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811A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811A
KR20150021811A KR20130099233A KR20130099233A KR20150021811A KR 20150021811 A KR20150021811 A KR 20150021811A KR 20130099233 A KR20130099233 A KR 20130099233A KR 20130099233 A KR20130099233 A KR 20130099233A KR 20150021811 A KR20150021811 A KR 20150021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electrode
electrode material
material film
etching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보경
김재석
김호영
윤보언
윤일영
박세정
최재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9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1811A/ko
Priority to US14/445,284 priority patent/US20150056795A1/en
Publication of KR20150021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78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 H01L29/6679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gate at the side of the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64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 e.g. thickness or uniform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008Making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6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using blasting, e.g. sand-bla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15Planarisation
    • H01L21/3212Planarisation by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 H01L21/32135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 H01L21/32136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by chemical means only by vapour etching only using plasm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1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semiconducting carbon, e.g. diamond, diamond-like carbon, graphene
    • H01L29/6603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semiconducting carbon, e.g. diamond, diamond-like carbon, graphene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045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6671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5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having a channel with a horizontal current flow in a vertical sidewall of a semiconductor body, e.g. FinFET, MuG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1After treatment
    • H01L21/3213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 H01L21/32139Physical or chemical etching of the layers, e.g. to produce a patterned layer from a pre-deposited extensive layer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게이트를 최종단계에서 형성시키는 FinFET 반도체 소자에서 핀 모양의 돌출된 부분에서 발생하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평탄화시키는 개선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단계를 통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돌출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돌출된 채널 영역 위에 단차를 갖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희생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희생 물질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을 막질 선택비 없이 소정 깊이 식각하여 상기 단차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메모리 용량의 증가 현상에 따라 단위 면적당 소자의 집적도를 늘리기 위하여 소자의 밀도를 높여야 하는데, 이러한 소자의 밀도는 소자 개개의 크기를 줄이고 소자간 간격을 좁힘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수평 채널 반도체 소자의 크기를 축소할 경우 채널의 길이가 짧아지고, 단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FinFET(Fin 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이 게이트에 핀(fin)을 형성하여 유효채널 길이를 확보하고 작동 전류크기를 증가시키는 반도체 소자가 있다. FinFET에서 핀(fin)의 높이로 인해 게이트 폴리막의 단차가 형성되는데 이를 평탄화하는 방법으로 화학적기계적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기술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기존의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개선하여, 막질에 따른 선택비 차이를 이용한 EPD(End Point Detector) 방법을 사용하고, 건식식각 및 습식식각 공정을 적용하여 산포를 최소화하고, 핀(fin)의 높이로 인해 형성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제거하도록 하는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돌출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돌출된 채널 영역 위에 단차를 갖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희생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희생 물질막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희생물질막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크는 단계 이후에 상기 희생물질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막 제거하는 단계 이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으로 식각하여 단차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차를 제거하는 단계는 식각시간(Polishing Time)을 이용한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희생물질막 평탄화 단계는 화학적기계적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단계는 상기 희생 물질막을 EPD(End Point Detector) 공정 적용하여 서로 막질이 다른 계면의 선택비 차이를 이용하여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희생 물질막의 상부표면이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표면보다 더욱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희생물질막을 과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건식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가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및 상기 희생물질막을 식각하여 상기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상기 희생물질막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식각속도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또한, 돌출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돌출된 채널 영역 위에 단차를 갖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희생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희생 물질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을 막질 선택비 없이 소정 깊이 식각하여 상기 단차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막을 식각하는 단계는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 식각하는 단계에서 식각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 식각시 GCIB(Gas Cluster Ion Beam)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GCIB 공정 적용시 형성되는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FinFET에서 fin의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단차를 극복하기 위해 개선된 형태의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과 건식식각 및 습식식각 공정 등의 일련의 단계를 통해 종래의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의 막질 제거비 변동에 의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 단차는 제거하면서 산포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은 또한 막질 선택비 없이 진행하는 식각공정을 통해서 반도체 소자의 산포를 줄이면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높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fin)이 형성된 FinFET 반도체 소자의 도면이다.
도 1b는 도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 제거를 통한 반도체 소자의 평탄화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b의 희생 물질막 식각 시 게이트 높이에 의한 단차보다 희생 물질막 과식각이 된 경우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4a 및 도4b는 도 2c에 도시된 단계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을 막질 선택비 없이 균등하게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제거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c은 도 4a에서 GCIB(Gas Cluster Ion Beam) 공정을 통해 식각 시 형성되는 산화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화물 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화물 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게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ing)”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는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구조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상에서 사선이나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서로 다른 막질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는 것이지, 막질의 물성이나 외관을 특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FinFET 반도체 소자의 3차원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는 반도체, 예컨대 Ⅳ족 반도체, 또는 Ⅱ-Ⅵ족 산화물 반도체로 구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반도체 소자(100)는 벌크(bulk)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벌크 기판 상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종류의 기판 상에 형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SOI(Silicon-on-insulator)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소자(100)는 벌크 기판(101)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소자분리막(130) 위의 활성 영역(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110)은, 예를 들면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소자분리막(130)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110)은 소스 영역(114), 드레인 영역(116) 및 상기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사이에 배치된 채널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112)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집적 회로의 단위 반도체 소자 MOSFET은 성능 및 집적도 향상을 위해 크기를 축소시키는 경우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단채널 효과(Short Channel Effect)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서 게이트의 채널 제어능력이 낮아지는데, 이로 인해 DIBL(Drain-Induced Barrier Lowering)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의 해결을 위해 다양한 3차원의 복수 게이트 트랜지스터가 제시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FinFET(Fin Field Effect Transistor)이다. FinFET 형태의 반도체 소자는 돌출된 채널 영역을 갖는 게이트를 포함하므로 복수의 면에서 채널을 제어할 수 있어 게이트의 채널 제어성이 증가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은 상기 채널 영역(112) 위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은, 예를 들면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물리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은 폴리실리콘(p-Si) 또는 비정질실리콘(a-Si)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의 A-A' 선단면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하나의 FinFET 반도체 소자는 벌크 기판(101), 활성 영역(110), 게이트 절연막(115),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 및 소자분리막(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벌크 기판(101)은 실리콘(Si)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활성 영역(110)은 핀(fin) 모양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핀 모양의 높이는 수백Å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핀 모양으로 인한 실리콘 층의 단차는 400Å일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110)의 핀 모양의 상부 및 양 측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15)은 게이트를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와 분리시켜 채널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5)은 상기 활성 영역(110)과는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실리콘 산화막(Silicon oxid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은 상기 활성 영역(110), 게이트 절연막(115) 및 소자분리막(130)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실리콘 에피탁시(Silicon Epitaxy)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소자분리막(130)은 상기 활성 영역(110)의 핀 모양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130)은 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설명하겠지만, 소자분리막(130)은 활성영역과 소자분리영역을 정의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종래 FinFET 형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의 경우 소자분리영역에서 수백Å의 핀의 형성으로 인하여 단차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차를 제거하기 위해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진행하는데, 식각시간(Polishing time)을 계산하여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사용하면, 게이트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출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는 설비상의 소모재 수명의 경과에 따라 제거속도(Removal rate)가 달라지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의 제조방법을 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2a 내지 도 2f에서 활성 영역(110)이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것이고, 핀 모양의 실리콘 층이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a는 도 1a의 FinFET이 복수개인 경우,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과 그 위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갖는 반도체 소자(100-a)의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소자(100-a)는 벌크 기판(101), 2개의 활성 영역(110), 게이트 절연막(115),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 및 소자분리막(130)dmf 포함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구성 요소 각각이 서로 다른 무늬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 구성 요소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활성 영역(110)의 핀 높이로 인해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의 단차1(120-1)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분리막(130)은 벌크 기판(101)을 활성 영역(110)과 소자분리영역(110-2)을 분리하여 정의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 물질막 하부의 활성영역에 채널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b는 도 2a의 FinFET 반도체 소자 위에 추가로 희생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핀 높이에 의한 단차를 갖는 반도체 소자(100-b)의 게이트 전극 물질막 위에 희생물질막(200)을 형성시킨다. 상기 희생물질막(200)의 형성 시 증착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증착 방법으로는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물리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희생물질막(200)은 실리콘 산화막, 탄소계물질, 또는 실리콘 질화막(Silicon Nitr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희생물질막(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EOS(Tetra EthOxy Sila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TEOS는 산화막증착용재료로 많이 쓰이며, 상온에서 액상으로써 산화물의 형성 온도가 낮으며, 후속 공정인 희생물질막과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막질 선택비 차이를 이용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에 활용할 수 있다. 희생물질막이 상기 나열한 물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의 식각시 막질 선택비를 가지기만 하면 충분하다.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희생물질막(200)이 소정 깊이만큼 식각된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100-c)에서 상기 희생물질막(200)의 일부분이 식각되어 제거되었다. 희생물질막의 제거는 막질 선택비의 차이를 이용한 식각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EPD(End Point Detector) 방법으로 희생물질막과는 다른 막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TEOS와 같은 산화막을 희생물질막으로써 식각시키고, 게이트 전극 물질막이 노출될 때까지만 식각시킬 수 있다.
희생물질막의 제거방법은 화학적기계적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인 개선된 화학적기계적연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막질 선택비의 차이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식각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개선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에서 막질 선택비는 클수록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 : 희생물질막이 1:10,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즉,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1의 비율만큼 식각하는 동안 희생물질막을 10의 비율 또는 그 이상 식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개선된 화학적기계적연마 방식으로 식각하는 경우 희생물질막은 막질 선택비에 의해 제거되는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식각되는 막질과 다른 막질이 노출되었을 경우 식각을 멈추는데, 핀 모양의 활성 영역(110)에 의해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의 단차가 생기므로 그 단차에 해당하는 부분에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가 잔존할 수 있다. 예컨대, TEOS 막을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으로 식각하는 과정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이 노출되는 경우 식각을 중단하나,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로 인해 TEOS의 일부가 식각되지 않고 잔존할 수 있다. 상기 잔존하는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는 식각마스크로 활용할 수 있다.
도 2d는 도 2c의 FinFET 반도체 소자에서 게이트 전극 물질막만을 소정의 깊이만큼 선택적으로 식각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100-d)에서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는 도 2c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는데 비해 게이트 전극 물질막은 단차2(120-2)만큼 식각된다. 희생물질막은 식각되지 않고, 게이트 전극 물질막만이 식각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큰 막질 선택비를 가지는 방법으로 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식식각(dry etch) 방법을 통한 식각(dry recess)을 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희생물질막(200)은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과 높은 식각선택비를 갖도록 선택되므로, 상기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는 식각마스크로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식각되지 않는다. 상기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는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과 다른 막질이어야 하므로, 실리콘 산화막, 탄소계물질, 실리콘 질화막, TEOS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e는 도 2d의 FinFET 반도체 소자에서 잔존하는 희생물질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100-e)는 도 2d에서 잔존해있던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를 제거한다. 상기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는 실리콘 산화막, 예컨대 TEOS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TEOS만을 제거하기에 유리한 방법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제거 방법으로는 습식식각(wet etch)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습식식각은 TEOS와 같은 실리콘 산화막을 다른 막에 비해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를 제거하는 이유는 도 2d에서 도시된 것처럼 희생물질막이 식각마스크로 활용되어 막질 선택비를 가지는 개선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에 의해 게이트 전극 물질막이 선택적으로 제거되었으므로 그 역할을 다 했기 때문이다. 희생물질막의 잔여부(200-2)의 높이로 인해 그 제거된 자리에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에 단차3(120-3)가 잔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차3(120-3)은 상기 단차1(120-1)에 대비하여 현저하게 작게 형성된다.
도 2f는 도 2a 내지 도 2e의 일련의 단계를 통해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높이가 일정하게 평탄화된 FinFET 반도체 소자(100-f)의 단면도이다.
도 2f를 참조하면, FinFET 반도체 소자(100-f)의 활성영역의 게이트 전극 물질막에는 단차가 존재하지 않고 평탄화 되어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게이트 전극 물질막에 단차3(120-3)이 존재하는데, 상기 단차3(120-3)은 추가적인 식각단계를 거쳐 제거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식각단계는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일 수 있다. 이 때의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은 식각시간(Polishing time)을 계산하여 식각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각시간은 상기 단차3(120-3)을 제거하는 시간에 추가적으로 소정의 단차를 더 제거하는 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차4(120-4)만큼 더 식각하는 시간으로 계산될 수 있다.
종래 식각시간을 활용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은 설비상 소모재의 수명 문제로 인해 제거속도(Removal Rate)의 변동으로 정확한 높이로 평탄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나, 상기 공정은 단차3(120-3)의 미세한 높이를 식각하는 것이므로 짧은 시간 식각하면 되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2 a내지 도 2f에 도시된 일련의 단계를 통해 개선된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과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을 통해 단차가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도 2f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게이트 전극 물질막이 평탄화될 수 있다. 도 2f에는 초기에 가지고 있던 단차1 내지 단차4의 높이가 도시되어 있어 어느 정도로 식각되었는지를 상대적으로 알 수 있다. 즉, 단차1(120-1)은 최초 게이트 전극 물질막이 형성되는 단계에서 발생된 것이고, 단차2(120-2)는 희생물질막이 식각마스크로 활용되어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식각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단차3(120-3)은 상기 식각마스크가 제거되면서 상기 식각마스크가 존재하였던 높이로 인해 형성되는 것이며, 단차4(120-4)는 상기 단차3(120-3)을 제거함에 있어서 소정의 식각을 추가적으로 하면서 평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단차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b의 희생 물질막 식각 시 게이트 높이에 의한 단차보다 희생 물질막 과도식각된 경우의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평탄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2b 및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의 상부 표면이 노출된 때까지 희생물질막(200)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기계적연마가 사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사용하는 경우, 공정 조건에 따라 상당한 정도의 디싱(dishing)이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엔드 포인트(End Point)를 적절히 제어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다량 연마되는 위치에서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의 돌출부 사이의 희생물질막(200)이 모두 제거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화학적기계적연마를 하였을 경우 제1 영역(110-a)에서의 식각 정도가 제2 영역(110-b)에 비하여 더 빠르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제1 영역(110-a)에서 엔드 포인트로서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이 검출되는 즉시 상기 화학적기계적연마를 중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110-b)에서의 식각 정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게 이루어지므로 제2 영역(110-b)에서는 아직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희생물질막(200)의 과도식각이 발생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이 노출되며 식각과정이 멈추게 되므로 일부의 반도체 소자에서는 상기 희생물질막(200)이 식각마스크로써의 역할을 할 수 없어, 도 2d 내지 도 2f의 일련의 추후 공정을 진행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도 3b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b는 도 3a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도식각으로 인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제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른바 디싱현상이 일어난 제1 영역(110-a) 때문에 희생물질막(200)의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제2 영역(110-b)의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을 평탄화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10-b)에서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식각과정이 종료되었기 때문에 임의의 식각방법을 추가로 진행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희생물질막(200)과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 사이의 식각 선택비를 갖는 식각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wet etch)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습식 식각을 이용하는 경우 제1 영역(110-a)과 제2 영역(110-b)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식각 속도로 상기 희생물질막(200)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단계에서, 도 2d에 도시된 공정을 계속 진행하여 화학적기계적연마를 하는 공정에서 디싱이 발생하더라도 식각마스크로 사용될 희생물질막(200)이 모두 제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c의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과 희생물질막(200)을 막질 선택비 없이 균등하게 식각하여 게이트의 단차를 제거하는 일 실시예에 대한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반도체 소자는 도 2b의 단계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물질막의 막질 선택비를 이용한 EPD 방법으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이 노출된 상태까지 식각이 진행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희생물질막(200)은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과는 다른 식각 선택비를 갖는 물질이어야 하며, 실리콘 산화막, 탄소계물질,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TEOS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단계가 도 2c에 도시된 단계와 다른 점은 단차5(120-5)만큼을 막질의 식각선택비 없이 균등하게 식각하는 점이다. 상기 과정은 이하 도 4b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반도체 소자는 도 4a에 존재하던 단차5(120-5)만큼 희생물질막의 전부와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의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단차5(120-5)의 제거방법으로는 물질막의 식각 선택비가 없이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식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폴리막과 산화막이 1:1의 비율로 균등하게 식각되는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식각방법으로는 균등하게 식각되도록 식각조건이 조절된 화학적기계적연마,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GCIB(Gas Cluster Ion Beam)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GCIB 공정은 고압의 가스를 진공상태에 가하여 단열팽창 시킨 후 냉각 응축시켜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나노 단위 크기의 결정질 표면을 만들 수 있어 막질 표면의 평탄화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고압의 가스로는 아르곤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막질 표면의 평탄화 작업에는 B2H6가 가스가 사용될 수 있고, 식각시에는 NF3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b의 과정에서는, 서로 다른 막질에 대한 식각 선택비만 없으면 식각의 방법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단차5(120-5)만큼 식각됨으로써 핀의 높이만큼 단차가 발생하였던 게이트 전극 물질막(120)이 평탄화될 수 있다.
도 4c는 GCIB 공정으로 게이트 전극 물질막 및 희생물질막을 식각하였을 경우 형성될 수 있는 산화막 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GCIB 공정을 사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표면을 식각하는 단계는 공정의 결과물로서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표면에 나노 단위의 산화실리콘 층(3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산화실리콘 층(300)은 공정의 결과물로써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자에 불필요한 경우 제거될 수 있다.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적기계적연마,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습식식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1000)의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모듈(1000)은 인쇄회로 기판(1100) 및 복수의 반도체 패키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반도체 패키지(1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반도체 패키지(1200)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메모리 모듈(1000)은 인쇄회로 기판의 한쪽 면에만 복수의 반도체 패키지(1200)를 탑재한 SIMM (single in-lined memory module), 또는 복수의 반도체 패키지(1200)가 양면에 배열된 DIMM (dual in-lined memory modul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메모리 모듈(1000)은 외부로부터의 신호들을 복수의 반도체 패키지(1200)에 각각 제공하는 AMB (advanced memory buffer)를 갖는 FBDIMM (fully buffered DIMM)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2000)의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 카드(2000)는 제어기(2100)와 메모리(2200)가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2100)에서 명령을 내리면, 메모리(2200)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22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2200)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소자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2000)는 다양한 종류의 카드, 예를 들어 메모리 스틱 카드 (memory stick card), 스마트 미디어 카드 (smart media card: SM), 씨큐어 디지털 카드 (secure digital card: SD), 미니-씨큐어 디지털 카드 (mini-secure digital card: 미니 SD), 및 멀티미디어 카드 (multimedia card: MMC) 등과 같은 다양한 메모리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화물 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 장치(3200)는 메모리 모듈(3210)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모듈(3210)은 상술된 실시예들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모듈(3210)은 다른 형태의 반도체 기억 소자(ex, 비휘발성 기억 장치 및/또는 에스램 장치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3200)는 호스트(Host)와 상기 메모리 모듈(321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3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3220)는 메모리 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닛(3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3220)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3222)의 동작 메모리로써 사용되는 에스램(3221,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3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3223), 메모리 인터페이스(3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3223)는 메모리 장치(3200)와 호스트(Host)간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3225)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3220)와 상기 기억 장치(32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3220)는 에러 정정 블록(3224, EC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정 블록(3224)은 상기 메모리 모듈(321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 장치(3200)는 호스트(Host)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장치(ROM devic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3200)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고상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산화물 층의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4100)은 컨트롤러(4110), 입출력 장치(4120, I/O), 메모리 장치(41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4140) 및 버스(41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4110), 입출력 장치(4120), 메모리 장치(4130a) 및/또는 인터페이스(4140)는 상기 버스(4150)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버스(41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상기 컨트롤러(4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41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4130a)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장치(4130a)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개시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장치(4130a)는 다른 형태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ex,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또는 에스램 장치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4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4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4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 시스템(4100)은 상기 컨트롤러(41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메모리 소자로서, 고속의 디램 소자 및/또는 에스램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4100)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반도체 소자, 101: 벌크 기판, 110: 활성 영역, 110-2: 소자분리영역, 112: 채널 영역, 114: 소스 영역, 115: 게이트 절연막, 116: 드레인 영역, 120: 게이트 전극 물질막, 120-1: 단차1, 120-2: 단차2, 120-3: 단차3, 120-4: 단차4, 120-5: 단차5, 130: 소자분리막, 200: 희생물질막, 200-2: 희생물질막의 잔여부, 200-3: 희생물질막의 잔여부, 300: 산화실리콘 층, 1000: 메모리 모듈, 1100: 인쇄회로 기판, 1200: 반도체 패키지, 2000: 메모리 카드, 2100: 제어기, 2200: 메모리, 3200: 메모리 장치, 3210: 메모리 모듈, 3220: 메모리 컨트롤러, 3221: SRAM, 3222: 프로세싱 유닛, 3223: 호스트 인터페이스, 3224: 에러 정정 블록, 3225: 메모리 인터페이스, 4100: 전자 시스템, 4110: 컨트롤러, 4120: 입출력 장치, 4130, 4130a: 메모리 장치, 4140: 인터페이스, 4150: 버스

Claims (10)

  1. 돌출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돌출된 채널 영역 위에 단차를 갖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희생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희생 물질막을 평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희생물질막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노출된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희생물질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식각시간(Polishing Time)을 이용한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막을 평탄화하는 단계에서 상기 희생 물질막의 상부표면이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표면보다 더욱 낮은 레벨을 갖도록 상기 희생물질막을 과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건식식각 공정을 통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가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및 상기 희생물질막을 식각하여 상기 단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상기 희생물질막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식각속도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7. 돌출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돌출된 채널 영역 위에 단차를 갖는 게이트 전극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 위에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식각 선택비를 갖는 희생 물질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의 상부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희생 물질막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을 막질 선택비 없이 소정 깊이 식각하여 상기 단차를 평탄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 물질막을 식각하는 단계는 화학적기계적연마 공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 식각하는 단계에서 식각속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막과 희생 물질막 식각시 GCIB(Gas Cluster Ion Beam) 공정을 사용하고, 공정 적용시 형성되는 산화막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30099233A 2013-08-21 2013-08-21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1500218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233A KR20150021811A (ko) 2013-08-21 2013-08-21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14/445,284 US20150056795A1 (en) 2013-08-21 2014-07-29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9233A KR20150021811A (ko) 2013-08-21 2013-08-21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811A true KR20150021811A (ko) 2015-03-03

Family

ID=5248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9233A KR20150021811A (ko) 2013-08-21 2013-08-21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56795A1 (ko)
KR (1) KR201500218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0111A1 (en) * 2014-01-13 2015-07-16 Globalfoundries Inc. Planarization scheme for finfet gate height uniformity control
KR102373687B1 (ko) * 2015-05-11 2022-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761455B2 (en) 2015-12-15 2017-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terial removal process for self-aligned contacts
CN107154457B (zh) * 2016-03-03 2019-12-10 华邦电子股份有限公司 电极的制造方法及电阻式随机存取内存
US10541139B2 (en) * 2016-03-24 2020-01-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Planarization control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CN109841521B (zh) * 2017-11-24 2022-05-1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US20220352153A1 (en) * 2021-04-28 2022-11-0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infet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2064A (en) * 1988-05-12 1990-10-09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planarization of topologies in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JP2687948B2 (ja) * 1995-10-05 1997-12-0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395620B1 (en) * 1996-10-08 2002-05-2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a planar surface over low density field areas on a semiconductor wafer
US5721172A (en) * 1996-12-02 1998-02-2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lf-aligned polish stop layer hard masking method for forming planarized aperture fill layers
US6103592A (en) * 1997-05-01 2000-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Manufacturing self-aligned polysilicon fet devices isolated with maskless shallow trench isolation and gate conductor fill technology with active devices and dummy doped regions formed in mesas
US6093656A (en) * 1998-02-26 2000-07-25 Vlsi Technology, Inc. Method of minimizing dishing du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of semiconductor metals for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US6207533B1 (en) * 1999-10-08 2001-03-27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Method for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US6756643B1 (en) * 2003-06-12 2004-06-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Dual silicon layer for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lanarization
US7176092B2 (en) * 2004-04-16 2007-02-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Gate electrode for a semiconductor fin device
CN100459100C (zh) * 2006-09-30 2009-02-04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平坦化方法及顶层金属层隔离结构的形成方法
DE102008059646B4 (de) * 2008-11-28 2010-12-30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als Mehr-Gatetransistor mit Stegen mit einer Länge, die durch die Gateelektrode definiert ist und Halbleiterbauelement
CN102034831B (zh) * 2009-09-28 2012-12-1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具有环绕堆叠栅鳍式场效应晶体管存储器件及形成方法
US8334184B2 (en) * 2009-12-23 2012-12-18 Intel Corporation Polish to remove topography in sacrificial gate layer prior to gate patterning
US8497210B2 (en) * 2010-10-04 2013-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llow trench isolation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US8252689B2 (en) * 2010-11-30 2012-08-28 Institute of Microelectronic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Chemical-mechanical planarization method and method for fabricating metal gate in gate-last process
DE102011003232B4 (de) * 2011-01-27 2013-03-28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td. Liability Company & Co. KG Herstellverfahren für Metallgateelektrodenstrukturen mit großem ε, die durch ein Austauschgateverfahren auf der Grundlage einer verbesserten Ebenheit von Platzhaltermaterialien hergestellt sind
US20120196410A1 (en) * 2011-01-31 2012-08-02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abricating fin field effect transistor
US9087796B2 (en) * 2013-02-26 2015-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miconductor fabrication method using stop layer
US20150200111A1 (en) * 2014-01-13 2015-07-16 Globalfoundries Inc. Planarization scheme for finfet gate height uniformity control
US9299584B2 (en) * 2014-06-25 2016-03-29 GlobalFoundries, Inc.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s with a planarized permanent layer and methods for forming FinFET devices with a planarized permanent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6795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7997B2 (en) Semiconductor device
US9960241B2 (en) Semiconductor device for manufacturing
KR2015002181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20220115537A1 (en) Finfets having step sided contact plug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5311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9576959B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gate electro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064467B1 (ko) 핀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제조 시스템 및 방법
US982503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50084041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N104011842A (zh) 用于高鳍状物的硬掩模蚀刻停止层
KR20140088419A (ko)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US9391172B2 (en) Methods of shaping a channel region in a semiconductor fin using doping
US9530870B2 (en) Methods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CN106024870B (zh) 包括栅极接触部分的半导体器件
US20200176482A1 (en) Backside fin recess control with multi-hsi option
TWI733887B (zh) 多電壓臨限電晶體穿透製程及設計引發多功函數
KR20160042561A (ko) 수직채널 반도체 장치
WO2023028847A1 (en)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 transistor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WO2023028869A1 (en)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 transistor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873524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9508832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2070097B1 (ko) 다중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 소자 형성 방법 및 관련된 장치
WO2023028890A1 (en)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 transistor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CN108807403B (zh)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电子装置
US20140061743A1 (en)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