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934A -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934A
KR20150020934A KR20130098100A KR20130098100A KR20150020934A KR 20150020934 A KR20150020934 A KR 20150020934A KR 20130098100 A KR20130098100 A KR 20130098100A KR 20130098100 A KR20130098100 A KR 20130098100A KR 20150020934 A KR20150020934 A KR 20150020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rane
steel plate
steel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934A/ko
Publication of KR2015002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50Applications of limit circuits or of limit-switch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은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상기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은 강판을 적재하여 상기 강판을 이동시키는 상기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크레인의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동에 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판에 대한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METHOD OF MANAGEMENTING POSITION INFORMATION OF STEEL PLATE}
본 발명은 강재 적치 정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판 자체의 이동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또는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크레인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강판의 이동 정보(권상 또는 권하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및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적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건조하는 조선소에서 강재 하역장에 들어온 강재들은 트레일러에 의해 하역되고, 작업자는 각 베이(BAY)별 적치장 상황, 일일 작업량 등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적치장 내 베이를 정한 후, 각 구별된 파일에 강재를 적치, 관리하게 된다. 작업자는 야드 내의 적치장을 파일별로 나누고, 정해진 파일번호에 강재 적치/선별 등 재고 관리를 하는 것이다. 강재는 사용되는 같은 블록 및 조립 공정날짜 등을 고려하여, 분류, 적치, 전처리로 투입되게 되는데, 이때 선별 작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기존에는 작업자(신호수)가 선별해야 하는 매 강재마다 석필을 이용하여 강재가 이동해야 하는 목적지의 파일 번지를 적고, 적힌 파일번호를 오버헤드 크레인 작업자가 인식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신호수는 선별해야 하는 강재를 파일 내에서 찾아야 하는데, 강재정보는 강재의 윗면에 표기되어 있어 사이즈가 작은 경우, 강재정보를 인식하기가 어려워 강재 선별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크레인 기사가 날씨(비), 야간과 같은 환경 영향으로 인하여 시각적 제한을 받거나, 강재 분류를 여러 번 시행하거나 우천으로 인해 파일 번호의 표시 상태가 손상됨으로 인하여 파일 번호를 제대로 확인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럴 때는 파일 번호를 또 다른 작업자가 확인한 후, 무전기를 통해 마그네틱 크레인 기사에게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는 작업 시간의 증가나 수작업을 통한 강재 분류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하기 선행 기술은 이와 관련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3595호는 강재적치 계획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강재 적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 컴퓨터(100)의 전사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해당 크레인에서 해야할 작업 지시서를 수신받아 화면에 출력하여 작업 지시 정보를 제공하는 작업지시 정보제공과정(S10)과; 상기 작업 지시서에 의거하여 크레인을 운전하여 선별 적치 작업이 시작되면, 크레인 위치정보와, 리프팅 중량 정보와, 리프팅 및 드롭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화면에 출력함과 아울러 해당 검출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작업지시서 상의 해당 작업 완료 상태를 판단하는 작업 상태 판단과정(S20)과; 상기 작업 상태 판단과정(S20)에서 해당 작업이 작업지시서에서 지시된 작업이 완료된 경우 해당 작업 지시서에 해당 작업의 완료 표시를 함과 아울러 작업 완료에 따른 적치 정보를 상기 관리 컴퓨터(100)의 전사 관리프로그램으로 업데이트시키는 적치 정보 업데이트 과정(S30)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적치 계획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강재 적치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 기술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들은 강판의 순번 및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강판 자체의 이동 정보를 기초로 판단함으로써, 작업자가 그 위치 및 순번을 신뢰하기 어렵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출하되어 조선소로 도착한 선박 제작용 강판은 전처리 및 절단 과정을 거쳐 현장에 투입되기 전에 생산 일정별로 선별 및 적치된다. 여기에서, 평균적으로 4000mm*1500mm*80mm의 사이즈를 가지는 강판이 적치되면 파일당 평균 100 내지 200매씩 적치되어 그 위치 및 순번을 맞추기가 어렵다. 즉, 작업 효율 측면에서 현재 강판의 위치 및 순번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3595호
본 발명은 강판 자체의 이동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또는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크레인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강판의 이동 정보(권상 또는 권하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및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 예들 중에서,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은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된다. 상기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은 강판을 적재하여 상기 강판을 이동시키는 상기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크레인의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동에 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판에 대한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의 주행 레일 및 하우스 각각에 설치되는 근접센서를 통하여 이동축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회전 수를 기초로 상기 크레인에 대한 실시간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의 주행축에 설치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및 리미트 센서와 상기 주행 레일에 설치되는 RFID Tag를 통하여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한 누적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영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권상 입력 정보 및 권하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은 상기 크레인의 하우스에 설치되는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하여 이동되는 강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중량을 기초로 상기 이동되는 강판이 적치 지시 대상과 동일한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를 기초로 기 적치된 복수의 강판들 중 상기 이동되는 강판에 대한 위치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기술들은 강판 자체의 이동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또는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파악하지 않고,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크레인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강판의 이동 정보(권상 또는 권하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및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적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 적치 정보 생성부(13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중량 정보 확인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100)은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거나 또는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 적치 정보 생성부(130), 중량 정보 확인부(140) 및 제어부(150) 중 적어도 하나가 별도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 구성요소가 연결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강판을 적재하여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센싱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종래 강판 자체의 위치를 파악하지 않고,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작업자가 신뢰할 수 있을 정도의 정확도를 가지는 적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가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행 이동 거리는 크레인이 주행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고, 횡행 이동 거리는 크레인이 주행 레일(310)과 수직 방향(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축(320)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341)를 통하여 크레인에 대한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거리를 기초로 주행 이동 거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근접 센서(341)를 통하여 크레인 이동축의 회전수가 카운트되면, 카운트되는 회전수를 기초로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계산된 주행 이동 거리를 기초로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를 계산하여 크레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하우스(330)에 설치되는 근접센서(342)를 통하여 크레인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거리를 기초로 횡행 이동 거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근접 센서(342)를 통하여 크레인의 이동축의 회전수가 카운트되면, 카운트되는 회전수를 기초로 크레인의 횡행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계산된 횡행 이동 거리를 기초로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를 계산하여 크레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축(320) 및 하우스(330)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341, 342)를 통하여 크레인의 주행 및 횡행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주행축(320)에 설치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343) 및 리미트 센서(344)와 주행 레일(310)에 설치되는 RFID Tag(345)를 통하여 크레인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주행 레일(310)에 일정한 거리 단위로 설치된 RFID Tag(345)와 주행축(320)에 고정 설치되는 RFID 리더기(343)를 통하여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RFID 리더기(343)는 오류 방지를 위하여 리미트 센서의 스위치가 활성화(On)된 상태에서만 RFID Tag(345)를 인식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근접 센서(342)를 통하여 계산되는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를 RFID 리더기(343), 리미트 센서(344) 및 RFID Tag(345)를 통하여 확인되는 크레인의 위치를 통하여 누적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는 크레인의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346)로부터 강판의 이동에 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 단말기(346)는 크레인의 운전수로부터 강판의 권상 또는 권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실적 입력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는 운영 단말기(346)로부터 강판의 권상 입력 정보 및 권하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를 통하여 강판을 이동하는 크레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실제로 권상 또는 권하되는 강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강판의 순번 및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적치 정보 생성부(130)는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에 의하여 확인된 크레인의 위치 정보 및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로부터 수신된 강판에 대한 이동 정보를 기초로 강판에 대한 적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치 정보 생성부(130)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강판에 대한 이동 정보(권상 또는 권하 정보)를 기초로 기적치된 복수의 강판들에 대한 위치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적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중량 정보 확인부(140)는 크레인의 하우스(330)에 설치되는 중량 측정 장치(347)를 통하여 이동되는 강판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량 정보 확인부(140)는 측정된 중량을 기초로 이동 중인 강판이 적치 지시 대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중량 정보 확인부(140)는 현재 이동 중인 강판이 적치 지시 대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동 중인 강판의 중량을 측정하고 적치 지시 대상이 되는 강판의 중량과 비교함으로써 적치 정보에 대한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 적치 정보 생성부(130) 및 중량 정보 확인부(140)의 동작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강판을 적재하여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센싱한다(단계 S210).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행 이동 거리는 크레인이 주행 레일(310)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고, 횡행 이동 거리는 크레인이 주행 레일(310)과 수직 방향(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축(320)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341)를 통하여 크레인에 대한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거리를 기초로 주행 이동 거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하우스(330)에 설치되는 근접센서(342)를 통하여 크레인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거리를 기초로 횡행 이동 거리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크레인의 주행축(320) 및 하우스(330)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341, 342)를 통하여 크레인의 주행 및 횡행 이동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주행축(320)에 설치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343) 및 리미트 센서(344)와 주행 레일(310)에 설치되는 RFID Tag(345)를 통하여 크레인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는 크레인의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346)로부터 강판의 이동에 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S220).
일 실시예에서,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는 운영 단말기(346)로부터 강판의 권상 입력 정보 및 권하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치 정보 생성부(130)는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에 의하여 확인된 크레인의 위치 정보 및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120)로부터 수신된 강판에 대한 이동 정보를 기초로 강판에 대한 적치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23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은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를 통하여 강판을 이동하는 크레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실제로 권상 또는 권하되는 강판의 이동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강판의 순번 및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량 정보 확인부(140)는 크레인의 하우스(330)에 설치되는 중량 측정 장치(347)를 통하여 이동되는 강판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량 정보 확인부(140)는 측정된 중량을 기초로 이동 중인 강판이 적치 지시 대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중량 정보 확인부(140)는 현재 이동 중인 강판이 적치 지시 대상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동 중인 강판의 중량을 측정하고 적치 지시 대상이 되는 강판의 중량과 비교함으로써 적치 정보에 대한 오류를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를 측정하는 근접 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근접 센서(520)는 크레인의 주행축(320) 및 하우스(330) 각각의 이동축(510)과 특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근접 센서(520)는 이동축(510)의 회전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이격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근접 센서(520)를 통하여 감지되는 이격 거리의 변화를 통하여 이동축(510)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되는 회전수를 기초로 크레인의 주행 및 횡행 이동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여기에서,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110)는 계산된 주행 및 횡행 이동 거리를 기초로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를 계산하여 크레인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적치 정보 관리 기술은 강판 자체의 이동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또는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강판을 이동시키는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 및 강판의 이동 정보(권상 또는 권하 정보)를 기초로 강판의 위치 및 순번을 파악하여 적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신뢰할 수 있는 적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
110: 크레인 위치 정보 확인부
120: 강판 이동 정보 확인부
130: 적치 정보 생성부
140: 중량 정보 확인부
150: 제어부
310: 주행 레일
320: 주행축
330: 하우스
341, 342: 근접 센서
343: RFID 리더기
344: 리미트 센서
345: RFID Tag
346: 운영 단말기
347: 중량 측정 장치

Claims (7)

  1.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크레인의 위치 추적을 통한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강판을 적재하여 상기 강판을 이동시키는 상기 크레인에 대한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크레인의 캐빈 내에 설치되는 운영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동에 대한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강판에 대한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의 주행 이동 거리 및 횡행 이동 거리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의 주행 레일 및 하우스 각각에 설치되는 근접센서를 통하여 이동축의 회전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회전 수를 기초로 상기 크레인에 대한 실시간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센싱하는 단계는
    상기 크레인의 주행축에 설치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및 리미트 센서와 상기 주행 레일에 설치되는 RFID Tag를 통하여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한 누적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운영 단말기로부터 상기 강판의 권상 입력 정보 및 권하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하우스에 설치되는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하여 이동되는 강판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중량을 기초로 상기 이동되는 강판이 적치 지시 대상과 동일한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된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이동 정보를 기초로 기 적치된 복수의 강판들 중 상기 이동되는 강판에 대한 위치 및 순번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적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KR20130098100A 2013-08-19 2013-08-19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KR20150020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100A KR20150020934A (ko) 2013-08-19 2013-08-19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8100A KR20150020934A (ko) 2013-08-19 2013-08-19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34A true KR20150020934A (ko) 2015-02-27

Family

ID=52579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8100A KR20150020934A (ko) 2013-08-19 2013-08-19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09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42A (ko) * 2017-09-29 2017-10-2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치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984B1 (ko) * 2019-02-21 2020-08-25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태그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용 크레인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642A (ko) * 2017-09-29 2017-10-2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치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47984B1 (ko) * 2019-02-21 2020-08-25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Rfid태그를 이용한 중량물 이송용 크레인의 안전사고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8394B2 (en) Dynamic industrial vehicle measure
CN107203804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及系统
CN104627591A (zh) 智能仓储出库风险控制系统
JP2012218861A (ja) 荷物運搬車両作業動線画像表示システム、画面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方法
KR20150020934A (ko) 강재 적치 정보 관리 방법
CN113971543B (zh) 货物储位的确定方法、装置、设备、系统及介质
KR101098384B1 (ko) 실시간 강재 자동적치 정보제공 시스템
JP742192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226240B (zh) 运输操作控制设备、运输操作控制方法和其中存储有运输操作控制程序的记录介质
CN116501002B (zh) 智慧码头载运危险货物集装箱agv安全诱导配置方法
CN110458269B (zh) 一种钢卷的定位查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ias et al. A system of multi-sensor fusion for activity monitoring of industrial trucks in logistics warehouses
US11747794B2 (en) Conveyance task control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150020936A (ko) 강재 적치 정보 관리 시스템
US112796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dimensioning and weighing
KR20100131701A (ko) 마그네틱 크레인과 컨베이어를 이용한 실시간 강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5433A (ko) 강재 적치 관리 방법
KR20180126257A (ko) 견인 수단에 대한 모니터링 장치 및 견인 수단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
KR20140036563A (ko) 강재 적치 관리 시스템
TWI663558B (zh) 鋼捲倉儲系統及鋼捲幾何中心辨識方法
US201400856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location of piled objects
KR101192486B1 (ko) 강재 적치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33787A (ko) 강재의 위치 자동 추적 시스템
CN116882734B (zh) 一种基于大数据的供应链数据监管系统及方法
KR20090117488A (ko)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을 이용한 선박 건조 강재 적치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