그램과 첨가제로 S104(Air product社) 0.5그램을 첨가하여 5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여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한다(S120).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 구조 안정성 및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로의 전자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고체상의 전해질을 사용한다. 상기의 전해질은 이온전도도가 우수해야 하며, 투명도가 높고, 헤이즈(haze)가 낮아야한다.
플렉서블 기판에 보호층 형성
한 쌍의 플렉서블 기판, 일 예로 광학용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면저항이 40Ω/sq인 인듐-주석 산화물로 이루어진 투명 전극을 형성한다(S130-1).
다음으로,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플라즈마 반응로에 넣고 보호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른 일면을 노출시킨다. 이후, SiNx막을 형성하기 위해 NH3 가스 500sccm, SiH4 가스 70sccm, 히팅 온도는 80℃, RF 파워는 80W 조건으로 90초간 수행하여 200nm 두께의 보호층을 형성하여 차광판용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제조한다(S130-2, S130).
본 발명의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반드시 보호층으로 보호되어야 하며, 전술한 SiNx 외에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에서 침투 가능한 수분 및 산소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떠한 물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상기의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외부에서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를 최소화하여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 내부에 위치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그리고 고체상의 전해질과의 불필요한 반응을 억제하여 차광판의 장시간 구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차광판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한다(S140-1).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에서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110℃의 온도에서 10분간 건조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한다(S140-2).
이후, 라미네이션(lamination)공정을 통해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 한다(S140-3).
이후, 1J/cm2의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을 경화시킨 후 끝단을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한다(S140-4). 상기의 공정을 통하여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를 위한 차광판을 제조한다(S140).
투명 패널에 차광판 부착
상기에서 제조된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S150).
이하, 상기와 같이 제작된 차광판에 대한 수분 투과율 및 광투과율 비교예의 차광판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의 차광판의 투명 전극에 +2.5 ~ +3.5V 및 -2 ~ -3V의 전압을 인가하여 투과 및 차광 상태에서의 550nm파장에 대한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의 차광판 제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예의 차광판을 제작하였으나, 보호층을 형성하지 않은 광학용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였다.
도 6은 보호층의 형성 유무에 따른 차광판의 수분 투과율 및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에는 수분 투과율이 5×100g/m2day인데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7.8×10-4g/m2day로 매우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으며, 광투과율은 각각 92% 및 90%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기판에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광투과율의 변화 없이 수분 차단 특성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구동횟수에 따른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표로써, 투과 시 투과율과 차광 시 투과율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는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차광판의 광투과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보호층이 없는 비교예의 차광판의 경우에는 구동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투과 및 차광 특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보호층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차광판에서는 초기와 비슷한 수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일 예로, 비교예의 경우 1회, 10회, 100회 및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 시 투과율은 각각 91.1%, 91.1%, 90.2% 및 86.3%으로 측정되었으며, 실시예의 경우 1회, 10회, 100회 및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 시 투과율은 각각 90.4%, 90.4%, 90.1% 및 89.7%으로 측정되었다.
이때, 1000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율은 1회 구동하였을 때의 투과율에 비해 비교예 및 실시예의 경우 각각 5.26% 및 0.77%만큼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와 고상의 전해질을 이용함으로써 높은 투과 특성과 차단 특성을 가진 차광판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차광판의 기판 배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산소의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장시간 구동이 가능하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차광판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성능의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차광판 101 : 투명 패널
105,110 : 플렉서블 기판 108,118 : 투명 전극
109,119 : 보호층 120 : 코어-쉘 나노입자
125 : 전해질

Claims (15)

  1. 전체 화면에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상태로 전체 또는 일부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투명 패널; 및
    상기 투명 패널의 배면에 위치하는 차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차광판은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 형성된 투명 전극;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되며, 상기 투명 패널로의 빛의 투과 또는 차단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형성된 전해질; 및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보호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정보의 표시와 관계없이 항상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빛을 발생시키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편광시켜 주는 제 1 편광판;
    상기 제 1 편광판을 통해 입사되는 편광을 전면으로 출사시켜 주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을 통해 출사된 광에 의해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패널 및 제 2 편광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상기 투명 패널의 표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내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의 코어는 빛에 대한 투과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일차입자 기준으로 10nm에서 200nm의 크기를 가지며, 쉘은 0.1nm에서 20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경화된 고분자 전해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은 서로 대향하여 합착되며, 끝단이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9.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투명한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코팅하여 전기변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코팅하여 고분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기변색층이 형성된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이 형성된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하여 차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차광판을 소정의 투명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투명 전극을 형성한 후에 상기 투명 전극이 형성된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플라즈마 반응로에 넣고 보호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다른 일면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NH3 가스 500sccm, SiH4 가스 70sccm, 히팅 온도는 80℃, RF 파워는 80W 조건으로 90초간 수행하여 상기 제 1,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다른 일면에 200nm 두께의 상기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SiNx, TiN, TaN, WN, TiSiN, TaSiN, TiO5, Al2O3, HFO2 또는 In2O3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변색층은 상기 전기변색 코어-쉘 나노입자 분산액을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90℃의 온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은 상기 제 2 플렉서블 기판의 투명 전극 위에 상기 고분자 전해질 용액을 500rpm, 15초 동안 스핀코팅 한 후, 110℃의 온도에서 10분간 건조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렉서블 기판과 제 2 플렉서블 기판을 합착한 후에 1J/cm2의 UV광을 조사하여 상기 고분자 전해질층을 경화시킨 후 끝단을 에폭시 본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20130099803A 2013-08-22 2013-08-22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889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803A KR101889335B1 (ko) 2013-08-22 2013-08-22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803A KR101889335B1 (ko) 2013-08-22 2013-08-22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232A true KR20150022232A (ko) 2015-03-04
KR101889335B1 KR101889335B1 (ko) 2018-08-17

Family

ID=53020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803A KR101889335B1 (ko) 2013-08-22 2013-08-22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3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0515B2 (en) 2015-08-10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199012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WO2019199011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076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변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076A (ko) * 2008-10-30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변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70515B2 (en) 2015-08-10 2018-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amorphous allo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9199012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WO2019199011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335B1 (ko) 201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035B1 (ko) 투명표시장치
US9989798B2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method of fabricating the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controlling apparatus with transparent mode and light shielding mode
JP5987083B2 (ja) 液晶表示装置
US8736941B2 (en) Electrochrom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502999B2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3330785A2 (en) Light block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7153297B (zh) 显示面板及显示设备
WO2016011691A1 (zh) 高色域液晶显示模组结构
US10317720B2 (en) Light control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for light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light control apparatus
US20140043566A1 (en) Display device with increased optical efficiency
WO2015067047A1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US10345635B2 (en) Light contro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light control device
US20120154344A1 (en) Electric paper display apparatus
US20190250455A1 (en)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WO2017117852A1 (zh) 透明显示器
KR101889335B1 (ko) 플렉서블 투명 디스플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3472A (ko) 표시장치
US201001572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301268A (ja)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及びこれの製造方法。
CN103744211B (zh) 彩色液晶显示面板
KR10195800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US2011006926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48187B1 (ko) 전기변색 입자,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 가변 패널 및 디스플레이장치
CN107357098A (zh) 透明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208249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