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403A -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 Google Patents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403A
KR20150017403A KR1020130066757A KR20130066757A KR20150017403A KR 20150017403 A KR20150017403 A KR 20150017403A KR 1020130066757 A KR1020130066757 A KR 1020130066757A KR 20130066757 A KR20130066757 A KR 20130066757A KR 20150017403 A KR20150017403 A KR 20150017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eiving
module
broadcast
receiv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6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아키오 타다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6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403A/ko
Publication of KR20150017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4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모듈은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Integrated Front module of set top box}
본 발명은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방송업체 및 케이블 텔레비전 업체들을 비롯한 다양한 방송서비스 업체들이(위성, 전력선, 지상파, 케이블 및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다양한 전송매체를 통해 소정의 컨텐츠들을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상기 다양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셋 탑 박스를 사용해야 된다. 예를 들면, 위성을 통해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위성방송용 셋 탑 박스를 구비해야 되었고, 지상파를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지상파용 컨텐츠를 구비해야 되었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셋탑박스의 프론트 모듈에서 방송수신모듈(Cable 방송용 LNA 또는 MoCA 송/수신용 LNA/PA 등)과는 별개로 트리플렉서(Triplexer) 와 RF 모듈레이터가 독립적인 모듈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되었는바, 상기 독립적인 모듈형태로 장착되는 트리플렉서(Triplexer)등은 뒷단의 방송수신모듈등의 메인회로와 전기적으로 매칭하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각각 별개로 트리플렉서(Triplexer)등을 제작해야하는 점에서 제조단가등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2010-0032088K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리플렉서 (Triplexer) 와 RF 모듈레이터를 방송수신모듈(Cable 방송용 LNA 또는 MoCA 송/수신용 LNA/PA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트리플렉서 (Triplexer)등과 메인회로와의 전기적인 매칭이 용이한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은 셋탑박스의 프론트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모듈은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방송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하는 신호분기모듈 및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신호분기모듈은 트리플렉서(Triplex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수신모듈은 케이블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모듈,MocA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모듈 및 케이블 모뎀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수신모듈은 BALUN 과 Cable 방송용 LNA 이며, 상기 제2수신모듈은 BALUN 과 MoCA 송수신용 LNA/PA이고, 상기 제3수신모듈은 BALU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변환부는 RF 모듈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able 방송용 LNA 와 MoCA 송수신용 LNA/PA를 제어하기 위한 CLK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셋탑박스의 프론트 모듈과는 달리, 트리플렉서 (Triplexer) 와 RF 모듈레이터를 방송수신모듈(Cable 방송용 LNA 또는 MoCA 송/수신용 LNA/PA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셋탑박스의 소형화 및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은 제조공정에서 부터, 트리플렉서 (Triplexer) 와 RF 모듈레이터가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한 메인회로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메인회로 와의 임피던스 매칭이 용이한바, 이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신호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의 신호수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을 나타내기 위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10)는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등(Cable 방송,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를 통해, 전송되어 셋탑박스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방송신호는 상기 전송매체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로 이루질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수신부(110)는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Cable 방송, MOCA(Multimedia over coax alliance))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방송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하는 신호분기모듈(111) 과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신호분기모듈(111)은 트리플렉서(Triplexer)일 수 있다.
제어부(100)는 신호수신부(110)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이루어진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하도록 음성 및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즉, 제어부(100)는 신호수신부(110)를 제어하기 위해, 일정한 주파수를 갖는 클럭(CLK)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수신부(110)에 인가하며, 상기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복조(Demo dulating)하여, 상기 복조를 통해 추출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베이스 밴드영역(1 ㎑)영역에서 처리한다.
신호변환부(120)는 제어부(100)로부터 변환된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RF 신호 형태로 변환한다. 즉,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는 베이스 밴드영역(1 ㎑)에서 처리된 신호인바, 상기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송하기 위해선, 고주파 형태인 RF 신호형태로 변조(Modulating)한다. 여기에서, 신호변화부는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RF 모듈레이터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10)은 트리플렉서 (Triplexer) 와 RF 모듈레이터를 방송수신모듈(Cable 방송용 LNA 또는 MoCA 송/수신용 LNA/PA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셋탑박스의 소형화 및 생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10)은 제조공정에서 부터, 트리플렉서 (Triplexer) 와 RF 모듈레이터가 방송수신모듈을 포함한 메인회로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상기 메인회로 와의 임피던스 매칭이 용이한바, 이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손실을 줄임으로써, 신호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에 있어서, 각 구성부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 및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의 신호수신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수신부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분기하는 신호분기모듈과 상기 분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분기모듈(111)은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된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방송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한다. 여기에서, 신호분기모듈(111)은 Low pass filter , band pass filter, high pass filter가 통합되어, 3가지 주파수 대역을 분리하여 필터링할 수 있는 트리플렉서(Triplexer)일 수 있다.
신호수신모듈(112)은 신호분기모듈(111)로 부터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된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며, 케이블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모듈(113), MoCA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모듈(114) 및 케이블 모뎀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모듈(1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수신모듈(113)은 BALUN 과 Cable 방송용 LNA 일 수 있으며, 제2수신모듈(114)은 BALUN 과 MoCA 송수신용 LNA/PA 일 수 있고, 제3수신모듈(115)은 BALUN일 수 있다.
여기에서, BALUN은 Balanced signal을 unbalanced signal 로 변환해주는 회로를 의미하며, 그 반대의 기능을 할 수도 있으며, Balanced signal이란 두개의 선로의 조합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트랜스미션 라인(transmission line)상에서, 두 도체선로의 진폭이 같게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하, 셋탑박스의 프론트 모듈의 동작원리에 대해 도 3을 기준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을 나타내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분기모듈(트리플렉서)(111)는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cable, Moca 네트워크, cable modem)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신호를 필터링 하여, 상기 필터링된 각각의 방송신호를 제1 내지 3수신모듈(113,114,115)로 분기한다.
즉, 신호분기모듈(트리플렉서)(111)로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전송매체에 따른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방송신호 중 Cable 방송용 신호(57~1002 ㎒)는 제 1 수신모듈(Cable 방송용 LNA)(113)로 분기되며, MoCA 홈네트워크용 신호(1115~1675㎒)는 제2수신모듈(Moca 송수신용 LNA)(114)로 분기되고, Cable 모뎀용 신호(5~42㎒)는 제3수신모듈(BALUN)(115)로 분기된다.
그리고, 제1수신모듈(113)로 입력된 Cable 방송용 신호(57~1002 ㎒)는 BALUN을 통과하면서, Balanced signal로 변환된 후, Cable 방송용 LNA에 의해 기설정된 증폭률에 따라 저잡음 증폭된 후, 1 채널(a)을 통해 제어부(100)로 인가되며, 사용자는 Tuner(미도시)을 통해, 상기 인가된 Cable 방송용 신호중 원하는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00)는 2채널(b)을 통해, 상기 Cable 방송용 LNA을 동작제어하기 위한 CLK 신호를 생성하여 인가한다.
또한, 제2수신모듈(114)로 인가된 MoCA 방송용 신호(1115~1675㎒)는 BALUN을 통과하면서, Balanced signal로 변환된 후, MoCA 송수신용 LNA/PA에 의해 기설정된 증폭률에 따라 저잡음 증폭된 후, 5채널(e)을 통해 제어부(100)내의 MOCA 칩(미도시)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상기 MoCA 송수신용 LNA/PA는 상기 5채널(e)을 통해 상기 MOCA 칩으로 부터 소정의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으며, 홈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장소의 셋탑박스 와의 쌍방향 통신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4채널(d)을 통해 , 상기 MoCA 송수신용 LNA/PA의 동작제어를 위한 CLK 신호를 인가한다.
다음으로, 제3수신모듈(BALUN)(115)로 인가된 Cable 모뎀용 신호(5~42㎒)는 BALUN을 통과하면서, Balanced signal로 변환된 후, 3채널(C)을 통해 제어부(100)에 포함된 Cable 모뎀(미도시)으로 인가된다. 즉, 제3수신모듈의 상기 Cable 모뎀(미도시)과의 쌍방향 통신을 통해, 사용자는 인터넷등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변환부(RF 모듈레이터)(120)는 제어부(100)로 부터 상기 방송신호가 일정한 처리과정을 통해 변환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를 고주파 형태인 RF 신호 형태로 변조(Modulating)한 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전송한다. 즉, 신호변환부는 베이스밴드 영역(1㎑)에서 형성된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고주파 RF 신호형태로 변환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1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100 : 제어부
110 : 신호수신부 111 : 신호분기모듈
112 : 신호수신모듈 113 : 제1수신모듈
114 : 제2수신모듈 115 : 제3수신모듈
120 : 신호변환부

Claims (7)

  1. 셋탑박스의 프론트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모듈은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가 상기 방송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 및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부는
    상기 서로 상이한 전송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방송신호를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하는 신호분기모듈; 및
    상기 주파수 대역별로 분기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호분기모듈은
    트리플렉서(Triplex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신호수신모듈은
    케이블용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모듈,
    MocA 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모듈 및
    케이블 모뎀신호를 수신하는 제3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모듈은 BALUN 과 Cable 방송용 LNA 이며,
    상기 제2수신모듈은 BALUN 과 MoCA 송수신용 LNA/PA이고,
    상기 제3수신모듈은 BALU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부는 RF 모듈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able 방송용 LNA 와 MoCA 송수신용 LNA/PA를 제어하기 위한 CLK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KR1020130066757A 2013-06-11 2013-06-11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KR201500174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57A KR20150017403A (ko) 2013-06-11 2013-06-11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6757A KR20150017403A (ko) 2013-06-11 2013-06-11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403A true KR20150017403A (ko) 2015-02-17

Family

ID=5304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6757A KR20150017403A (ko) 2013-06-11 2013-06-11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4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16384A (zh) 使用双工前端的有源分路器装置和方法
US20130332967A1 (en) Combined terrestrial and satellite content for a seamless user experience
US9668018B2 (en) Flexible channel stacking
JP2010239535A (ja) 転送装置
US8385471B2 (en) Multi-channel receiver
US20170238049A1 (en) Flexible channel stacking
EP3157263B1 (en) Multiple dwelling channel stacking system
CN201282520Y (zh) 一种数字卫星电视机顶盒调谐器
RU6882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ллектив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программ эфирного тв
CN202617261U (zh) 兼容地面、有线和卫星数字电视标准的三端输入调谐器
KR20150017403A (ko) 셋탑박스의 통합형 프론트 모듈
US20080253776A1 (en) Optical Signal Receiver
US20160006555A1 (en) Integrated front module of set top box
US20100130157A1 (en) Rf isolation of low cost switch using shunt diode
US20080155611A1 (en) Television lan signal-separating apparatus, indoor lan system and television lan signal-separating method
US73457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ple signals inclusively
CN103269428A (zh) 一种基于ku波段卫星视听接收系统及卫星高频头
JP2009118056A (ja) チューナ及びそれを備えた放送受信機
CN202979203U (zh) 数字电视系统
KR102231329B1 (ko) Catv 신호 주파수 대역 분리, 결합기 및 이를 이용한 catv 신호 처리 방법
KR100667191B1 (ko) 방송파 수신용 안테나를 이용한 지상파 dmb 중계기
JP2008271390A (ja) ブロックコンバータ
JP2002354473A (ja) ダウンコンバータ、アップコンバータ及びcatvシステム
JP2017143445A (ja) 周波数変換装置
KR101588697B1 (ko) 방송 신호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