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703A - 분배기 박스 - Google Patents
분배기 박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8703A KR20150018703A KR20130094475A KR20130094475A KR20150018703A KR 20150018703 A KR20150018703 A KR 20150018703A KR 20130094475 A KR20130094475 A KR 20130094475A KR 20130094475 A KR20130094475 A KR 20130094475A KR 20150018703 A KR20150018703 A KR 201500187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ing
- slit
- piece
- distributor
- spac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3—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comprising junction pieces for four or more pip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기 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박스의 구성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건물의 슬래브(12) 또는 벽체(10)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함본체(20); 상기 함본체(20)의 내벽면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에 결합되어 상기 함본체(20)에 내장되는 분배기(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28)를 포함하며, 상기 함본체(20)는 내부에 전면부와 배면부가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은 상기 함본체(20)의 전면부에서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에 상기 스페이서(28)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상기 분배기(2)가 삽입되어 위치가 셋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함본체(20)의 전면부와 배면부에는 각각 커버(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배기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분배기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등에서 우수한 새로운 분배기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물은 설계 형태에 따라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과정을 통해 시공되며, 콘크리트 시공 중에 해당 건축물의 실내에 설치될 여러 급수전, 예를 들어 욕실, 주방, 다용도실 등의 급수전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배관도 함께 이루어지며, 이러한 급수배관에는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각 급수전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도록 분배기가 사용된다. 최근에는 시공 중의 설치작업 편의성과 시공 후의 유지보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분배기 박스에 상기 분배기를 수용하여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매입 설치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즉, 분배기는 대략 사각 박스형 분배기 박스에 내장되고, 분배기 박스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벽체나 슬라브에 매입되므로, 분배기가 콘크리트 구조물(주로, 벽체나 슬라브)에 매입 설치되도록 한다.
분배기 박스는 전방부가 개방된 수용공간을 구비한 함본체와, 이러한 함본체의 개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져서, 분배기 박스가 슬라브 또는 벽체에 매입 설치되며, 상기 함본체 내부의 분배기로부터 각 급수전으로 연결되는 급수관을 건물의 슬라브 및 벽체를 통해 배관하고 있다. 이때, 각각의 급수관은 외부관체에 내장된 상태로 배관되어 건물 시공 후 외부관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분배기 박스는 함본체 내부에 분배기를 수용하여 급수관을 분배기에 연결하는 작업 등을 수행할 때에 분배기가 자리를 잡고 고정되지 못하여 작업상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분배기 박스의 경우, 함본체 내부에 수용된 분배기의 설치 위치를 원하는 데로 조절할 수 없어서 현장 설치 작업시 불편이 초래된다. 즉, 함본체의 내부에 분배기를 수용하되, 분배기의 설치 위치를 함본체 내부의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없어서 현장 설치시 불편이 초래될 수밖에 없다. 분배기에 접속되는 급수관의 길이나 기타 조건에 의해 분배기를 분배기 박스의 함본체 내부에서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고, 함본체에는 하나의 분배기가 설치되기보다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배기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두 개 이상의 분배기를 함본체 내부에서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는데, 기존에는 분배기를 내부에서 위치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 미흡하고, 분배기의 위치 조절과 함께 분배기를 함본체 내부에 안정적으로 셋팅하여 급수관 연결 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에서도 미흡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부인 함본체 내부에서 분배기를 안정적으로 위치 셋팅하여 급수관 연결 등의 작업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배기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성 등에서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분배기 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건물의 슬래브 또는 벽체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함본체; 상기 함본체의 내벽면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 상기 스페이싱 슬릿에 결합되어 상기 함본체에 내장되는 분배기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가 제공된다.
상기 함본체는 내부에 전면부와 배면부가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은 상기 함본체의 전면부에서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에 상기 스페이서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상기 분배기가 삽입되어 위치가 셋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함본체의 전면부와 배면부에는 각각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서는 기단부에 좌우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서트편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은 내부에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인서트편이 결합되는 인서트 슬릿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슬릿부는 상기 함본체의 내벽면으로 개구된 가이드 슬릿부에 연통되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싱 슬릿의 상기 가이드 슬릿부에 결합되고 상기 스페이서 기단부의 상기 인서트편은 상기 스페이싱 슬릿의 상기 인서트 슬릿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스페이싱 슬릿에 의해 확보된 스페이싱편이 상기 함본체의 내벽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싱편은 상기 함본체의 좌우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싱편은 좌우 너비가 서로 다른 제1스페이싱편과 제2스페이싱편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스페이싱편의 좌우 너비는 상기 제2스페이싱편의 좌우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함본체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스페이싱편과 제2스페이싱편이 교대로 배치된다.
상기 함본체의 상기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과 인접된 위치에 제1스페이싱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페이싱편과 상기 함본체의 일측 측면부 사이에 제2스페이싱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스페이싱편과 상기 함본체의 일측 측면부 사이에 제1스페이싱편이 구비된다.
상기 제1스페이싱편과 상기 제2스페이싱편은 상기 함본체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스페이싱편과 상기 제2스페이싱편은 상기 함본체의 내벽면에 좌우 측면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상기 함본체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 위치에 구비된 센터 스페이싱 슬릿과, 상기 센터 스페이싱 슬릿의 외측 위치에 구비된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과,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의 외측 위치에 구비된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및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의 외측 위치에 배치된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스페이싱 슬릿과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에 의해 상기 제1스페이싱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과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에 의해 상기 제2스페이싱편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과 상기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에 의해 다른 제1스페이싱편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과 제3스페이싱 슬릿 사이의 거리와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과 상기 제2스페이싱 슬릿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페이싱편의 좌우 너비는 상기 제1스페이싱편의 좌우 너비의 두 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박스에 의하면, 함본체의 내부의 수용 공간에 분배기가 내장된 상태에서 함본체에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형성되면서 동시에 함본체의 좌우 양쪽 측면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 중에서 적절한 스페이싱 슬릿을 채택하여 각각의 스페이싱 슬릿에 스페이서를 끼워줌으로써, 서로 이웃한 스페이서에 의해 분배기를 양쪽 위치에서 지지하여 위치를 셋팅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분배기의 급수관 포트에 급수관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분배기 박스 내부에서의 제반 작업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필요에 따라 함본체 내부에 구비된 각 스페이싱 슬릿을 채택하여 스페이서가 결합되는 위치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함본체 내부에 분배기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성 등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함본체 내부에서 분배기에 구비된 급수관 포트에 급수관을 연결할 때에 함본체의 측벽부(좌우 양쪽 측벽부)와 분배기 사이의 공간이 좁을 경우, 상기 스페이서를 함본체에 형성된 스페이싱 슬릿 중에서 적절한 스페이싱 슬릿을 채택하여 스페이서를 끼운 다음, 두 개의 스페이서 사이에 분배기를 배치함으로써, 분배기와 함본체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함본체의 좌우 측벽부와 분배기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함본체 내부에서 분배기에 급수관을 연결하는 제반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배기 박스의 주요부인 커버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스페이서와 함본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페이서와 함본체에 결합되는 분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배기가 함본체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서와 분배기의 위치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분배기를 함본체에 중첩시켜 내장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스페이서와 함본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페이서와 함본체에 결합되는 분배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분배기가 함본체에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서와 분배기의 위치 변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분배기를 함본체에 중첩시켜 내장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박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건물의 슬래브(12) 또는 벽체(10)에 매입되도록 설치되는 함본체(20)와, 이러한 함본체(20)의 내벽면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과,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에 결합되어 함본체(20)에 내장되는 분배기(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28)를 구비한다.
상기 함본체(20)는 내부에 분배기(2)를 내장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구비된다. 함본체(20)는 전후 좌우 방향 측벽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배면부는 개방된 대략 사각 테두리 형태의 박스 바디(21)와, 박스 바디(21)의 전면부와 배면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커버(22)를 포함한다. 함본체(20)의 전면부와 배면부는 각각 커버(22)에 의해 닫을 수 있는 구조이며, 이러한 함본체(20) 전면부와 배면부에 각각 하나씩 커버(22)가 결합된 구조의 함본체(20)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함본체(20)의 네 코너부에 체결보스가 구비되고, 각각의 커버(22)의 코너부에는 체결구홀이 구비되어, 커버(22)를 박스 바디(21)의 전면부와 배면부에 끼워지도록 결합한 상태에서 커버(22)의 체결구홀에 결합된 볼트 등의 체결구를 함본체(20)의 코너부에 구비된 체결보스에 조여줌으로써 박스 바디(21) 전면부와 배면부에 한 개씩의 커버(22)가 결합된 구조의 함본체(20)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함본체(20)의 좌우 양쪽 측벽부에는 분배기(2)의 급수관 포트(2a)와 연결되는 각 급수관(131)이 통과되어 들어오는 복수개의 관삽입공(21h)이 구비된다. 관삽입공(21h)은 함본체(20)의 양쪽 측벽부에 전면부에서 배면부 방향으로 두 개 열로 구비된다. 다시 말해, 관삽입공(21h)은 전방 열의 복수개의 관삽입공(21h)과 후방 열의 복수개의 관삽입공(21h)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함본체(20)는 설치 시 고정을 위해 외부에 결합돌부(23)가 구비되고, 배근된 철근이나 다른 선형결합부재가 삽입되는 결합홈(23h)이 결합돌부(23)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함본체(20)의 상부 측벽부(20UW)와 하부 측벽부(20LW) 외부에 상기 결합돌부(23)와 결합홈(23h)이 구비된다.
상기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에 구비된 관삽입공(21h) 중에서 급수관(4)이 들어오지 않는 관삽입공(21h)은 캡으로 막게 된다. 이때, 캡은 내외측단에 각각 플랜지와 걸림편을 구비한 구조이다. 이때, 걸림편은 캡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또한, 캡은 일정한 탄성을 가진 재질(고무나 유연성이 있는 아크릴 등)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함본체(20)의 관삽입공(21h) 중에서 급수관(4)이 들어오지 않는 관삽입공(21h)에 캡을 끼우면, 캡 외측단의 플랜지는 함본체(20)의 측벽부 외측면에서 관삽입공(21h)의 둘레벽에 걸려지는 한편, 캡 내측단의 걸림편은 함본체(20)의 측벽부 내측면에서 관삽입공(21h)의 둘레벽에 걸려지므로, 캡이 함본체(20)의 관삽입공(21h)을 안정적으로 막아주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은 캡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된 구조라서, 상기 캡을 함본체(20)의 관삽입공(21h)에 끼울 때에 각 걸림편이 적당하게 벤딩되면서 관삽입공(21h)에 캡이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결합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분배기(2)는 원통형 몸체(102)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의 급수관 포트(2a)가 구비된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며, 분배기(2)의 급수관 포트(2a)에는 각 입출구(103)에 배관될 급수관(131)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분배기(2)가 병렬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분배기(2)의 수량 및 배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함본체(20)의 내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는 스페이싱 슬릿(24)과 스페이서(28)가 구비된다.
상기 함본체(20)는 상부 측벽부(20UW)와 하부 측벽부(20LW)에 좌우 양쪽 측벽부를 구비한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함본체(20)의 상부 측벽부(20UW) 내벽면과 하부 측벽부(20LW) 내벽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이 구비된다. 스페이싱 슬릿(24)은 함본체(20)의 전면부에서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일자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싱 슬릿(24)은 내부에 후술할 스페이서(28)의 인서트편(28a)이 결합되는 인서트 슬릿부(24a)를 구비하고, 이러한 인서트 슬릿부(24a)는 함본체(20)의 내벽면으로 개구된 가이드 슬릿부(24b)에 연통된다. 즉, 인서트 슬릿부(24a)와 가이드 슬릿부(24b)가 스페이싱 슬릿(24)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슬릿부(24a)는 안쪽면에서 가이드 슬릿부(24b) 방향으로 갈수록 그 좌우 폭이 점점 줄어드는 단면 삼각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스페이싱 슬릿(24)에 의해 확보된 스페이싱편이 함본체(20)의 내벽면(함본체(20)의 상부 측면부와 하부 측면부의 내벽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싱편은 함본체(20)의 좌우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스페이싱편은 좌우 너비가 서로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을 포함한다. 제1스페이싱편(26a)의 좌우 너비는 제2스페이싱편(26b)의 좌우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구성되어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과 인접된 위치에 제1스페이싱편(26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과 함본체(20)의 일측 측면부 사이에 제2스페이싱편(26b)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과 함본체(20)의 일측 측면부 사이에 제1스페이싱편(26a)이 구비된다. 또한,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은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함본체(20)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에 양쪽 위치에 하나씩 총 두 개씩의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이 구비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은 함본체(20)의 내벽면에 좌우 측면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은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 위치에 구비된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과, 이러한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의 외측 위치에 구비된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의 외측 위치에 구비된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 및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의 외측 위치에 배치된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의해 제1스페이싱편(26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에 의해 제2스페이싱편(26b)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에 의해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슬릿과 스페이싱편이 함본체(20)의 상부 측벽부(20UW) 내벽면과 하부 측벽부(20LW) 내벽면에 구비되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제3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와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제2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에서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 사이에 확보된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을 합친 거리(D1)가 제3스페이싱 슬릿(24)과 제1스페이싱 슬릿(24) 사이에 확보된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을 합친 거리(D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을 합친 거리(D1)가 4cm이고 상기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을 합친 거리(D1)가 마찬가지로 4cm가 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거리(D1) 4cm는 분배기(2)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에서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 사이의 거리(D1)가 4cm이고,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에서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 사이의 거리(D1)도 4cm인데, 이러한 거리(D1) 4cm는 분배기(2)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제3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와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제2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함본체(20)의 벽면과 분배기(2) 사이에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작업자는 상기 함본체(20)의 벽면과 분배기(2) 사이에 확보된 공간에 손을 집어넣고 함본체(20)의 관삽입공(21h)으로 들어온 급수관(4)을 분배기(2)에 연결하는 작업 등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함본체(20)의 좌우 양쪽 측변부와 직교하는 중심선에서 상기 좌우 양쪽 측면부의 내벽면 방향으로 좌우 폭이 서로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이 교대로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에는 스페이서(28)가 결합된다. 스페이서(28)는 기단부에 좌우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서트편(28a)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인서트편(28a)은 스페이서(28)의 선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좌우 너비가 점점 줄어드는 삼각 단면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가진다. 인서트편(28a)은 스페이서(28)의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스페이서(28)의 좌우 양쪽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이다. 인서트편(28a)은 스페이서(28)의 기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좌우 너비가 점점 커지는 삼각 단면 형상의 돌기 구조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함본체(20)에 구비된 스페이싱 슬릿(24)은 내부에 스페이서(28)의 인서트편(28a)이 결합되는 인서트 슬릿부(24a)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슬릿부(24a)는 함본체(20)의 내벽면으로 개구된 가이드 슬릿부(24b)에 연통되므로, 상기 스페이서(28)가 스페이싱 슬릿(24)의 가이드 슬릿부(24b)에 결합되고, 상기 스페이서(28) 기단부의 인서트편(28a)은 스페이싱 슬릿(24)의 인서트 슬릿부(24a)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28) 기단부의 삼각 단면 돌기 형상의 인서트편(28a)이 스페이싱 슬릿(24)의 삼각 단면 홈 형태의 인서트 슬릿부(24a)에 딱 맞게 결합되고, 스페이서(28)는 상기 함본체(20)의 상부 측면부 내벽면과 하부 측면부 내벽면으로 돌출되어 두 개의 서로 이웃한 스페이서(28)가 분배기(2)를 양쪽 위치에서 지지함으로써, 분배기(2)가 함본체(20) 내부에 위치가 셋팅되도록 할 수 있다. 스페이서(28)를 함본체(20)에 내벽면에 형성된 스페이싱 슬릿(24)에 끼워넣거나 스페이싱 슬릿(24)에서 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분배기 박스에 의하면, 함본체(20)의 내부의 수용 공간에 분배기(2)가 내장된 상태에서 함본체(20)에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형성되면서 동시에 함본체(20)의 좌우 양쪽 측면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 중에서 적절한 스페이싱 슬릿(24)을 채택하여 각각의 스페이싱 슬릿(24)에 스페이서(28)를 끼워줌으로써, 서로 이웃한 스페이서(28)에 의해 분배기(2)를 양쪽 위치에서 지지하여 위치를 셋팅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분배기(2)의 급수관 포트(2a)에 급수관을 연결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분배기 박스 내부에서의 제반 작업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필요에 따라 함본체(20) 내부에 구비된 각 스페이싱 슬릿(24)을 채택하여 스페이서(28)가 결합되는 위치를 다르게 변경함으로써 함본체(20) 내부에 분배기(2)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성 등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함본체(20)의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을 기준으로 한쪽의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스페이서(28)를 끼워서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분배기(2)가 지지되도록 함본체(20)에 내장하고, 함본체(20)의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을 기준으로 다른 쪽의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스페이서(28)를 끼워서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분배기(2)가 지지되도록 함본체(20)에 내장함으로써 두 개의 분배기(2)를 함본체(20)에 내장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함본체(20)의 센서 스페이싱 슬릿(24)을 기준으로 하는 양쪽 위치 중에서 어느 한쪽의 스페이서(28)를 센서 스페이싱 슬릿(24)과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에 끼워서 한쪽의 분배기(2)의 위치를 달리 셋팅하거나 또는 상기 함본체(20)의 센서 스페이싱 슬릿(24)을 기준으로 하는 양쪽 위치 중에서 다른 한쪽의 스페이서(28)를 센서 스페이싱 슬릿(24)과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에 끼워서 다른 쪽의 분배기(2)의 위치를 달리 셋팅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시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분배기(2)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함본체(20)의 센서 스페이싱 슬릿(24)을 기준으로 하는 양쪽 위치의 스페이서(28)를 센서 스페이싱 슬릿(24)과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에 끼워서 한쪽의 분배기(2)의 위치를 달리 셋팅하고 동시에 다른 한쪽의 스페이서(28)를 센서 스페이싱 슬릿(24)과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에 끼워서 다른 쪽의 분배기(2)의 위치를 달리 셋팅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분배기(2)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성 등에서 우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본체(20) 내부에서 분배기(2)에 구비된 급수관 포트(2a)에 급수관을 연결할 때에 함본체(20)의 측벽부(좌우 양쪽 측벽부)와 분배기(2) 사이의 공간이 좁을 경우, 상기 스페이서(28)를 함본체(20)에 형성된 스페이싱 슬릿(24) 중에서 적절한 스페이싱 슬릿(24)을 채택하여 스페이서(28)를 끼운 다음,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분배기(2)를 배치함으로써, 분배기(2)와 함본체(20)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함본체(20)의 좌우 측벽부와 분배기(2)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함본체(20) 내부에서 분배기(2)에 급수관을 연결하는 제반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함본체(20)의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하나씩 스페이서(28)를 끼우고,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분배기(2)를 끼워서 셋팅했을 때에 상기 분배기(2)와 함본체(20)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 상기 두 개의 스페이서(28)를 함본체(20)의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에 끼워서 두 개의 스페이서(28)의 결합 위치를 변경하고, 위치 변경된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분배기(2)를 끼워서 위치를 셋팅하면, 분배기(2)와 함본체(20)의 측면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충분히 확보된 공간에서 분배기(2)의 급수관 포트(2a)에 급수관을 연결하는 등의 제반 작업을 보다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배기(2)의 급수관 포트(2a)에 급수관을 연결하는 등의 제반 작업이 끝나면 다시 두 개의 스페이서(28)를 함본체(20)의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에서 빼내고 분배기(2)를 급수관을 끼울 때보다 함본체(20)의 측면부 방향으로 더 근접된 위치로 이동(즉, 분배기(2)의 양쪽이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 사이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상기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스페이서(28)를 결합하여, 상기 분배기(2)를 두 개의 스페이서(28)에 의해 위치가 셋팅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함본체(20) 내부에서 분배기(2)를 안정적으로 위치 셋팅하여 급수관 연결 등의 작업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한 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에 차이를 두어서 좌우 너비가 다른 스페이싱편을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분배기(2)의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 작업성 등에서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분배기 박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에 차이를 두어서 좌우 너비가 다른 스페이싱편을 구비함으로써 분배기(2)와 함본체(20)의 측면부 내벽면 사이의 충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본체(20) 내벽면의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과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하나씩 두 개의 스페이서(28)를 끼워서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분배기(2)가 배치되도록 하였을 때에 분배기(2)와 함본체(20)의 측면부 사이의 확보 공간이 협소하면, 작업자는 스페이서(28)를 빼내서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센서 스페이싱 슬릿(24)을 쉽게 찾아서 각각 스페이서(28)를 끼우고, 이처럼 위치가 변경되어 결합된 두 개의 스페이서(28)에 의해 분배기(2)를 위치 셋팅함으로써 분배기(2)와 함본체(20)의 측면부 사이의 작업 공간을 보다 신속하게 손쉽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현장 작업시 보다 신속 용이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함본체(20)의 전후면 커버(22)에는 확인구가 구비되고, 커버(22)의 확인구는 캡으로 막게 되는데, 캡은 내외측단에 각각 플랜지와 걸림편을 구비한 구조이다. 이때, 걸림편은 캡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캡의 재질은 일정한 탄성을 가진 재질(고무나 유연성이 있는 아크릴 등)로 구성된다. 그리고, 캡은 반투명 또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함본체(20) 내부를 외부에서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커버(22)의 확인구에 캡을 끼우면, 캡 외측단의 플랜지는 커버(22)의 외측면에서 확인구의 둘레벽에 걸려지는 한편, 캡 내측단의 걸림편은 커버(22)의 내측면에서 확인구의 둘레벽에 걸려지므로, 캡이 커버(22)의 확인구를 안정적으로 막아주게 되는 한편 함본체(20)에 내장된 분배기(2)에 급수관이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등의 여부를 반투명 또는 투명의 캡을 통해 들여다보고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편은 캡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나로 이어지는 구조가 아니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배치된 구조라서, 상기 캡을 커버(22)의 확인구에 끼울 때에 각 걸림편이 적당하게 벤딩되면서 커버(22)의 확인구에 캡이 보다 원활하고 손쉽게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함본체(20) 내부에 두 개의 분배기(2)를 함본체(20)의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함본체(20) 내벽면의 스페이싱 슬릿(24)에 스페이서(28)가 탈부착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구조라서, 두 개의 스페이서(28)에 두 개의 분배기(2)를 중첩되도록 함본체(20)에 내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분배기 박스의 좌우 폭을 보다 줄일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함본체(20) 내부의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 중에서 두 개의 스페이싱 슬릿(24)을 채택하여 각각 하나씩 스페이서(28)를 끼우고,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함본체(20)의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게 두 개의 분배기(2)를 내장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분배기 박스의 좌우 폭을 보다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분배기 박스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2. 분배기 4. 급수관
20. 함본체 21. 박스 바디
22. 커버 24. 스페이싱 슬릿
24CS. 센터 스페이싱 슬릿 24S1.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24S2.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24S3.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26a. 제1스페이싱편 26b. 제2스페이싱편
28. 스페이서 28a. 인서트편
20. 함본체 21. 박스 바디
22. 커버 24. 스페이싱 슬릿
24CS. 센터 스페이싱 슬릿 24S1.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24S2.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24S3.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
26a. 제1스페이싱편 26b. 제2스페이싱편
28. 스페이서 28a. 인서트편
Claims (10)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본체(20);
상기 함본체(20)의 내벽면 중에서 서로 마주하는 내벽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에 결합되어 상기 함본체(20)에 내장되는 분배기(2)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스페이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본체(20)는 내부에 전면부와 배면부가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은 상기 함본체(20)의 전면부에서 배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홈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에 상기 스페이서(28)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스페이서(28) 사이에 상기 분배기(2)가 삽입되어 위치가 셋팅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함본체(20)의 전면부와 배면부에는 각각 커버(2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8)는 기단부에 좌우 너비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서트편(28a)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바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은 내부에 상기 스페이서(28)의 상기 인서트편(28a)이 결합되는 인서트 슬릿부(24a)를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 슬릿부(24a)는 상기 함본체(20)의 내벽면으로 개구된 가이드 슬릿부(24b)에 연통되어, 상기 스페이서(28)는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의 상기 가이드 슬릿부(24b)에 결합되고 상기 스페이서(28) 기단부의 상기 인서트편(28a)은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의 상기 인서트 슬릿부(24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 중에서 서로 이웃한 두 개의 스페이싱 슬릿(24)에 의해 확보된 스페이싱편이 상기 함본체(20)의 내벽면에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싱편은 상기 함본체(20)의 좌우 양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이루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스페이싱편은 좌우 너비가 서로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의 좌우 너비는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의 좌우 너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작도록 구성되어 상기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스페이싱편(26a)과 제2스페이싱편(26b)이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본체(20)의 상기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과 인접된 위치에 제1스페이싱편(26a)이 구비되고,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과 상기 함본체(20)의 일측 측면부 사이에 제2스페이싱편(26b)이 구비되고,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과 상기 함본체(20)의 일측 측면부 사이에 제1스페이싱편(26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과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은 상기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쪽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과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은 상기 함본체(20)의 내벽면에 좌우 측면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개의 스페이싱 슬릿(2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싱 슬릿(24)은 상기 함본체(20)의 좌우 측면부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 위치에 구비된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과, 상기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의 외측 위치에 구비된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의 외측 위치에 구비된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 및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의 외측 위치에 배치된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을 포함하며, 상기 센터 스페이싱 슬릿(24CS)과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에 의해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에 의해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이 형성되며,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상기 제3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3)에 의해 다른 제1스페이싱편(26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1)과 제3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와 상기 제2아웃터 스페이싱 슬릿(24S2)과 상기 제2스페이싱 슬릿(24) 사이의 거리(D1)와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페이싱편(26b)의 좌우 너비는 상기 제1스페이싱편(26a)의 좌우 너비의 두 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 박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4475A KR101561632B1 (ko) | 2013-08-09 | 2013-08-09 | 분배기 박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4475A KR101561632B1 (ko) | 2013-08-09 | 2013-08-09 | 분배기 박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8703A true KR20150018703A (ko) | 2015-02-24 |
KR101561632B1 KR101561632B1 (ko) | 2015-10-22 |
Family
ID=5257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4475A KR101561632B1 (ko) | 2013-08-09 | 2013-08-09 | 분배기 박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16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0360B1 (ko) * | 2020-06-11 | 2020-11-18 | (주)그린씨엠 | 분배 헤드들의 장착이 용이한 배관용 분배 박스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87304Y1 (ko) | 2000-01-24 | 2000-07-01 | 박찬식 | 책꽂이 |
KR200439580Y1 (ko) * | 2006-11-13 | 2008-04-21 | (주)파워클 | 분배기 박스 |
KR100964959B1 (ko) * | 2009-08-31 | 2010-06-21 | 주식회사 엑스텍 | 박스형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수도설비시스템 |
-
2013
- 2013-08-09 KR KR1020130094475A patent/KR10156163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1632B1 (ko) | 2015-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7210017B2 (en) | Communications panel assemblies and methods for mounting the same | |
Aaij et al. | The LHCb upgrade I | |
ES2791060T3 (es) | Cajón | |
CA2837762C (en) | Cable holding element | |
US10113345B2 (en) | Cover of inspection chamber | |
WO2007087002A3 (en) | Molded panel, molded panel system and connection system | |
KR101561632B1 (ko) | 분배기 박스 | |
EP2366838A1 (en) | Frame for fixing sanitary fixtures to a wall | |
US9603468B2 (en) | Holding device for a bracket in a storage system | |
CN104913471A (zh) | 管线安装挡板组件及空调器 | |
KR101613490B1 (ko) | 무볼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 |
KR20120140362A (ko) |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 |
WO2016155817A1 (en) | A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an improved detergent receptacle handle mechanism | |
US20210184390A1 (en) | Connector mounting rack and patch panel system thereof | |
KR20180099314A (ko) | 조립식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 |
CN206145914U (zh) | 格栅固定结构和空调室内机 | |
USD598570S1 (en) | Mesh fence panel | |
CN221298114U (zh) | 伸缩排水槽 | |
JP2015187350A (ja) | 便器設備 | |
KR101290132B1 (ko) | 다중비닐하우스 축조용 고정클램프 | |
KR100923103B1 (ko) | 꽃탑 프레임 | |
IT201600087521A1 (it) | Cassetta di risciacquo con dispositivo regolabile di fissaggio a parete | |
EP2803766A1 (en) | Drainage system for road surfaces | |
IT202000004975A1 (it) | Gruppo di collegamento di un elemento di copertura ad una struttura di mobile e modulo di mobile comprendente detto gruppo di collegamento | |
CN205338302U (zh) | 藤编式组合沙发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