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466A -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466A
KR20150016466A KR1020130092299A KR20130092299A KR20150016466A KR 20150016466 A KR20150016466 A KR 20150016466A KR 1020130092299 A KR1020130092299 A KR 1020130092299A KR 20130092299 A KR20130092299 A KR 20130092299A KR 20150016466 A KR20150016466 A KR 20150016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ubble sheet
sheet
superimposed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2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6932B1 (en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1020130092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932B1/en
Publication of KR2015001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4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9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66Coatings characterised by a special visual effect, e.g. patterned, textured
    • D21H19/70Coatings characterised by a special visual effect, e.g. patterned, textured with internal voids, e.g. bubble coating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ing paper.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ar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lining paper with bubble sheets without a step on edge parts, comprising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irst lining paper which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nd whose thickness of the both ends part of the width becomes thinner and thinner, thereby leading to the lining paper without a step on edge parts; a second step of matching bubble sheets with multiplex air caps whose width is smaller than the first lining paper on the upper end part of the first lining paper with a center line and accordingly connecting and stacking the same; and a third step of connecting and stacking a second lining paper whose width and height is the same as the bubble sheet on the upper end part of the stacked bubble sheet which is connected on the upper end part of the first lining paper via the second step, a manufacturing method and bubble sheets thereof and a method for plastering wall papers using the same, thereby increasing an insulation effect and work efficiency by preventing energy from being wasted and preventing the creation of layers even though overlapped parts are generated.

Description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a bubble shee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방지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를 구비하되 초배지를 도배할 때 층이지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버블시트 상단에 접착 적층되는 초배지의 단부에 층이 없도록 함으로써 초배지 도배에 따른 시간적 손실과 도배지(벽지)를 도배할 때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sheet having multiple air caps for preventing energy loss from a wall surface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on effect. In order to suppress the layering phenomenon when the bubble layer is coat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cake having a bubble sheet having no step for preventing a time loss due to the spreading of the pancake by making the layer of the pancake laminated at the end of the pancake layer and a step for preventing the aesthetics of the pancake when spreading the pancake (wallpap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bble sheet superplasticizer and a method of coating an incipient bubble sheet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시멘트 벽면 또는 내부 마감재에 도배를 하는 방법은 시멘트 벽면에 먼저 초배지를 부착하고 부착된 초배지 위에 도배지를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시멘트 벽면에 직접 도배지를 부착하면 접착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배지가 쉽게 들뜨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초배지를 시멘트 벽면 또는 내부 마감재에 부착하고 그 위에 도배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도배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초배지를 부착하여야 한다.Generally, a method for coating a cement wall or an interior finishing material comprises first attaching a coconut to a cement wall, and attaching the coconut shell to the coconut wall. If the gauge is directly attached to the wall of the cement, the gauge becomes weak and the gauge becomes easily floa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pasteboard to the cement wall or the interior finishing material so that the floor can be adhered on it. Therefore, in order to attach the domes,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domes.

이에 초배지를 부착하는 일반적인 방식을 첨부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첨부한 도 1은 약식으로 초배지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초배지(10)를 일정 간격을 두고 벽면(W)에 부착되게 되는데, 여기에 도배지(20A,20B)의 양단을 두 자락의 초배지(10)에 걸쳐서 접착 부착한다.1 and 2, which is a general method of attaching a seed paper to the seed paper 10, the seed paper 10 is attach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wall surface W Here, both ends of the floorboards 20A and 20B are adhered to the two pillar boards 10.

또한 첨부한 도 2는 정식으로 초배지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초배지가 벽면 전체에 도배되는 방식인데, 그를 위해 간극 초배지(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벽면(W)에 부착되게 되고 여기에 초배지(11A, 11B)의 양단을 간극 초배지(10)상단에 맞닿게 걸쳐서 접착 부착한다.In addition, FIG. 2 shows a method in which a paste is applied to the entire wall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a paste is adhered to the wall surface W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paste paste 11A And 1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gap upper layer paper 10 and adhered to each other.

이때, 초배지로는 신문지, 한지, 시멘트 포장 종이 등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데, 초배지 자체 두께에 의해서 초배지 가장자리의 윤곽(F)이 도배지에 새겨지게 되어 도배지 표면에 각이 지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도배지가 매끄럽게 형상되지 못하게 되므로 심미감을 훼손하게 된다.In this case, newsprint paper, Korean paper, cement wrapping paper and the like are commonly used as the papermaking paper, and the outline F of the papermaking edge is engraved on the papermaking paper by the thickness of the papermaking paper itself. As a result, the display area is not smoothly formed, thereby deteriorating the aesthetic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호텔과 같이 고급벽지가 사용되는 곳에서는 도배지 위로 튀어나온 초배지의 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샌드페이퍼 등을 이용하여 단을 완만하게 하는 작업을 수행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particular, in a place such as a hotel where a high-quality wallpaper is used, sandpaper is used to smooth the edge in order to remove the edge of the extruded pineapple.

그러나 샌드페이퍼 작업에 시간과 비용이 추가적으로 들어가므로 경제적이지 못하고 수작업에 의존하여 초배지의 가장자리의 두께를 얇게 하기 때문에 균일한 두께가 보장되지 않아서 여전히 도배지가 매끄럽게 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t takes a long time and cost to work on the sand paper, which is not economical. Therefore, since the edg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papermaking paper is thinned due to manual operation, the uniform thickness is not guaranteed and the papermaking still can not be smoothed.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0398626호의 공보는 석고보드 이음새용 초배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초배지의 가장자리 두께를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를 샌드 블라스팅 처리하여 가장자리가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한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398626 discloses a gypsum board joint gypsum boar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pecifically, in order to make the thickness of the edges of the pineapple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 portion, the edges are sandblasted so that the edges become tapered.

그러나 초배지의 가장자리를 샌드 블라스팅하게 되면 작업시 먼지가 발생하게 되어 비환경적이고, 샌드 블라스팅에 의하여 초배지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생기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게 된다.However, when sandblasting the edge of the picoprobe, dust is generated during the work, which is environmentally unfavorable, and the problem of tearing or pitting of the picnic surface by sand blasting still remains as a problem to be solved.

또한 동 공보는 제1 웨브와, 제1 웨브 폭보다 더 넓은 제2 웨브를 합지하여 가장자리의 두께가 중앙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초배지를 제시한다.The publication also discloses a hyperplane formed by laminating a first web and a second web that is wider than the first web width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dge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그러나 이 경우 초배지가 제1 웨브와 제2 웨브로 구성되어 소재 비용이 증가하고, 제1 웨브와 제2 웨브를 각각 절단하고 다시 합지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papermaking paper is composed of the first web and the second web, the cost of the material increases, and the first web and the second web must be cut and re-joined together.

상술한 초배지의 심미감의 문제이외에 현재의 건축물은 에너지 차원의 문제도 내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국가소비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자원 빈국으로서 21세기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에너지소비 절약과 대체에너지의 개발을 통한 에너지 비용의 절약이 필수적이다. 또한, 에너지문제는 단지 국가 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지구환경의 문제와도 직결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the aesthetics of the above mentioned paper, the present architecture also implies a problem of energy level. In order for Korea to become a developed country in the 21st century as a resource-poor country that rely on imports for most of its energy consumption, Saving energy costs through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is essential. In addition, energy problems are not only related to national economic problems, but also to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우리나라의 에너지 소비는 대개 산업부문 55%, 건물부문 25%, 교통부문 20% 등의 비율로 구성되는 데, 건물에서의 에너지소비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외피를 통한 열손실/획득이며, 이는 대체로 건물의 냉/난방부하의 40%이상을 차지한다.Korea's energy consumption is usually composed of 55% of the industrial sector, 25% of the building sector, and 20% of the transportation sect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energy consumption in the building is the heat loss / It usually accounts for more than 40% of the building's heating / cooling load.

따라서 건물에서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외피의 적정단열 설계 및 시공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적정단열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는 건물은 에너지를 끊임없이 투입해야만 실내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엔지 손실이 크며 비용이 낭비되고 쾌적성이 떨어진다.Therefore, in order to save energy in the building, proper insul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outer shell should be given priority. However, buildings that do not have adequate insulation design and construction can keep the room temperature by constantly applying energy, resulting in large engine losses, low cost, and low comfort.

국내에서는 단열을 위해 스티로폼, 우레탄폼, 유리면, 암면, PE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전도 및 대류에 의한 열관류를 억제시키는 저항형단열방식이 주를 이루어 왔다.In Korea, styrofoam, urethane foam, glass surface, rock surface and PE foam are mainly used for insulation, and resistance type insulation method which suppresses heat flow by conduction and convection has been mainly made.

일반적으로 주택 단열에 사용되고 있는 단열재는 판상 형의 스티로폼이나 스티로폼 일면에 석고보드 또는 종이재의 하니콤이 부착된 단열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열재는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고 단열을 하는 장점은 있으나 벽과 벽 사이 또는 벽과 대리석 등의 외장재 사이에 설치하여 열을 반사시키지 못하므로 공간부의 공기를 보열시키지 못하여 열의 손실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어버블이 구비되지 않아 내외부의 충격을 완화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the insulation used for housing insulation is a sheet-like styrofoam or a styrofoam with a gypsum board or a honeycomb made of paper. However, the insulation is light and easy to handle and has an advantage of insulation, Or the exterior material of the wall and the marble, the heat can not be reflected, so that the heat of the space can not be supplemented and the loss of heat can not be blocked. Also, the airbubble is not provided, .

다시 말해서 단열재는 반사도 중요하지만 중간에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하면 단열성이 뛰어 날뿐만 아니라 흡음재 역할을 함으로 방음효과를 갖을 수 있으나 에어버블이 없는 단열재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단열효과는 있으나 공기층을 형성하여 공기의 이동을 차단하고 소리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만큼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hat the insulation is reflective, but if the air layer is formed in the middle, it is not only excellent in heat insulation but also acting as a sound absorbing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an insulating material without air bubble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as efficient as blocking movement of sound and blocking movement of sound.

또한, 단열성이 뛰어난 제품으로는 우레탄폼이 있는데 우레탄폼은 고가여서 시공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유리섬유의 경우 내화성이 뛰어나지만 시공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유리가루로 작업자의 피부가 손상되거나 기침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고, 우레탄폼과 같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Urethane foam is excellent as a product with excellent heat insulation. Urethane foam has a problem of rising cost due to its high cost. Glass fiber has excellent fire resistance, but fine glass powder genera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damages a worker's ski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xpensive as a urethane foam.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배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방지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를 구비하되 초배지를 도배할 때 층이지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버블시트 상단에 접착 적층되는 초배지의 단부에 층이 없도록 함으로써 초배지 도배에 따른 시간적 손실과 도배지(벽지)를 도배할 때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bble sheet having multiple air caps for preventing energy loss from a wall surface to increase the heat insulation effect, Layered adhesive layer on the top of the bubble sheet in order to suppress the development of the layer, thereby avoiding the time loss due to the spreading of the hodge pods and the bubble that does not impede the aesthetics when the hood (wallpaper)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paya leaf having a sheet, and a method for cultivating a papaya leaf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의 특징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되 폭 방향의 양단이 점차 그 두께가 얇아져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제 1초배지를 준비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준비되어진 제 1초배지의 상단에 상기 제 1초배지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를 중심선이 매칭되도록 접합시켜 적층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상기 제 1초배지의 상단에 접합되어 적층된 상기 버블시트의 상단에 상기 버블시트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를 접합시켜 적층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ocess for producing a microbial sheet comprising a bubble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wherein both ends of the width direction are gradually thinned, A first step of preparing a one-ply paper sheet; A second process of stacking a bubble sheet having a plurality of narrow air baffles, which are relatively narrower in width than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prepared through the first process, so as to match the center lines; And a third step of bonding and stacking a second paper sheet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bubble sheet on the top of the bubble sheet stacked and bond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micro ply through the second process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 2초배지와 버블시트 사이에 열반사체를 더 구비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 pouch having an endless bubbl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heat radiation body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micro pouch and the bubble she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열반사체는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 pouch having an endless bubbl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eat transfer body uses an aluminum foi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초배지는 한지를 사용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readboard having an endless bubble she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특징은, 후면이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와; 상기 제 2초배지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으며 상기 제 2초배지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 및 상기 버블시트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제 1초배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초배지는 상기 버블시트와 동일 높이를 갖으며 양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으며, 상기 버블시트의 면적으로 초과하는 부분의 상기 제 1초배지는 점차 그 두께가 얇아져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inite bubble sheet superimposed on a surface of a building, comprising: a second superimposed paper having a rear surfac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a wall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bubble sheet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second papermaking sheet and having multiple air caps adhesively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permaking paper; And a first superimposed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bble sheet; The first hyperplane has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bubble sheet and has a larger width at both ends, and the first hyperplane at an area exceeding the area of the bubble sheet gradually becomes thinner,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제 2초배지와 버블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열반사체를 더 구비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heat transfer body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hyperbicard and the bubble she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열반사체는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luminum foil is used as the heat absorb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제 1초배지는 한지를 사용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ubble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의 특징은, 후면이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와; 상기 제 2초배지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으며 상기 제 2초배지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 및 상기 버블시트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제 1초배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초배지는 상기 버블시트와 동일 높이를 갖으며 양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으며 상기 제 1초배지 양단의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에 있어서: 제1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제 2초배지의 후면과 노출된 제 1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하는 제 1단계와; 제2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제 2초배지의 후면과 노출된 제 1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된 제1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1초배지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 상부에 제2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2초배지가 걸쳐지도록 버블시트 영역을 맞물려 부착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를 통해 버블시트 영역을 맞물려 부착되어진 제2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1초배지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가 제1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1초배지 상부에 걸쳐지도록 부착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routing an infusion bubble using an infant bubble sheet, comprising the steps of: providing a second infusion medium having a rear side attached to an inner side of a wall of a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bubble sheet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second papermaking sheet and having multiple air caps adhesively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permaking paper; And a first superimposed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bble sheet;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has the same height as the bubble sheet, the both ends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have a relatively wide width, and the ends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have no edges. A first step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sheet of soybean paper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aper shee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exposed first paper sheet and then attaching the adhesiv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building;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endless bubble sheet superfine paper so as to apply an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yperfine paper and the exposed rear surface of the first hyperfine paper and then the first endless adhesiv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building through the first step A second step of engaging and attaching the bubble sheet area so that the second superimposed paper of the second endless bubble sheet superfluid is spread on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of the bubble sheet superfine paper; And a third step of attaching the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hypericardia of the second endless bubble sheet superimposed on the bubble sheet area through the second step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irst hyperplane of the first endless bubble sheet superfine I have to.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벽면으로 손실되는 에너지를 방지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를 구비하되 초배지를 도배할 때 층이지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버블시트 상단에 접착 적층되는 초배지의 단부에 층이 없도록 함으로써 초배지 도배에 따른 시간적 손실과 도배지(벽지)를 도배할 때 심미감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bble sheet having a plurality of air caps formed therein so as to prevent an energy loss from being caused by a wall, thereby increasing the heat insulation effect. So that there is no time loss due to the spreading of the picked-up paper, and the aesthetics are not hindered when the paper is wrapped.

도 1과 도 2는 종래 초배지 도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를 이용한 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도 4의 도배 방법에 따라 도배가 완료된 초배지의 단면 예시도
Figs. 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hogging method
FIG. 3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lastic paper having a bubble sheet without a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wrapping using a hyper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pineapple completed according to the padding method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되어진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를 이용한 도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도배 방법에 따라 도배가 완료된 초배지의 단면 예시도이다.FIG. 3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cake sheet having a bubble sheet without a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applying a panc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yperplane completed according to the spreading method of FIG. 4. FIG.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이하,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라 칭함)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되 폭 방향의 양단이 점차 그 두께가 얇아져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제 1초배지(110)를 준비한 후, 상기 제 1초배지(110)의 상단에 상기 제 1초배지(110)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120)를 중심선이 매칭되도록 접합시켜 적층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hyperpla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 infinite bubble sheet super hot spot ") having the stepped bubble she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gradually becoming thinner, A bubble sheet 120 having a multi air cap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sert paper 110 and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ert paper 11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sert paper 110, Laminated so as to be matched.

이후, 상기 제 1초배지(110)의 상단에 접합되어 적층된 상기 버블시트(120)의 상단에 상기 버블시트(120)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130)를 접합시켜 적층하는 것에 의해 완성되는데, 부가적으로는 상기 제 2초배지(130)와 버블시트(120) 사이에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지는 열반사체(도시하지 않았음)층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Thereafter, a second insert paper 130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bubble sheet 120 is lamin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ubble sheet 120 laminat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sert paper 110 (Not shown) layer made of aluminum foil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xtruding paper 130 and the bubble sheet 120. In this case,

또한 상기 제 1초배지(110)는 한지를 사용하며, 제 2초배지(130)는 필요에 따라 한지를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버블시트(120)는 일명 뽁뽁이라고 칭하는 것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first plastic paper sheet 110 may be made of Korean paper, and the second plastic paper sheet 130 may be made of Korean paper, if necessary, and the bubble sheet 120 may be referred to as a so called foil sheet.

상술한 과정을 통해 완성되는 초배지를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라 칭하는데, 이와 같이 상기 제 1초배지(110)와 제 2초배지(130) 사이에 버블시트(120)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면 내부에 존재하는 단열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초배지를 도배하는 것 만 으로도 건축물 내부 온도가 약 3℃ 상승하는 효과를 갖는다.Since the bubble sheet 12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aper superimposing sheets 110 and 13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esence of the bubble sheet 120 inside the wall of the building. Irrespective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building is raised by about 3 캜.

부가적으로 상기 제 2초배지(130)와 버블시트(120) 사이에 알루미늄 호일로 이루어지는 열반사체(도시하지 않았음)층을 더 구비하는 경우 생산단가는 보다 상승하나 약 1℃이상의 단열 보온 효과를 얻을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when a heat transfer body (not shown) made of aluminum foil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paper extrusion 130 and the bubble sheet 120, the production cost is further increased, It is expected to get.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를 이용한 도배 방법을 살펴보면, 하나의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상기 제 2초배지의 후면(130A)과 노출된 제 1초배지(110A)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축물의 벽면(W) 내측면에 부착한다.[0050] The method of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one of the bubbles sheet monocomponent bubbles using the unstable bubble sheet superfine paper produced through the above- ) Is applied to the backside of the building and then attached to the inside surface of the wall (W) of the building.

이후 다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제 2초배지(130B)의 후면과 노출된 제 1초배지(110B)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먼저 건축물의 벽면(W) 내측면에 부착된 초배지의 제 1초배지(110A)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 상부에 제 2초배지(130B)가 걸쳐지도록 버블시트 영역(120A, 120B)을 맞물려 부착한다.Then,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ABS resin sheet 130B and the back surface of the exposed first adhesive paper 110B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back surface of another ABS resin bubble sheet, The bubble sheet regions 120A and 120B are engaged with the second superimposed paper sheet 130B so that the second superimposed paper sheet 130B is spread over the edges of one end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sheet 110A.

상기 버블시트 영역(120A, 120B)을 맞물려 부착한 후 뒤에 부착한 초배지의 제 1초배지(110B)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가 먼저 부착된 제 1초배지(110A) 상부에 걸쳐지도록 부착하여 완성한다.After the bubble sheet areas 120A and 120B are engaged and attached, the edge of one side of the first insert guide 110B attached to the back side of the first insert guide 110A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insert guide 110A.

이와 같은 과정이 전체 도배 면적에 대해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진다.
This process is repeatedly performed for the entire coverage area.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되 폭 방향의 양단이 점차 그 두께가 얇아져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제 1초배지를 준비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과정을 통해 준비되어진 제 1초배지의 상단에 상기 제 1초배지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를 중심선이 매칭되도록 접합시켜 적층하는 제 2과정; 및
상기 제 2과정을 통해 상기 제 1초배지의 상단에 접합되어 적층된 상기 버블시트의 상단에 상기 버블시트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를 접합시켜 적층하는 제 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
A first step of preparing a first paper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both ends of which in the width direction gradually become thinner and free from edges;
A second process of stacking a bubble sheet having a plurality of narrow air baffles, which are relatively narrower in width than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prepared through the first process, so as to match the center lines; And
And a third step of bonding and stacking a second paper sheet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bubble sheet on the upper end of the bubble sheet laminated and bond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papery sheet through the second process Wherein the bubble sheet is a bubble she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초배지와 버블시트 사이에 열반사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transfer body between the second superimposed paper and the bubble shee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체는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at transfer body is made of aluminum foi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초배지는 한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is made of Korean paper.
후면이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와;
상기 제 2초배지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으며 상기 제 2초배지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 및
상기 버블시트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제 1초배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초배지는 상기 버블시트와 동일 높이를 갖으며 양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으며, 상기 버블시트의 면적으로 초과하는 부분의 상기 제 1초배지는 점차 그 두께가 얇아져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A second superimposed paper having a rear surfac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a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bubble sheet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second papermaking sheet and having multiple air caps adhesively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permaking paper; And
And a first superimposed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bble sheet;
The first hyperinker has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bubble sheet and has a larger width at both ends and the first hyperinker of the portion exceeding the area of the bubble sheet gradually becomes thinner and has no edge at its edge Features an unauthorized bubble sheet.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초배지와 버블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열반사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heat transfer body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superimposed paper and the bubble shee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체는 알루미늄 호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at radiation body uses aluminum foil.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초배지는 한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hyperplane uses a Korean paper.
후면이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되고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제 2초배지와; 상기 제 2초배지와 동일 폭과 높이를 갖으며 상기 제 2초배지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다중 에어 캡이 형성된 버블시트; 및 상기 버블시트의 전면에 접착 적층되어진 제 1초배지를 구비하되; 상기 제 1초배지는 상기 버블시트와 동일 높이를 갖으며 양단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넓으며 상기 제 1초배지 양단의 가장자리에 단이 없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에 있어서:
제1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제 2초배지의 후면과 노출된 제 1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하는 제 1단계와;
제2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함으로써 제 2초배지의 후면과 노출된 제 1초배지의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제 1단계를 통해 건축물의 벽면 내측면에 부착된 상기 제1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1초배지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 상부에 상기 제2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2초배지가 걸쳐지도록 버블시트 영역을 맞물려 부착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제 2단계를 통해 버블시트 영역을 맞물려 부착되어진 상기 제2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1초배지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의 제 1초배지 상부에 걸쳐지도록 부착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
A second superimposed paper having a rear surface attached to an inner surface of a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height; A bubble sheet having the same width and height as the second papermaking sheet and having multiple air caps adhesively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papermaking paper; And a first superimposed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ubble sheet;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has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bubble sheet and is wider at both ends than the bubble sheet and has no edge at both edges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sheet.
A first step of applying an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endless bubble sheet superfine paper so as to apply an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superframe paper and the exposed rear surface of the first hyperfine paper,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endless bubble sheet superficially by applying an adhesive to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hyperfine paper and the exposed rear surface of the first hyperfine paper, A second step of engaging and adhering a bubble sheet area so that a second superimposed paper sheet of the second endless bubble sheet superim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of the bubble sheet superfine paper; And
A third step of attaching the edge of one end of the first extinction bubble sheet of the second endless bubble sheet superimposed on the bubble sheet area through the second step so as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erimposed paper sheet of the first endless bubble sheet extrudate A method of spreading a beverage using an invasive bubble sheet superficially inclusive.
KR1020130092299A 2013-08-04 2013-08-04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KR1015169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99A KR101516932B1 (en) 2013-08-04 2013-08-04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99A KR101516932B1 (en) 2013-08-04 2013-08-04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466A true KR20150016466A (en) 2015-02-12
KR101516932B1 KR101516932B1 (en) 2015-05-08

Family

ID=52573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99A KR101516932B1 (en) 2013-08-04 2013-08-04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9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737B1 (en) 2022-08-19 2023-04-05 김의경 Lining paper for joint of plaster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661412B1 (en) 2023-07-19 2024-04-26 주식회사 칠보 Lining pa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186Y1 (en) * 2004-12-27 2005-03-29 이수억 Heat insulating board for bui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932B1 (en)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1112B2 (en) Groove type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201049530Y (en) Multilayer sport plate with pattern printed on surface
KR101869004B1 (en) PVC mat and it's production method
KR101516932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ning paper without step on each side and lining paper using thereof
KR200403182Y1 (en) Member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the two floors
KR100593562B1 (en) Member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the two floors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JP2017124554A (en) Wrapping decorative sheet and method
JP5900029B2 (en) Decorative plate with uneven patter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202862697U (en) Composite paperboard with aluminum-coated film
CN102797305B (en) Novel aluminum plastic sound-absorption plate
KR200465140Y1 (en) Multi-layered insulating sheet
CN101491957A (en) Pre-laminating surface membrane, heat-laminated KT board using the pre-laminating surface membrane
JP4025145B2 (en) Edge material
KR101446505B1 (en) Complex panel for insulation
KR200364153Y1 (en) Hot melting type adhesive sheet with PET film and paper
CN110409672A (en) A kind of compound aluminum veneer of antistripping
KR101313983B1 (en) Insulation material for building and the method thereof
KR101317560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DIY type wallpaper and DIY type wallpaper having both adhesion property and insulation property manufactured from this method
JP2008033331A (en) Advertising sheet
CA2481337A1 (en) Cross laminated oriented plastic film with integral core
CN210620692U (en) Pressure-sensitive sheet for manufacturing pressure-sensitive gasket
JPH0333552Y2 (en)
CN202731004U (en) Novel aluminum-plastic sound-absorbing plate
JP2004060153A (en) Curing board and curing method for floor surface
CN211172809U (en) Decorative building material applied to house industri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