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759A - 수직형 통합반응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통합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759A
KR20150021759A KR20130099108A KR20130099108A KR20150021759A KR 20150021759 A KR20150021759 A KR 20150021759A KR 20130099108 A KR20130099108 A KR 20130099108A KR 20130099108 A KR20130099108 A KR 20130099108A KR 20150021759 A KR20150021759 A KR 2015002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solid absorbent
housing
reactor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1931B1 (ko
Inventor
이창근
배달희
박영철
조성호
진경태
선도원
박재현
류호정
문종호
이동호
이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6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moving adsorbents, e.g. rota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01D53/83Solid phase processes with moving re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반응기와 전처리반응기를 하나로 합쳐서 전체 높이를 줄이면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순환하여 유동화가스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통합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고체흡수제가 공급되는 고체흡수제공급관과, 고체흡수제가 배출되는 고체흡수제배출관과, 분리되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배출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유입되는 고체흡수제의 자중에 의한 낙하속도를 줄이는 하나 이상의 경사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체흡수제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보다 하부에 설치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는 열흡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직형 통합반응기{Vertical type incorporated reactor}
본 발명은 수직형 통합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반응기와 전처리반응기를 하나로 합쳐서 전체 높이를 줄이면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순환하여 냉각 또는 유동화가스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형 통합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CO2회수 공정으로는 습식법에 의한 공정이 사용되었다. 즉, CO2를 포함하는 가스를 아민류 계통의 용액을 통과시켜 CO2를 흡수하게 하고 재생탑에서 그 용액을 재생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습식법은 공정과정에 폐수가 추가로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습식법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건식법에 의한 CO2의 회수방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건식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100)는 고체흡수제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CO2를 회수하는 것으로, 배가스공급관(102)을 통해 회수반응기(102)에 공급된 CO2를 포함하는 배가스로부터 고체흡수제(건식흡수제)에 CO2를 흡착제거하고, 상기 고체흡수제는 재생반응기(108)로 유입되어 재생가스공급관(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재생가스에 의해 흡착된 CO2를 분리하고, 상기 재생반응기(110)의 후단에 연결된 전처리반응기(118)에서 고체흡수제에 전처리가스공급관(120)을 통해 전처리가스를 공급하여 다시 회수반응기(102)에 공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회수반응기(102)와 상기 재생반응기(110) 사이에는 회수싸이클론(106)이 설치되어 고체흡수제의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회수싸이클론(106)의 분리가스배출관(108)을 통해 배가스로부터 CO2가 제거된 잔여기체가 배출된다. 또, 상기 재생반응기(108)에는 재생싸이클론(114)이 설치되어 고체흡수제의 이탈을 방지하여 이산화탄소배출관(116)을 통해서는 이산화탄소 만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전처리반응기(118)의 전처리가스배출관(122)에도 싸이클론이 추가로 부착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장치(100)는 상기 재생반응기(110)와 상기 전처리반응기(118)를 별도로 설치하여 블로워를 각각 설치해야 하는 등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또, 고체흡수제의 이동이 중력에 의존하므로, 상기 회수반응기(102)의 높이는 상기 재생반응기(110)와 상기 전처리반응기(118)의 높이의 합보다 커야 하므로, 불필요하게 장치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98816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생반응기와 전처리반응기를 하나로 합쳐서 전체 높이를 줄이면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수직형 통합반응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된 이산화탄소를 냉각 또는 유동화가스로 재사용하는 것에 의해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높일 수 있는 수직형 통합반응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고체흡수제가 공급되는 고체흡수제공급관과, 고체흡수제가 배출되는 고체흡수제배출관과, 분리되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배출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유입되는 고체흡수제의 자중에 의한 낙하속도를 줄이는 하나 이상의 경사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체흡수제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보다 하부에 설치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는 열흡수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체흡수제는 수분과 함께 CO2와 화학반응을 통해 포집하는 고체흡수제에 한하며, K계열(예를 들어, K2CO2) 또는 Na계열(예를 들어, Na2CO3)의 고체흡수제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공급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열흡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흡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수분제거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공급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고체흡수제가 자중에 의해 수직형 통합반응기로부터 회수반응기에 공급되는 경우이다.
또,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유동화가스챔버가 형성돼서, 공급되는 유동화가스에 의해 상기 고체흡수제를 유동화하여 상기 고체흡수제배출관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유동화가스는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수분제거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고체흡수제가 유동화가스로써 고체흡수제를 이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에는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유동화가스챔버 또는 외부로 배출하는 양을 결정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동화가스챔버에는, 최초 시동시 부족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은, 상술한 수직형 통합반응기;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에 연결돼서 고체흡수제를 공급하는 회수싸이클론; 및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체흡수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상기 회수싸이클론으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잔존가스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를 공급하는 회수반응기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이다.
상기 회수반응기와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 사이에 고체흡수제를 조습하는 수분공급기가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배가스에 들어있는 수분만으로 부족한 경우에 추가적인 수분공급기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전체 높이를 줄이면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수직형 통합반응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설치용적을 줄일 수 있다.
또, 고체흡수제로부터 분리되는 이산화탄소를 순환하여 유동화가스 또는 냉각용 가스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통합반응기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유동화가스챔버가 생략된 수직형 통합반응기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는 기본적으로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226)과, 상기 하우징(226)의 내부에 유입되는 고체흡수제의 자중에 의한 낙하속도를 줄이는 하나 이상의 경사판(228,230.232)과, 상기 하우징(226)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체흡수제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244,246)와, 상기 하우징(226)의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244,246)보다 하부에 설치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는 열흡수부(248)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26)은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통형이다. 상기 하우징(226)의 상부측에는 고체흡수제가 공급되는 고체흡수제공급관(210)과, 분리되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배출관(238)이 형성된다. 또, 상기 하우징(226)의 하부측에는 고체흡수제가 배출되는 고체흡수제배출관(242)이 설치된다.
상기 고체흡수제로는 수분과 함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수분이 없는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의 흡수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K계열 또는 Na계열의 고체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K2CO2 또는 Na2CO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판(228,230,232)의 개수는 제한이 없으며, 상기 경사판(228,230,232)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고체흡수제의 낙하속도를 원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244,246)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매체가 흐르는 열공급관이며, 상기 고체흡수제를 재생온도까지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공급부(244,246)로 다른 열원(전기히터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플랜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열매체(열수) 등을 사용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상 바람직하다.
상기 열공급관의 열매체와 고체흡수제는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므로 열매체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마찬가지로, 상기 열흡수부(248)는 상기 하우징(226)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흡수관이며, 상기 고체흡수제를 회수반응기에서의 회수온도까지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흡수부(248)로 다른 열원(반도체냉각판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플랜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열매체(냉각수) 등을 사용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상 바람직하다.
상기 열흡수관의 열매체와 고체흡수제는 직접 접촉하는 것이 아니므로 열매체의 종류는 제한이 없다.
특히, 상기 하우징(226)의 하부에는 다공의 분배판(250)에 의해 분획되는 유동화가스챔버(236)가 형성돼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유동화가스에 의해 상기 고체흡수제를 유동화하여 상기 고체흡수제배출관(242)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유동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고체흡수제를 이동시키므로 자중 낙하방식에 비하여 상기 하우징(226)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 유동화가스에 의해 고체흡수제가 유동화되어 수평방향이동을 하는 경우 열흡수가스 또는 유동화가스와 고체흡수제의 접촉률을 높이기 위해 상기 유동화가스챔버(236)의 상측으로 안내판(234)이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유동화가스는 이산화탄소배출관(238)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피드백하거나, 외부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배출관(238)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피드백하는 경우, 이산화탄소에 포함된 수분을 수분제거기(240)에 의해 수분을 제거한 후에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는 방열을 통해 회수온도 또는 그 이하로 냉각될 수 있다.
다만, 최초 시동시에는 이산화탄소를 공급할 수 없으므로, 외부의 이산화탄소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선택하는 것이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238) 및 이산화탄소공급원과 연결되는 이산화탄소공급관(254)이 입력측으로 상기 유동화가스챔버(236)가 출력측으로 연결되는 공급전환밸브(252)이다.
또,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238)에는 상기 유동화가스챔버(236) 측으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와, 외부에서 다른 용도로 활용되도록 외부배출관(216)으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하도록, 유량조절밸브(214)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유량조절밸브(214)와 상기 공급전환밸브(252)는 연결관(218)으로 이어진다. 상기 수분제거기(240)는 상기 연결관(218) 또는 이산화탄소주입관(22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주입관(222)에는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에 압력을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220)가 배치될 수 있다.
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통합반응기(225)에서 유동화 이동이 아닌 자중에 의해 고체흡수제가 낙하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유동화가스챔버(236) 및 분배판(250)이 생략되고, 상기 이산화탄소주입관(222)이 직접 하우징(227)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열흡수부(248)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이산화탄소주입관(222)이 설치되는 것이 고체흡수제와 접촉시간을 늘릴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통합반응기(224)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200)의 구성과 작동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장치(200)는, 상술한 수직형 통합반응기(224)와,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에 연결돼서 고체흡수제를 공급하는 회수싸이클론(208)과,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로부터 공급되는 고체흡수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으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잔존가스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를 공급하는 회수반응기(202)를 포함한다.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238)에는 재생싸이클론(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재생싸이클론의 기체배출부는 상기 유량조절밸브(214)와 연결되고, 고체배출부는 상기 하우징(226)에 연결되어 고체흡수제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수반응기(202)는 유동화 방식의 반응기로써, 공지의 유동화 반응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적어도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의 길이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수반응기(202)의 배가스공급관(204)으로는 이산화탄소가 포함되는 배가스가 공급된다.
또, 회수반응기배출관(206)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은 공지의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을 통해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잔존가스는 잔존가스배출관(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에는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가 연결되어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에 의해 분리되는 고체흡수제는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반응기(202)와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를 연결하는 고체흡수제배출관(242)에는 회수반응에 필요한 수분을 추가적으로 공급하는 수분공급기(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기는 상기 고체흡수제배출관(242) 내부에 설치되거나 벽체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고체흡수제에 수분을 분무형태로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이 형성된 수분공급관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공급관은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된다. 또는 상기 수분공급관은 스팀공급원(미도시)에 연결되어 스팀을 직접 고체흡수제에 분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200)에 배가스가 배가스주입관(204)으로 공급되면, 상기 회수반응기(202) 내에서 고체흡수제와 함께 유동화되면서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회수싸이클론(208)에서 분리된 이산화산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는 고체흡수제공급관(210)을 통해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224)에 공급되어 상기 경사판(228,230,232)을 타고 하측으로 자중에 의해 내려간다. 이 때, 상기 열공급부(244,246)에 의해 고체흡수제가 재생되면서 이산화탄소는 상측으로 배출되고, 재생반응을 위해 가열된 고체흡수제가 하측으로 계속 이동한다. 또, 상기 회수싸이클론(208)에서 분리된 잔존가스는 잔존가스배출관(23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고체흡수제는 열흡수부(248)에 의해 냉각되면서 상기 회수반응기(202)로 복귀한다. 이 때, 상기 유동화챔버(236)로 공급되는 유동화가스에 의해 고체흡수제가 유동화되어 수평이동하게 된다. 다만, 도 3과 같이 유동화챔버(236)가 없는 수직형 통합반응기(225)를 가지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201)에서는 자중에 의해 고체흡수제가 상기 회수반응기(202)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238)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유량조절밸브(214), 수분제거기(240), 공급전환밸브(252), 및 블로워(220)를 거쳐 상기 유동화챔버(236)로 공급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 및 유동화시키면서 고체흡수제배출관(242)을 통해 회수반응기(202)로 피드백시킨다. 상기 이산화탄소 포집장치(201)의 수직형 통합반응기(225)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상기 하우징(227)의 하부로 공급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고, 냉각된 고체흡수제가 고체흡수제배출관(242)을 통해 상기 회수반응기(202)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200,201: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102,202: 회수반응기
104,204: 배가스공급관 106,208: 회수싸이클론
108: 분리가스배출관 110: 재생반응기
112: 재생가스공급관 114: 재생싸이클론
116,238: 이산화탄소배출관 118: 전처리반응기
120: 전처리가스공급관 122: 전처리가스배출관
206: 회수반응기배출관 210: 고체흡수제공급관
212: 잔존가스배출관 214: 유량조절밸브
216: 외부배출관 218: 연결관
220: 블로워 222: 유동화가스주입관
224,225: 수직형 통합반응기 226,227: 하우징
228,230,232: 경사판 234: 안내판
236: 유동화가스챔버 238: 이산화탄소배출관
240: 수분제거기 242: 고체흡수제배출관
244,246: 열공급부 248: 열흡수부
250: 분배판 252: 공급전환밸브
254: 이산화탄소공급관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고체흡수제가 공급되는 고체흡수제공급관과, 고체흡수제가 배출되는 고체흡수제배출관과, 분리되는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배출관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유입되는 고체흡수제의 자중에 의한 낙하속도를 줄이는 하나 이상의 경사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체흡수제에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열공급부보다 하부에 설치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는 열흡수부를 포함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공급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공급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흡수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는 열흡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수분제거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공급되어 고체흡수제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유동화가스챔버가 형성돼서, 공급되는 유동화가스에 의해 상기 고체흡수제를 유동화하여 상기 고체흡수제배출관으로 배출시키며, 상기 유동화가스는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수분제거기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배출관에는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상기 하우징의 하부 또는 상기 유동화가스챔버로 공급하는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가스챔버에는, 최초 시동시 부족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이산화탄소공급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통합반응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직형 통합반응기;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에 연결돼서 고체흡수제를 공급하는 회수싸이클론; 및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체흡수제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배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상기 회수싸이클론으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잔존가스와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고체흡수제를 공급하는 회수반응기를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반응기와 상기 수직형 통합반응기 사이에 고체흡수제를 조습하는 수분공급기가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20130099108A 2013-08-21 2013-08-21 수직형 통합반응기 KR101501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08A KR101501931B1 (ko) 2013-08-21 2013-08-21 수직형 통합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08A KR101501931B1 (ko) 2013-08-21 2013-08-21 수직형 통합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759A true KR20150021759A (ko) 2015-03-03
KR101501931B1 KR101501931B1 (ko) 2015-03-24

Family

ID=5302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08A KR101501931B1 (ko) 2013-08-21 2013-08-21 수직형 통합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535A (ko) * 2018-12-05 2020-06-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수탑과 탈거탑이 하나의 탑으로 구성된 가스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포집방법
KR20200093112A (ko) * 2019-01-25 2020-08-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고체 열교환기 및 그 열교환기를 이용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20220026290A (ko) * 2020-08-25 2022-03-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경사형 히터판을 갖는 재생반응기, 그 재생반응기를 갖는 이동층 반응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WO2024045696A1 (zh) * 2022-08-27 2024-03-07 领航国创(北京)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工业烟气二氧化碳捕集转化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7184B2 (ja) 2005-03-29 2011-05-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酸性ガスを含む混合ガスの精製方法及びその装置
JP5694137B2 (ja) 2011-01-05 2015-04-01 株式会社東芝 二酸化炭素分離回収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36778B1 (ko) * 2011-12-12 2013-12-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535A (ko) * 2018-12-05 2020-06-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흡수탑과 탈거탑이 하나의 탑으로 구성된 가스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 포집방법
KR20200093112A (ko) * 2019-01-25 2020-08-0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고체 열교환기 및 그 열교환기를 이용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20220026290A (ko) * 2020-08-25 2022-03-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경사형 히터판을 갖는 재생반응기, 그 재생반응기를 갖는 이동층 반응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WO2024045696A1 (zh) * 2022-08-27 2024-03-07 领航国创(北京)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工业烟气二氧化碳捕集转化方法及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31B1 (ko)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551B1 (ko) 다단 공급형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US8303696B2 (en) Carbon dioxide absorber and regeneration assemblies useful for power plant flue gas
CN1041016C (zh) 流化床反应器系统
KR100898816B1 (ko) 수증기 전처리기를 포함한 co2 분리회수장치
KR101336778B1 (ko) 다종의 고체입자를 이용하는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1501931B1 (ko) 수직형 통합반응기
JP5550618B2 (ja) 乾式二酸化炭素捕集装置
JP4755250B2 (ja) 複合乾燥機並びに複合乾燥機付きのウェット汚泥の焼却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KR20130039185A (ko) 에너지효율이 향상된 건식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WO2015111454A1 (ja) Co2回収装置及びco2回収方法
KR101645975B1 (ko) 에너지 소비가 최적화된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20120020810A (ko) 고체입자 저장탱크를 구비한 다관형 순환유동층 열교환기의 자체 청소방법 및 그 자체 청소형 다관형 순환유동층 열교환기
KR101466671B1 (ko) 유동가스의 제습이 가능한 유동층 건조장치
KR101746224B1 (ko) 3단 유동층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 및 재생장치
KR101646125B1 (ko) 가스 포집 플랜트
WO2015146834A1 (ja) Co2回収装置及びco2回収方法
KR101354479B1 (ko) 유속변화가 가능한 유동층 반응기
CN212790306U (zh) 低密度高泡型粉剂表面活性剂尾气湿法吸收消泡装置
KR101480056B1 (ko) 폐쇄형 이산화탄소 포집장치
KR102407543B1 (ko) 경사형 히터판을 갖는 재생반응기, 그 재생반응기를 갖는 이동층 반응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1397609B1 (ko) 고체입자용 유동층 재생반응기
KR101460289B1 (ko) 입자건조가 가능한 이산화탄소 포집시스템
KR101354482B1 (ko) 고체흡수제의 장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동층 재생반응기
KR20130120159A (ko) 고체흡수제 역류방지가 가능한 재생반응기
JP2024073211A (ja) 二酸化炭素回収装置及び二酸化炭素回収装置の運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