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871A -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871A
KR20150016871A KR1020140019213A KR20140019213A KR20150016871A KR 20150016871 A KR20150016871 A KR 20150016871A KR 1020140019213 A KR1020140019213 A KR 1020140019213A KR 20140019213 A KR20140019213 A KR 20140019213A KR 20150016871 A KR20150016871 A KR 2015001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rallax direction
unit
light
ey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케시 마츠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450,63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035952A1/en
Publication of KR2015001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96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렌즈부를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 차단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시차 방향 검출부;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program}
본 발명은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3D 화상을 촬상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광 중에서 일부의 광을 차단하여 우안용 광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고, 좌안용 광만을 통과시킴으로써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촬상 장치는 3D용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중력을 검출함으로써 카메라의 자세 방향을 판단하고, 촬상 장치의 자세 방향이 세로 방향인지 가로 방향인지에 따라 조리개부에서의 광의 차단 위치를 90도 변경시키는 촬상 장치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촬상 장치는 자세가 가로 방향인 경우뿐만 아니라 세로 방향인 경우에서도 3D 화상의 촬영을 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2-22090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128251호 공보
촬상 장치에서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의 3D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촬상 장치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적절히 판단하고, 그 시차 방향에 따라 광의 차단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서는, 촬상 장치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3D 화상을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 촬영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서는, 중력을 검출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자세 방향을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중력에 의해 촬상 장치의 방향을 검출하는 것은 촬상 장치가 직접적으로 시차 방향을 판단하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촬상 장치는 반드시 적절한 3D 화상의 촬영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카메라를 위로 향하여 천정을 촬영하는 경우, 아래로 향하여 지면에 놓인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등 중력 방향 검출에 의한 방법으로는 시차 방향의 적절한 판단이 불가능한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의 3D 화상을 촬영 또는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렌즈부를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 차단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시차 방향 검출부;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상기 광 차단부가 좌안용 광을 차단하고, 상기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상기 광 차단부가 우안용 광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렌즈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 면으로부터 입사광을 수광하도록 배치된 제2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는, 상기 제2 촬상부를 이용하여 촬영자의 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촬상할 때,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상기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제어부가 선택한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제어부가 선택한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자세 변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에서 검출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가 상기 렌즈부의 렌즈의 광축에 대해 상기 촬상 장치가 회전하였음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한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에 대한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조정하고, 표시 장치에 표시할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는 액정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좌안용 화상, 우안용 화상, 및 촬영 시의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결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제어 방법가 제공된다.
상기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좌안용 광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우안용 광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는, 광의 입사 방향과 반대 쪽에 배치된 촬상부를 이용하여 촬영자의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마지막으로 검출된 시차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촬상 장치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상기 자세 변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시차 방향을 검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의 3D 화상을 촬영 또는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의 일례인 스마트폰의 피사체측 면의 외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의 일례인 스마트폰의 촬영자 측을 향한 촬영자 측 면의 외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촬영자의 시차 방향과 광 차단부(102)의 광 차단 영역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 차단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0)는 제1 렌즈부(101), 광 차단부(102), 제1 촬상부(103), 화상 처리부(104), 제2 렌즈부(105), 제2 촬상부(106), 시차 방향 검출부(107), 표시부(108), 조작부(109), 제어부(110) 및 저장부(111)를 구비한다.
촬상 장치(10)는, 3D 화상(사용자의 우안에서 인지되는 우안용 화상 및 좌안에서 인지되는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 장치이다. 촬상 장치(10)는 1장의 3D 화상을 촬영하거나, 연속되는 표시 화상들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기록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는 일반적인 촬상 장치(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고, 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단말일 수 있다. 촬상 장치(10)에서의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렌즈부(101)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렌즈이다. 피사체로부터의 광은 제1 렌즈부(101)를 통과하여 광 차단부(102)에 입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부(101)는 촬상용으로서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렌즈부(101)는 복수 군 또는 복수 매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부(102)는, 제1 렌즈부(101)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제1 촬상부(103)에 입사하는 광을 변화시키고, 화상에 있어서 시차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10)는 3D 화상을 위한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차단부(102)는, 액정 셔터 등 광 차단부(102)에서의 광의 통과 영역(또는 차단 영역)을 전기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102)에서의 광의 통과 영역을 변경하는 후술하는 처리에 있어서 광이 통과 영역을 변경하는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 차단부(102)는 광의 통과 영역으로서 구멍이 열린 조리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조리개가 회전함으로써,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102)에서의 광의 통과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촬상부(103)는 광 차단부(102)로부터 입사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하고, 촬상한 이미지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 제1 촬상부(103)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OS)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부(101), 광 차단부(102) 및 제1 촬상부(103)는 이른바 배면 카메라(아웃 카메라)를 구성한다. 제1 렌즈부(101)는, 촬상 장치(10)에 있어서 표시부(108)의 반대측(표시부(108)가 설치되지 않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렌즈부(105)는, 촬상 장치(10)에 있어서 제1 렌즈부(101)와 반대측 면에 설치된 렌즈부이다. 다시 말하면, 제1 렌즈부(101)와 제2 렌즈부(105)는 반대 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2 렌즈부(105)는 촬영자를 피사체로 하고, 그 촬영자의 얼굴로부터의 광이 입사되는 렌즈이다. 촬영자의 얼굴로부터의 광은 제2 렌즈부(105)를 통해 제2 촬상부(106)에 입사된다.
제2 촬상부(106)는 제2 렌즈부(105)로부터 입사된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촬상하고, 촬상한 이미지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104)에 출력한다. 제2 촬상부(106)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OS)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부(105)와 제2 촬상부(106)는 이른바 인 카메라를 구성한다. 제2 렌즈부(105)는, 촬상 장치(10)에 있어서 표시부(108)가 설치된 측(예를 들면, 표시부(108)가 설치된 면과 동일한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촬영자의 얼굴이 표시부(108)를 향할 때, 제2 렌즈부(105)에는 촬영자의 얼굴로부터의 광이 입사된다.
화상 처리부(104)는 제1 촬상부(103)가 출력한 이미지 데이터의 보간이나 보정 등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고, 제1 촬상부(103)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RGB 형식이나 YCbCr 형식 등의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형식의 화상을 생성한다. 광 차단부(102)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영역이 변화하기 때문에, 화상 처리부(104)는 촬영한 피사체에 관한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104)는 제2 촬상부(106)가 출력한 이미지 데이터의 보간이나 보정 등의 연산 처리를 실행하고, 제2 촬상부(106)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RGB 형식이나 YCbCr 형식 등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상 처리부(104)는 촬영자의 얼굴을 촬영한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화상 처리부(104)가 생성한 촬영자의 얼굴을 촬영한 화상(예를 들면, RGB 형식이나 YCbCr 형식 등의 화상)으로부터 촬영자의 좌우 눈의 위치 관계, 즉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한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방법인 얼굴 검출을 행하고, 촬영자의 얼굴 방향으로부터 시차의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제2 렌즈부(105)가 촬영한 화상에서의 수평 방향으로부터 촬영자의 시차 방향(혹은 촬영자의 얼굴 방향)이 어느 각도만큼 어긋나 있는지를 검출함으로써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표시부(108)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제1 렌즈부(101)가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자는 촬영 대상인 피사체가 적절히 촬영되어 있는지를 표시부(108)를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촬영자는 피사체가 적절히 촬영되지 않은 경우는, 촬상 장치(10)를 움직임으로써 제1 렌즈부(101)에 피사체가 적절히 들어가는 촬영을 할 수 있다.
조작부(109)는, 촬영자가 촬영에 따른 조작을 촬상 장치(10)에 행함으로써 촬상 장치(10)의 제어부(110)에 지시를 부여한다. 조작부(109)는 예를 들면 버튼(일례로서 촬영을 시작하는 릴리즈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촬상 장치(10)의 각 부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특히 촬상 처리를 제어하는 촬상 제어 장치로서 기능한다.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을 제어함으로써 촬영자가 의도하는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의 상세에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11)에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화상 처리부(104)에서 생성한 촬영 화상(즉,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이 기록된다. 또한, 저장부(111)에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화상을 촬영하였을 때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검출한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가 각 촬영 화상에 관련지어져 기록될 수 있다. 저장부(111)에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나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매체를 이용해도 되고, 촬상 장치(10)에 내장된 메모리를 이용해도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의 일례인 스마트폰의 피사체측 면의 외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면은 스마트폰의 하우징의 배면이며, 배면에는 제1 렌즈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의 일례인 스마트폰의 촬영자 측을 향한 촬영자 측 면의 외관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면은 도 2a에 도시된 면과 반대측 하우징의 정면이며, 도 2b에 도시된 면에는 제2 렌즈부(105), 표시부(108) 및 조작부(109)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은 촬영자가 표시부(108)를 확인하면서 조작부(109)를 조작하여 촬영을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표시부(108)와 같은 면에 설치된 제2 렌즈부(105)에 의해 촬영자를 촬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촬상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는 스마트폰의 하우징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촬상 장치(10)가 다른 종류의 촬상 장치(예를 들면, 카메라)인 경우에서도 촬상 장치(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외관 구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촬상 장치(10)에서의 촬영 제어의 상세에 대해 서술한다.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촬영자의 시차 방향과 광 차단부(102)의 광 차단 영역의 관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소정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이하, 기준 방향이라고 기재함) 시차 방향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렌즈부(105)가 촬영한 화상에서 수평으로 촬영자의 우안 및 좌안이 위치하고 있고, 제2 렌즈부(105) 측에서 보았을 때 촬영자의 우안이 좌측에, 촬영자의 좌안이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촬영자의 두 눈이 기준 방향으로 나란히 되어 있다고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촬상 장치(10)의 기준축(예를 들면, 화상의 표시 장치의 시차 방향)에 대한 촬영자의 두 눈의 위치 관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a는 제2 렌즈부(105)가 촬영한 화상에서의 촬영자의 얼굴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도 3a에 도시된 촬영자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촬영자의 두 눈이 기준 방향으로 나란히 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도 3a에 도시된 촬영자의 얼굴 화상에 대해, 기준 방향으로부터의 시차 방향의 각도가 0°라고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10)는 광 차단부(102)에서 좌측 절반 또는 우측 절반 영역의 광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가 피사체의 우안용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제어부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촬상부(103) 측(촬영자측)에서 보았을 때 광 차단부(102)의 좌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우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제1 촬상부(103)에 입사시키도록 한다. 반대로 촬상 장치(10)가 피사체의 좌안용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1 촬상부(103) 측에서 보았을 때 광 차단부(102)의 우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좌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제1 촬상부(103)에 입사시키도록 한다.
도 4a는 제2 렌즈부(105)가 촬영한 화상에서의 촬영자의 얼굴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도 4a에 도시된 촬영자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촬영자의 두 눈이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되어 있고 좌안이 위, 우안이 아래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도 4a에 도시된 촬영자의 얼굴 화상에 대해, 기준 방향으로부터의 시차 방향의 각도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또는 시계 방향으로 270°라고 판정한다.
이 때, 제어부(110)는 광 차단부(102)에서 상측 절반 또는 하측 절반 영역의 광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가 피사체의 우안용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1 촬상부(103) 측에서 보았을 때 광 차단부(102)의 상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하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제1 촬상부(103)에 입사시키도록 한다. 반대로 촬상 장치(10)가 피사체의 좌안용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1 촬상부(103) 측에서 보았을 때 광 차단부(102)의 하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상측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제1 촬상부(103)에 입사시키도록 한다.
도 3b, 도 3c, 도 4b 및 도 4c에서는, 광 차단부(102)가 그 영역의 세로 방향에 있어서 광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또는 영역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 광의 일부를 차단한다고 하여 설명하였다. 다시 말하면, 광 차단부(102)는 2방향에 있어서 광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즉, 광 차단부(102)의 우상, 우하, 좌상, 좌하의 4영역에 있어서 광의 차단 또는 투과를 선택 가능한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광 차단부(102)에서의 광 차단 영역은 이들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는 제2 렌즈부(105)가 촬영한 화상에서의 촬영자의 얼굴 화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도 5a에 도시된 촬영자의 얼굴 화상으로부터 촬영자의 두 눈이 경사 방향으로 나란히 되어 있고 좌안이 상측, 우안이 하측의 위치 관계에 있는 것을 검출한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기준 방향으로부터의 시차 방향의 각도가 반시계 방향으로 30°또는 시계 방향으로 330°라고 판정한다.
이 때, 제어부(110)는 광 차단부(102)에서 좌하 절반 또는 우상 절반 영역의 광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10)가 피사체의 우안용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1 촬상부(103) 측에서 보았을 때 광 차단부(102)의 좌하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우상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제1 촬상부(103)에 입사시키도록 한다. 반대로 촬상 장치(10)가 피사체의 좌안용 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제1 촬상부(103) 측에서 보았을 때 광 차단부(102)의 우상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차단하고, 좌하 절반으로부터의 광을 제1 촬상부(103)에 입사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된 광 차단부(102)의 상태는, 도 3b에 도시된 광 차단부(102)의 상태로부터 광 차단부(102)를 반 시계 방향으로 30° 회전시킨 상태와 같다. 마찬가지로 도 5c에 도시된 광 차단부(102)의 상태는, 도 3b에 도시된 광 차단부(102)의 상태로부터 광 차단부(102)를 반 시계 방향으로 30° 회전시킨 상태와 같다.
이와 같이 광 차단부(102)가 임의의 영역에서 광 차단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자의 얼굴(즉, 촬영자의 시차 방향)이 제2 렌즈부(105)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이외의 방향이어도, 광 차단부(102)는 표시할 때 우안과 좌안에서 시차가 생기는 화상(즉,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차단부(102)가 액정 셔터인 경우에는, 제어부(110)는 액정 셔터에 인가하는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액정 셔터의 복수의 소정 영역에 있어서 광을 차단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어부(110)는 도 3b, 도 3c, 도 4b, 도 4c, 도 5b 및 도 5c와 같이 액정 셔터의 광 차단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정 셔터를 이용함으로써 광의 통과 영역을 변경하는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b, 도 4b 및 도 5b에서는 광 차단부(102)에서 좌안용 광을 차단하고 있고, 도 3c, 도 4c 및 도 5c에서는 광 차단부(102)에서 우안용 광을 차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고, 제어부(110)가 그 검출 결과에 따라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차단 위치)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촬상 장치(10)는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촬상부(103)가 촬상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부(104)가 생성한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에, 각각의 화상 촬영 시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검출한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시차 방향 정보)를 관련지어 저장부(111)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우안용 화상, 좌안용 화상 및 시차 방향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서 기록매체인 저장부(111)에 저장한다. 여기서, 시차 방향 정보는 촬영시의 시차 방향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이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시차 방향 정보는 「0°」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4a에 도시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시차 방향 정보는 "반 시계 방향으로 90°"로 할 수 있고, 도 5a에 도시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시차 방향 정보는 "반시계 방향으로 30°"로 할 수 있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저장부(111)에 저장된 화상을 3D 화상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재생)할 때에, 표시 장치는 화상에 관련지어진 시차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시차 방향 정보 "반 시계 방향으로 30°"에 관련지어진 화상을 그대로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하면, 사용자가 3D 화상을 시인할 때의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된 화상을 시인한 경우에 통상의 화상과 비교하여 수평 방향으로부터 반 시계 방향으로 30° 기울어진 상태로 표시된다. 즉, 화상의 표시 장치의 시차 방향과 화상 촬영의 시차 방향의 각도차이가 30°있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화상을 적절히 볼 수 없다.
이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표시 장치는 화상을 시계 방향으로 30° 기울인 상태로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는 통상의 화상과 같은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시 장치는 표시 시에 화상 촬영의 시차 방향을 수정함으로써, 화상의 표시 장치의 시차 방향과 화상 촬영의 시차 방향의 각도차이를 0° 또는 거의 0°로 수정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3D 화상을 적절하게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10)의 기준축과 표시 장치의 시차 방향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표시 장치는 촬상 장치(10)의 기준축으로부터 화상 촬영의 시차 방향의 각도차이를 나타낸 시차 방향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여 화상의 각도 조정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가 실행하는 처리 및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촬상 장치(10)는, 사용자의 우안에 부여하는 우안용 화상 및 좌안에 부여하는 좌안용 화상을 촬상한다. 광 차단부(102)는, 제1 렌즈부(101)(하나의 광학계)를 통과하는 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우안용 광 및 좌안용 광을 촬상 장치(10) 내에 입사시킨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한다. 제어부(110)는,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102)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고,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광 차단부(102)에 좌안용 광을 차단시키며,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광 차단부(102)에 우안용 광을 차단시켜, 촬상 장치(10)가 다른 타이밍에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도록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해, 촬상 장치(10)는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직접 검출함으로써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의 3D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상 장치(10)는 3D 화상을 구성하는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적절한 광 차단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0)는 촬상한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검출한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관련시켜 저장한다. 표시 장치는, 저장된 화상을 표시(재생)할 때에 관련되어 기억된 시차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의 표시 각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표시를 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표시 각도가 조정된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이 사용자의 우안 및 좌안에 각각 주어진다. 즉, 표시 장치는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의 3D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촬영한 화상의 표시 시에 표시 장치가 적절한 시차 방향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체 화상의 표시 장치는 표시할 때의 시차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화상을 적절한 입체적 화상으로서 표시하기 위해서는, 촬영시의 시차 방향과 표시 장치의 시차 방향을 맞출(즉, 촬영시의 시차 방향을 따라 표시 시에 화상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서는 표시 화상의 촬영 시의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가 전혀 저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표시 장치에서 시차 방향을 맞출 수 없어 적절한 표시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에서는 3D 화상과 함께 촬영 시의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여, 표시 장치가 적절한 입체적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가 아니라 촬상 장치(10)의 화상 처리부(104)가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검출한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의 생성 처리시에 촬상한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조정하고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화상은 저장부(111)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가 저장된 그 화상을 그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3D 화상을 적절히 볼 수 있다. 또한, 표시 각도가 조정됨으로써, 생성되는 화상은 통상의 화상보다 작은 크기가 되고,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은 검은 색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는, 제1 렌즈부(101)가 설치된 면과는 다른 면(예를 들면, 제1 렌즈부(101)가 설치된 면과 반대측 면)에 촬영자를 촬상하는 촬영자 촬상부(제2 렌즈부(105) 및 제2 촬상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촬영자 촬상부가 촬상한 촬영자 눈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특별한 부품 없이도 촬상 장치에서 자주 사용되는 촬상 소자(인 카메라)만으로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에서, 광 차단부(102)는 액정 셔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구멍이 열려 있는 조리개부에 의해 광 차단부(102)를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 차단부(102)에서의 차단 제어에 있어서 높은 자유도를 얻을 수 있고, 광의 차단 영역을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보다 적절한 3D 화상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촬상 장치(10)는 이상으로 설명한 처리 이외에 이하의 처리를 더 실행할 수도 있다.
(1) 제어부(110)는, 시차 방향 검출부(107)를 항상 동작시키지 않고 일정한 조건 하에서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소비하는 전력을 억제하고, 나아가 촬상 장치(10)의 소비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2)상기 일정한 조건의 일례로서, 제어부(110)는 예를 들면 촬영자가 피사체의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자가 촬상 장치(10)에 촬상을 수행하라는 지시를 조작부(109)에 입력한 경우에, 제어부(110)는 그 입력을 검출하여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상태로 이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촬영자가 조작부(109)의 릴리즈 버튼을 반누름하였을 때(포커스를 락(lock) 하였을 때, 즉 촬영 준비 단계)에 제어부(110)는 시차 방향 검출부(107)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차 방향 검출부(107)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제어부(110)가 광 차단부(102)의 광 차단을 제어함으로써, 촬상 장치(10)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촬영이 종료된 경우(촬영 시간으로서 촬상 장치(10)에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또는 촬영자가 조작부(109)를 조작하여 촬영 종료 지시를 출력하였을 때)에는, 제어부(110)는 시차 방향 검출부(107)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 시 이외의 불필요한 시간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동작함으로써 소비전력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2 렌즈부(105) 및 제2 촬상부(106)(인 카메라)에 대해서도, 시차 방향 검출부(107)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제어부(110)는 동작 및 그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그 밖에 촬영자가 조작부(109)에 의해 지정한 기간 내 또는 촬상 장치(10)에 미리 설정된 기간 내에 제어부(110)가 시차 방향 검출부(107)를 동작시키도록 할 수 있다.
(3) 제어부(110)는,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마지막으로(최근에)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102)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시에, 촬영자가 촬상 장치인 카메라에 얼굴을 가까이 하여 VF(View Finder)를 들여다 보고, 촬영자의 얼굴이 카메라에 대해 너무 가까워지는(얼굴이 카메라에 대해 일정한 거리 이내의 거리로 가까워지는)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렌즈부(105) 및 제2 촬상부(106)가 촬영자의 얼굴을 명확하게 촬영할 수 없게 되고,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촬영자의 얼굴을 검출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촬영자가 얼굴을 카메라에 가까이 하고 있는 동안에 검출된 마지막 얼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시차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마지막으로 검출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을 결정하기 때문에, 가장 확실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3D 화상의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촬영자가 번거로운 조작을 하지 않고도 촬상 장치(10)는 적절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3D 촬영을 행할 수 있다.
(4) 촬상 장치(10)의 표시부(108)는,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직전에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제어부(110)가 선택한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08)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10)에 의해 이루어진다.
촬영 상황에 따라서는 촬영자가 자신의 시차 위치와는 다른 시차 위치에서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표시부(108)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제어부(110)가 선택한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함으로써, 촬상 장치(10)는 촬영자에 대해 시차 방향 또는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이 촬영자가 의도하고 있는 바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적절한 시차 방향으로 촬영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표시부(108)에 시차 방향 검출부(107)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직전에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제어부(110)가 선택한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시차 방향 검출부(107)는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절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촬영이 되고 있는지 여부를 촬영자가 확인할 필요는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영자는 적절한 시차 방향으로 촬영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는,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촬상 장치가 적절히 판단할 수 없었던 경우에, 시차 방향에 대해 적절하게 판단되지 않았음을 촬영자가 알 수 없고, 부적절한 광 차단 영역에서 촬영이 되었음을 촬영자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시차 방향에 대한 정보를 촬영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촬영자가 적절한 시차 방향으로 촬영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촬영자는, 촬상 장치(10)가 검출한 시차 방향이 촬영 시에 의도하였던 시차 방향과 다른 경우(예를 들면, 촬영자의 진짜 시차 방향이 아닌 경우)에는 조작부(109)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부(110)에서 시차 방향 설정을 재검토하도록 하거나, 광 차단부(102)의 차단 영역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상 장치(10)는 촬영자가 의도하는 시차 방향과 촬영자 자신의 시차 방향이 다른 경우 등에서도 적절한 시차 방향으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촬상 장치(10)는 보다 유연하게 다양한 촬영 상황에 대처하여 촬영자가 의도한 대로의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촬상 장치가 적절히 판단할 수 없었던 경우에, 표시부(108)는 그 취지를 표시하여 촬영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우선 시차 방향을 검출한다(S602).
다음으로, 상기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한다(S604). 상기 광을 차단할 영역은,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에 대해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셔터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좌안용 화상에 대한 광 차단 영역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하고(S606), 좌안용 화상을 촬상한다(S608). 또한 상기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우안용 화상에 대한 광 차단 영역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하고(S606), 우안용 화상을 촬상한다(S608).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화상이 촬상되어 생성되면,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S61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20)는 제1 렌즈부(201), 광 차단부(202), 제1 촬상부(203), 화상 처리부(204), 제2 렌즈부(205), 제2 촬상부(206), 시차 방향 검출부(207), 표시부(208), 조작부(209), 제어부(210), 저장부(211) 및 자세 변화 검출부(21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20)는 앞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와 비교하여 자세 변화 검출부(212)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1 렌즈부(201) 내지 저장부(211)는 촬상 장치(10)에서의 제1 렌즈부(101) 내지 저장부(11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자세 변화 검출부(212)는 촬상 장치(20)의 자세(방향)가 변경되었음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센서)로서, 예를 들면 중력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자세 변화 검출부(212)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자세 변화 검출부(212)를 이용하여 촬상 장치(20)의 자세 변화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촬상 장치(20)의 소비전력을 억제하거나 시차 방향의 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검출 동작을 실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검출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마지막으로 시차 방향을 검출한 상태로부터 자세 변화 검출부(212)가 촬상 장치(20)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시차 방향 검출부(207)는 동작을 정지하고 있다. 이 경우, 촬영자는 촬상 장치(20)를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 장치(20)는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도 변경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를 동작시켜 다시 검출 동작을 수행하도록 않고, 시차 방향 검출부(207)의 동작을 정지한 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202)의 차단 영역을 선택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촬상 장치(20)는 적절한 시차 위치에 기초하여 촬영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상에 기초하여 얼굴을 검출하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의 처리와 비교하여 센서 등을 이용하는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처리는 소비전력이 적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20)는 적절한 3D 화상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현재 동작하지 않는 상태라 하더라도, 자세 변화 검출부(212)가 촬상 장치(20)의 자세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마지막으로 시차 방향을 검출한 상태에 기초하여 제어부(210)는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첫째,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202)의 차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202)의 차단 영역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렌즈부(201)의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촬상 장치(2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였다고 자세 변화 검출부(212)가 판단한 경우에,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다시 검출 동작을 행하지 않고, 시차 방향 검출부(207)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인 채로, 제어부(210)가 광 차단부(202)의 광 차단 영역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도시된 촬영자의 얼굴 상태로부터 촬영자가 자신의 얼굴을 그대로 하고 촬상 장치(20)를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30° 기울인 경우에는, 제2 렌즈부(105)에 비치는 촬영자의 얼굴은 도 5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경우, 자세 변화 검출부(212)는 촬상 장치(20)가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30°기울어졌음을 검출한다. 제어부(210)는 그 검출 결과에 따라 광 차단부(202)의 일부를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한다. 촬상 장치(20)를 렌즈의 광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90°기울인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에 의해 제어부(210)는 광 차단부(202)의 일부를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한다.
이 경우, 촬상 장치(20)는 렌즈의 광축에 대해 회전하고 있는 것뿐이므로, 촬영자의 위치 및 촬영의 피사체에 변경이 없다고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를 동작시키지 않고 광 차단부(202)의 차단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자세 변화 검출부(212)가 촬상 장치(20)의 자세 변화를 검출해도, 촬상 장치(20)의 자세 변화가 소정의 문턱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광 차단부(202)의 차단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소비전력은 시차 방향 검출부(207)의 소비전력보다 작다. 그 때문에, 촬상 장치(20)는 적절한 3D 화상의 촬영을 가능하게 하면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제어부(210)는 자세 변화 검출부(212)가 촬상 장치(20)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면, 이에 대응하여 시차 방향 검출부(207)에 시차 방향의 검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세 변화 검출부(21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세 변화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를 제어하여 검출 동작을 다시 수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20)가 3차원 공간에서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서 5° 이상 회전됨으로써 촬상 장치(20)의 자세(방향)가 변화한 경우에는, 제어부(210)는 시차 방향 검출부(207)를 제어하여 검출 동작을 다시 수행시킬 수 있다. 또, 문턱값은 5°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촬상 장치(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스마트폰 등)나, 그 촬상 장치로 촬영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예를 들면,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응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시차 방향 검출부(107)에서의 기준 방향은 제2 렌즈부(105)로 촬영하였을 때의 수평 방향이라고 하였지만, 수직 방향이어도 되고 그 밖의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실시예에서, 화상에 관련지어져 저장되는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는 기준 방향으로부터의 시차 방향의 어긋남 각도라고 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라면 다른 정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상 장치는, 촬상 장치의 자세(방향)의 변화뿐만 아니라 촬상 장치의 이동을 검출 가능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시차 방향 검출부가 동작을 정지하고 있고, 장치의 검출 결과가 촬상 장치의 이동 거리가 0 또는 소정의 문턱값 미만인 경우에는, 피사체 및 촬영자의 시차 방향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시차 방향 검출부의 동작을 정지시킨 채로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촬상 장치의 이동 거리가 소정의 문턱값 이상인 경우에는, 시차 방향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재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 및 조작부를 이용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을 직간접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광 차단 영역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에서 자세 변화가 검출되면(S802),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처리가 수행되고(S806), 자세 변화가 검출되지 않으면,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처리가 수행되지 않는다. 자세 변화의 검출은 촬상 장치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자세 변화가 검출되지 않으면, 마지막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자세 변화의 정보에 기초하여 광 차단 영역이 선택된다(S804).
자세 변화가 검출되면, 검출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 차단 영역이 선택된다(S808).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는 재생부(910), 영상 처리부(920), 및 표시부(930)를 포함한다.
재생부(910)는 영상 파일을 재생한다. 상기 영상 파일은 좌안용 화상, 우안용 화상, 및 촬영 시의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는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따라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920)는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시차 방향 정보가 "반 시계 방향으로 30도"인 경우, 영상 처리부(920)는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시계 방향으로 30도 기울인 상태로 표시하도록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처리하여 표시부(930)에 출력한다.
표시부(930)는 영상 처리부(920)로부터 출력된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반송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촬상 장치
101, 201 제1 렌즈부
102, 202 광 차단부
103, 203 제1 촬상부
104, 204 화상 처리부
105, 205 제2 렌즈부
106, 206 제2 촬상부
107, 207 시차 방향 검출부
108, 208 표시부
109, 209 조작부
110, 210 제어부
111, 211 저장부
212 자세 변화 검출부
900 표시 장치
910 재생부
920 영상 처리부
930 표시부

Claims (20)

  1. 제1 렌즈부를 통과하는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 차단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시차 방향 검출부;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제어부;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제어부는, 상기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상기 광 차단부가 좌안용 광을 차단하고, 상기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상기 광 차단부가 우안용 광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제1 렌즈부가 설치된 면과 반대 면으로부터 입사광을 수광하도록 배치된 제2 촬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는, 상기 제2 촬상부를 이용하여 촬영자의 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촬상할 때,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가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검출한 상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상기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제어부가 선택한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또는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제어부가 선택한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촬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자세 변화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에서 검출 동작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촬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을 선택하는, 촬상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제어부는,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가 상기 렌즈부의 렌즈의 광축에 대해 상기 촬상 장치가 회전하였음을 검출한 경우에,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의 검출 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상기 시차 방향 검출부가 마지막으로 검출한 시차 방향의 정보 및 상기 자세 변화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 차단부의 차단 영역을 선택하는 촬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촬상 장치가 촬상한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에 대한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좌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조정하고, 표시 장치에 표시할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는 액정 셔터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14. 좌안용 화상, 우안용 화상, 및 촬영 시의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재생부;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각도를 결정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좌안용 화상 및 상기 우안용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좌안용 광을 차단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타이밍에 우안용 광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는,
    광의 입사 방향과 반대 쪽에 배치된 촬상부를 이용하여 촬영자의 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눈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시차 방향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마지막으로 검출된 시차 방향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을 차단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촬상 장치의 자세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 변화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시차 방향을 검출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제어 방법.
  20. 프로세서에 의해 독출되어 수행되었을 때,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 제어 방법은,
    촬영자의 시차 방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시차 방향에 기초하여, 광을 차단할 영역을 선택하는 단계;
    광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단계;
    좌안용 화상 및 우안용 화상을 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좌안용 화상, 상기 우안용 화상, 및 상기 시차 방향에 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019213A 2013-08-05 2014-02-19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 KR20150016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0,630 US20150035952A1 (en) 2013-08-05 2014-08-04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2642A JP2015033056A (ja) 2013-08-05 2013-08-05 撮像装置、表示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JP-P-2013-162642 2013-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71A true KR20150016871A (ko) 2015-02-13

Family

ID=5251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13A KR20150016871A (ko) 2013-08-05 2014-02-19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5033056A (ko)
KR (1) KR201500168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8292A1 (en) * 2015-12-22 2021-06-03 Sharp Kabushiki Kaisha Operation assistance device, operation assistan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3056A (ja)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6667B2 (en) Stereoscopic imaging systems with convergence control for reducing conflicts between accomodation and convergence
US10158798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576320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357205B2 (en) Stereoscopic image control apparatus to adjust parallax, and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2011259168A (ja) 立体パノラマ画像撮影装置
JPWO2014148031A1 (ja) 画像生成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KR20140109868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JP201022636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155471B2 (ja) 画像生成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US94264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imensional images
JP2011024123A (ja) 3次元画像撮像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US10148890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o prevent display of a through image from being stopped when a shutter unit is not completely opened
JP2012249168A (ja) 立体画像を表示可能なカメラ
WO2012147368A1 (ja) 撮影装置
CN107852457B (zh) 取景器装置和操作该装置的方法
JP5153021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80486B2 (ja) 画像出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16871A (ko) 촬상 장치, 표시 장치, 촬상 방법 및 촬상 프로그램
US20130076867A1 (en) Imaging apparatus
JPWO2012165123A1 (ja) 撮影装置、撮影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887461B2 (ja) 3次元画像撮像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JP2011091750A (ja) 立体画像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05526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6036081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150035952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