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406A - 금융기기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406A
KR20150017406A KR1020130069911A KR20130069911A KR20150017406A KR 20150017406 A KR20150017406 A KR 20150017406A KR 1020130069911 A KR1020130069911 A KR 1020130069911A KR 20130069911 A KR20130069911 A KR 20130069911A KR 20150017406 A KR20150017406 A KR 20150017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sensor
inclined surface
unit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689B1 (ko
Inventor
문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69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6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투입 또는 방출되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반송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융기기{Financial device}
본 발명은 금융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금융기기는 지폐 또는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는 반송로 상에서 매체가 이송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송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감지 센서는, 일 예로 IR 센서일 수 있다. 상기 IR 센서는, 적외선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R 센서의 작동 원리는, 매체가 이송되면서 상기 수광부를 가리게 되면 상기 발광부에서 출광된 빛을 상기 수광부에서 수광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때 매체가 이송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 감지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에 이물질, 먼지 등의 지분이 쌓이게 되면, 상기 이송 감지 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면서 금융기기의 장애가 초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 또는 수광부에 지분이 묻어 상기 수광부가 빛을 수광하지 못하는 경우 매체가 이송되는 않는 경우에도 상기 매체가 이송되는 것으로 오판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의 표면을 자동으로 청소하면서도 매체가 센서를 통과하면서 센서 표면을 청소할 때 매체의 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기기는, 매체가 투입 또는 방출되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반송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부가 반송로의 일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어 배치되므로 센서 표면이 매체에 의해 원활하게 청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체가 센서부를 통과할 때 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 례로 지폐, 증권(수표를 포함),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 처리, 지로 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 처리, 지로 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 방출기 (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 (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 (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 (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 업무를 자동화하는 다양한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지폐와 수표를 함께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는 매체 입출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매체 입출부(13)는, 고객에 의해 접근 가능한 매체 수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은 셔텨(shutter) 또는 커버(cover) 등과 같은 가림부재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으며, 때로는 개폐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는 통장의 입출을 위한 통장 입출부(14)와, 카드의 입출을 위한 카드 입출부(15)와, 금융 처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고객 조작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지폐가 임시로 집적되는 지폐 임시 집적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폐 임시 집적부(30)는 고객이 지폐를 상기 금융기기(1)에 입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매체 입출부(13)를 통하여 수납된 지폐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지폐 임시 집적부(30)에 집적된 지폐는 고객이 지폐 수납을 최종적으로 결정한 때에 후술할 지폐 보관함(41, 42, 43)으로 이송된다.
상기 금융기기(1)는, 매체를 보관하기 위한 매체 보관함(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 보관함(40)은, 하나 이상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하나 이상의 수표 보관함(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및 수표 보관함(44)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에는, 이송된 지폐가 인입되기 위한 입구와,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내부에 집적된 지폐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외관을 구성하는 박스(box)의 상단에 상기 입구와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내부에는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외부로부터 이송된 지폐를 나란히 집적되도록 하는 매체 집적수단과, 집적된 지폐를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외부로 이송하는 매체 픽업수단(Pick-up means)이 함께 구비된다. 즉,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에 저장된 지폐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입금된 지폐가 상기 지폐 보관함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알려진 구성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의 구조, 지폐의 배출 가능 여부 및 지폐의 투입 가능 여부는 위에서 설명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지폐 보관함(40)은 중력 방향으로 매체가 집적될 수 있도록 중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금융기기(1)의 내부에서 하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에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이 수직 방향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상기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상기 복수의 지폐 보관함(41, 42, 43)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수표 보관함(44)에는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수표 입금함(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금함(54)에는 정상적으로 입금된 수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표 입금함(54)과 상기 수표 보관함(44)은 분리된 별도의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수표 입금함(54)과 상기 수표 보관함(44)이 단일의 보관함 내에 구비되고, 다만, 단일의 보관함 내부의 공간이 입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공간과 출금을 위한 수표가 저장되는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금융기기(1)는, 입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저장되는 제1회수함(50)과, 출금 과정에서 불량인 것으로 판단되는 지폐 또는 수표가 저장되는 제2회수함(52)과, 회수 보충함(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함(52) 및 상기 제2회수함(52)은 각각 다수 개로 구비되어, 수표 회수함과 지폐 회수함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수 보충함(60)은 지폐 또는 수표를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또는 수표 보관함(44)에 보충하거나, 상기 지폐 보관함(41, 42, 43) 또는 수표 보관함(44)으로부터 지폐 또는 수표를 회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금융기기(1)는 출금을 위하여 상기 매체 입출부(13)로 방출된 매체를 고객이 미수취한 경우에 미수취 매체가 회수되는 제3회수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융기기(1)에서, 상기 회수함(50, 52) 및 회수 보충함(60)은 생략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수함(50, 52) 및 회수 보충함(60)의 개수에도 제한이 없다.
상기 금융기기(1)는 감별부(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별부(20)는 매체를 수납하거나 인출할 때 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출부(13)와 상기 감별부(20) 사이에는 지폐와 수표를 공통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1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별부(20)는, 광학식 문자 판독기OCR: Optical character reader) 및 자기잉크 문자 판독기(MICR: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감별부(도 2의 20 참조)는, 매체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 장치(25)는, 상기 감별부(도 2의 20 참조)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감지 장치(25)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감지 장치(25)는, 매체가 이송되는 통로인 반송로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감지 장치(25)는,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감지 장치(25)는, 매체가 이송되는 통로가 있는 부분에서는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장치(25)는, 매체(500)의 이송 통로가 되는 반송로(150), 상기 매체(500)의 이송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10, 420) 및 상기 반송로(150)를 형성하고 상기 센서부(410, 420)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부(100, 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10, 420)는, 상기 감별부(20)로 유입되는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10, 420)는, 일 예로 IR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IR 센서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수광부로 조사될 수 있다. 매체가 상기 IR 센서를 통과할 때,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상기 매체로 조사되므로 상기 수광부는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수광부에서 빛을 수광하는지 여부에 따라 매체의 이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센서부(410, 420)는, CIS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CIS 센서는, 매체의 이송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이고, 상기 반송로(150) 상에 하나만 구비되어도 매체의 이송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센서부(410, 42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센서부(410, 420)는, 상기 반송로(1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 센서부(410) 및 상기 반송로(15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 센서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10, 420)는 감지된 매체(500)의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410, 420)는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100, 200)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센서부(410)는, 상부 가이드부(10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하부 센서부(420)는, 하부 가이드부(20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센서부(410)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100)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센서부(420)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상면은, 도 3에 도시된 매체(50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센서부(410)는, 도 3에 도시된 매체(50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상부 가이드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하면은, 상기 매체(50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센서부(420)는, 매체(50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기 하부 가이드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상기 매체(500)가 이송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상부 센서부(410)와 상기 하부 센서부(420)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반송로(150)의 상하 길이는,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상기 반송로(150)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 센서부(410) 및 상기 상부 가이드부(100)의 구조는 상기 하부 센서부(420)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200)의 구조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센서부(420)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200)의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200)에는 상기 하부 센서부(420)가 관통하기 위한 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202)에 삽입되는상기 하부 센서부(420)는,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면(430)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2) 및 타 방향으로 함몰되는 함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센서부(410)와 상기 하부 센서부(420) 사이에 형성되는 반송로(150)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반송로(150)는, 상기 매체(500)가 상기 상부 센서부(410)와 하부 센서부(420) 사이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 입구(380) 및 상기 상부 센서부(3410)와 하부 센서부(420) 사이 공간에서 상기 매체(500)가 인출되는 매체 출구(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500)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매체 입구(380)의 상하 길이는, 상기 매체 출구(390)의 상하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센서부(420)는, 상기 매체(500)와 접촉하는 경사면(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433)은, 상기 매체(50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소정 각도 경사질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410, 420)는 상기 경사면(433)의 일부가 상기 반송로(150)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은, 상기 반송로(150)의 일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고,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은, 상기 반송로(150)의 일면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는, 상기 센서부(410, 420)의 매체 감지 기능의 저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422)는 상기 매체(500)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지분 등의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매체(500)가 상기 경사면(433)과 접촉되어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상기 경사면(433)의 1/3 이상이라면, 상기 센서부(410, 420)의 매체 감지 기능은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매체가 상기 경사면(433)을 따라 이동되는 거리가 상기 경사면(433) 전체의 길이의 1/3 이상이 되도록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는, 매체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 출구(390)에 형성되는 상부 센서부(410)와 하부 센서부(4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매체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매체의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매체가 상기 반송로(150)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고 매체의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는,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즉, 센서부(410, 420)와 가이드부(410, 420)의 결합시 조립 공차를 고려해 보았을 때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는,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 보다 길게 설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는 0.4mm이고,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는 0.1mm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와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는,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와 동일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매체 출구(39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돌출 길이와 상기 매체 입구(380)에 배치되는 경사면(433)의 함몰 길이는 조립 공차를 고려하여 설계 과정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매체(500)가 상기 반송로(15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반송로(150)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매체(500)는, 상부 가이드부(100)와 하부 가이드부(200)에 의해 그 이동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0, 200)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 된 상기 매체(500)는, 매체 입구(380)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 입구(380)로 인입되는 상기 매체(500)는, 상기 함몰부(422)와 상기 돌출부(421)를 순차적으로 지날 수 있다. 상기 매체(500)가 상기 함몰부(422)와 상기 돌출부(421)를 통과할 때 상기 센서부(410, 420)는, 상기 매체(500)에 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별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이전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상부 센서부(310)와 하부 센서부(320)의 배치 위치만이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상부 센서부(310)와 하부 센서부(320)는 반송로(15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 대칭 구조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센서부(32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센서부(320)는, 매체(500)의 인입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센서부(320) 중 일부는 하부 가이드부의 상면(30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면(330)에서 상기 경사면(321)까지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돌출부(A)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매체 입구(380)에 위치하는 돌출부(A)의 돌출 높이는 상기 매체 출구(390)에 위치하는 돌출부(A)의 돌출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310, 320)는 상기 매체(500)의 이송 방향과 경사지는 경사면(321)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321) 전체가 상기 반송로(150)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매체 출구(390)에 위치하는 돌출부(A)의 돌출 길이는, 상기 매체 입구(380)에 위치하는 돌출부(A)의 돌출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매체 입구(380)에 위치하는 돌출부(A)의 돌출 길이는, 매체의 두께를 고려하여 매체의 잼 현상이 방지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 출구(390)에 위치하는 돌출부(A)의 돌출 길이는, 매체가 상기 반송로(150)로 보다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매체(500)가 상기 반송로(15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매체(500)는, 상기 상부 가이드부(100)와 상기 하부 가이드부(200)에 의해 이송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00, 200)에 의해 이송이 가이드 된 상기 매체(500)는, 상기 매체 입구(380)로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매체는 상기 경사면(321)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500)가, 상기 경사면(321)을 따라 이송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310, 320)가 청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감별부 100: 상부 가이드부
200: 하부 가이드부 310: 상부 센서부
320: 하부 센서부 421: 돌출부
422: 함몰부 500: 매체

Claims (6)

  1. 매체가 투입 또는 방출되는 매체 입출부;
    상기 매체의 이송을 가이드하며, 반송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부;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매체의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매체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금융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매체의 이송 방향과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면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반송로로 돌출되는 금융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로로 돌출되는 상기 경사면의 돌출 높이는, 상기 매체의 두께 보다 작은 금융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매체가 진입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경사면의 돌출 높이는,
    매체 입구에서 매체 출구로 갈수록 높아지는 금융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입구의 상하 길이는 상기 매체 출구의 상하 길이 보다 긴 금융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일면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금융기기.
KR1020130069911A 2013-06-18 2013-06-18 금융기기 KR101587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11A KR101587689B1 (ko) 2013-06-18 2013-06-18 금융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911A KR101587689B1 (ko) 2013-06-18 2013-06-18 금융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06A true KR20150017406A (ko) 2015-02-17
KR101587689B1 KR101587689B1 (ko) 2016-01-21

Family

ID=5304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911A KR101587689B1 (ko) 2013-06-18 2013-06-18 금융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762B1 (ko) * 2019-08-07 2020-11-1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이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29B1 (ko) * 2008-11-20 2011-03-1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인식장치
KR20120043895A (ko) * 2010-10-27 2012-05-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공급 장치
KR101182916B1 (ko) * 2011-02-01 2012-09-18 엘지엔시스(주)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29B1 (ko) * 2008-11-20 2011-03-1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인식장치
KR20120043895A (ko) * 2010-10-27 2012-05-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공급 장치
KR101182916B1 (ko) * 2011-02-01 2012-09-18 엘지엔시스(주) 물체감지장치 및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762B1 (ko) * 2019-08-07 2020-11-11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689B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893B1 (ko) 지폐 입출금기
JP5500190B2 (ja) 媒体取引装置
WO2012002036A1 (ja) 自動取引装置
JP5553134B2 (ja) 媒体取引装置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KR101909021B1 (ko) 금융 기기
KR101636129B1 (ko) 매체 분리집적장치, 매체보관함 및 금융 기기
KR101729389B1 (ko) 금융기기
WO2016059839A1 (ja) 媒体収容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471754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87689B1 (ko) 금융기기
JP5277757B2 (ja) 紙幣処理装置
KR101631791B1 (ko) 금융 기기
KR10159829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입출금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자동화 기기
KR101900766B1 (ko) 매체 보관 장치, 그의 제어방법 및 금융기기
KR101883312B1 (ko) 매체 집적장치 및 그를 갖는 금융기기
KR101498358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기기
KR101799200B1 (ko) 매체 가이드장치와 매체 보관장치 및 금융기기
KR10195845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금융기기
KR101579379B1 (ko) 금융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40733B1 (ko) 매체 저장함 및 금융기기
KR101815385B1 (ko) 매체집적장치, 금융기기, 및 금융기기의 제어방법
KR20170130174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857176B1 (ko) 매체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406

Effective date: 20151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