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79A -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79A
KR20150016779A KR1020130092652A KR20130092652A KR20150016779A KR 20150016779 A KR20150016779 A KR 20150016779A KR 1020130092652 A KR1020130092652 A KR 1020130092652A KR 20130092652 A KR20130092652 A KR 20130092652A KR 20150016779 A KR20150016779 A KR 20150016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bumper
bumper cover
end module
bump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779A/ko
Priority to CN201420092620.8U priority patent/CN203805827U/zh
Publication of KR2015001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 커버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범퍼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고 범퍼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키며 범퍼 내측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Bumper Assembly and Front End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고 범퍼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키며 범퍼 내측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전방 차체인 프론트 엔드(Front End)에는 헤드램프와 후드래치, 범퍼, 라디에이터 및 전동팬 등이 설치되므로, 강성적 측면과 더불어 각종 부품 등을 설치하기 위한 기능성 측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프론트 엔드에는 각 부품들을 프론트 엔드에 미리 설치하여서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시킨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로 제조해, 설치되는 부품들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공정수를 단축시키게 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은 차량의 차체프레임에서 전면 패널을 이루는 캐리어(carrier)를 통해 응축기와 라디에이터 및 냉각 팬과 헤드 램프등을 장착하여 구성된다.
프론트 엔드 모듈에는 보행자 충돌 시 보행자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충돌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프너가 포함된다. 스티프너는 차량의 전방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을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전역에 걸쳐 고르게 전달하는 기능과 함께, 보행자와의 충돌 시 변형되면서 그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티프너가 설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10)에서는 육각형 허니컴(honey comb) 구조를 갖는 사출 타입의 스티프너(12)가 캐리어(11) 상단 좌우에 2개 마련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 스티프너(12)는,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상부 공간 제약으로 인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중앙부에 조립이 불가하여 측면 구성품에만 조립되어지는 공간적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충격 흡수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한 스티프너의 설계 자유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고 범퍼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키며 범퍼 내측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퍼 커버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범퍼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스티프너는 강철(steel)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범퍼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범퍼 커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범퍼 커버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단면 형상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범퍼 커버 내측에 마련되는 라디에이터 그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삽입공이 형성되어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3개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범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따르면, 차량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고 범퍼 어셈블리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키며 범퍼 내측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티프너가 설치된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 다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스티프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범퍼 어셈블리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C-C'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D-D'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에 다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스티프너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B-B'에 따른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범퍼 어셈블리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C'에 따른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D-D'에 따른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200, FEM, Front End Module)은, 외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프너(110)가 범퍼 커버(120) 내측에 일체로 결합되는 범퍼 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범퍼 어셈블리(100)는, 범퍼 커버(120), 라디에이터 그릴(130), 스티프너(110)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티프너(110)는 강철(steel) 재질로 마련되어 범퍼 커버(120) 상부를 따라 내측에 결합된다. 스티프너(110)가 강철 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외부 충격 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티프너(110)는, 범퍼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범퍼 커버(120)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111)와, 몸체부(111)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12a)이 형성되어 범퍼 커버(120)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112)와, 몸체부(111)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삽입공(113a)이 형성되어 가이드봉(131)이 삽입되는 가이드부(113)를 포함한다.
몸체부(111)는 범퍼 커버(120)의 상부 내측에 범퍼 커버(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몸체부(111)는, 단면 형상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스티프너(110)의 몸체부(111)에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절곡부(111a)가 마련됨으로써 외부 충격 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합부(112)는 몸체부(111)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112a)이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결합부(112)는 관통공(112a)을 통하여 범퍼 커버(120)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10에서와 같이 범퍼 커버(120) 내측에 마련되는 라디에이터 그릴(130)에 나사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140)는 태핑 스크류(tapping screw)가 사용된다.
결합부(112)는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으로 복수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11)의 상하부에 총 9개의 결합부(112)가 마련되어 각각 라디에이터 그릴(13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스티프너(110)가 범퍼 커버(120) 내측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6,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13)는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삽입공(113a)이 형성된다. 삽입공(113a)에는 라디에이터 그릴(13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가이드봉(131)이 삽입된다. 가이드봉(131)은 가이드부(113)의 삽입공(113a)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스티프너(110)를 범퍼 커버(120) 내측에 조립할 때 가이드봉(131)을 가이드부(113)의 삽입공(113a)에 삽입함으로써 스티프너(110)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임시로 고정될 수 있고, 스티프너(1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113)는 총 3개가 마련되어 가이드봉(131)이 가이드부(113)의 삽입공(113a)에 삽입되었을 때 스티프너(1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범퍼 어셈블리(100)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200)에 의하면, 범퍼 어셈블리(100)에 스티프너(110)가 일체로 마련되어 차량 충돌 시 스티프너(110)가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스티프너(110)에 의하여 범퍼 어셈블리(100)의 조립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범퍼 어셈블리(100)에 스티프너(110)가 일체로 결합되어 마련됨으로써 범퍼 내측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사출타입 스티프너(12)를 프론트 엔드 모듈(10)의 캐리어(11) 양단에 2개를 조립하는 구조에 비하여 범퍼 어셈블리(100) 내측에 스틸 스티프너(110) 1개 조립으로 부품 수 감소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범퍼 어셈블리
110 : 스티프너
111 : 몸체부
112 : 결합부
112a : 관통공
113 : 가이드부
113a : 삽입공
120 : 범퍼 커버
130 : 라디에이터 그릴
131 : 가이드봉
200 : 프론트 엔드 모듈

Claims (8)

  1. 범퍼 커버 내측에 결합되어 외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프너를 포함하는 범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강철(steel)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범퍼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범퍼 커버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범퍼 커버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범퍼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단면 형상이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범퍼 커버 내측에 마련되는 라디에이터 그릴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어셈블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는,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판면을 관통하여 삽입공이 형성되어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범퍼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3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 어셈블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범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20130092652A 2013-08-05 2013-08-05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50016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52A KR20150016779A (ko) 2013-08-05 2013-08-05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CN201420092620.8U CN203805827U (zh) 2013-08-05 2014-03-03 保险杠总成及包括该保险杠总成的前端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52A KR20150016779A (ko) 2013-08-05 2013-08-05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79A true KR20150016779A (ko) 2015-02-13

Family

ID=5144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52A KR20150016779A (ko) 2013-08-05 2013-08-05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16779A (ko)
CN (1) CN20380582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93272B1 (en) 2017-06-12 2018-10-0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ront end assemblies having reinforcement brac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805827U (zh)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0219B2 (en) Vehicle fascia with integral energy absorber
JP5946395B2 (ja) 電池保護構造体
JP6443469B2 (ja) 車両の前部構造
US8801059B2 (en)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JP4466676B2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US10632935B2 (en) Vehicle interior component
KR20130139628A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20150016779A (ko) 범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443198B1 (ko) 범퍼 모듈
JP2011016386A (ja) 車両前部の艤装部品取付構造
US6962380B2 (en) Rear bumper assembly structure for vehicle
JP2022505500A (ja) 自動車の電源バッテリ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CN103826934B (zh) 车辆的前保险杠组件
KR101932637B1 (ko) 차량용 로워 스티프너 유닛
JP655892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バンパ
JP6558384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20100138583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JP2004249816A (ja) 車体前部構造
CN216015532U (zh) 电池保护组件及其保护盖
JP6304203B2 (ja) 車両の前部構造
RU186618U1 (ru) Рамка для регистрационного знака автомобиля с функцией бампера
KR20100028261A (ko) 자동차용 범퍼 백빔
KR20120002256A (ko) 차량용 리어 범퍼
KR100756754B1 (ko) 프론트 사이드멤버 보강구조
KR20130140453A (ko) 격자 리브를 구비하는 범퍼 백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