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509A -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 Google Patents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509A
KR20150016509A KR1020147032191A KR20147032191A KR20150016509A KR 20150016509 A KR20150016509 A KR 20150016509A KR 1020147032191 A KR1020147032191 A KR 1020147032191A KR 20147032191 A KR20147032191 A KR 20147032191A KR 20150016509 A KR20150016509 A KR 20150016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ntacts
fixed contacts
arc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410B1 (ko
Inventor
쉬 션
Original Assignee
상하이 후아밍 파워 이큅먼트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후아밍 파워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하이 후아밍 파워 이큅먼트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상하이 후아밍 파워 이큅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상하이 후아밍 파워 이큅먼트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1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0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ntact-making surface, e.g. groov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6Contact arrangements for providing make-before-break operation, e.g. for on-load tap-chan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16Contact arrangements for tap 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Slid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절연스위치기판(401);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가 적어도 일렬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고,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의 내단이 각각 변압기의 두 개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101, 102, 103; 401.1, 401.2, ......, 401.9); 회전축에 적어도 두 개의 가동접촉자(310, 320, 330; 403.1, 403.2, 403.3)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적어도 두 개의 가동접촉자 사이가 전기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300; 405); 적어도 일렬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도체(200; 404.1, 404.2, 404.3)를 포함하고, 호형도체와 적어도 일렬의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의 외단(101a, 102a, 103a)이 회전축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두 개의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될 때 또 다른 가동접촉자는 반드시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된다. 상기 체인지오버 구조는 스위치 내부의 연결 도체를 생략함으로써 각 유닛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장착이 편리하기 때문에 고장 날 가능성이 낮다.

Description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SWITCHING STRUCTURE OF MOVING CONTACTS AND FIXED CONTACTS OF TAP SELECTOR}
본 발명은 변압기의 온로드 탭 스위치(on-load tap switch)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걸이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에 있어서 탭 셀럭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온로드 탭 스위치(on-load tap switch)는 변압기가 온로드된 상태에서(즉, 부하 상태) 변압기에 연결하는 와인딩 탭을 전환하여 변압기 최초 와인딩의 권선비를 바꿈으로써 변압기 출력전압을 전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는 기능에 따라 체인지오버 스위치(changeover switch)와 탭 셀렉터(tap selector)의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는 체인지오버 스위치(A)이고, 하부는 탭 셀렉터(B)이다. 여기에서 저항(R)은 경계 저항이다. 변압기 메인 와인딩(a)에는 변압기 메인 탭 와인딩(b)을 직렬 연결하고, 변압기 메인 탭 와인딩(b)에는 탭 1 내지 12를 구비하고 있으며, 탭 1, 3, 5, 7, 9, 11은 홀수측에 위치하고, 탭 2, 4, 6, 8, 10, 12는 짝수측에 위치하며, 도면에서 도시하는 셀렉터는 홀수측 탭 3 위치에서 도전되고, 짝수측은 도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탭 2 또는 탭 4에서 미리 선택할 수 있으며, 상부 체인지오버 스위치가 우측인 짝수측으로 전환될 경우, 탭 2 또는 탭 4로 전환되어 도전됨으로써 변압기 와인딩의 권수와 변압기 최초 와인딩의 권선비를 바꾼다.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 셀렉터는 동심(concentric)이 회전하는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이 있는 두 개의 직경이 같은 원 구조이고, 여기에서 하나의 원에는 원주를 따라 홀수 탭 1b, 3b, 5b, 7b, 9b, 11b 와인딩 탭과 서로 연결되는 고정접촉자를 분포시키고, 또 다른 원에는 원주를 따라 짝수 탭 2b, 4b, 6b, 8b, 10b, 및 12b 와인딩 탭과 서로 연결되는 고정접촉자를 분포시킨다. 일반적인 변압기의 각 와인딩에는 10 내지 18개의 전압조정 탭이 있으므로 각 원 구조에는 5 내지 9개(최대 9개)의 고정접촉자가 분포해야 하는데 이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동심 회전 구조는 내장 분리형 구조 조합의 온로드 탭 스위치에서 어느 정도 우수성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외부걸이 수평배치 조합의 온로드 탭 스위치에서는 리드선 1a, 2a, 3a, 4a, 5a, 6a, 7a, 8a, 9a, 10a, 11a, 및 12a 때문에 절연격판의 결선 헤드(C)에서 온로드 탭 스위치 셀렉터의 고정접촉자 1b, 2b, 3b, 4b, 5b, 6b, 7b, 8b, 9b, 10b, 11b, 12b와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온로드 탭 스위치는 전압이 높고 전류가 큰 환경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기력 작용으로 인하여 리드선 1a, 2a, 3a, 4a, 5a, 6a, 7a, 8a, 9a, 10a, 11a, 12a를 가요선으로 연결할 수 없으므로 원형 동봉(copper rod)으로 구부려서 형태를 만들어야 하고,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선 1a, 2a, 3a, 4a, 5a, 6a, 7a, 8a, 9a, 10a, 11a, 및 12a를 구부려 각종 형상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하기가 비교적 어렵다. 또한 차측간 전압 때문에 각 리드선 간에 일정한 간격을 보장해야 하므로 아주 큰 공간이 필요하고, 스위치 오일 챔버를 비교적 크게 제작해야 하므로 설비 원가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변압기의 오일 용량도 증가하고, 전자기력의 영향으로 리드선 사이 위치가 쉽게 바뀌면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on-load tap changer) 셀렉터를 외부걸이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에 사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에 대하여 해결하는 새로운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절연스위치기판;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가 적어도 일렬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의 내단이 각각 변압기의 두 개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적어도 두 개의 가동접촉자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동접촉자 사이가 전기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적어도 일렬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도체와 적어도 일렬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의 외단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상기 두 개의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때 다른 상기 가동접촉자가 반드시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는 세 개이고,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는 적어도 일렬의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의 내단은 각각 변압기의 세 개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고,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의 외단과 대응하는 상기 호형도체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때 다른 상기 가동접촉자는 반드시 대응하는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의 수량이 세 개 이상인 경우, 상기 고정접촉자는 적어도 이열 이상의 방식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접촉자의 내단은 각각 변압기와 대응하는 상기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며, 각 일렬에는 세 개를 초과하지 않는 상기 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있고, 동시에 상기 고정접촉자의 열수에 의거하여 상기 고정접촉자 열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상기 호형도체를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호형도체 간에는 전기접속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접촉자 열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상기 가동접촉자가 균일하게 분포되며,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임의의 일렬의 상기 두 개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경우, 반드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는 하나의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는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짝수 고정접촉자로 나뉘고, 삼상의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는 대응하는 상기 회전축 축선 평행방향으로 일렬 간격으로 배열되며, 각 일상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는 9개의 상기 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있고, 삼열 간격으로 나누어 배열되며, 각 일렬에는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가 있고, 각 상의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접촉자는 세 개로 상기 회전축에 분포하며 상호 간에 전기접속되고, 동시에 각 상의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에 대응하여 상기 호형도체 또한 세 개인데 상호 간에 전기접속되며, 각 하나의 상기 호형도체는 일렬의 상기 고정접촉자에 대응하고,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임의의 일렬에서의 상기 두 개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경우, 반드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접촉자는 하나의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형도체는 단면이 원형인 호형도체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방안을 채택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하여 아래와 같은 현저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1. 스위치 내부의 연결 도체를 생략함으로써 각 유닛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안착이 편리하며, 고장 날 가능성이 낮다.
2. 구조 사이즈가 작아 셀렉터가 차지하는 공간과 스위치 체적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재료원가를 절감하고, 변압기 오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있어서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on-load tap changer)의 회로원리 설명도;
도 2는 종래에 있어서 조합식 온로드 탭 스위치의 회로구조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탭 셀렉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체인지오버 구조의 회로연결원리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탭 셀렉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체인지오버 구조의 하나의 실시예의 구조 설명도;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는 탭 셀렉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체인지오버 구조를 또 다른 상태로 전환한 설명도.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탭 셀렉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체인지오버 구조의 회로연결원리 설명도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탭 셀렉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체인지오버 구조의 회로연결원리 설명도에 있어서, 고정접촉자는 101, 102, 103 세 개이고, 고정접촉자(101, 102, 103)는 절연스위치기판(401)에 고정되어 일렬로 배열되며, 절연스위치기판(401)의 다른 일측에는 세 개의 고정접촉자(101, 102, 103)의 내단이 각각 변압기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된다. 고정접촉자(101, 103)는 비교적 길고, 고정접촉자(102)는 비교적 짧으며,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101, 102, 103)의 외단( 101a, 102a, 103a)과 호형도체(200)는 회전축(300)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한다. 회전축(300)에 120°로 세 개의 가동접촉자(310, 320, 330)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세 개의 가동접촉자(310, 320, 330) 사이는 상호 전기접속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탭 셀렉터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 체인지오버 구조의 회로연결원리 설명도에 있어서, 회전축(300)에 180°로 두 개의 가동접촉자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도 있다. 호형도체(200)는 단면이 원형인 호형도체이다.
도 3에 의거하여, 탭 셀렉터가 탭 셀렉팅을 진행할 때, 회전축(300)이 회전하고, 가동접촉자(310)가 고정접촉자(102)에서 고정접촉자(103)로 체인지 오버되는 과정에서 가동접촉자(330)는 호형도체(200)와 시종일관 전기접속한다. 가동접촉자(310)가 고정접촉자(102)에서 고정접촉자(101)로 체인지 오버되는 과정에서 고정접촉자(330) 또는/및 가동접촉자(320)는 호형도체(200)와 시종일관 전기접속될 수 있다. 상기 원리를 채택할 경우 더 이상 리드선이 절연격판의 결선 헤드에서 온로드 탭 스위치 셀렉터의 고정접촉자와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 기술의 문제가 해결된다.
도 3의 원리와 결합 변압기 전압조정 와인딩 수량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및 호형도체의 수량과 배치 방식에 대하여 임의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하나의 구체적인 응용방식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면에서 도시한 실시예는 단상 탭 셀렉터에 관한 것으로서, 탭 셀렉터 결합 변압기 전압조정 와인딩의 수량은 홀수와 짝수에 따라 두 세트의 회전 구조로 나누고 상하 병렬로 배치된다.
각 상의 홀수 고정접촉자는 9개이고, 9개의 홀수 고정접촉자(402.1, 402.2, 402.3, 402.4, 402.5, 402.6, 402.7, 402.8 및 402.9)는 삼열로 나누고, 스위치 전압 높낮이와 가동접촉자 구조 사이즈에 따라 확정된 거리로 회전축(405)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절연스위치기판(401)에 고정된다.
9개의 홀수 고정접촉자(402.1, 402.2, 402.3, 402.4, 402.5, 402.6, 402.7, 402.8 및 402.9) 내단은 각각 변압기에 대응하는 9개의 홀수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된다(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
홀수 고정접촉자(402.1, 402.2, 402.3)는 일렬이고, 여기에서 홀수 고정접촉자(402.1)은 중간에 위치하며, 홀수 고정접촉자(402.2, 402.3)는 상하 양측에 위치한다.
홀수 고정접촉자(402.4, 402.5, 402.6)는 일렬이고, 여기에서 홀수 고정접촉자(402.4)은 중간에 위치하며, 홀수 고정접촉자(402.5, 402.6)는 상하 양측에 위치한다.
홀수 고정접촉자(402.7, 402.8, 402.9)는 일렬이고, 여기에서 홀수 고정접촉자(402.7)은 중간에 위치하며, 홀수 고정접촉자(402.8, 402.9)는 상하 양측에 위치한다.
중간의 홀수 고정접촉자(402.1, 402.4, 402.7)는 길이가 비교적 짧고, 양측의 홀수 고정접촉자(402.2, 402.3, 402.5, 402.6, 402.8, 402.9)는 길이가 비교적 길며, 각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의 단부는 모두 가동접촉자 회전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한다.
삼열 홀수 고정접촉자에 대응하여 회전축(405)에 세 개의 홀수 가동접촉자 그룹(403.1, 403.2, 403.3)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세 개의 홀수 가동접촉자 그룹(403.1, 403.2, 403.3)은 원주에서 120°를 이루며, 회전축(405)의 축방향에서 삼열 홀수 고정접촉자 축방향으로 삼열 홀수 고정접촉자에 대응하여 거리를 두고 배열되고, 세 개 가동접촉자 그룹(403.1, 403.2, 403.3) 사이는 도체(406)에 의해 전기접속되며, 도체(406)는 회전축(405)에 고정된다.
세 개 가동접촉자 그룹(403.1, 403.2, 403.3)에 대응하여 각각 세 개 호형도체(404.1, 404.2, 404.3)가 설치되어 있고, 세 개 호형도체(404.1, 404.2, 404.3)의 축방향 위치는 각각 세 개 가동접촉자 그룹(403.1, 403.2, 및 403.3)과 대응하며, 탭 전환 과정에서 세 개 가동접촉자 그룹(403.1, 403.2, 403.3)이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세 개 호형도체(404.1, 404.2, 404.3)와 전기접속되도록 한다. 세 개 호형도체(404.1, 404.2, 404.3) 사이는 도체(404.4, 404.5, 404.6)에 의해 전기접속된다. 세 개 호형도체(404.1, 404.2, 404.3)는 균일하게 단면이 원형인 호형도체이다.
가동접촉자 그룹(403.1)과 호형도체(404.1)에 대응하여 홀수 고정접촉자(402.1, 402.2, 402.3)와 호형도체(404.1)는 회전축(405)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있고, 홀수 고정접촉자(402.1, 402.2, 402.3) 사이는 회전축(405)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서 40° 간격으로 배열된다.
가동접촉자 그룹(403.2)과 호형도체(404.2)에 대응하여 홀수 고정접촉자(402.4, 402.5, 402.6)와 호형도체(404.2)는 회전축(405)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있고, 홀수 고정접촉자(402.4, 402.5, 402.6) 사이는 회전축(405)의 중심이 원의 중심인 동일 원주에서 40° 간격으로 배열된다.
가동접촉자 그룹(403.3)과 호형도체(404.3)에 대응하여 홀수 고정접촉자(402.7, 402.8, 402.9)와 호형도체(404.3)은 회전축(405)의 중심이 원의 중심인 동일 원주에 있고, 홀수 고정접촉자(402.7, 402.8, 402.9) 사이는 회전축(405)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서 40° 간격으로 배열된다.
각 상의 짝수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그룹, 호형도체, 회전축의 수량 및 배치방식은 모두 홀수 고정접촉자, 가동접촉자 그룹과 호형도체의 수량 및 배치방식과 동일하고, 단지 절연스위치기판(401)에서 홀수의 하단에 위치한다.
도 4에서 도시하는 위치에 있어서, 전기의 연결통로는 호형도체(404.2)-가동접촉자(403.2)-도체(406)-가동접촉자(403.1)-고정접촉자(402.3)이다.
회전축(405)이 시계방향으로 40° 회전한 후, 도 5에서 도시하는 위치로 전환되고, 전기의 연결통로는 호형도체(404.1, 404.2)-가동접촉자(403.1, 403.2)-도체(406)-가동접촉자(403.3)-고정접촉자(402.8)이다.
상기의 구조 원리에 따라, 홀수 또는 짝수의 가동접촉자는 체인지오버 조작기구의 조작을 통하여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고, 즉 9개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변압기 전압조정 와인딩 탭의 접속을 전환하는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 주요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원리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진행한 임의의 변경,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하나의 절연스위치기판;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가 적어도 일렬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의 내단이 각각 변압기의 두 개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는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에 적어도 두 개의 가동접촉자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가동접촉자 사이가 전기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적어도 일렬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호형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호형도체와 적어도 일렬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고정접촉자의 외단이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하고,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상기 두 개의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때 다른 상기 가동접촉자가 반드시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는 세 개이고,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는 적어도 일렬의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의 내단은 각각 변압기의 세 개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고,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의 외단과 대응하는 상기 호형도체는 상기 회전축의 중심을 원심으로 한 동일 원주에 위치하며,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때 다른 상기 가동접촉자는 반드시 대응하는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의 수량이 세 개 이상인 경우, 상기 고정접촉자는 적어도 이열 이상의 방식 간격으로 상기 절연스위치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각 고정접촉자의 내단은 각각 변압기와 대응하는 상기 탭 와인딩과 전기접속되며, 각 일렬에는 세 개를 초과하지 않는 상기 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있고, 동시에 상기 고정접촉자의 열수에 의거하여 상기 고정접촉자 열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상기 호형도체를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호형도체 간에는 전기접속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고정접촉자 열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상기 가동접촉자가 균일하게 분포되며,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임의의 일렬의 상기 두 개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경우, 반드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는 하나의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촉자는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짝수 고정접촉자로 나뉘고, 삼상의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는 대응하는 상기 회전축 축선 평행방향으로 일렬 간격으로 배열되며, 각 일상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는 9개의 상기 고정접촉자를 구비하고 있고, 삼열 간격으로 나누어 배열되며, 각 일렬에는 상기 세 개의 고정접촉자가 있고, 각 상의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에 대응하여 상기 가동접촉자는 세 개로 상기 회전축에 분포하며 상호 간에 전기접속되고, 동시에 각 상의 상기 홀수 고정접촉자 또는 상기 짝수 고정접촉자에 대응하여 상기 호형도체 또한 세 개인데 상호 간에 전기접속되며, 각 하나의 상기 호형도체는 일렬의 상기 고정접촉자에 대응하고,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가동접촉자가 임의의 일렬에서의 상기 두 개 고정접촉자 사이에서 체인지오버 될 경우, 반드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동접촉자는 하나의 상기 호형도체와 전기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형도체는 단면이 원형인 호형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구조.
KR1020147032191A 2012-05-17 2012-08-13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장치 KR101757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57251.1A CN103426657B (zh) 2012-05-17 2012-05-17 一种分接选择器动触头与静触头之间的切换结构
CN201210157251.1 2012-05-17
PCT/CN2012/001078 WO2013170404A1 (zh) 2012-05-17 2012-08-13 一种分接选择器动触头与静触头之间的切换结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509A true KR20150016509A (ko) 2015-02-12
KR101757410B1 KR101757410B1 (ko) 2017-07-12

Family

ID=49580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191A KR101757410B1 (ko) 2012-05-17 2012-08-13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5724B2 (ko)
KR (1) KR101757410B1 (ko)
CN (1) CN103426657B (ko)
BR (1) BR112014028284B8 (ko)
DE (1) DE112012006380B4 (ko)
IN (1) IN2014MN02323A (ko)
WO (1) WO2013170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0421B3 (de) * 2014-01-15 2015-01-1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r für eine Schaltvorrichtung mit Schaltwelle, dessen Verwendung in einem Lastumschalter, Schaltvorrichtung mit Schaltwelle und Schalter, deren Verwendung in einem Laststufenschalter, Lastumschalter für Laststufenschalter sowie Regeltransformator
US20160148749A1 (en) * 2014-11-21 2016-05-26 Abb Technology Ag Tap configurations for a transformer
CN104952641A (zh) * 2015-04-04 2015-09-30 湖南德沃普电气股份有限公司 有载调容开关
CN106298295A (zh) * 2015-05-25 2017-01-04 北京华天机电研究所有限公司 桥接式有载分接开关
CN107924776B (zh) * 2015-08-28 2020-08-14 赖茵豪森机械制造公司 用于有载分接开关的负载转换开关和用于它的持续总开关和切断开关
CN105759200B (zh) * 2016-02-18 2019-03-15 中国农业大学 一种有载分接开关工作状态在线监测及预警方法
CN109192565B (zh) * 2018-11-16 2024-02-27 山东电工电气集团智能电气有限公司 盘型无励磁分接开关及变压器
CN110518845B (zh) * 2019-07-30 2021-11-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变压器有载调压开关
CN113066685B (zh) * 2021-02-08 2022-05-2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一种无源触发的电力电子分接开关的触头装置
CN113035603B (zh) * 2021-02-08 2022-06-14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无源触发的电力电子分接开关的异形触头装置
CN113280295B (zh) * 2021-05-25 2022-06-14 沧州师范学院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无线智能照明控制装置
CN113593865B (zh) * 2021-06-24 2023-09-08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一种分体分步式有载分接开关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3325C (ko) * 1962-02-08
US3238320A (en) * 1962-02-08 1966-03-01 Reinhausen Maschf Scheubeck Transfer switch for tap changers for regulating transformers including a cylindrical insulating housing, a squirrel-cage contact-supporting structure and contact bridgesinsulatingly supported by contact bridge carriers
DE1788013B1 (de) * 1968-09-14 1971-12-02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waehler mit wender fuer stufenschalter von re geltransfor matoren
DE1930719C2 (de) * 1969-06-18 1971-05-1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Lastumschalter fuer Stufenschalter von Regeltransformatoren
US3612786A (en) * 1970-11-09 1971-10-12 Allis Chalmers Mfg Co Load tap changing apparatus
NL7105337A (ko) * 1971-04-20 1972-10-24 Smit Nijmegen Electrotec
US3902030A (en) * 1973-08-31 1975-08-26 Laurentiv Popa Diverter switch for on-load changers
US3992595A (en) * 1974-12-10 1976-1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Non-load tap-changer switch
US5191179A (en) * 1989-11-09 1993-03-02 Cooper Power Systems, Inc. Tap selector anti-arcing system
US5056377A (en) * 1989-11-09 1991-10-15 Cooper Industries, Inc. Tap selector anti-arcing system
SE500609C2 (sv) * 1992-07-09 1994-07-25 Asea Brown Boveri Lindningskopplare
DE19743864C1 (de) * 1997-10-04 1999-04-15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DE19743865C1 (de) * 1997-10-04 1999-04-15 Reinhausen Maschf Scheubeck Stufenschalter
CN2417546Y (zh) * 2000-04-22 2001-01-31 刘刚 无励磁分接开关
US6693247B1 (en) * 2000-06-09 2004-02-17 Mcgraw-Edison Company Load tap changer with direct drive and brake
BG65361B1 (bg) * 2003-08-15 2008-03-31 "Хюндай Хеви Индъстрис Ко. България" Ад Превключвател без възбуждане за силови трасформатори
US7750257B2 (en) * 2004-06-03 2010-07-0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Molded polymer load tap changer
CN101383222B (zh) * 2008-02-26 2010-06-23 上海华明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外挂组合式有载分接开关
CN202585150U (zh) * 2012-05-17 2012-12-05 上海华明电力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分接选择器动触头与静触头之间的切换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28284B8 (pt) 2021-08-24
IN2014MN02323A (ko) 2015-10-09
BR112014028284A2 (pt) 2017-06-27
DE112012006380B4 (de) 2021-04-01
US20130306449A1 (en) 2013-11-21
KR101757410B1 (ko) 2017-07-12
CN103426657A (zh) 2013-12-04
DE112012006380T5 (de) 2015-02-19
CN103426657B (zh) 2016-03-30
US9165724B2 (en) 2015-10-20
WO2013170404A1 (zh) 2013-11-21
BR112014028284B1 (pt)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410B1 (ko) 탭 셀렉터의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 간의 체인지오버 장치
JP5153867B2 (ja) 切換装置
JP5710587B2 (ja) 半導体スイッチング素子を有する負荷時タップ切換器
US10102990B2 (en) On-load tap changer
JP6461132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CN103268814B (zh) 变压器有载调容调压分接开关
CN202585150U (zh) 一种分接选择器动触头与静触头之间的切换结构
WO2018148811A1 (en) Selector with preselector for on-load tap changer
US10176919B2 (en) Electrical switching system for a three-phase network
US9583284B2 (en) Tap changer
US3233049A (en) Integral selector switch and transfer switch unit for tapped regulating transformers
JP6490069B2 (ja) タップ変成器用の負荷選択器と負荷選択器の事前選択器用の支持アーム
CN101477884A (zh) 一种正反调压无励磁分接开关
CN114026665A (zh) 用于有载抽头变换器的多相选择器-预选器装置
EP3171373B1 (en) On-load tap changing device
CN201773682U (zh) 一种正反调笼形无励磁分接开关
US3246088A (en) Opposite rotational sense actuator mechanism for tap changer contacts
JP2017520911A5 (ko)
CN109637871A (zh) 一种小型直流开关
US2691079A (en) Load tap selector for tapped transformers with several contact circles per phase
KR100893179B1 (ko) 3상 오엘티씨를 적용한 가스절연 변압기 및 이의 오엘티씨
CN109741979B (zh) 变压器的开关装置及变压器
JP2020136565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タップ選択器
CN102801070B (zh) 枢扭导通装置及显示装置
WO2018148810A1 (en) Three-phase selector for on-load tap changer with insulated ph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