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66A - 붓 세척용 물통 - Google Patents

붓 세척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66A
KR20150016766A KR1020130092628A KR20130092628A KR20150016766A KR 20150016766 A KR20150016766 A KR 20150016766A KR 1020130092628 A KR1020130092628 A KR 1020130092628A KR 20130092628 A KR20130092628 A KR 20130092628A KR 20150016766 A KR20150016766 A KR 2015001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container
brush
accommodation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경 filed Critical 김민경
Priority to KR1020130092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766A/ko
Publication of KR2015001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006Devices for cleaning paint-applying hand tools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2Paint cans; Brush holders; Containers for storing residual paint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술용 붓을 세척할 수 있는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감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미술용 붓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용 물과 세척되어 오염된 물을 각각 분리함으로 인해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미술용 붓을 보관할 수 있는 홀더가 구비된 붓 세척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붓 세척용 물통 {Convenient to clean brush bucket}
본 발명은 미술용 붓을 세척할 수 있는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감을 사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미술용 붓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척용 물과 세척되어 오염된 물을 각각 분리함으로 인해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있으며 미술용 붓을 보관할 수 있는 홀더가 구비된 붓 세척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채화 등을 그릴 때에는 붓에 그림물감을 묻혀 색상을 표현하게 되는데, 여러 가지 색으로 하나의 그림을 완성하는 경우 하나의 붓으로 일정 색을 표현한 다음에 그 붓을 세척하여 다른 색을 표현한다. 이처럼 붓을 세척할 때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세척용 물이 보관된 물통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물통은 붓에 묻어 있던 물감은 한번만 세척한다고 하더라도 물통에 보관된 세척용 물이 오염된다. 이는 색이 진한 물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오염되는 정도가 심해지기 때문에 선명한 색을 필요로 하는 그림을 그리는 경우에는 반복적으로 물통의 물을 깨끗한 물로 교체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깨끗한 물로 그림을 그릴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물을 교체하지 않음으로써 물이 낭비되지 않은 붓 세척용 물통의 개발이 필요하다.
1.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5679호 '물감용 물통' (공개일자 2011.06.08) 2. 공개특허 제10-2011-0073994호 '붓 세척 도구' (공개일자 2011.06.30) 3.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1426호 '다용도 회화용 물통 (공개일자 2000.01.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감이 묻어 있는 붓을 세척하는 물과 세척된 물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으며 붓 세척시 세척용 물을 분사하여 신속하게 붓을 세척할 수 있는 붓 세척용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기가 다양한 여러 종류의 붓을 보관할 수 있는 붓 보관용 홀더가 구비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붓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붓 세척용 물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붓 세척용 물통은 내부에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보관용기(100); 상기 수용공간(S)을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1)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100)의 내부에 상하로 세워지는 격벽(200); 상기 제1 수용공간(S1)과 연통되도록 상기 보관용기(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300); 개구부(300)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위치한 흡입관(410)과 상기 흡입관(410)으로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액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410)으로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하는 조작레버(420) 및 상기 흡입관(410)으로 흡입된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430)를 포함하는 노즐헤드(400); 일측이 상기 토출부(430)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용공간(S2)과 연통되어 상기 조작레버(420)의 구동으로 제1 수용공간(S1)에서 토출된 액체를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시키는 액체 이동관(500);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된 액체를 통하여 붓(B)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100)를 관통하는 관통홀(600); 상기 보관용기(100)의 외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붓(B)이 탈부착되는 고정홀더(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 이동관(500)의 타측에는 상기 보관용기(100)에 고정되며 상기 액체 이동관(500)과 연결되고, 적은양의 액체로 상기 붓(B)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이동관(500)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5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700)는 가장자리에 다양한 크기의 붓(B)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붓 끼움홈(7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100)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보관용기(100)의 하단을 관통하는 배출구(110)와 상기 배출구(110)를 개폐하는 배출캡(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붓을 세척할 수 있도록 세척용 물이 분사되는 분사 노즐을 구비하여 붓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붓 세척시 사용되는 물의양이 감소되며, 세척용 물과 세척되어 오염된 물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격벽을 설치하여 한번 세척용 물을 담으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물을 갈아줘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붓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용 홀더가 구비되어 붓 세척 후 보관용 홀더에 붓을 보관함으로써 작업공간이 확보되며 다양한 크기의 여러 종류의 붓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붓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붓 세척용 물통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보관용기에서 고정홀더가 탈착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붓 세척용 몰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붓 세척용 물통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보관용기에서 고정홀더가 탈착된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주요부분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붓 세척용 몰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붓 세척용 물통은 보관용기(100)를 갖는다. 보관용기(100)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보관용기(100)는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보관용기(100)의 내부에는 상하로 세워지는 격벽(200)이 형성된다. 격벽(200)은 ?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보관용기(100)의 수용공간(S)을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보관용기(100) 내부에 설치된다. 격벽(200)은 보관용기(100)와 일체로 사출되어 성형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보관용기(100)의 상측에는 개구부(300)가 형성된다. 개구부(300)는 보관용기(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00)는 제1 수용공간(S1)과 연통될 수 있으며 개구부(300)를 통해 제1 수용공간(S1)으로 액체를 공급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개구부(300)에는 노즐헤드(400)가 체결된다. 노즐헤드(400)는 흡입관(410), 조작레버(420), 토출부(430) 및 캡(440)을 포함한다.
먼저 캡(440)은 내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개구부(30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된다. 보관용기(100)가 전도하였을 때 캡(440)을 통하여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흡입관(410)은 제1 수용공간(S1)에 위치한다. 흡입관(410)은 상하로 연장되며 내부가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토출부(430)는 흡입관(410)을 통하여 액체가 흡입되면 흡입된 액체를 외부로 토출시기기 위해 형성된다. 토출부(430)는 노즐헤드(4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조작레버(420)는 흡입관(410)이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액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한다. 즉 조작레버(420)를 구동시키면 노즐헤드(400) 내부에 형성된 펌프(미도시)가 작동하여 흡입관(410)으로 액체가 흡입된다. 따라서 흡입관(410)을 통해 흡입된 액체가 토출부(430)로 토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액체 이동관(500)이 형성된다. 액체 이동관(500)은 내부로 액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유롭게 절곡이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액체 이동관(500)은 일측이 토출부(430)에 체결되어 토출부(430)와 연통되며, 타측이 제2 수용공간(S2)을 관통하여 제2 수용공간(S2)과 연통된다. 따라서 토출부(430)로 토출된 액체가 액체 이동관(500)을 지나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보관용기(100)에는 관통홀(600)이 형성된다. 관통홀(600)은 보관용기(100)의 외측벽면을 관통하며 서로다른 크기로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600)은 보관용기(100)의 외측벽면에 형성되되, 제2 수용공간(S2)이 형성된 외측벽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홀(600)로 물감이 묻은 붓(B)을 삽입하여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되는 액체를 통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보관용기(100)의 외측면에는 고정홀더(700)가 형성된다. 고정홀더(700)에는 붓(B)이 탈부착될 수 있다. 고정홀더(70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관용기(100)의 외측벽면에 끼워질 수 있다. 고정홀더(700)는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 및 합성수지계열의 재질로 형성되어 보관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변형시켜 보관용기(100)에 끼울 수 있다. 고정홀더(700)의 가장자리에는 붓 끼움홈(710)이 형성된다. 붓 끼움홈(710)은 고정홀더(7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각각의 붓 끼움홈(710)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이는 미술용으로 사용되는 붓(B)의 몸통 직경이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붓(B)을 탈부착 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액체 이동관(500)의 타측에는 분사노즐(510)이 구비된다. 분사노즐(510)은 보관용기(100)의 외측벽면에 고정되며 액체 이동관(500)이 타측과 연결된다. 분사노즐(510)은 액체 이동관(500)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킬 수 있도록 끝단이 액체 이동관(5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분사노즐(510)을 통하여 분사되는 액체가 넓은 면적을 그리며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510)의 끝단은 다수개의 분사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사노즐(510)을 통하여 액체가 고압으로 분사되면 적은양의 액체로 붓(B)을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시간이 줄어든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보관용기(100)의 하단에는 배출구(110)가 형성된다. 배출구(110)는 제2 수용공간(S2)과 연통되며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된 액체가 배출구(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구(110)에는 배출구(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출캡(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붓(B) 세척 후 제2 수용공간(S2)에 오염된 액체가 일정량 차게되면 배출캡(120)을 개방시켜 오염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보관용기(100)의 외측벽면에는 체결홈(101)이 보관용기(100)의 내측방향으로 함입 형성된다. 체결홈(101)은 보관용기(110)의 외측벽면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관용기(100)의 외측벽면과 접촉되는 고정홀더(700)의 내측면에는 체결홈(101)에 삽입될 수 있는 고정돌기(720)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홀더(700)의 고정돌기(720)가 체결홈(101)에 삽입되면 고정홀더(700)가 보관용기(100)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홀더(700)에 다수개의 붓(B)을 부착시켜도 고정홀더(700)가 보관용기(100)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붓(B)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액체가 분사되는 분사노즐(510)을 구비하였고 이에 따라 붓(B) 세척시 사용되는 물의양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수용공간(S1)에 세척용 액체를 보관하고 제2 수용공간(S2)에 오염된 액체를 각각 보관할 수 있음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액체를 갈아줘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또한 붓(B)을 보관할 수 있는 고정홀더(700)가 구비되어 붓(B) 세척 후 고정홀더(700)에 붓을 보관함으로써 붓(B)이 분실되는 위험성을 방지하였으며 작업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쾌적한 환경에서 미술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여러 종류의 붓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붓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보관용기 101 : 체결홈
110 : 배출구 120 : 배출캡
200 : 격벽 300 : 개구부
400 : 노즐헤드 410 : 흡입관
420 : 조작레버 430 : 토출부
440 : 캡 500 : 액체 이동관
510 : 분사노즐 600 : 관통홀
700 : 고정홀더 710 : 붓 끼움홈
720 : 고정돌기 S : 수용공간
S1 : 제1 수용공간 S2 : 제2 수용공간
B : 붓

Claims (4)

  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는 보관용기(100);
    상기 수용공간(S)을 제1 수용공간(S1) 및 제2 수용공간(S1)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100)의 내부에 상하로 세워지는 격벽(200);
    상기 제1 수용공간(S1)과 연통되도록 상기 보관용기(100)의 상측에 형성되는 개구부(300);
    개구부(300)에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위치한 흡입관(410)과 상기 흡입관(410)으로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수용된 액체가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관(410)으로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구동하는 조작레버(420) 및 상기 흡입관(410)으로 흡입된 액체가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부(430)를 포함하는 노즐헤드(400);
    일측이 상기 토출부(430)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용공간(S2)과 연통되어 상기 조작레버(420)의 구동으로 제1 수용공간(S1)에서 토출된 액체를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시키는 액체 이동관(500);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된 액체를 통하여 붓(B)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보관용기(100)를 관통하는 관통홀(600);
    상기 보관용기(100)의 외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붓(B)이 탈부착되는 고정홀더(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 세척용 물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이동관(500)의 타측에는 상기 보관용기(100)에 고정되며 상기 액체 이동관(500)과 연결되고, 적은양의 액체로 상기 붓(B)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액체 이동관(500)을 통해 분사되는 액체를 고압으로 분사시키는 분사노즐(51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 세척용 물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700)는 가장자리에 다양한 크기의 붓(B)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의 붓 끼움홈(7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 세척용 물통.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100)에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으로 분사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보관용기(100)의 하단을 관통하는 배출구(110)와 상기 배출구(110)를 개폐하는 배출캡(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붓 세척용 물통.
KR1020130092628A 2013-08-05 2013-08-05 붓 세척용 물통 KR20150016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28A KR20150016766A (ko) 2013-08-05 2013-08-05 붓 세척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28A KR20150016766A (ko) 2013-08-05 2013-08-05 붓 세척용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66A true KR20150016766A (ko) 2015-02-13

Family

ID=5257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28A KR20150016766A (ko) 2013-08-05 2013-08-05 붓 세척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6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41B1 (ko) * 2019-09-05 2021-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브러시 세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041B1 (ko) * 2019-09-05 2021-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브러시 세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26655B2 (en) Multi-function cleaning apparatus
KR101591948B1 (ko) 창문닦이
US20200196831A1 (en) Cleaning tool and containment system
US20050260028A1 (en) Spray controlled cleaning brush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US2920333A (en) Fountain brush
KR20150016766A (ko) 붓 세척용 물통
KR101399816B1 (ko) 휴대용 비데
CN212698060U (zh) 喷水刷子
CN202656773U (zh) 多功能画笔清洗桶
KR102334226B1 (ko) 버킷 장착용 도구거치대
JP5126836B2 (ja) フォーマーポンプ
KR101217019B1 (ko) 붓 세척장치
CN203435875U (zh) 一种洗衣刷
KR101765714B1 (ko) 세척부재가 구비된 마스카라브러시 세척용기
CN208259330U (zh) 一种具有抽水功能的刷子
KR101074631B1 (ko) 붓 세척 도구
KR200483279Y1 (ko) 브러시 세척판이 형성된 용기뚜껑을 구비한 화장품용기
CN216652156U (zh) 一种便利一体擦窗喷壶
KR20160002576U (ko) 분무기가 결합된 칠판지우개
KR20130007464U (ko) 습식 지우개
US20160355052A1 (en) Device for cleaning a paint roller
JP6429304B2 (ja) ハンドクリーナ
CN204838462U (zh) 一种采用按压气囊喷水式清洁喷雾刷
CN215305569U (zh) 清洁设备用地刷及清洁设备
JP3148092U (ja) 洗浄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