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514A - 보석 난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석 난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514A
KR20150019514A KR20130096511A KR20130096511A KR20150019514A KR 20150019514 A KR20150019514 A KR 20150019514A KR 20130096511 A KR20130096511 A KR 20130096511A KR 20130096511 A KR20130096511 A KR 20130096511A KR 20150019514 A KR20150019514 A KR 20150019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pring
support
coupled
pres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917B1 (ko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102013009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9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75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in an oscillating wa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석 난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석이 장착되는 난집과, 상기 난집에 일단이 결합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지지체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 상기 탄성스프링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보석 난집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석 난집 조립체{Stone house assembly}
본 발명은 보석 난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난집의 유동성을 극대화한 보석 난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은 그 자체를 인체에 직접 착용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귀걸이, 반지, 목걸이 등과 같은 지지체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이 경우, 보석은 사용 과정에서 외부 충격에 의한 이탈이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난집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체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경우 난집이 지지체와 일체로 성형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보석도 항상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난집 또는 지지체의 유동이 없으면 보석의 움직임도 없기 때문에 일정 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외부광과 굴절, 반사, 산란 등의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보석면이 소정의 면만으로 제한되고, 그 결과 특정 방향 이외의 방향에서는 보석면을 통해 출사되는 광을 인식하기 어려워 보석의 미려함을 충분히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 제10-1254175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를 통해 난집에 유동성을 부여한 보석 난집 조립체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부(11a)가 구비된 지지체(11)와, 지지체(11)의 관통부(11a)에 일단부가 고정되는 탄성스프링(12)과, 탄성스프링(1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난집(13) 및 난집(13)에 장착되는 보석(14)을 포함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10)를 개시하고 있다.
즉, 지지체(11)와 난집(13)을 탄성스프링(12)으로 연결하여 외부 자극이 가해질 경우 탄성스프링(12)의 탄성에 의해 난집(13)이 진동함으로써 보석(14)의 광변환이 다채롭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1의 경우 난집(13)에 유동성을 부여하는 탄성스프링(12)의 최외측 양쪽 부분이 관통부(11a)의 직선형 홈(11b)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난집(13)의 진동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2)이 직선형 홈(11b)에 의해 양측에서 구속되면 탄성스프링(12)과 지지체(11)의 접촉 면적이 직선형 홈(11b)에 해당하는 크기만큼 넓어져 외부 자극으로 발생하는 탄성스프링(12)의 운동량이 대부분 지지체(11)에 빠르게 흡수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난집(13)의 진동이 1~2초 후에 바로 소멸되는 것이다.
특히, 탄성스프링(12)의 양측이 고정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체(11)와 접촉되는 부분은 물론이고 그 연결 부분 또한 실질적으로 지지체(11)에 구속되기 때문에 탄성스프링(12)이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은 연결 부분에 해당하는만큼 더 감소하여 최초 설계된 탄성력을 제대로 구현할 수 없다.
결국, 종래기술1에 의하면 외부 자극이 인가된 후 1~2초 동안만 난집(13)이 진동하고 진동이 바로 소멸됨으로써 보석이 가진 미려함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 난집의 유동성을 장시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보석 난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보석이 장착되는 난집과; 상기 난집에 일단이 결합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지지체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 상기 탄성스프링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보석 난집 조립체는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이 일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석 난집 조립체는 상기 난집을 관통하도록 상기 수용체에 폭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의 내벽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의 형태는 판형, 통형 또는 원추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은 나선형으로 복수회 롤링되어 최내측에서 상기 난집과 결합되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유동부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1회 롤링되어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 부분은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난집과 결합된 탄성스프링이 지지체의 일지점에서 탄성적으로 결합됨으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또한, 탄성스프링의 고정부를 유동부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반전시키고 연결 부분을 라운드지게 만곡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우수한 지지력을 확보하여 난집이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의 제반 효과를 통해 보석이 외부광과 굴절, 반사, 간섭, 산란 등 상호 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보석의 미려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탄성스프링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결합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탄성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100)는 난집(110)과, 탄성스프링(120) 및 지지체(13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수용체(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난집(110)은 보석(150)과 같은 광변환 물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석(15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난집(110)의 하부에는 핀(142)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111)이 형성되고, 관통홀(111)의 하부에는 탄성스프링(120)과의 결합을 위한 걸림턱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탄성스프링(120)은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진동함으로써 난집(110)에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난집(110)과 수용체(14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스프링(120)은 미세한 외부 자극에도 반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 금속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판형, 통형, 원추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스프링(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부(120a)와 고정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부(120a)는 난집(110)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나선형으로 복수회 롤링된 형태를 가져 외부 자극에 의해 진동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120b)는 수용체(14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 유동부(120a)의 외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1회 롤링된 형태를 가지고, 유동부(120a)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유동부(120a)의 최내측 단부와 고정부(120b)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난집(110)과 수용체(140)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부(112)(141)와 각각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120)과 수용체(140)가 접촉되는 부분을 고정부(120b)의 일지점으로 국한시키고, 후크 형상을 이용하여 탄성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수용체(140)로 흡수되는 유동부(120a)의 운동량을 최소화하여 탄성스프링(120)의 진동이 장시간 지속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고정부(120b)는 유동부(120a)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롤링되고, 이러한 고정부(120b)의 곡률반경은 유동부(120a)의 최내측 곡률반경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정부(120b)의 반전 구조와 곡률반경의 최소화로 인해 유동부(120a)와 고정부(120b) 사이에 강성이 확보되어 유동부(120a)의 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우수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보석(150)과 난집(110)의 무게로 인해 탄성스프링(120)의 유동부(120a)가 하방으로 처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동부(120a)와 고정부(120b)의 연결 부분은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동부(120a)와 고정부(120b)의 연결 부분을 통상적인 스프링과 같이 절곡된 형태로 구성하면 절곡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파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분을 만곡된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응력 집중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지지체(130)는 수용체(140)를 고정시켜 인체에 착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귀걸이, 반지, 목걸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귀걸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도면에서는 탄성스프링(120)이 수용체(140)와 결합되는 형태만을 예시하였으나, 동일한 방식으로 수용체(140) 없이 지지체(130)에 직접 결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용체(140)는 탄성스프링(120)의 고정부(120b)와 결합되어 난집(110)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연적인 구성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채용 가능한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수용체(140)는 지지체(13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체(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걸림턱부(141)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0)이 결합된다.
이 경우, 수용체(140)에는 걸림턱부(141) 대비 상방으로 더 돌출된 관통부(143)가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부(143)에는 핀(142)이 삽입되어 난집(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난집(110)은 탄성스프링(120)에 의해 수용체(140)에 고정되기는 하나 사용 과정에서 외부 충격이나 부주의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체(140)에 난집(110)과 탄성스프링(120)이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부(143)에 핀(142)을 삽입하여 난집(110)의 관통홀(111)에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난집(110)의 이탈을 방지한 것이다. 이 경우, 난집(110)의 관통홀(111) 크기는 난집(110)의 진동 범위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하여 유동성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부(143)에 삽입된 핀(142)은 지지체(130)의 내벽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즉, 수용체(140)는 최종적으로 지지체(130)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므로 핀(142)을 접착제나 용접 등을 이용하여 별도 고정하지 않더라도 지지체(130)의 내벽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용체(140)가 지지체(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통부(143)가 지지체(130)에 완전히 수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석 난집 조립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외부로부터 자극이 인가되면 난집(110)이 탄성스프링(120)을 매개로 하여 수용체(140)에 대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 경우, 탄성스프링(120)을 진동시키기 위한 외부 자극의 강도는 보석 난집 조립체(100) 자체의 움직임이 육안으로 포착될 정도로 과도할 필요는 없고, 사용자의 맥박이나 주변의 공기 흐름 등과 같이 극히 미세한 크기로 충분할 수 있다.
즉, 탄성스프링(120)에 진동이 발생할 수 있는 외부 자극의 임계치는 극히 낮기 때문에 외부 자극의 세기가 극히 미세하여 보석 난집 조립체(100)의 움직임이 육안으로 포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광과 굴절, 반사, 간섭, 산란 등의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는 보석(150) 면이 난집(110)의 진동에 수반하여 변화함으로써 여러 방향에서 보석의 미려함이 균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실생활에서 외부 자극이 없는 이상적인 상태는 없기 때문에 그 크기가 극히 미세할지라도 주변 환경으로부터 외부 자극은 항상 전달된다고 할 수 있고, 전달되는 외부 자극의 세기가 탄성스프링(120)의 진동을 유발할 수 있는 낮은 임계치를 초과하는 한 난집(110)의 진동은 실질적으로 영구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탄성스프링(120)이 지지체(130) 또는 수용체(140)의 일지점에서만 탄성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극단적으로 보석 난집 조립체(100)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난집(110)의 유동이 발생된 이상 미세한 공기 흐름이나 음파에 의해 진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스프링(120)의 고정부(120b)가 유동부(120a)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반전된 구조를 가지고, 그 연결부가 라운드지게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수한 강성이 확보되어 난집(110)이 하방으로 처지지 않고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보석 난집 조립체 110 : 난집
111 : 관통홀 112 : 걸림턱부
120 : 탄성스프링 120a : 유동부
120b : 고정부 130 : 지지체
140 : 수용체 141 : 걸림턱부
142 : 핀 143 : 관통부
150 : 보석

Claims (6)

  1. 보석이 장착되는 난집과;
    상기 난집에 일단이 결합되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지지체의 일지점에 결합되어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한 상기 탄성스프링의 진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타단이 일지점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수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난집을 관통하도록 상기 수용체에 폭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지지체의 내벽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의 형태는 판형, 통형 또는 원추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스프링은 나선형으로 복수회 롤링되어 최내측에서 상기 난집과 결합되는 유동부 및 상기 유동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유동부에 대해 외측방향으로 1회 롤링되어 상기 지지체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와 상기 고정부의 연결 부분은 외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난집 조립체.
KR1020130096511A 2013-08-14 2013-08-14 보석 난집 조립체 KR10159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511A KR101599917B1 (ko) 2013-08-14 2013-08-14 보석 난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511A KR101599917B1 (ko) 2013-08-14 2013-08-14 보석 난집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514A true KR20150019514A (ko) 2015-02-25
KR101599917B1 KR101599917B1 (ko) 2016-03-04

Family

ID=5257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511A KR101599917B1 (ko) 2013-08-14 2013-08-14 보석 난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9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42A1 (ko) * 2015-11-13 2017-05-18 이지영 장신구
KR20180070186A (ko) * 2016-12-16 2018-06-26 김창현 빛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장신구
WO2019156270A1 (ko) * 2018-02-12 2019-08-15 (주) 뉴실크로드 유동형 난집조립체 및 이 유동형 난집조립체의 스프링타입 유동체 제조방법
WO2020122600A1 (ko) * 2018-12-11 2020-06-18 김창현 진동 장신구
KR102160161B1 (ko) * 2020-05-08 2020-09-25 주식회사 뉴앤락 난집 조립체
WO2021015462A1 (ko) * 2019-07-23 2021-01-28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KR20210150242A (ko) * 2020-06-03 2021-12-10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54U (ko) * 2008-02-01 2009-08-05 이숙현 움직이는 보석난집을 갖는 반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54U (ko) * 2008-02-01 2009-08-05 이숙현 움직이는 보석난집을 갖는 반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442A1 (ko) * 2015-11-13 2017-05-18 이지영 장신구
KR20180070186A (ko) * 2016-12-16 2018-06-26 김창현 빛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장신구
WO2019156270A1 (ko) * 2018-02-12 2019-08-15 (주) 뉴실크로드 유동형 난집조립체 및 이 유동형 난집조립체의 스프링타입 유동체 제조방법
WO2020122600A1 (ko) * 2018-12-11 2020-06-18 김창현 진동 장신구
WO2021015462A1 (ko) * 2019-07-23 2021-01-28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KR102160161B1 (ko) * 2020-05-08 2020-09-25 주식회사 뉴앤락 난집 조립체
KR20210150242A (ko) * 2020-06-03 2021-12-10 서희주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917B1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917B1 (ko) 보석 난집 조립체
KR101254175B1 (ko) 유동성 난집을 구비한 보석 난집 조립체
KR101549448B1 (ko) 장신구
JP2022543944A (ja) 遊動性受け溝を備えた宝石受け溝組立体
CN107529862B (zh) 可定制的珠宝
KR101745303B1 (ko) 장신구
CN102697260A (zh) 宝石饰品
EA007216B1 (ru) Индивидуальное украшение
US2766541A (en) Combined spectacles and dangling ornaments
KR20030024780A (ko) 보석 장식 시스템용 장식 요소 및 그 장식 요소를포함하는 보석 장식 시스템
JP2007061336A (ja) 装飾具
JP2010046218A (ja) 揺動装身具
US20160066661A1 (en) Magnetic jewelry connectors for forming a jewelry piece
KR101955354B1 (ko) 빛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장신구
KR102276786B1 (ko) 보석의 난반사율을 향상시킨 보석난집
JPWO2002065868A1 (ja) 装身具
JP5173450B2 (ja) 装身具
JP2008206532A (ja) 装身具における装飾物揺動保持機構
CN112773062A (zh) 佩戴品
US9999281B2 (en) Customizable pendant
WO2017082442A1 (ko) 장신구
KR101800115B1 (ko) 난집을 구비한 장신구
KR102629450B1 (ko) 계속적으로 반짝이도록 하는 장신구 구조
CN220308579U (zh) 一种莫桑钻悬浮首饰
JP3130157U (ja) 襟章用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