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871A -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871A
KR20150020871A KR20130097896A KR20130097896A KR20150020871A KR 20150020871 A KR20150020871 A KR 20150020871A KR 20130097896 A KR20130097896 A KR 20130097896A KR 20130097896 A KR20130097896 A KR 20130097896A KR 20150020871 A KR20150020871 A KR 20150020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nic device
charging
charging device
char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원
정원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0871A/ko
Priority to US14/445,648 priority patent/US20150048837A1/en
Publication of KR20150020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동작 및 확인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METHOD FOR MANAGING CHARGE ST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본 개시는 배터리를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히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컨버젼스 기능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전자 장치들로는 소위 '스마트 폰'이라 대별되는 이동 단말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이동 단말기는 대화면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대방과의 통신이라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음악,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네트워크 망에 접속하여 웹 서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점차 고성능 프로세서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컨버젼스 기능을 좀더 빠르게 수행하도록 진보되고 있어, 상대방과의 통신이라는 주된 기능은 오히려 부가 기능으로 여겨질 정도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기능과 더불어 최근의 전자 장치는 고화질, 고성능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높은 전류소모로 인한 배터리의 사용 시간이 크게 줄어들고 있으며 충전된 배터리를 교체하는 주기가 빨라지는 실정이다. 또한 방전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충전 장치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정확히 표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충전 중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동작 및 확인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제2배터리는 상기 충전 장치에 충전 중이고,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충전 장치가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NFC 방식의 리드 모드 또는 카드 모드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한 차이값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값에 대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을 더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배터리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 자체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에 상기 제2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재조정 요구는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부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로부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확인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수신된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배터리는 상기 충전 장치에 충전 중이고,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충전 장치가 확인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NFC 방식의 리드 모드 또는 카드 모드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한 차이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값에 대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을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배터리의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 자체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장치에 상기 제2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를 갖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가 충전되는 충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적인 충전 진행 그래프;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플립 커버가 적용된 전자 장치에서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및
도 1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재조정 요구 메시지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표시부로써 터치 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고 착탈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자 장치로는 착탈식 배터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기, 즉,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 PC, 시계, 네비게이션, MP3 등 다양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를 갖는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본체(10)와 본체(10)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배터리(20) 및 본체(10)의 후면 일부에 장착되어 배터리(20) 및 각종 부품들을 보호하는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0)는 배터리(20)가 전자 장치(100)에서 외부로 노출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30)에는 전자 장치(100)의 본체(10)에 설치되며 노출되어야 하는 부품(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3)이 관통될 수 있는 개구(31)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 역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본체(10)는 상부 케이스 프레임(1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12)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써, 그 내부에 각종 전자 부품들(electronic function group)을 수용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대화면 디스플레이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데이터 입력을 수용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커버 장착부(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 장착부(101)에는 각종 부품들(components)이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부품들은 전자 장치(100)를 사용할 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터리(20) 뿐만 아니라, 심 카드가 설치되기 위한 심 카드 장착부(104), 소형 메모리 카드가 설치되기 위한 메모리 카드 장착부(10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는 피사체 촬영을 위해 외부에 노출되어야 하는 카메라 모듈(103)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커버 장착부(101)는 본체(10)에 장착되었을 경우 본체(특히 하부 케이스 프레임)(12)와 외면이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커버(30)의 두께만큼 깊이를 갖는 홈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30)가 전자 장치(100)의 하부 케이스 프레임(12)에 장착될 경우 커버(30)와 하부 케이스 프레임(12)은 같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커버(30)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커버 장착부(101) 또한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걸림 돌기가 걸림홈에 억지 끼움되는 방식으로 커버(30)가 커버 장착부(101)에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 장착부(101)에는 커버 장착부(101)의 면보다 낮도록 형성되며, 배터리(20)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 장착부(102)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장착부(102)의 하측면은 별도의 박판 플레이트(13)에 의해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같은 여타 부품과 이격되는 상태가 되며 배터리 장착부(102)의 양측면은 상부 케이스 프레임(11)과 하부 케이스 프레임(12)의 자체 사출 구조에 의해 배터리(2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20)는 배터리 셀(21)과 배터리 셀(21)의 양단에서 배터리 셀(21)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 2지지체(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2지지체(22, 23)는 배터리 셀(21)을 지지하도록 합성 수지 재질의 절연체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제1지지체(22)에는 배터리(20)의 내부에서 배터리 셀(2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에 설치된 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들(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24)은 4개로 구성되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단자들(24)의 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체(22)의 양단에는 요홈(221, 222)이 형성되어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내에 설치되는 돌기에 요합됨으로써 배터리(20)의 장착을 안내함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배터리(20)의 제1지지체(22)의 양단에 돌기가 형성되며,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의 대응 위치에 요홈이 형성되어 요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0)의 제2지지체(23)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안착 돌기들(231, 232, 233)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0)가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에 장착되면 안착 돌기들(231, 232, 233)은 배터리 장착부(102)의 테두리 중 대응 위치에 홈 형식으로 형성된 리세스(recess)(111, 112, 113)에 안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배터리(20)는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에 장착될 경우, 제1지지체(22)의 요홈(221, 222)에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내에 형성된 돌기와 요합되는 구조로 지지되며, 제2지지체(23)의 다수의 안착 돌기들(231, 232, 233)은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리세스(111, 112, 113)에 걸리기 때문에 배터리(20) 자체가 배터리 장착부(102)의 저면에 배치된 박판 플레이트(4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20)가 배터리 장착부(102)에 끼움 방식으로 장착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배터리(2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 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술되겠지만, 배터리(20)의 내부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도선이 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감기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루프 안테나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NFC 안테나 장치는 마이폴 안테나 장치, 모노폴 안테나 장치, 헬리컬 안테나 장치,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장치 또는 역F형 안테나 장치(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와 같은 평판 구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배터리(20)는 배터리 셀(21)과 배터리 셀(21)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 2지지체(22, 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체(23)에는 다수의 안착 돌기(231, 232, 233)가 일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에 형성된 리세스(111, 112, 113)에 걸리는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배터리(20)의 내부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NFC 안테나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NFC 안테나 장치는 도선이 원형, 다각형 등의 형태로 감기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루프 안테나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NFC 안테나 장치는 마이폴 안테나 장치, 모노폴 안테나 장치, 헬리컬 안테나 장치,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장치 또는 역F형 안테나 장치(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와 같은 평판 구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NFC 안테나 장치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절연체로 성형된 캐리어(carrier)가 배터리(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캐리어의 상면에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무선 송수신이 가능한 회로 패턴 형상의 안테나 방사체가 실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NFC 안테나 장치는 배터리(20)가 전자 장치(100)의 배터리 장착부(102)에 장착되면 본체(10)의 배터리 장착부(102)에 설치된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단자들(24)을 통해 작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0)의 내부에 설치되는 NFC 안테나 장치는 일정 패턴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방사체를 포함하며, 그 상부에서 소정의 전기적 연결 수단에 의해 회로 보드의 급전부(feeding portion)(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 수단으로는 C클립(C-clip)뿐만 아니라 공지의 일정 두께를 갖는 도전성 테이프 등 다양한 도전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C클립은 일측에 위치한 접속부가 회로 보드의 급전부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 위치한 탄성부는 안테나 방사체의 단자부와 접촉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NFC 안테나 장치는 상술한 급전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자기유도결합에 의해 공진하며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의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자 장치(100)에 배터리(20)가 장착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20)의 NFC 안테나 장치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와의 NFC 통신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20)는 NFC 통신을 위한 NFC 안테나 장치를 도시하고 이에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배터리(20)에는 Wi-Fi, 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20)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를 통해 다양한 무선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한 내장형 안테나 장치에 사용되는 방사체를 제조하는 방식으로는 원하는 패턴을 금속편으로 타발한 후 몸체에 열융착시키는 SUS 융착 방식, 성형물 전체를 도금하고 패턴만 남기고 나머지를 제거하는 에칭 방식, 성형된 몸체에서 패턴만 도금하는 이중사출 방식, 레이저를 이용하여 부품의 3차원 표면에 도체 회로를 새긴 후에 도금하는 LDS 방식, 성형된 몸체에 직접 전도성 잉크로 인쇄 후에 도금하는 인쇄도금(Printing Direct Structuring, PDS)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후술되겠지만, 배터리(20)는 별도의 충전 장치로부터 충전될 수 있다. 충전 장치는 TA충전기(Travel Adapter Charger) 및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한 유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 및 공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충전 장치(40)는 배터리(20)가 수용되는 하우징(housing)(41)과 하우징(41)에서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42) 및 커버(42)가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연결부(43)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1)은 배터리(20)가 수용되기 위한 배터리 수용홈(44)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수용홈(44)의 테두리에는 배터리(20)의 제2지지체(23)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 돌기들(231, 232, 2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홈 형식으로 리세스(recess)(45, 46, 4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20)가 배터리 수용홈(44)에 안착되는 경우, 배터리(20)의 안착 돌기들(231, 232, 233)은 하우징(41)의 배터리 수용홈(44)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리세스(45, 46, 47)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커버(42)는 하우징(41)에서 일정 각도 회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41)의 상면에 올려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커버(42)는 하우징(41)의 상면에 배치되어 배터리(20)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커버(42)를 개방시켜 배터리(20)를 배터리 수용홈(44)에서 꺼내기 쉽도록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충전 장치(40)의 하우징(41)의 내부 공간에는 회로 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회로 보드는 기본 회로와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기판으로, 배터리(20)를 충전시키고 배터리(20)의 충전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40)는 TA충전기(Travel Adapter Charger) 및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한 유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 및 공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회로 보드는 전자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충전 장치(40)는 회로 보드의 NFC 모듈을 통해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충전 장치(40)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배터리(20)에 설치된 NFC 안테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 장치(40)의 커버(42)가 닫힌 경우라도 커버(42)의 두께가 얇아 NFC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작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40)는 자체적으로 NFC 안테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NFC 안테나 장치는 충전 장치(40)의 커버(4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는 외장형 안테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장치(40)에 설치되는 NFC 안테나 장치 역시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안테나 장치 또는 역F형 안테나 장치(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와 같은 평판 구조의 내장형 안테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내장형 안테나 장치는 마이폴 안테나 장치, 모노폴 안테나 장치, 헬리컬 안테나 장치, 루프 안테나 장치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40)는 하우징(41)과 커버(42)가 상호 접철 방식(foldable type)으로 회동되는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충전 장치(40)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이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팝업 타입(pop-up type), 스위블 타입(swible type) 등 다양한 회동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가 충전되는 충전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예시적인 충전 진행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충전 장치(40)는 충전 IC(Charging Integrated Circuit)(410), 스위치(420), 메모리(430), 제어부(440), 충전 레벨 검출부(450), NFC IC(Near Field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460) 및 배터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420)는 외부 공급 전원 장치(Travel Adapter: TA)(예컨대, TA충전기 또는 USB)로부터 입력받은 전압을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충전 IC(410)로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420)는 제어부(440)로부터 충전 중지 신호가 입력될 시, TA(1)와 충전 IC(410)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여 TA(1)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이 충전 IC(41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420)는 제어부(440)로부터 충전 재개 신호가 입력될 시, TA(1)와 충전 IC(410) 사이를 연결하여 TA(1)로부터 공급받은 전압이 충전 IC(410)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 IC(410)는 TA(1)로부터 제공받은 전압을 배터리(20)를 충전하기 위한 적정 전압(또는 완충 전압)으로 변환시켜 배터리(20)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 IC(410)는 제어부(440)의 충전 신호를 받아 작동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충전 IC(410)에서 배터리(20)를 충전하는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따르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제어부(440)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터리(20)를 충전시키고, 배터리(20)의 충전 레벨을 메모리(4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배터리(20)의 착탈을 인식할 수 있고, 배터리(20)가 충전 장치(40)에 장착되는 경우, 제어부(440)는 배터리(20)에 설치되는 NFC 안테나를 이용하여 NFC IC(46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440)는 메모리(20)에 저장된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전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NFC IC(460)를 통해 전자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40)는 장착된 배터리(20)에 설치된 NFC 안테나를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40)는 NFC IC(460)의 작동 모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레벨 검출부(450)는 배터리(20)의 충전 용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 레벨을 제어부(4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레벨 검출부(450)는 연료 게이지(fuel gauge) 방식 또는 충전전압, 전류를 이용한 용량 테이블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20)의 충전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전압, 전류를 이용한 용량 테이블 값을 이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전압은 충전시간이 지날수록 전압값이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 경과한 후에는 일정한 전압값을 유지하고, 충전전류는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소정의 전류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다가 충전전압이 일정한 전압값을 유지하는 시점부터 감소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용량 테이블 값을 토대로 충전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5는 일반적인 Linear charger의 충전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Switching charger의 충전 그래프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충전전류 그래프는 다양한 형태로 측정될 수 있으며, 전압, 전류를 이용한 용량 테이블 값은 충전전압, 충전전류에 따른 용량을 반복 simulation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 외에도 충전 용량을 검출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것이다.
NFC IC(460)는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NFC IC(460)는 전자 장치(100)와 근거리 통신을 하여 충전 장치(40)의 메모리(430)에 저장된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C IC(460)가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상태를 card 모드라 할 수 있다. 또한, NFC IC(460)는 전자 장치(100)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충전 장치(40)의 메모리(430)에 저장된 배터리 충전 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NFC IC(460)는 전자 장치(100)가 배터리 충전 정보를 획득하도록 유도하는 상태를 read 모드라고 할 수 있다. NFC IC(460)는 근거리 통신을 하기 위해 배터리(20)에 설치되는 NFC 안테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NFC IC(460)는 상술한 read 모드 또는 card 모드를 제어하는 관련 프로세스 및 NFC 운용 지원을 위한 다양한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제어부(44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44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충전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충전 IC(410)로 충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충전 레벨 검출부(450)에서 검출된 배터리 충전 정보를 메모리(4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430)에는 이외에도 충전 장치(40)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40)는 전자 장치(10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NFC IC(450)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충전 장치(4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할 경우, 전자 장치(100)와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법(예를 들어, WiFi, bluetooth 등)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휴대 인터넷 장치(MID: Mobile Internet Device),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울트라 모바일 PC(UMPC: Ultra Mobile PC),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 PC, 네비게이션, MP3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는 메모리(110), 프로세서 유닛(processor unit)(120), 카메라 장치(130), 센서 장치(140), 무선 통신 장치(150), 오디오 장치(160), 외부 포트 장치(170), 입출력 제어부(180), 터치 스크린(190), 입력 장치(200) 및 배터리 충전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0) 및 외부 포트 장치(170)는 다수 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22) 및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 유닛(120)에 포함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2) 및 주변 인터페이스(123)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화된 회로로 집적화되거나 별개의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121)는 프로세서(122) 또는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와 같은 구성요소의 메모리(110)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는 전자 장치(100)의 입출력 주변 장치와 프로세서(122)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121)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100)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해당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1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메모리(11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2)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40)로부터 수신한 충전 장치(40)에 충전 중인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더하여, 전자 장치(100)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충전 장치(40)에 충전 중인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CODEC)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전자 장치(100)는 데이터 프로세서, 이미지 프로세서 또는 코덱을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사진 및 비디오 클립 레코딩 등의 카메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장치(130)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30)는 프로세서(122)가 실행하는 카메라 프로그램에 따라 하드웨어적인 구성의 변경, 예컨대 렌즈 이동, 조리개의 수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참조번호 미기재) 또는 전기적 연결 수단(참조번호 미기재)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장치(140)는 근접 센서, 홀(Hall) 센서, 조도 센서, 모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전자 장치(100)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홀 센서는 금속체의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주변의 빛을 감지하며 모션 센서는 전자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50)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무선 주파수 송ㆍ수신기 또는 광(예컨대, 적외선) 송ㆍ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50)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 WiMax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또는 Bluetooth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을 통해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스피커(161) 및 마이크로폰(162)에 연결되어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 또는 통화 기능 등의 오디오 입력과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사용자와 전자 장치(100)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프로세서 유닛(120)과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한 전기 신호를 스피커(161)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스피커(161)는 전기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161)는 하나의 진동 필름에 적어도 하나의 압전체를 부착시킨 플렉서블한 필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인물이나 기타 음원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장치(160)는 마이크로폰(162)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전기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60)는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 가능한 이어폰, 이어셋,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포트 장치(170)는 전자 장치(100)를 상대 전자 장치와 직접 연결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상대 전자 장치로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입출력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190) 및 입력 장치(200) 등의 입출력 장치와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123)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와 사용자 간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터치 스크린(190)은 터치 감지 기술을 적용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프로세서 유닛(120)으로 전달하고, 프로세서 유닛(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 텍스트, 그래픽 또는 비디오 등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 정보,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 동화상(moving picture) 및 정화상(still picture)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용량성, 저항성, 적외선 및 표면 음향파 기술뿐만 아니라 기타 근접 센서 배열 또는 기타 요소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멀티 터치 감지 기술을 더 적용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9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MOLED(Active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또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 데이터를 입출력 제어부(180)를 통해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 및 터치 정보를 감지하는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0)는 볼륨 제어를 위한 업/다운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입력 장치(200)는 해당 기능이 부여된 푸쉬 버튼(push botton), 로커 버튼(locker button), 로커(locker) 스위치, 섬 휠(thumb-wheel), 다이얼(dial), 스틱(stick) 및 스타일러스 등의 포인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부(210)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배터리(20)를 충전시키고, 배터리(20)의 충전 잔량을 검출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부(210)는 TA충전기 및 USB를 이용한 유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 방식 또는 자기 유도 방식 및 공진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 충전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 충전부(210)는 연료 게이지를 통해 검출된 배터리(20)의 충전 잔량을 프로세서(122)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와 같은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하나 이상의 광 저장 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예컨대, NAND, N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데,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 모듈(111), 통신 모듈(112), 그래픽 모듈(113),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 코덱 모듈(115), 카메라 모듈(116), 어플리케이션 모듈(117), NFC 운용 모듈(118)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명령어들의 집합,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 또는 프로그램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운영 체제 모듈(111)은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메모리 제어 및 관리,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 모듈(111)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2)은 무선 통신 장치(150) 또는 외부 포트 장치(170)를 통해 컴퓨터, 서버 및 전자 장치 등의 상대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래픽 모듈(113)은 터치 스크린(190)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및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프로세서(122)에 의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터치 스크린(19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코덱 모듈(115)은 비디오 파일의 인코딩 및 디코딩 관련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16)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모닝콜(morning call), MP3(MPEG Layer 3), 일정관리(Scheduler), 카메라(Camera),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e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음성 복제,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또는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FC 운용 모듈(118)은 충전 장치(40)와 NFC 통신을 이용하여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획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NFC 운용 모듈(118)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충전 장치(40)로부터 배터리 충전 정보를 제공받는 상태를 read 모드라 할 수 있고, NFC 운용 모듈(118)이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충전 장치(40)의 메모리(430)에 저장된 배터리 충전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를 card 모드라고 할 수 있다. NFC 운용 모듈(118)은 상술한 read 모드 또는 card 모드를 제어하는 관련 프로세스 및 NFC 운용 지원을 위한 다양한 루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유닛(120)은 상술한 모듈 이외에 추가적인 모듈(명령어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processing)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701동작에서 전자 장치(100)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부(210)에서 검출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703동작에서 확인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40)로부터 수신한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배터리는 충전 장치(40)에 충전 중이고,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충전 장치(40)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충전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 즉, 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는 다수의 오브젝트들(1110)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1100)에 일정 영역 또는 특정 영역에 배터리 아이콘(112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배터리 아이콘(1120)을 통해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제2배터리의 만충까지 남은 잔여 시간이 더 표시될 수 있다.이러한 배터리 아이콘(1120)은 전자 장치(100)의 기본 설정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화면에 적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아이콘(1220)은 개폐 가능한 플립 커버(300)를 장착한 전자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 아이콘(1220)은 다수의 오브젝트들(1210)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1200)에 일정 영역 또는 특정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플립 커버(300)를 폐쇄하는 경우 플립 커버(300)의 전면에 배치된 투명창(310)을 통해 현재 시각(1230) 및 배터리 아이콘(1220)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플립 커버(300)의 투명창(310)을 통해 비춰지는 다양한 객체들이 더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팝업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1300)에 배터리 충전 상태 메시지(1310)를 표시할 수 있다. 배터리 충전 상태 메시지(1310)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충전 장치(40)에 충전 중인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제2배터리의 만충까지 남은 잔여 시간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동작에 대한 명령어 세트는 상술한 메모리(110)에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801동작에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의미하고, 제2배터리는 충전 장치(40)에서 충전되는 배터리를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부(210)에서 검출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충전 장치(40)의 충전 레벨 검출부(450)에서 검출된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충전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 즉 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803동작에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2)는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차이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어느 것이 큰지 또는 작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805동작에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차이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차이값은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차이값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팝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제2배터리의 만충까지 남은 잔여 시간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동작에 대한 명령어 세트는 상술한 메모리(110)에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901동작에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터리는 전자 장치(10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의미하고, 제2배터리는 충전 장치(40)에서 충전되는 배터리를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배터리 충전부(210)에서 검출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제공받을 수 있고, 충전 장치(40)의 충전 레벨 검출부(450)에서 검출된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제공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충전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 즉 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수신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903동작에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22)는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차이값을 추출할 수 있으며, 어느 것이 큰지 또는 작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905동작에서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차이값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 및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의 차이값은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차이값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팝업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지만, 제2배터리의 만충까지 남은 잔여 시간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907동작에서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여 차이값에 대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2)는 최근 10시간 동안 사용한 배터리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 사용량을 토대로 현재 전자 장치(100)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를 제2배터리로 교체할 경우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은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은 팝업 형태인 배터리 충전 상태 메시지(1410)로 터치 스크린(1400)에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 상태 메시지(1410)는 현재 전자 장치(100)에 장착 중인 배터리 충전 잔량, 충전 장치(40)에 충전 중인 배터리의 충전 잔량, 두 배터리의 충전 잔량 차이 및 충전 장치(40)에 충전 중인 배터리로 교체 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동작에 대한 명령어 세트는 상술한 메모리(110)에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1001동작에서 충전 장치(4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및 충전 장치(40)는 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그 다음 전자 장치(100)는 1003동작에서 충전 장치(40)에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100)는 충전 장치(40)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충전 장치(40)에 배터리가 충전 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충전 장치에 배터리가 충전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00)는 1005동작에서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 재조정 요구는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재조정 요구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팝업창(1510)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배터리 재조정 요구는 터치 스크린(1500)의 다양한 화면에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충전 장치에 배터리가 충전 중인 경우, 전자 장치(100)는 1007동작에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동작에 대한 명령어 세트는 상술한 메모리(110)에 하나 이상의 모듈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110)에 저장되어 있는 모듈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2)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또는 전체 모듈은 하나의 개체에 구성되고, 각 모듈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각각의 동작들은 순차적, 반복적 또는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들은 생략되거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되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동작들은 본 개시에서 기술한 대응하는 모듈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 장치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 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20: 배터리 40: 충전 장치
100: 전자 장치 300: 플립 커버
1120, 1220: 배터리 아이콘
1310, 1410: 배터리 충전 상태 메시지
1510: 팝업창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동작; 및
    확인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제2배터리는 상기 충전 장치에 충전 중이고,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충전 장치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Near Field Communication(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NFC 방식의 리드 모드 또는 카드 모드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는 동작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동작은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한 차이값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값에 대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을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배터리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 자체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에 상기 제2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재조정 요구는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장착 중인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을 확인하는 배터리 충전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충전 장치로부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수신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확인된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수신된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배터리는 상기 충전 장치에 충전 중이고,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충전 장치가 확인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은 Near Field Communication(NFC) 방식, 와이파이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중 어느 하나인 전자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은 상기 NFC 방식의 리드 모드 또는 카드 모드를 통하여 수신하는 전자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배터리의 충전 잔량과 상기 제2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비교한 차이값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최근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한 배터리 사용량을 분석하여 상기 차이값에 대한 배터리 사용 가능 시간을 더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1배터리의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충전 장치 자체에 구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 장치에 상기 제2배터리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 재조정 요구를 진동, LED, 텍스트,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20130097896A 2013-08-19 2013-08-19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020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896A KR20150020871A (ko) 2013-08-19 2013-08-19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4/445,648 US20150048837A1 (en) 2013-08-19 2014-07-29 Method of managing state of char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896A KR20150020871A (ko) 2013-08-19 2013-08-19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71A true KR20150020871A (ko) 2015-02-27

Family

ID=5246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896A KR20150020871A (ko) 2013-08-19 2013-08-19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48837A1 (ko)
KR (1) KR201500208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40A (ko) * 2018-03-14 201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51B1 (ko) * 2014-01-29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탈착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345383B2 (en) * 2015-07-07 2019-07-09 Hand Held Products, Inc. Useful battery capacity / state of health gauge
CN109510255B (zh) * 2018-10-31 2021-08-27 深圳欣旺达智能科技有限公司 双电池快充结构和移动终端
CN110225576A (zh) * 2019-05-08 2019-09-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开机控制方法与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1112A (en) * 1993-02-26 1994-05-10 Kussmaul Electronics Company Inc. Automatic battery charging system
US20080150474A1 (en) * 2006-10-27 2008-06-26 Ingersoll-Rand Company Cordless power tool battery charging and analyzing system
US20100088051A1 (en) * 2006-11-30 2010-04-08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battery remaining capacity display method
US20130033102A1 (en) * 2008-02-20 2013-02-07 Lonnie Calvin Goff Embedded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JP2009236800A (ja) * 2008-03-28 2009-10-15 Mitsubishi Motors Corp 残電池容量表示方法及び残電池容量表示装置
US20130262002A1 (en) * 2012-03-30 2013-10-03 Mckesson Automation Inc. Monitoring and matching batteries and battery powered devices
JP6021464B2 (ja) * 2012-06-25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8440A (ko) * 2018-03-14 2019-09-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모드에서 전자 장치에 발생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8837A1 (en) 2015-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2360B (zh) 带有天线的电子设备
US8537528B2 (en) Mobile terminal
KR101578728B1 (ko) 휴대 단말기
CN107580775B (zh) 移动终端
CN107343061B (zh) 移动终端
US9413443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40361979A1 (en) Grip sensor device and grip sensing method
KR102205281B1 (ko) 이동 단말기
CN107623759B (zh) 移动终端
KR20160073861A (ko)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위치 정보 제어방법
KR20140137848A (ko) 배터리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사용자 단말
KR20140092722A (ko)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KR20150020871A (ko) 충전 상태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6506733B (zh) 移动终端
US201402605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sealing state of housing
CN106201299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2015004563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7003947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131601B2 (en) Mobile terminal
CN108834206B (zh)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KR20170123207A (ko) 이동 단말기
US9973636B2 (en) Mobile terminal
KR101529933B1 (ko) 이동 단말기
EP3089429A1 (en) Rear case for mobile terminal
US20150102670A1 (en) Method for operating boot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