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246A -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246A
KR20150015246A KR1020130091077A KR20130091077A KR20150015246A KR 20150015246 A KR20150015246 A KR 20150015246A KR 1020130091077 A KR1020130091077 A KR 1020130091077A KR 20130091077 A KR20130091077 A KR 20130091077A KR 20150015246 A KR20150015246 A KR 20150015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user terminal
image capturing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017B1 (ko
Inventor
박종호
박형수
임근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4017B1/ko
Priority to EP14153028.7A priority patent/EP2833653B1/en
Priority to US14/308,908 priority patent/US9686636B2/en
Publication of KR20150015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246A/ko
Priority to US15/585,813 priority patent/US10028080B2/en
Priority to US15/848,708 priority patent/US102257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Abstract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본 영상 촬영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 USER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S BETWEE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USER DEVICE }
본 발명은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연결하는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전자 기기들 간 무선 통신 및 정보 교환이 쉬워지고 있다. 특히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 사용자 단말 장치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전자 기기들과 사용자 단말 장치 간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제어가 용이하므로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를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어하거나, 전자 기기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제어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저장 또는 제어하거나 촬영 중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로 영상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간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설정 또는 사용자의 조작이 필요하여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간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 간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며,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NFC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로 제공하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컨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재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된 연결 정보를 리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리딩된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리딩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가 리딩되면,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상기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비활성화 상태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태깅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NFC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컨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와 재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된 연결 정보를 리딩하는 단계 및 비활성화 상태의 통신 모듈을 상기 태깅에 따라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리딩된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리딩하는 단계, 상기 부가 정보가 리딩되면,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상기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말단 간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는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과 통신 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NFC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6 및 도 7은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시 발생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에 적합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10은 영상 촬영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촬영 모드에 적합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100)는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영상 촬영 장치(100)는 영상 촬영부(160)가 존재하는 캠코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PDA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은 휴대폰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사용자 단말 장치(200)은 디스플레이부(240)가 존재하는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PC, PDA, TV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은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0,220)을 포함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을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120)로 NF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이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 통신 모듈이 포함된 부분에 태그(tag)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통신 기술은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10CM 이내의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단말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특히, 스마트 폰 등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접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 간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과 태그 간 데이터 통신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 제공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스마트 카드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는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NFC 통신 기술은 기존 RFID보다 발전된 기술로 평가되는데, 이는 RFID는 능동(Active)형 Read/Write와 수동(Passive)태그 간 단방향 통신만 지원하지만, NFC 기술은 이를 포함한 능동(Active)형 기기 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NFC Forum은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세 가지 모드를 규정하고 있다.
첫번째 모드는 Card Emulation 모드로써, 비접촉 IC 카드 방식의 수동형 태그 형식으로 작동하는 모드이다. Card Emulation 모드는 기기 내에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외부의 능동형 단말기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Card Emulation 모드는 비접촉 모바일 결제, 사용자 인증 기능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응용 서비스가 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두번째 모드는 R/W모드로써, 외부의 수동형 태그 정보를 읽어오거나 기록을 할 수 있는 모드로 전자 포스터, 정보 조회 및 기록 등으로 활용한 응용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QR코드와 비교하여 볼 때, QR코드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정확한 QR코드의 인식을 필요로 하는 반면에, NFC의 R/W모드는 외부 태그의 정보를 NFC 지원 기기로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읽어오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피어 투 피어(P2P, Peer-to-Peer)모드가 있다. P2P모드는 두 대의 NFC 지원 단말기가 능동 모드로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기기 간 연결을 수행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기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P2P모드는 보통 전자 명함, 사진 또는 음성 데이터의 교환이나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정보 데이터 교환 등을 활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이 NFC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Card Emulation 모드, R/W모드, P2P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100)의 일면에 NF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NFC tag chip 및 NFC 안테나를 포함하는 NFC 통신 모듈이 포함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일면에 NFC 통신 모듈이 포함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NFC reader가 포함된 일면을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 통신 모듈이 포함된 위치를 나타내는 표시가 있는 부분에 태그(tag)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 및 연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각각 통신 모듈(110,210), 근거리 통신 모듈(120,220) 및 제어부(130,23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통신 모듈(110, 21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0, 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210)은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 등 전자 장치 간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WiFi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WiFi 통신은 IEEE 802.11 기반의 무선랜 연결과 장치 간 연결,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을 뜻한다. WiFi 통신은 기본적으로 인터넷에 데이터를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하는 AP(Access Point)와 사용자 단말 장치 간의 통신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WiFi 통신을 이용하기 위해 무선 랜카드와 같은 하드웨어를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운영 체제에서 무선랜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드라이버가 설치될 수 있다.
블루투스 방식은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여 각종 사용자 단말 장치 같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는 ISM 대역인 2.45GHz를 사용한다. 버전 1.1과 1.2의 경우 속도가 723.1kbps에 달하며, 버전 2.0의 경우 EDR(Enhanced Data Rate)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를 통해 2.1Mbps의 속도를 낼 수 있다. 블루투스는 유선 USB를 대체하는 개념이며, 암호화에는 SAFER(Secure And Fast Encryption Routine)+을 사용하고, 키워드를 이용한 페어링(par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110,210)은 WiFi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 등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한편, 통신 모듈(110,210)은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 간 태깅이 있기 전까지 비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에 의해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20,220)은 외부 전자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로써,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NFC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120)은 NFC tag chip과 NFC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NFC 안테나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포함된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여 NFC tag chip을 동작시킨다. 동작된 NFC tag chip은 제어부(130)에 인터럽트 신호 또는 NFC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NFC tag chip과 제어부(130) 간 통신 포트(I2C, SPI,Serial 등)를 연결할 수 있으며, 통신 포트가 연결된 경우, NFC tag chip은 통신 포트를 통해 제어부(130)에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발생한 정도를 전송할 수 있다.
NFC tag chip은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NVRAM) 및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면, RAM)를 포함하여 연결 정보 및 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에 의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연결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 장치(100)의 변하지 않는 고유 정보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주고 받는 내용은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정보란 NFC tag chip에 저장된 essid 정보일 수 있고, 부가 정보는 URL 정보일 수 있다. essid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패어링하기 위한 정보이며, URL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통신을 연결한 후, 디스플레이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를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220)은 NFC reader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영상 촬영 장치(100)에 태깅하여 NFC 통신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NFC tag chip에 저장된 영상 촬영 장치(100)의 연결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제어부(130,230)는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이 이루어지면, 비활성화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120)의 NFC tag chip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어부(130)가 NFC tag chip으로부터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인터럽트 신호 또는 체크된 NFC 신호에 의해 비활성화된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제어부(230)는 통신 모듈(210)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영상 촬영 장치(100)의 태깅이 이루어지면 통신 모듈(21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근거리 통신 모듈(220)인 NFC reader가 리딩한 연결 정보 및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3는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 및 연결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는 영상 촬영 장치(100)가 통신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근거리 통신 모듈(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저장부(150) 및 영상 촬영부(160)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및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의 통신 모듈(110)은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 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며,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WiFi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태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비활성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통신 일 수 있다. NFC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0)은 NFC 안테나 및 NFC tag chip를 포함할 수 있다. NFC 안테나는 NFC reader와 통신을 수행하고, NFC reader로부터 전류가 공급되면 자기장을 형성하고 유도전류를 전달하여, NFC tag chip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NFC tag chip은 제어부(130)에 인터럽트 신호 또는 NFC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근거리 통신 모듈(120)으로부터 인터럽트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NFC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비활성화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통신 모듈(110)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영상을 프리뷰(pre-view)모드로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영상 촬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모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110)이 활성화되어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140)가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라이브 뷰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40)가 재생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재생 화면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동시 또는 이시에 동일한 내용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영상 촬영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감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촬영한 영상에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촬영부(160)는 사용자가 영상 촬영 장치(100)로 촬영하기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며, 렌즈(160-1) 및 이미지 센서(16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촬영부(160)는 렌즈(160-1)를 통해 입사된 광신호를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피사체란 생성된 촬영 영상 내의 주 피사체 및 배경을 포함하는 모든 물체를 가리킨다. 즉, 이미지 센서(160-2)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렌즈(160-1)를 통해 광이 입사되면, 광의 양에 따라 전자가 발생하고 그 전자가 생성된 량(量)에 따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NFC 통신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WiFi 또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근거리 통신 모듈(220)인 NFC reader가 위치한 부분을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0)이 위치한 부분에 태깅하면 NFC reader에서 NFC 안테나로 전류가 전달되고 자기장이 형성되며, NFC 안테나는 유도된 전류를 인가하여 NFC tag chip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동작된 NFC tag chip은 제어부(130)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연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결 정보란, NFC tag chip에 저장된 essid 정보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페어링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즉,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신호가 기 설정된 수만큼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비활성화된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설화 상태로 전환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통신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므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통신 모듈(210), 근거리 통신 모듈(220), 제어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저장부(250) 및 감지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10)은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며,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WiFi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영상 촬영 장치(100)의 태깅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비활성화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22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의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근거리 통신 모듈(220)은 NFC reader일 수 있다. 즉, NFC reader를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0)이 포함된 부분에 태깅하여 NFC tag chip에 포함된 연결 정보 등을 리딩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NFC tag chip에 저장된 essid 정보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패어링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제어부(230)는 NFC reader를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0)이 포함된 부분에 태깅하여 비활성화된 상태의 통신 모듈(21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리딩한 연결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NFC reader가 NFC tag chip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연결되면 부가 정보에 포함된 URL 주소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URL 주소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 받기 위한 화면의 주소이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어플리케이션이 기 다운로드된 경우, 어플레이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주소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이다. NFC reader를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10)이 포함된 부분에 태깅하여 NFC tag chip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0)는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연결되면 부가 정보에 포함된 URL 주소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는 통신 모듈(210)이 활성화되어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이 연결된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의 촬영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 장치(100)가 영상을 프리뷰(pre-view)모드로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영상 촬영 장치(100)가 영상 촬영부(160)를 통해 촬영된 영상 또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을 재생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재생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감지부(26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특징 및 종류에 따라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터치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감지부(260)는 GPS 등의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영상 촬영 장치(100)로부터 프리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24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0)에 태깅하여,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가 영상이 촬영되는 위치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NFC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NFC 기능을 ON한다(S505).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NFC 기능은 ON/OFF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영상 촬영 장치(100) NFC에 tag한다(S510).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NFC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120,220)이 포함된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외관에 표시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NFC 통신의 표시가 있는 부분을 tag하여, NFC 통신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영상 촬영 장치(100) NFC에 tag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NFC reader에서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 안테나로 전류가 흐르고, NFC 안테나는 NFC reader에서 흐른 전류로 자기장을 생성하여 NFC tag chip을 동작시키고 NFC reader는 tag 정보를 리딩한다(S515). tag 정보에는 연결 정보 및 부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연결 정보는 NFC tag chip에 저장된 essid 정보일 수 있고, 부가 정보는 URL 정보일 수 있다. essid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패어링하기 위한 정보이며, URL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통신을 연결한 후, 디스플레이할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를 의미한다.
한편, NFC tag chip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S520). 즉, NFC안테나에 의해 동작된 NFC tag chip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30)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전송된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WiFi가 ON된다(S525). 즉, 전송된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제어부(130)는 비활성화된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WiFi를 ON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비활성화된 상태의 통신 모듈(210)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WiFi를 ON한다(S530).
영상 처리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WiFi가 ON되면, 영상 촬영 장치(100)는 AP로 동작(S535)한다. 즉, WiFi통신 중 Infrastructure Mode로 WiFi 를 사용하는 것으로, 영상 촬영 장치(100)는 Access Point로 동작하게 된다. Access Point를 중계기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술은 공지기술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Client로 동작(S540)한다. 즉, NFC reader가 리딩한 연결 정보인 essid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의 AP에 연결하여 Client로 동작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의 WiFi연결을 완료(S545)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Wifi연결을 완료(S550)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Wifi연결을 완료한 경우, Default URL을 실행(S555)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NFC reader는 연결 정보와 함께 부가 정보인 Default URL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 URL 주소는 Wifi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영상 및 각종 기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소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영상 촬영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NFC reader가 리딩한 URL 주소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화면(예를 들면, 구글 플레이어)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존재하는 경우, NFC reader가 리딩한 URL을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통신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영상 촬영 장치(100)에 태깅하는 간단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자동으로 통신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영상 촬영 장치(100) 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NFC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하는 경우 발생하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NFC reader가 영상 촬영 장치(100)의 근거리 통신 모듈(120)에 태깅하여 근거리 통신 모듈(120)의 NFC tag chip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폴링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체크함으로써, NFC 신호가 들어오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6은 NFC tag chip에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NFC reader가 NCF 안테나에 태깅함으로써, 전류가 가해지고 NFC 안테나에는 자기장이 형성되어, NFC tag chip으로 유도전류를 보내면 NFC tag chip이 동작한다. 동작된 NFC tag chip은 제어부(130)에 인터럽트 신호를 전송한다.
즉, 도 6에서 NFC tag를 인식한 시기부터 NFC tag chip에서 제어부(130)로 전송하는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태깅이 일어나고 충분한 시간이 소요되지 않았을 경우, 인터럽트 신호는 기 설정된 크기에 미치지 못하고 불안정하게 제어부(130)에 가해진다. 충분한 시간이 소요되면 NFC tag chip은 기 설정된 크기의 신호를 제어부(130)에 가한다. NFC tag가 벗어날 때, 인터럽트 신호의 전송은 중단된다.
한편, 도 7은 영상 촬영 장치(100)의 제어부(130)가 폴링을 통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체크함으로써,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즉, 제어부(130)는 NFC tag chip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기 설정된 간격으로 기 설정된 횟수만큼 체크하여 NFC 통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100ms 간격으로 3회 체크하고 있으며, 3회 연속 기 설정된 크기의 high 신호가 폴링되고 있으므로, 제어부(130)는 NFC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제어부(130)는 NFC 통신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비활성화된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성화시키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된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하는 라이브 뷰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auto share mode를 실행(S800)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200)도 auto share mode를 실행(S805)한다. auto share mode는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무선 통신이 연결된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6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라이브 뷰로 공유할 수 있는 모드이다.
따라서, auto share mode가 실행되면, 영상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라이브 뷰를 전송한다(S610). 즉,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6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한다(S815). 즉,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가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위치 정보를 감지한다(S820).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감지부(260)는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영상 촬영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등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유효거리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감지한 영상이 촬영되는 위치도 영상 촬영 장치(100)와 유효거리 내에 존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위치 정보를 감지하기 전후에 영상 촬영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에 tag한다(S825). 태깅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감지한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830). 즉, NFC 통신을 이용하여, 비활성화된 통신 모듈(110,210)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장치(100)는 촬영된 영상에 위치 정보를 추가한다(S835). 그리고, 영상 촬영 장치(100)는 영상 및 위치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S840).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 촬영 장치(100)가 GPS와 같은 위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포함된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하는 영상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통신이 자동으로 연결된 경우 NFC 통신을 통해 촬영 모드 정보를 전송하여, 전송된 촬영 모드에 적합한 기능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영상 촬영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Wifi에 연결한다(S905, S910).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 NFC에 tag(S915)하면, 영상 촬영 장치(100)는 촬영 모드 정보를 전송한다(S920).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촬영 모드에 적합한 기능을 디스플레이한다(S925).
예를 들어, 영상 촬영 장치(100)가 라이브 뷰로 영상을 촬영하는 프리뷰 모드인 경우,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6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라이브 뷰로 공유할 수 있는 auto share mode, 영상 촬영 장치(100)의 영상 촬영부(16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사용자 단말 장치(200)를 통해 촬영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Remote View Finder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에 tag하여, 프리뷰 모드의 정보를 전송받으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는 프리뷰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여,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능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프리뷰 모드인 경우, auto share mode를 사용하도록 기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에 tag하여, 프리뷰 모드의 정보를 전송받으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는 auto share mode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영상 촬영 장치(100)가 촬영되거나 기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재생 모드인 경우, 재생 모드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e-mail로 첨부하여 전송할 수 있는 share 기능, 재생 모드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선택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전송할 수 있는 mobile link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에 tag하여, 재생 모드의 정보를 전송받으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는 재생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여, 기능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기능을 자동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재생 모드인 경우, mobile link 기능을 사용하도록 기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200)가 영상 촬영 장치(100)의 NFC에 tag하여, 재생 모드의 정보를 전송받으면 사용자 단말 장치(200)는 mobile link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0은 영상 촬영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로 촬영 모드에 적합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영상 촬영 장치(100)가 자동으로 Wifi에 연결(S1005)되면, 영상 촬영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40)가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이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인지 판단한다(S1010). 프리뷰 모드인 경우(S1010-Y), 프리뷰 이미지를 전송한다(S1015). 한편, 프리뷰 모드가 아닌 경우(S1010-N), 영상 촬영부(160)를 통해 촬영되거나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재생 모드인지 판단한다. 재생 모드인 경우(S1020-Y), 재생 중인 컨텐츠 화면을 전송한다(S1025).
한편, 도 11은 영상 촬영 장치(100)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태깅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5).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태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S1105-Y),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S1110), 사용자 단말 장치(200)로 연결 정보를 제공한다(S1115). 또한, 비활성 상태의 통신 모듈(110)을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하고(1120), 연결 정보 및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200)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한다(S1125).
도 12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영상 촬영 장치(100)와 태깅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5). 영상 촬영 장치(100)와 태깅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S1205-Y), 영상 촬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S1210), 영상 촬영 장치(100)에 저장된 연결 정보를 리딩한다(S1215). 또한, 비활성 상태의 통신 모듈(210)을 태깅에 따라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한다(S1220). 그리고, 리딩 연결 정보 및 활성화된 통신 모듈(210)을 이용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한다.
한편, 영상 촬영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200)의 위치 감지 센서가 감지한 위치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영상 촬영 장치(100)의 촬영 모드를 사용자 단말 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그 실시 예에 대한 흐름도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100 : 영상 촬영 장치 110 : 통신 모듈
120 : 근거리 통신 모듈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저장부
160 : 영상 촬영부 200 : 사용자 단말 장치
210 : 통신 모듈 220 : 근거리 통신 모듈
230 : 제어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저장부 260 : 감지부

Claims (18)

  1.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며,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NFC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컨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재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장치.
  6.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된 연결 정보를 리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리딩된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리딩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가 정보가 리딩되면,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상기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영상 촬영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연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비활성화 상태의 통신 모듈을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상기 태깅에 따른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NFC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NFC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라이브 뷰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및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서 컨텐츠 재생 화면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와 재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촬영이 이루어지면 촬영된 이미지와 상기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5.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영상 촬영 장치에 저장된 연결 정보를 리딩하는 단계;및
    비활성화 상태의 통신 모듈을 상기 태깅에 따라 활성화 상태로 자동 전환하고, 상기 리딩된 연결 정보 및 상기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의 통신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부터 부가 정보를 리딩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 정보가 리딩되면, 상기 부가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상기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라이브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프리뷰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모드로 동작하면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연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라이브 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영상 촬영 장치와 태깅이 이루어지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위치 정보를 상기 영상 촬영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KR1020130091077A 2013-07-31 2013-07-31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KR10212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077A KR102124017B1 (ko) 2013-07-31 2013-07-31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EP14153028.7A EP2833653B1 (en) 2013-07-31 2014-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US14/308,908 US9686636B2 (en) 2013-07-31 2014-06-19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US15/585,813 US10028080B2 (en) 2013-07-31 2017-05-03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US15/848,708 US10225719B2 (en) 2013-07-31 2017-12-20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n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us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077A KR102124017B1 (ko) 2013-07-31 2013-07-31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46A true KR20150015246A (ko) 2015-02-10
KR102124017B1 KR102124017B1 (ko) 2020-06-17

Family

ID=5015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077A KR102124017B1 (ko) 2013-07-31 2013-07-31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9686636B2 (ko)
EP (1) EP2833653B1 (ko)
KR (1) KR10212401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32B1 (ko) * 2015-06-18 2016-06-24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190717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204571A1 (ko) * 2015-06-17 2016-12-22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59883A (ko) * 2015-11-23 201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모바일 기기, 호스트 장치,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와 호스트 장치의 페어링 방법
KR20190012473A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로사케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백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제공방법
US10433809B2 (en) 2015-11-23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detector, mobile device and host device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8540B2 (en) * 2017-02-14 2020-10-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information apparatus
KR102124017B1 (ko) * 2013-07-31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JP5980258B2 (ja) * 2014-03-11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4338B2 (ja) * 2015-10-30 2020-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FR3080209B1 (fr) * 2018-04-17 2020-04-24 Systemes Et Technologies Identification (Stid) Procede de controle d’acces securise avec modes de fonctionnement courte portee et moyenne ou longue portee
JP7199846B2 (ja) * 2018-06-21 2023-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289888B2 (ja) * 2020-05-08 202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580A (ko) * 2007-10-31 2010-07-0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Rfid를 통하여 수신된 구성 데이터를 이용한 단거리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교섭
KR20110056097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위치 정보 계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3834B2 (ja) 2001-07-02 2010-12-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システム
CN103561198B (zh) 2007-12-28 2017-05-31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电子设备
US8392957B2 (en) 2009-05-01 2013-03-05 T-Mobile Usa, Inc. Automatic content tagging, such as tagging digital images via a wireless cellular network using metadata and facial recognition
EP2302560B1 (en) * 2009-09-24 2016-06-22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associated nfc tag using plurality of nfc tags associated with location or devices to communicate with communications device
US8340577B2 (en) * 2009-09-24 2012-12-25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s device using electromagnet and activated communications circuit
KR101725888B1 (ko) 2009-11-13 2017-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또는 원격 제어 장치에서의 이미지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E102010013203A1 (de) * 2010-03-29 2011-09-29 Giesecke & Devrient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Anwesenheitserkennung eines zweiten tragbaren Datenträgers durch einen ersten tragbaren Datenträger
EP4290856A3 (en) 2010-09-13 2024-03-06 Contour IP Holding, LLC Portable digital video camera configured for remote image acquisition control and viewing
US20120100803A1 (en) * 2010-10-20 2012-04-26 Nokia Corporation Delayed and conditional transport switch
US8838140B1 (en) 2010-11-09 2014-09-16 Open Invention Network, Llc Sharing a live view on a mobile device
US8732319B2 (en) * 2011-06-10 2014-05-20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awareness proximity-based establish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S8606933B1 (en) * 2011-09-14 2013-12-10 Google Inc. Selective pairing of de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01189B1 (ko) * 2011-09-20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에서의 콘텐츠 공유
US9131327B2 (en) * 2011-10-12 2015-09-08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control accessories
US8686887B2 (en) 2011-10-26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NFC transceiver with current converter
KR20130060556A (ko) * 2011-11-30 2013-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바이스 연결 장치 및 방법
EP2701314B8 (en) 2012-08-23 2017-04-05 OCT Circuit Technologies International Limited Detection of load-modulated NFC signals
US9773241B2 (en) 2012-11-06 2017-09-26 Intel Corporation Dynamic boos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NFC) performance/coverage in devices
KR101487517B1 (ko) 2012-12-20 2015-01-30 주식회사 팬택 근접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및 이의 동작 방법
TWI522725B (zh) 2013-04-26 2016-02-21 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可與行動裝置連接之相機,及其操作方法
KR102077821B1 (ko) 2013-06-03 2020-02-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US9983651B2 (en) 2013-07-15 2018-05-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Low-power near-field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KR102124017B1 (ko) * 2013-07-31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5580A (ko) * 2007-10-31 2010-07-0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Rfid를 통하여 수신된 구성 데이터를 이용한 단거리 무선 통신 파라미터의 교섭
KR20110056097A (ko) * 2009-11-20 2011-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에서의 위치 정보 계산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717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16204571A1 (ko) * 2015-06-17 2016-12-22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 장치,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한 결제 정보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632932B1 (ko) * 2015-06-18 2016-06-24 주식회사 신흥정밀 듀얼 인터페이스 nfc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59883A (ko) * 2015-11-23 2017-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모바일 기기, 호스트 장치,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와 호스트 장치의 페어링 방법
KR20180097492A (ko) * 2015-11-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모바일 기기, 호스트 장치,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와 호스트 장치의 페어링 방법
KR20190099184A (ko) * 2015-11-23 201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모바일 기기, 호스트 장치,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디텍터와 호스트 장치의 페어링 방법
US10433809B2 (en) 2015-11-23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detector, mobile device and host device
US10646193B2 (en) 2015-11-23 2020-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detector, mobile device and host device
US11134906B2 (en) 2015-11-23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X-ray detector, mobile device and host device
KR20190012473A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로사케이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백팩 영상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제공방법
WO2021194068A1 (ko) * 2020-03-24 2021-09-3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10142B2 (en) 2020-03-24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4017B1 (ko) 2020-06-17
US20170238128A1 (en) 2017-08-17
US20150038087A1 (en) 2015-02-05
US9686636B2 (en) 2017-06-20
US10028080B2 (en) 2018-07-17
EP2833653A1 (en) 2015-02-04
US20180115863A1 (en) 2018-04-26
US10225719B2 (en) 2019-03-05
EP2833653B1 (en)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017B1 (ko) 영상 촬영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
JP657608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6663068B (zh) 可利用近距离无线通信连接的通信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JP2007052555A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9451877A (zh) 无人机控制方法及装置、无人机和遥控设备
JP6858069B2 (ja) 画像供給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KR101067645B1 (ko) 직관적 핸드 제스쳐에 기반한 휴대용 단말기간 근거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휴대용 단말기
RU2636393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JP6472259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238829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WO2022068539A1 (zh) 通信连接建立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1197354A1 (zh) 一种设备的定位方法及相关装置
KR20090063459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 방법과 이를 이용한단말기 및 시스템
KR101945481B1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104049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KR20080022327A (ko)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KR102060815B1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20200000409A (ko) Nfc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2015211353A (ja) 通信端末並びに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その接続制御方法
JP6433231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8686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30051675A (ko) 전자 장치,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2005789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端末の制御方法
JP2015115658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通信システム
KR20160150363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