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957A - 광전모듈 - Google Patents

광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957A
KR20150020957A KR20130098139A KR20130098139A KR20150020957A KR 20150020957 A KR20150020957 A KR 20150020957A KR 20130098139 A KR20130098139 A KR 20130098139A KR 20130098139 A KR20130098139 A KR 20130098139A KR 20150020957 A KR20150020957 A KR 20150020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electric elements
photoelectric
receiving
receiving groov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래
이승희
정찬윤
문준호
이동준
김명환
전훈하
정중건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8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957A/ko
Priority to US14/315,646 priority patent/US20150047691A1/en
Priority to EP14180709.9A priority patent/EP2840615A1/en
Publication of KR20150020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6Electrical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al 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two or more PV modules, e.g. electrical module-to-module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광전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광전모듈은, 제1, 제2 광전소자들 및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접속용 지지부재는,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1, 제2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 및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순화된 모듈화 구조를 통하여 다수의 광전소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결속시키는 광전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광전모듈{Photoelectric module}
본 발명은 광전모듈에 관한 것으로, 둘 이상 다수의 광전소자를 포함하는 광전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와 지구 환경 문제 등으로 인하여, 클린 에너지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클린(clean) 에너지로서, 태양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기 때문에, 새로운 에너지의 원천으로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태양광을 입력으로 하여 전기적인 출력을 생성하는 광전모듈은 요구되는 전기적 출력에 따라, 다수의 광전소자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모듈화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다수의 광전소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정션 박스(junction box)를 이용하고 있다. 즉, 각 광전소자의 기판을 천공하여 배선을 인출해내고 기판의 배면에 정션 박스를 설치한 후, 서로 다른 광전소자의 정션 박스로부터 인출된 리드 선들을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서로 다른 광전소자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각 광전소자의 기판에 대한 천공 작업이 요구되며, 각 광전소자의 배면에 정션 박스를 설치해야 하는 등, 접속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단순화된 모듈화 구조를 통하여 다수의 광전소자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시에 구조적으로 결속시키는 광전모듈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 및 그 밖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전모듈은,
제1, 제2 광전소자들; 및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1, 제2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 및
상기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는 상기 버스 배선이 인출되는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코어는 각각의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코어는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마주하는 일 변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는 상판 및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판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몰딩은,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의 상판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상판 덮개부;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의 하판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하판 덮개부; 및
상기 상판 덮개부와 하판 덮개부 사이에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 사이의 연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인접한 일 코너부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몰딩은,
상기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하여 도전성 코어와 나란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분기된 것으로,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 사이를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와 나란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부분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 몰딩은 전체적으로 "T"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를 연결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버스 배선은 상기 수용 홈부의 측판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는,
서로 마주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배선은 상기 제1, 제2 기판의 사이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 내에서, 상기 버스 배선은 상기 제1, 제2 기판 사이로부터 제1 기판의 일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어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2 기판 사이로부터 제2 기판의 일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어 상기 제2 기판의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 몰딩은 상기 수용 홈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 몰딩의 외면에는 상기 절연 몰딩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성 외피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 내에는 절연성 충진재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성 충진재는 상기 수용 홈부와 버스 배선 간의 접촉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전모듈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제1, 제2 광전소자 간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전모듈은,
제1, 제2 광전소자들; 및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과 적어도 2 면에서 도전성 접촉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과 접촉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판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은, 상기 측판과 상판, 또는 상기 측판과 하판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코어는 각각 제1, 제1 광전소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마주하는 일 변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인접한 일 코너부분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에서는, 서로 다른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며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속용 지지부재를 통하여 전기 접속을 형성한다. 따라서, 종래 각 광전소자의 기판에 대한 천공이나 각 광전소자의 배면에 정션 박스(junction box)를 설치하는 등의 복잡한 접속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속용 지지부재의 수용 홈부에 서로 다른 광전소자를 밀어넣어 접속시키는 단순한 방식으로 광전소자의 접속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속용 지지부재를 통하여 광전소자들을 구조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지지구조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광전소자들과 광전소자들을 바닥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 간의 체결을 매개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일부에 대한 확대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5에 도시된 접속용 지지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5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는 도 5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광전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의 다른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도 3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는 도 8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광전모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일부에 대한 확대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는 도 2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모듈은 둘 이상 다수의 광전소자(C1,C2)와, 상기 광전소자(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광전소자(C1,C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전 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전소자(C1,C2)는 다수의 광전 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광전 셀들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될 수 있으며, 직렬 또는 병렬 접속이 혼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전소자(C1,C2)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 제1, 제2 기판(11,12)과 상기 기판(11,12)들 사이에 형성된 광 흡수층(미도시)과, 상기 광 흡수층(미도시)으로부터 생성된 광 생성 캐리어를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버스 배선(15)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들 사이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기판(11,12)들 사이에는 다수의 광전 셀(미도시)들이 배열될 수 있고, 서로 이웃한 광전 셀들끼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광전 셀과 연결되지 않은 일단의 광전 셀과 타단의 광전 셀로부터 버스 배선(15)이 인출될 수 있으며, 이렇게 인출된 버스 배선(15)의 쌍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C1,C2)는 사각 형상의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장변부와 한 쌍의 단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 배선(15)은 광전소자의 일 변부(L)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일 변부(L)란 장변부 또는 단변부 일 수 있다.
상기 버스 배선(15)은 유연성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본, 도전성 테이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1 기판(11)의 모서리 또는 제2 기판(12)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유연하게 휨 변형될 수 있으며, 제1 기판(11)의 상면이나 제2 기판(12)의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배선(15)은 접속용 지지부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속용 지지부재(100)와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광전소자(C1,C2)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전소자(C1,C2)들은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들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15)들을 수용하며 제1, 제2 광전소자(C1,C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버스 배선(15)이 인출되는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제1 광전소자(C1)와 제2 광전소자(C2)의 일 변부(L)를 수용하며, 제1 광전소자(C1)로부터 인출된 제1 버스 배선(15)과, 제2 광전소자(C2)로부터 인출된 제2 버스 배선(15)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광전소자(C1,C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115)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110)와, 상기 도전성 코어(11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15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115)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수용하기 위하여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홈부(115)의 쌍에 수용된 제1, 제2 광전소자(C1,C2)들은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결속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도 2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홈부(115)의 쌍은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서로 반대편에서 반대방향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코어(110)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기능을 갖는다. 상기 도전성 코어(110)는 수용 홈부(115)에 끼워 조립되는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과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코어(110)는 수용 홈부(115)와, 상기 수용 홈부(115)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115)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판(111)과 하판(112), 그리고 상판(111)과 하판(112)을 연결해주는 측판(113)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8)는 상기 수용 홈부(115)들 사이를 연결하는 평편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코어(110)는 버스 배선(15)이 인출되는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덮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코어(110)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성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성의 금속 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몰딩(150)은 상기 도전성 코어(110)를 절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 몰딩(150)은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115)의 상판(111)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상판 덮개부(151)와,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115)의 하판(112)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하판 덮개부(152)와, 상기 상판 덮개부(151)와 하판 덮개부(152) 사이에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115)들 사이의 연결부(118)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블록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 덮개부(151) 및 하판 덮개부(152)는 수용 홈부(115)의 상판(111) 및 하판(112)을 덮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부(155)는 수용 홈부(115)들 사이의 연결부(118)를 절연시킬 수 있다.
상기 상판 덮개부(151) 및 하판 덮개부(152)와 블록부(155)는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포함하는 절연 몰딩(150)은 절연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몰딩(150)은 도전성 코어(110)를 커버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되, 수용 홈부(115)의 내측 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수용 홈부(115)에 끼워 조립된 광전소자(C1,C2, 버스 배선 15)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코어(110)와 절연 몰딩(15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도전성 코어(110)는 성형된 절연 몰딩(150)의 내측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와, 광전소자(C1,C2)들 간의 조립에 대해 설명하면,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접속용 지지부재(100)에 대해 마주하는 방향으로 조립하며,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수용 홈부(115)의 쌍에 대해 조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 배선(15)을 선두로 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수용 홈부(115) 내로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수용 홈부(115) 내면에 의해 버스 배선(15)의 휨 변형이 유도되면서 수용 홈부(115)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수용 홈부(115) 내에서, 상기 제1 광전소자(C1)의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1 기판(11)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며 제1 기판(11)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광전소자(C2)의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들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2 기판(12)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며 제2 기판(12)의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수용 홈부(115)와 적어도 일 면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수용 홈부(115)의 측판(113)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은 서로 다른 수용 홈부(115)와 접촉되고, 이들 서로 다른 수용 홈부(115)에 접촉된 버스 배선(15)은 연결부(118)를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통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외면에는 절연성 외피(1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외피(160)는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외면에 형성되어 온도 변화, 습도와 같은 유해 환경으로부터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내부, 예를 들어, 절연 몰딩(150)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성 외피(160)는 절연 몰딩(15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된 절연 몰딩(150)의 외면 전부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외피(160)는 절연 몰딩(150)보다 내습성이 강한 절연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115)는 접속용 지지부재(100)와 광전소자(C1,C2) 간의 접속 개소를 제공하며, 접속용 지지부재(100)와 광전소자(C1,C2) 간의 접속부분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홈부(115) 내에는 절연성 충진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충진재(50)는 수용 홈부(115)와 광전소자(C1,C2) 간의 접속부분을 보호하며 외부환경으로부터 절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 홈부(115) 내에 삽입되는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에 유동성을 갖는 절연성 충진재(50)를 배치하고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수용 홈부(115) 내로 밀어넣으면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와 함께 절연성 충진재(50)가 수용 홈부(115) 내에 채워지면서 접속부분이 절연성 충진재(5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필요에 따라 접속 개소를 밀봉하는 절연성 충진재(50)를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성 충진재(50)가 수용 홈부(115) 내를 채운다고 할 때, 상기 절연성 충진재(50)는 수용 홈부(115) 내를 전부 채울 수도 있으나, 수용 홈부(115)의 일부, 그러니까, 수용 홈부(115)와 광전소자(C1,C2)의 접속부분을 밀봉하기에 충분한 한도에서 수용 홈부(115)의 일부만을 채울 수도 있다. 상기 절연성 충진재(50)는 적정의 유동성을 갖는 절연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은 두 개의 광전소자(C1,C2)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은 셋 이상 다수의 광전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광전모듈은 제1 내지 제3 광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광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제1 접속용 지지부재와, 제2 및 제3 광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제2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 광전소자는 제1, 제2 접속용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일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모듈은 제1, 제2 광전소자(C1,C2)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구조적으로 결속하여 모듈화하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200)는, 도전성 코어(210)와 상기 도전성 코어(210)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 몰딩(15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전성 코어(210)는 다수의 배선(21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전성 코어(210)는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분할된 다수의 배선(210a)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선(210a)들의 개수, 간격 및 폭 등은 제1, 제2 광전소자(C1,C2) 간의 전기 저항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코어(210)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215)와 수용 홈부(215)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기 위한 연결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접속용 지지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5의 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광전소자(C1,C2)와, 상기 광전소자(C1,C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구조적으로 결속하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C1,C2)는 서로 마주하게 결합된 제1, 제2 기판(11,12)과, 상기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이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광전소자(C1,C2)의 좌측 코너부분(CN)과 우측 코너부분(CN)을 통하여 인출되는 버스 배선(15)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전소자(C1)의 우측 코너부분(CN)과 제2 광전소자(C2)의 좌측 코너부분(CN)을 수용하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는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315)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310)와, 상기 도전성 코어(31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는 전체적으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략 "T"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315)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수용하도록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홈부(315)의 쌍에 수용된 제1, 제2 광전소자(C1,C2)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결속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홈부(315)의 쌍은 접속용 지지부재(300)의 서로 같은 편에서 같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서로 같은 방향으로 조립되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코어(310)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성 코어(310)는 광전소자(C1,C2)가 끼워 조립되는 수용 홈부(315)와, 상기 수용 홈부(315)들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315)는 도전성 코어(310)가 연장되는 제1 방향(Z1)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side-by-side) 배치되며, 상기 수용 홈부(315)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18)도 상기 제1 방향(Z1)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315)는 상판(311)과 하판(312), 그리고 상판(311)과 하판(312)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판(313)을 포함하는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315)는 수용 홈부(315)에 끼워지는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과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용 홈부(315)의 측판(313)에서 버스 배선(15)과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8)는 상기 수용 홈부(315)들 사이를 연결하는 평편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코어(310)는 버스 배선(15)이 인출되는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덮기에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코어(310)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성의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성의 금속 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몰딩(350)은 상기 도전성 코어(310)를 절연시키는 기능과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 사이를 상호 절연시키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 몰딩(350)은 상기 도전성 코어(310)를 절연시키기 위하여 도전성 코어(310)와 나란한 제1 방향(Z1)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351)과, 상기 제1 부분(351)으로부터 분기되며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상호 절연시키기 위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와 나란한 제2 방향(Z2)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분(351)이 연장되는 제1 방향(Z1)과, 제2 부분(352)이 연장되는 제2 방향(Z2)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몰딩(350)은 전체적으로 대략 "T"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 몰딩(350)의 제1, 제2 부분(351,352)은 일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절연 몰딩(350)의 제1 부분(351)은 도전성 코어(310)를 커버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되, 수용 홈부(315)의 내측 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수용 홈부(315)에 끼워 조립된 광전소자(C1,C2)와의 전기적인 접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부분(351)은 수용 홈부(315)의 상하부를 커버하는 상판 덮개부(351a)와 하판 덮개부(35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몰딩(350)은 절연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성 코어(310)와 절연 몰딩(35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와 광전소자(C1,C2)들 간의 조립에 대해 설명하면,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접속용 지지부재(300)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조립하며, 접속용 지지부재(300)의 수용 홈부(315)의 쌍에 대해 조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스 배선(15)을 선두로 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접속용 지지부재(300)의 수용 홈부(315) 내로 삽입하면, 자연스럽게 수용 홈부(315) 내면에 의해 버스 배선(15)의 휨 변형이 유도되면서 수용 홈부(315)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1 기판(11)의 코너부분을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며, 제1 기판(11)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수용 홈부(315)와 적어도 일 면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수용 홈부(315)의 측판(313)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의 외면에는 절연성 외피(36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외피(360)는 접속용 지지부재(300)의 외면에 형성되어 온도 변화, 습도와 같은 유해 환경으로부터 접속용 지지부재의 내부, 예를 들어, 절연 몰딩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수용 홈부(315) 내에는 절연성 충진재(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충진재(50)는 수용 홈부(315)와 광전소자(C1,C2) 간의 접속부분을 보호하며 외부환경으로부터 절연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광전소자(C1)의 우측 편으로 인출된 버스 배선(15)과, 제2 광전소자(C2)의 좌측 편으로 인출된 버스 배선(15)은, 서로 반대 극성을 가질 수 있고, 이들이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제2 광전소자(C1,C2)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우측 편 버스 배선(15)이 각각 양극을 갖고,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좌측 편 버스 배선(15)이 각각 음극을 갖는다고 할 때, 서로 이웃한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우측 및 좌측 편의 버스 배선(15)은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직렬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광전모듈은 두 개의 광전소자를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광전모듈은 셋 이상 다수의 광전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광전모듈은 제1 내지 제3 광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광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제1 접속용 지지부재와, 제2 및 제3 광전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제2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제3 광전소자가 나란하게(side-by-side) 배열된다고 할 때, 상기 제1 접속용 지지부재는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인접한 코너부분을 수용하며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제2 접속용 지지부재는 제2, 제3 광전소자의 서로 인접한 코너부분을 수용하며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광전소자(C1,C2)와, 상기 광전소자(C1,C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구조적으로 결속시켜 모듈화하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는 나란하게(side-by-side) 배치된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수용하며, 제1, 제2 광전소자(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는 좌측 편과 우측 편으로 인출되는 버스 배선(13)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3)은 해당 광전소자(C1,C2)의 중앙위치에 가까운 위치로 인출된다. 그리고,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수용하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5의 실시형태와 비교할 때,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 버스 배선 13)와 접속용 지지부재(300) 간의 접속 위치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3)과 접속용 지지부재(300) 간의 접속 위치는 서로에 대해 제2 거리(d2) 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거리(d2)는, 도 5에서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과 접속용 지지부재(300) 간의 접속 위치가 서로에 대해 이격된 제1 거리(L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사실상 동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전소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는 버스 배선(13)의 인출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기판(11,12) 내부에 형성된 리드 배선(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스 배선(13)의 인출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버스 배선(13)과 접속용 지지부재(300) 간의 접속 위치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배선(13)과 접속용 지지부재(300) 간의 접속부분을 주변으로부터 절연 및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접속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광전모듈의 다른 측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광전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광전소자(C1,C2,C3)들과, 상기 광전소자(C1,C2,C3)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편으로 광전소자(C1,C2,C3)들을 구조적으로 결속하여 모듈화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전모듈은 광전소자(C1,C2,C3)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게 지지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C1,C2,C3)는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통하여 장착 프레임(5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와 장착 프레임(500)은 기계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볼트 부재(510)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장착 프레임(500) 상에 형성된 문턱 구조(미도시)에 기대어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장착 프레임(500) 상의 문턱 구조(미도시)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둘 이상 다수의 광전소자(C1,C2,C3)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한편으로 구조적으로 결속시킴으로써 다수의 광전소자(C1,C2,C3)들을 모듈화시킬 수 있으며, 광전소자(C1,C2,C3)와 장착 프레임(500) 간의 결합을 매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하나는, 서로 이웃한 제1 광전소자(C1)와 제2 광전소자(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의 다른 하나는, 서로 이웃한 제1 광전소자(C1)와 제3 광전소자(C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도 12에는 도 3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모듈은 둘 이상 다수의 광전소자(C1,C2)와, 상기 광전소자(C1,C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100)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버스 배선(15)이 인출되는 광전소자(C1,C2)의 일 변부(L)를 수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제1 광전소자(C1)와 제2 광전소자(C2)의 일 변부(L)를 수용하며, 제1 광전소자(C1)로부터 인출된 제1 버스 배선(15)과, 제2 광전소자(C2)로부터 인출된 제2 버스 배선(15)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100)는 광전소자(C1,C2)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115)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110)와, 상기 도전성 코어(11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115) 내에서, 상기 제1 광전소자(C1)의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1 기판(11)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며 제1 기판(11)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광전소자(C2)의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들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2 기판(12)의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며 제2 기판(12)의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기 버스 배선(15)은 수용 홈부(115)와 적어도 2 면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수용 홈부(115)의 측판(113)과, 상판(111) 또는 하판(112)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수용 홈부(115) 내에 끼워 조립되는 과정에서 휨 변형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용 홈부(115)의 2 면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수용 홈부(115)의 2 면에 대해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버스 배선(15)이 접속용 지지부재(100), 그러니까, 수용 홈부(115)의 적어도 2 면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버스 배선(15)과 접속용 지지부재(100) 간의 전기 저항이 감소하게 되고, 전체 광전모듈의 광기전력이 출력되는 양 출력단자 간의 저항 감소로 인하여 광전모듈의 출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3에는 도 8에 도시된 광전모듈의 변형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광전모듈은 적어도 둘 이상의 광전소자(C1,C2)와, 상기 광전소자(C1,C2)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구조적으로 결속하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전소자(C1,C2)는 서로 마주하게 결합된 제1, 제2 기판(11,12)과, 상기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 인출된 버스 배선(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이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C1,C2)가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광전소자(C1,C2)의 좌측 코너부분(CN)과 우측 코너부분(CN)을 통하여 인출되는 버스 배선(15)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광전소자(C1)의 우측 코너부분(CN)과 제2 광전소자(C2)의 좌측 코너부분(CN)을 수용하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300)는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315)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310)와, 상기 도전성 코어(310)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부(315)는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일 코너부분(CN)을 수용하도록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홈부(315)의 쌍에 수용된 제1, 제2 광전소자(C1,C2)는 접속용 지지부재(30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구조적으로 결속되어 모듈화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제1, 제2 광전소자(C1,C2)의 버스 배선(15)은, 제1, 제2 기판(11,12) 사이로부터 인출되어 제1 기판(11)의 코너부분을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며, 제1 기판(11)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버스 배선(15)은 접속용 지지부재(300), 그러니까, 수용 홈부(315)와 적어도 2 면에서 접촉할 수 있으며, 수용 홈부(315)의 측판(313)과 상판(311) 또는 하판(312)에서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스 배선(15)은 수용 홈부(315) 내에 끼워 조립되는 과정에서 휨 변형되면서 자연스럽게 수용 홈부(315)의 2 면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수용 홈부(315)의 2 면에 대해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버스 배선(15)이 접속용 지지부재(300), 그러니까, 수용 홈부(315)의 적어도 2 면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버스 배선(15)과 접속용 지지부재(300) 간의 전기 저항이 감소하게 되고, 전체 광전모듈의 광기전력이 출력되는 양 출력단자 간의 저항 감소로 인하여 광전모듈의 출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버스 배선(15)의 고정에 대해, 테이프(미도시) 등과 같은 점착성 부재를 이용하거나, 용접, 초음파 납땜과 같은 고정방식을 통하여 광전소자(C1,C2)에 버스 배선(15)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전소자(C1,C2)에는 전극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극층 상에, 테이프, 용접, 초음파 납땜 등을 이용하여 버스 배선(15)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층과 버스 배선(15)은 도전성 접촉을 형성할 수 있고, 테이프로서는 도전성 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제1 기판 12: 제2 기판
13,15: 버스 배선 50: 절연성 충진재
100,200,300: 접속용 지지부재
110,210,310: 도전성 코어
111,311: 도전성 코어의 상판 112,312: 도전성 코어의 하판
113,313: 도전성 코어의 측판
115,215,315: 도전성 코어의 수용 홈부
118,218,318: 도전성 코어의 연결부 150,350: 절연 몰딩
151,351a: 상판 덮개부 152,351b: 하판 덮개부
155: 블록부 160: 절연성 외피
351: 절연 몰딩의 제1 부분 352: 절연 몰딩의 제2 부분
500: 장착 프레임 510: 볼트 부재
C1,C2,C3 : 광전소자 L: 광전소자의 변부
CN: 광전소자의 코너부분

Claims (30)

  1. 제1, 제2 광전소자들; 및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도록 제1, 제2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 및
    상기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부는 상기 버스 배선이 인출되는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코어는 각각의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코어는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마주하는 일 변부를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부는 상판 및 하판과, 상판과 하판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판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몰딩은,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의 상판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상판 덮개부;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의 하판을 함께 덮도록 형성되는 하판 덮개부; 및
    상기 상판 덮개부와 하판 덮개부 사이에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 사이의 연결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블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인접한 일 코너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몰딩은,
    상기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하여 도전성 코어와 나란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서 분기된 것으로,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 사이를 절연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와 나란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부분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연 몰딩은 전체적으로 "T"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부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 및 하판 사이를 연결하는 측판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버스 배선은 상기 수용 홈부의 측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는,
    서로 마주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버스 배선은 상기 제1, 제2 기판의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부 내에서, 상기 버스 배선은 상기 제1, 제2 기판 사이로부터 제1 기판의 일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어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제2 기판 사이로부터 제2 기판의 일 모서리를 둘러싸도록 휨 변형되어 상기 제2 기판의 하면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몰딩은 상기 수용 홈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 몰딩의 외면에는 상기 절연 몰딩을 보호하기 위한 절연성 외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부 내에는 절연성 충진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충진재는 상기 수용 홈부와 버스 배선 간의 접촉부분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를 바닥면으로부터 상방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장착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장착 프레임과 제1, 제2 광전소자 간의 결합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1. 제1, 제2 광전소자들; 및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구조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접속용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각 버스 배선과 적어도 2 면에서 도전성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버스 배선과 접촉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용 지지부재는 상기 도전성 코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 몰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부는,
    상판 및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연결해주는 측판을 포함하는 굴절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로부터 인출된 각 버스 배선은, 상기 측판과 상판, 또는 상기 측판과 하판과 전기적인 접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코어는 각각 제1, 제1 광전소자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부의 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마주하는 일 변부를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서로 같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루는 수용 홈부들은 상기 제1, 제2 광전소자의 서로 인접한 일 코너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모듈.
KR20130098139A 2013-08-19 2013-08-19 광전모듈 KR20150020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139A KR20150020957A (ko) 2013-08-19 2013-08-19 광전모듈
US14/315,646 US20150047691A1 (en) 2013-08-19 2014-06-26 Photoelectric module
EP14180709.9A EP2840615A1 (en) 2013-08-19 2014-08-12 Photoelectric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139A KR20150020957A (ko) 2013-08-19 2013-08-19 광전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57A true KR20150020957A (ko) 2015-02-27

Family

ID=5130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139A KR20150020957A (ko) 2013-08-19 2013-08-19 광전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047691A1 (ko)
EP (1) EP2840615A1 (ko)
KR (1) KR20150020957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93051A3 (de) * 1998-08-25 2001-02-07 Hermann Dipl.-Ing. Sturm Solargenerator mit reihenweise auf einem Traggestell befestigten Solarzellen
DE10054349A1 (de) * 2000-11-02 2002-05-08 Hermann Sturm Anordnung zur Aufständerung von Solarzellenmodulen sowie zur elektrischen Verbindung derselben
WO2004017424A2 (de) * 2002-07-26 2004-02-26 W.B.T.-S.A. World Business Technology Befestigungseinrichtung für photovoltaikmodule
DE102009022731A1 (de) * 2009-05-26 2010-12-02 Robert Bosch Gmbh Photovoltaische Anlage aus Dünnschichtsolarmodulen
DE102010023217A1 (de) * 2010-06-09 2011-12-15 Schletter Gmbh Anordnung eines PV-Generators
US8701372B2 (en) * 2011-12-02 2014-04-22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lip fastener for photovoltaic system
FR2984025B1 (fr) * 2011-12-12 2014-09-12 Davy Huguet Systeme de liaison equipotentielle pour pannea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0615A1 (en) 2015-02-25
US20150047691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7451B1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conductor to a solar module
US7723609B2 (en) Terminal box for solar battery module
US7920385B2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US7906721B2 (en) Solar cell module connector
WO200911639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20100275976A1 (en) Photovoltaic module with edge access to pv strings, interconnec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4279333B2 (ja) 太陽電池用端子箱、及び取付構造
CN107820652B (zh) 太阳能接线盒
KR101063717B1 (ko) 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US20120174958A1 (en) Solar cell apparatus
KR101883757B1 (ko)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 모듈
US10236823B2 (en) Solar battery module
KR101055013B1 (ko) 태양전지 모듈
US20150038005A1 (en) Junction box and photovoltaic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349445B1 (ko) 태양광 발전장치
CN107810598B (zh) 用于太阳能接线盒的电缆端接
EP3401961B1 (en) Solar junction box
KR20150020957A (ko) 광전모듈
US20150171246A1 (en) Solar cell module
US10193492B2 (en) Solar Cell Module
KR101975577B1 (ko) 양면 수광형 태양 전지 모듈
JPH1025658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間配線構造
KR20240057113A (ko) 태양광 모듈 정션박스
CN111418150A (zh) 太阳能接线盒
KR101382722B1 (ko) 태양광 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