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066A -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066A
KR20150019066A KR20130095417A KR20130095417A KR20150019066A KR 20150019066 A KR20150019066 A KR 20150019066A KR 20130095417 A KR20130095417 A KR 20130095417A KR 20130095417 A KR20130095417 A KR 20130095417A KR 20150019066 A KR20150019066 A KR 20150019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uty control
power switch
reference signal
in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064B1 (ko
Inventor
조환
공정철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5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064B1/ko
Priority to US14/282,796 priority patent/US20150043250A1/en
Publication of KR20150019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6Modifications for ensuring a fully conducting stat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87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02M1/0054Transistor switching lo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시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오실레이터; 및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가변 오실레이터로부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듀티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가 제안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이 제안된다.

Description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CIRCUIT FOR DRIVING POWER SWITCH,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OWER SWITCH}
본 발명은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파워 스위치의 듀티 제어를 위한 기준신호의 주파수가 입력전압에 따라 가변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모드 파워 서플라이(이하 SMPS)는 정류된 입력전압을 받아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전압을 생성, 부하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스위치를 온-오프 하는 동작에서 불가피하게 전력손실을 가져오게 되는데, 전력손실은 입력전압 및 스위칭 주파수와 관련이 있다. 입력전압이 높을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높을수록 손실이 크고, 입력전압이 낮을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낮을수록 손실이 작다.
도 3a 및 3b에 SMPS 스위치로 이용되는 파워 스위치의 스위칭 손실의 두 가지 형태를 예시로 나타내었다. 스위칭 손실은 온-오프가 전환되는 과도구간에서 발생하며, 과도구간이 길거나(과도구간 횟수가 많아지는 경우도 포함) 드레인-소스 사이 전압(이하 Vds)이 클수록 [전력량=전압X전류X시간] 식에 의해 손실전력량도 커진다. 도 3a는 드레인-소스 단자의 부담 전압이 커짐에 따라 Vds와 온-오프 과도구간이 증가하여 손실전력이 커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3b는 스위칭 주파수가 높아짐에 따라 단위시간당 과도구간 횟수가 늘어나 손실전력이 커지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SMPS는 구조적으로 입력전압이 높을수록 Vds가 커지므로 전력손실이 늘어난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US2010/0053999 A1 (2010년 3월 4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1672호 (2009년 3월 4일 공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전압을 검출하여 입력전압이 높으면 스위칭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입력전압 상승에 따른 전력손실을 보상할 수 있다. 다만, SMPS는 시스템의 설계특성에 맞는 특정한 스위칭 주파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손실을 줄이고자 무조건적으로 주파수를 낮출 수는 없다. 따라서 제반사항이 허락하는 조건 하에서 주파수를 낮추어야 하는데 주파수를 낮춤으로써 야기되는 최대전력 감소문제는 입력전압이 높을 경우 최대전력이 증가하는 특성에 의해 상쇄되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파워 스위치의 듀티 제어를 위한 기준신호의 주파수가 입력전압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여 스위칭 손실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모습에 따라,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시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오실레이터; 및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가변 오실레이터로부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듀티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는: 출력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른 오실레이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삼각파 생성기; 및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와 삼각파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하되,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 및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는 1차측 입력전압의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기로 전달하는 버퍼 증폭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삼각파 생성기는: 전류원; 전류원에 연결되며 전류원을 충전용 공급전원으로 하여 스위칭 동작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충방전 커패시터; 및 전류원의 하단에서 충전용 커패시터에 병렬연결되어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되, 온-동작 시 충방전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그라운드로 방전시키고 오프-동작 시 전류원으로부터 충방전 커패시터로의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오실레이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는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검출되는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듀티 제어부로 피드백신호를 피드백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및 듀티 제어부의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모습에 따라, 1차측 입력전압을 받아 2차측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트랜스포머;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부하로 2차측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2차 출력 블럭;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모습의 실시예들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및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의 가변 오실레이터는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1차측 입력전압을 분배하여 가변 오실레이터로 제공하는 전압분배부; 검출되는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듀티 제어부로 피드백신호를 피드백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및 듀티 제어부의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모습에 따라,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이 제안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 및 피드백되는 삼각파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생성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듀티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해 출력하고 동시에 오실레이터 스위치로 인가하는 단계; 및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인가에 따른 오실레이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고 비교를 위해 피드백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버퍼 증폭기에서 1차측 입력전압의 신호를 입력받아 피드백되는 삼각파 신호와의 비교를 위해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또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은: 2차측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듀티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해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듀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워 스위치의 듀티 제어를 위한 기준신호의 주파수가 입력전압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여 스위칭 손실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 따라, SMPS의 입력전압이 높아질수록 스위칭 손실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구성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a 및 3b는 파워 스위치의 일반적인 스위칭 손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에서 입력전압 상승에 따른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배치 관계에서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됨으로써 연결, 결합 또는 배치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비록 단수적 표현이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명백히 다르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는', '갖는', '구비하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등의 기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그들의 조합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모습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에서 입력전압 상승에 따른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낮추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가변 오실레이터(10) 및 듀티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피드백 회로부(70) 및 스위치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가변 오실레이터(10)를 살펴본다. 가변 오실레이터(10)는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시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10)는 예컨대 전원공급장치 또는 DC-DC 컨버터의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전원공급장치 또는 DC-DC 컨버터의 파워 스위치(110)의 듀티를 제어하기 위한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오실레이터(10)를 구비하여 파워 스위치(110)의 구동을 위한 신호의 주파수를 1차측 입력전압에 따라 조절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전원공급장치인 SMPS의 1차측 입력전압을 파워 스위치 구동신호의 기준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가변 오실레이터(10)로 입력시키고, 가변 오실레이터(10)에서 1차측 입력전압에 따라 구동신호의 기준 주파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측 입력전압이 높아지면 파워 스위치(110)의 구동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질 수 있다.
1차측 입력전압은 가변 오실레이터(10)에 직접 또는 저항분배를 통해 모니터링 되고 입력받는다. 이때, 1차측 입력전압이 높아지면 예컨대 버퍼 증폭기(15)의 출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비교기(13)의 반전단자('-' 단자)로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높이게 된다. 이것은 비교기(13)의 출력이 반전되기 위해서는 좀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가변 오실레이터(10)의 출력신호인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지게 된다.
예컨대,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10)는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즉, 1차측 입력전압이 높을 경우 파워 스위치(110)를 온-오프시키는 구동신호의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전압의 상승에 따른 '스위칭 손실 증가분'과 주파수 저감에 따른 '스위칭 손실 감소분'을 상쇄시키며 파워 스위치(110)의 스위칭 손실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1차측 입력전압이 증가할수록 가변 오실레이터(10)에서 생성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가 감소되고 파워 스위치(110)의 구동신호의 주파수가 낮아짐에 따라, 온-오프 전환구간이 단위시간당 작아진다. 이에 따라 입력전압의 상승에 따른 '스위칭 손실 증가분'을 주파수 저감에 따른 '스위칭 손실 감소'에 의해 상쇄시켜 스위칭 손실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가변 오실레이터(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10)는 삼각파 생성기(11) 및 비교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10)는 증폭기, 예컨대 버퍼 증폭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가변 오실레이터(10)의 삼각파 생성기(11)를 살펴본다. 삼각파 생성기(11)는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삼각파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는 듀티 제어부(30)로 출력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한다. 이때,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스위칭 주파수가 변하면 생성되는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가 가변된다. 즉, 삼각파 생성기(11)에서는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구체적으로 스위칭 주파수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도 2를 참조하면, 삼각파 생성기(11)를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삼각파 생성기(11)는 전류원(11c), 충방전 커패시터(11b) 및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충방전 커패시터(11b)는 전류원(11c)에 연결되며 전류원(11c)을 충전용 공급전원으로 하여 스위칭 동작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반복한다. 충방전 커패시터(11b)의 충전과 방전의 반복에 따라 삼각파 신호가 생성된다. 삼각파 신호는 전류원, 충방전 커패시터(11b) 및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연결 노드에서 검출될 수 있다.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는 전류원(11c)의 하단에서 충전용 커패시터에 병렬되게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일단은 전류원(11c)과 충방전 커패시터(11b) 사이의 연결노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는 MOSFET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는 다음에서 설명될 비교기(13)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한다. 이때,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는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는 온-동작 시 충방전 커패시터(11b)의 충전전압을 그라운드로 방전시키고, 오프-동작 시 전류원으로부터 충방전 커패시터(11b)로의 충전이 수행되도록 한다.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스위칭 동작과 충방전 커패시터(11b)에서의 충방전에 따라 삼각파 신호가 생성되며,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스위칭 주파수가 변함에 따라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가 가변된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가변 오실레이터(10)의 비교기(13)를 살펴본다. 비교기(13)는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와 삼각파 생성기(11)로부터 출력되는 삼각파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한다. 예컨대, 비교기(13)로 입력되는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는 버퍼 증폭기(15)를 통해 출력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삼각파 신호는 비교기(13)의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출력에 따라 삼각파 생성기(11)로부터 피드백되는 주파수 가변 신호일 수 있다. 비교기(13)는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와 삼각파 신호의 비교를 통해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비교기(13)는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 및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가변 오실레이터(10)는 버퍼 증폭기(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퍼 증폭기(15)는 1차측 입력전압의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기(13)로 전달하는 전압 팔로워이다. 예컨대, 이때, 버퍼 증폭기(15)는 1차측 입력전압을 분배하는 전압분배부(130)로부터 감지된 1차측 입력전압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전압분배부(130)는 분배저항 R1과 R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의 듀티 제어부(30)를 살펴본다. 듀티 제어부(30)는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가변 오실레이터(10)로부터의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듀티 제어부(30)는 가변 오실레이터(10)로부터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기준신호롤 입력받으므로, 피드백신호와의 비교를 통해 듀티 뿐만 아니라 주파수도 가변되는 듀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듀티 뿐만 아니라 주파수도 가변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110)의 구동 주파수 및 듀티가 변하게 되고, 이때, 예컨대 입력전압 증가에 따른 스위칭 손실 증가분을 주파수 저감에 따른 스위칭 손실 감소분으로 상쇄시키며 파워 스위치(110)의 스위칭 손실이 개선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살펴본다. 이때,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피드백 회로부(70) 및 스위치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피드백 회로부(70)는 예컨대, 전원공급장치 또는 DC-DC 컨버터의 2차측으로부터 검출된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듀티 제어부(30)로 피드백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피드백 회로부(70)는 출력전압 분배부(400)로부터 감지된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출력전압 분배부(400)는 전원공급장치 또는 DC-DC 컨버터의 2차 출력 블럭으로부터 출력되는 2차측 출력신호를 분배하고 감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 구동부(50)는 듀티 제어부(30)의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스위치 구동부(5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플립플롭 등과 같은 디지털 출력회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MOSFET(51, 53)을 포함하는 아날로그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 구동부(50)는 제1 MSOFET(51) 및 제2 MOSFET(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MOSFET(51)은 듀티 제어부(30)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의 하이 신호에 동작되며 파워 스위치(110)로 구동 신호를 인가하여 파워 스위치(110)를 온-동작시킨다. 또한, 제2 MOSFET(53)은 듀티 제어신호의 로우 신호에 동작되며 파워 스위치(110)를 오프-동작시킨다. 예컨대, 도 2를 참조하면, 제1 MOSFET(51) 및 제2 MOSFET(53)은 모두 NMOS 스위치이고 제2 MOSFET(53)의 게이트단에 인버터(55)를 추가하여 스위치 구동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MOSFET(51)는 NMOS 스위치이고, 제2 MOSFET(53)은 PMOS 스위치로 구성하여 인버터(55)를 제외한 형태로 스위치 구동부(5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모습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모습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들 및 도 4가 참조될 것이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트랜스포머(100), 2차 출력 블럭(200),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및 파워 스위치(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모습에 따른 실시예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트랜스포머(100)는 1차측 입력전압을 받아 2차측 출력전압을 생성한다. 트랜스포머(100)는 1차측 권선과 2차측 권선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2차 출력 블럭(200)은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에 연결되며 부하(300)로 2차측 출력신호를 공급한다. 예컨대, 2차 출력 블럭(200)은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에서의 출력신호를 정류하는 정류 다이오드(201) 및 정류 다이오드(201)에서 정류된 2차측 출력신호를 충전시키는 충전 커패시터(2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2차 출력 블럭(200)에 부하(300)가 연결되고, 또한 2차 출력전압을 분배하는 출력전압 분배부(400)가 연결될 수 있다.
게다가,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 신호와 1차측 입력전압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로부터 파워 스위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가변 오실레이터(10) 및 듀티 제어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변 오실레이터(10)는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시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듀티 제어부(30)는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가변 오실레이터(10)로부터의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가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모습에 따른 실시예들을 참조하기로 한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의 가변 오실레이터(10)는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전압분배부, 피드백 회로부(70) 및 스위치 구동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압분배부는 1차측 입력전압을 분배하고, 분배하여 감지된 1차측 입력전압을 가변 오실레이터(10)로 제공한다. 또한, 피드백 회로부(70)는 전원공급장치의 2차측으로부터 검출된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듀티 제어부(30)로 피드백신호를 출력한다. 게다가, 스위치 구동부(50)는 듀티 제어부(30)의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계속하여, 도 1 및/또는 2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의 파워 스위치(110)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된다. 파워 스위치(110)의 구동에 따라 트랜스포머(100)를 통해 1차측 입력이 2차측으로 전달되어 2차측 출력전압이 생성되고 출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모습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전술한 제1 모습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들 및 도 1 내지 4가 참조될 것이고, 그에 따라 중복되는 설명들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 6 및/또는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은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100, S100', S100") 및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은 피드백신호 출력 단계(S200)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6 및/또는 7을 참조하면,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100, S100', S100")에서는, 가변 오실레이터(10)에서,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가 생성되어 출력된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에서는,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6 및/또는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100', S100")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출력 및 인가 단계(S110) 및 삼각파 신호 생성 및 피드백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출력 및 인가 단계(S110)에서는,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 및 피드백되는 삼각파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한다(S111). 또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출력 및 인가 단계(S110)에서는, 비교 결과 생성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듀티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해 출력하고 동시에 오실레이터 스위치(11a)로 인가한다(S113). 다음으로, 삼각파 신호 생성 및 피드백 단계(S130)를 살펴본다. 삼각파 신호 생성 및 피드백 단계(S130)에서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인가에 따른 오실레이터 스위치(11a)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삼각파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삼각파 신호 생성 및 피드백 단계(S130)에서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출력 및 인가 단계(S110)에서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와의 비교를 위해, 주파수 가변되는 삼각파 신호를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출력 및 인가 단계(S130)로 피드백 입력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100")는, 버퍼 증폭기(15)에서 1차측 입력전압의 신호를 입력받아 피드백되는 삼각파 신호와의 비교를 위해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 생성, 출력 및 인가 단계(S110)로 전달하는 단계(S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6 및/또는 7을 참조하면,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300)에서는,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듀티 제어부(30)에서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은 피드백신호 출력 단계(S200)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신호 출력 단계(S200)에서는, 2차측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듀티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해 피드백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파워 스위치 구동 단계(S500)에서는, 듀티 제어신호 생성 및 출력 단계(S300)에서 출력되는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파워 스위치(11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또한, 전술한 구성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른 실시예들이 앞선 구체적인 설명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을 포함하고 있다.
110 : 파워 스위치 30 : 구동 제어부
130 : 듀티 제어부 230 : 스위치 구동부
50 : 가변 오실레이터 51 : 오실레이터 스위치
52 : 전류원 53 : 충방전 커패시터
55 : 버퍼 증폭기 57 : 비교기
60 : 전압분배부 70 : 피드백 회로부
100 : 트랜스포머 200 : 2차 출력 블럭
300 : 부하 400 : 출력전압 분배부

Claims (14)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를 가변시켜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가변 오실레이터; 및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상기 가변 오실레이터로부터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듀티 제어부;를 포함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실레이터는:
상기 출력되는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른 오실레이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삼각파 생성기; 및
상기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와 상기 삼각파 생성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삼각파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하되,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 및 상기 삼각파 신호의 주파수 변화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실레이터는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비교기로 전달하는 버퍼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삼각파 생성기는:
전류원;
상기 전류원에 연결되며 상기 전류원을 충전용 공급전원으로 하여 스위칭 동작에 따라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는 충방전 커패시터; 및
상기 전류원의 하단에서 상기 충전용 커패시터에 병렬연결되어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하되, 온-동작 시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그라운드로 방전시키고 오프-동작 시 상기 전류원으로부터 상기 충방전 커패시터로의 충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오실레이터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가변 오실레이터는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청구항 5에 있어서,
검출되는 상기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듀티 제어부로 상기 피드백신호를 피드백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및
상기 듀티 제어부의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1차측 입력전압을 받아 2차측 출력전압을 생성하는 트랜스포머;
상기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 연결되며 부하로 2차측 출력신호를 공급하는 2차 출력 블럭;
청구항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및
상기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파워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공급장치.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의 가변 오실레이터는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는: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가변 오실레이터로 제공하는 전압분배부;
상기 2차측 출력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듀티 제어부로 상기 피드백신호를 피드백 출력하는 피드백 회로부; 및
상기 듀티 제어부의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1차측 입력전압의 변동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2차측 출력신호로부터 피드백된 피드백신호와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입력받아 파워 스위치 구동용 듀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1차측 입력전압에 따른 신호 및 피드백되는 삼각파 신호를 입력받아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생성되는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상기 듀티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해 출력하고 동시에 오실레이터 스위치로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인가에 따른 상기 오실레이터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주파수 가변되는 상기 삼각파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를 위해 피드백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버퍼 증폭기에서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피드백되는 상기 삼각파 신호와의 비교를 위해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청구항 10 내지 12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1차측 입력전압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듀티 제어용 기준신호의 주파수를 감소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청구항 13에 있어서,
검출된 상기 2차측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듀티 제어신호의 생성을 위해 상기 피드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듀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출력되는 상기 듀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파워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KR1020130095417A 2013-08-12 2013-08-12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KR102095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417A KR102095064B1 (ko) 2013-08-12 2013-08-12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US14/282,796 US20150043250A1 (en) 2013-08-12 2014-05-20 Circuit for driving power switch,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power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417A KR102095064B1 (ko) 2013-08-12 2013-08-12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066A true KR20150019066A (ko) 2015-02-25
KR102095064B1 KR102095064B1 (ko) 2020-03-30

Family

ID=5244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417A KR102095064B1 (ko) 2013-08-12 2013-08-12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043250A1 (ko)
KR (1) KR102095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84574B (zh) * 2015-12-31 2017-05-2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驅動電路及其所適用之壓電致動泵浦
CN106936332B (zh) * 2015-12-31 2019-11-05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驱动电路及其所适用的压电致动泵
JP6953176B2 (ja) * 2017-05-18 2021-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11181536B (zh) * 2018-11-13 2024-01-02 市光法雷奥(佛山)汽车照明系统有限公司 开关电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3984A (en) * 1985-04-19 1987-06-16 Sony Corporation Multiple scanning type television receiver
KR19990085361A (ko) * 1998-05-16 1999-12-06 김덕중 대기 모드를 가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20080259654A1 (en) * 2007-04-23 2008-10-23 Active-Semi International, Inc. Compensating for cord resistance to maintain constant voltage at the end of a power converter cord
KR20090021672A (ko) 2007-08-28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변환기,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회로 및 전력 변환방법
US20090153123A1 (en) * 2007-12-12 2009-06-18 Kraft Jonathan P Pwm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US20100053999A1 (en) 2008-09-02 2010-03-04 Kyung-Oun Jang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20120025329A (ko) * 2010-09-07 2012-03-1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듀티 조절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851A (en) * 1996-09-13 1999-09-28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witched-mode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JP3063755B1 (ja) * 1999-04-08 2000-07-1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圧電トランスインバ―タ
US6154375A (en) * 1999-10-08 2000-11-2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Soft start scheme for resonant converters having variable frequency control
US6396718B1 (en) * 2000-12-19 2002-05-2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Switch mode power supply using transformer flux sensing for duty cycle control
JP3610964B2 (ja) * 2002-05-13 2005-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0081686A (ja) * 2008-09-24 2010-04-08 Panasonic Corp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8531853B2 (en) * 2011-07-28 2013-09-10 Power Integrations, Inc. Variable frequency timing circuit for a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US8994351B2 (en) * 2011-08-02 2015-03-31 Power Integrations, Inc. Smooth mode transition plateau for a power supply controller
KR101353254B1 (ko) * 2012-06-28 2014-01-17 삼성전기주식회사 엘이디 직구동 회로, 엘이디 직구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3984A (en) * 1985-04-19 1987-06-16 Sony Corporation Multiple scanning type television receiver
KR19990085361A (ko) * 1998-05-16 1999-12-06 김덕중 대기 모드를 가지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
US20080259654A1 (en) * 2007-04-23 2008-10-23 Active-Semi International, Inc. Compensating for cord resistance to maintain constant voltage at the end of a power converter cord
KR20090021672A (ko) 2007-08-28 2009-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변환기, 이를 포함하는 전력관리 회로 및 전력 변환방법
US20090153123A1 (en) * 2007-12-12 2009-06-18 Kraft Jonathan P Pwm controller and method therefor
US20100053999A1 (en) 2008-09-02 2010-03-04 Kyung-Oun Jang Switching Mode Power Supply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KR20100027528A (ko) * 2008-09-02 2010-03-11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20025329A (ko) * 2010-09-07 2012-03-15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듀티 조절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064B1 (ko) 2020-03-30
US20150043250A1 (en)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10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ical power by means of capacitive coupling
US8233292B2 (en) Controller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of light sources
US8379413B2 (en) Circuit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converters including transformers
JP421086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01572499B (zh) 具间歇省电模式管理电路的切换式控制器
ITVA20090094A1 (it) Convertitore flyback dual mode e metodo di controllo della modalita' di funzionamento
KR20150019066A (ko) 파워 스위치 구동회로, 전원공급장치 및 파워 스위치 구동 방법
KR20150131116A (ko) 스위칭 레귤레이터들에서 100 퍼센트 듀티 사이클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
CN104767261A (zh) 通过零交叉补偿电流和电阻的电缆补偿
US20160282387A1 (en) Voltage detection method and circuit and associated switching power supply
EP4243574A3 (en) Bias power regulator circuit for isolated converters with a wide output voltage range
JP430818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およ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80004566A (ko) 펄스 전원 장치의 스위칭 회로
US20110242723A1 (en) Relay driver circuit
US9351361B2 (en) Driver circuit for light-emitting diodes
US65873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low power self-supply in switched mode power supplies
JP2013059186A (ja) 電源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US9660540B2 (en) Digital error signal comparator
KR20070031227A (ko) Dc-dc 변환기
KR101224818B1 (ko) 소프트 스타트 장치 및 파워컨버터
US9385607B2 (en) Safe electric power regulating circuit
US20060049800A1 (en) Low power control mode for power supply
US20200274533A1 (en) Swing control gate driver device
US20140125397A1 (en) Level converter for controlling switch
KR101034898B1 (ko)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의 스위칭 소자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