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162A -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162A
KR20150015162A KR1020130090840A KR20130090840A KR20150015162A KR 20150015162 A KR20150015162 A KR 20150015162A KR 1020130090840 A KR1020130090840 A KR 1020130090840A KR 20130090840 A KR20130090840 A KR 20130090840A KR 20150015162 A KR20150015162 A KR 2015001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ight
layer
inorganic compound
wax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준
이명원
Original Assignee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코일코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주식회사 노루코일코팅 filed Critical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0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5162A/ko
Publication of KR2015001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16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12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2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22/73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C23C22/74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obtaining burned-in conversion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분체도장시에 나타나는 오렌지 필 무늬와 물성을 피씨엠 강판 제조공정에서 구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강판 자체 또는 아연이나 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판 형태의 소지강판(11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지강판(110) 상에 크롬산염 또는 논(Non)크롬산염 전처리층(1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120)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도 도료를 코팅하여 하도 도막층(13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 도막층(130)이 형성된 소지강판(110)을 180~300℃로 가열 및 건조시켜 오렌지 필 무늬를 발현하는 단계; 상기 하도 도막층(130)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도 도료를 코팅하여 상도 도막층(14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도 도막층(140)이 형성된 소지강판(110)을 200~250℃로 가열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re-Coated Metal Sheet Having Orange Peel Structure Pattern}
본 발명은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 또는 아연도금강판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및 가교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도 도료와,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도 도료를 코팅하여 피씨엠 도장강판을 제조함으로써, 분체도장 강판과 그 외관 및 물성이 동일하면서도 피씨엠 강판 제조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융 아연도금강판 또는 전기 아연도금강판은, 건자재나 가전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도금강판을 건자재 또는 가전제품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체도장 또는 용제형 도장을 하거나, 무늬가 있는 필름을 강판에 합지하고 있다.
상기한 분체도장은, 가루형태의 도료를 도장 대상물 위에 놓고 열을 가하여 녹이는 도장방식으로, 내식성, 부착성 및 내구성이 용제형 도장보다 우수하고, 제품의 가공 후에 도장을 실시함으로써 에지부의 물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분체도장은 공정의 특성상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제품을 가공한 이후에만 도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여러 부품이 조합된 제품의 경우에는 가공 후에 분체도장을 실시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용제형 도장은 액상의 도료를 롤 등에 의해 도포하는 도장방식으로, 피씨엠(PCM :Pre-Coated Metal) 강판을 제조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 피씨엠 강판은 강판을 가공하기 전에 미리 도료를 도장하므로, 피씨엠 강판을 가공하여 조립하면 별도의 도장작업 없이도 완제품을 제조할 수 가 있다. 이에 따라 에지부의 물성은 다소 취약하지만 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분체도장과 용제형 도장은 그 외관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제품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가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부품이 필요하지 않은 부위는 강판을 가공한 후에 분체도장을 하고, 여러 부품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는 부위는 무늬를 갖는 필름을 도금강판에 합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고가의 필름을 사용하여야 하고, 필름을 합지하는데 사용되는 접착제 또한 고가이어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분체도장 시에 나타나는 오렌지 필 (Orange Peel) 무늬와 물성을 피씨엠 강판 제조공정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체도장 도장강판과 그 외관 및 물성이 동일한 피씨엠 도장강판을 피씨엠 제조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독특한 조성의 상도 도료와 하도 도료의 코팅에 의해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씨엠 도장강판의 가공성, 내식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부품이 조합된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외관상 일체감을 주기 위해 강판에 필름을 합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판 자체 또는 아연이나 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판 형태의 소지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소지강판 상에 크롬산염 또는 논(Non)크롬산염 전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층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도 도료를 코팅하여 하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하도 도막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180~300℃로 가열 및 건조시켜 오렌지 필 무늬를 발현하는 단계; 상기 하도 도막층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도 도료를 코팅하여 상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도 도막층이 형성된 소지강판을 200~250℃로 가열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도 도막층은, 수평균 분자량이 3,500~17,000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40~6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7.0~15 중량%,, 경화촉매 0.1~2.0 중량%, 용제 4~15 중량%, 무기화합물 23~33 중량%, 왁스 및 소포제 0.02~1.0 중량%, 실리카 0.1~2.0 중량%로 조성되며, 각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자일렌(xylene)과, 톨루엔(toluene), 아세톤(acetone), 메틸알콜(methyl alcohol), 2-프로판올(isopropyl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부틸알코올(butanol), 초산에틸(ethylacetate), 셀루로스에테르(ethyl cellulose), 벤젠메탄올(benzylalcohol), 및 아세틸셀루로오스(cellulose acet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화합물은, TiO2를 포함하는 안료 파우더(powd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왁스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아마이드계, 카나우바계, PTFE(PolyTetraFluoroEthylene)계 합성 왁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포제는, 아크릴 코폴리머(acryl copolymer)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리카는, 3~9 마이크론 크기의 고순도 무정형 합성 실리카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도 도막층은, 수평균 분자량이 4,000에서 25,000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45~65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7.0~15.0 중량%, 경화촉매 0.5~2.0 중량%, 용제 8~20 중량%, 무기화합물 18~28 중량%, 왁스 및 소포제 0.1~2.0 중량%, 실리카 0.1~2.0 중량%로 조성되고, 각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체도장 시에 나타나는 오렌지 필 (Orange Peel) 무늬와 물성을 피씨엠 강판 제조공정에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체도장 도장강판과 그 외관 및 물성이 동일한 피씨엠 도장강판을 피씨엠 제조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도 도료와 하도 도료의 코팅에 의해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씨엠 도장강판의 가공성, 내식성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부품이 조합된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외관상 일체감을 주기 위해 강판에 필름을 합지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엠 도장강판의 하도 도막층와 상도 도막층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품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피씨엠 도장강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지강판(110)과, 상기 소지강판(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크롬 또는 논(non)크롬산염 전처리제가 도포된 전처리층(120), 상기 전처리층(120)의 상면에 도포되는 하도 도막층(무늬층)(130), 및 상기 하도 도막층(130)의 상면에 도포되는 상도 도막층(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지강판(110)의 배면에는 에폭시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배면층(150)이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소지강판(110)의 배면에도 상기 전처리층(120), 하도 도막층(130) 및 상도 도막층(14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소지강판(110)은, 용융 아연도금강판, 전기 아연도금강판, 용융 알루미늄 도금강판, 용융 아연-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용융 마그네슘합금도금강판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장강판에 사용되는 강판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도금이 되지 않은 강판 자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도 도막층(130)을 형성하는 하도 도료는, 수평균 분자량이 3,500~17,000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40~6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7.0~15 중량%, 경화촉매 0.1~2.0 중량%, 용제 4~15 중량%, 무기화합물 23~33 중량%, 왁스 및 소포제 0.02~1.0 중량%, 실리카 0.1~2.0 중량%로 조성되며, 각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된다.
상기 주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3,500보다 낮으면, 경화밀도가 높아지고 수지의 굽힘성이 저하되며 도막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17,000보다 높으면, 수지의 가교 부위가 줄어들면서 도막의 경도 및 경화밀도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3,500~17,00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촉매는, Naphthalenesulfonic acid, Toluenesulfonic acid, Benzenesulfonic acid, Phosphate acid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촉매의 함량이 0.1 중량%보다 낮으면, 경화도 저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2.0 중량%보다 높으면, 과 경화로 인하여 도료의 저장성과 도막의 가공 및 굽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경화촉매의 함량은 0.1~2.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는, 자일렌(xylene)과, 톨루엔(toluene), 아세톤(acetone), 메틸알콜(methyl alcohol), 2-프로판올(isopropyl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부틸알코올(butanol), 초산에틸(ethylacetate), 셀루로스에테르(ethyl cellulose), 벤젠메탄올(benzylalcohol), 및 아세틸셀루로오스(cellulose acet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기화합물은 TiO2를 포함한 안료 파우더(powder)로서, 함량이 23 중량%보다 낮으면 도막의 색상을 발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은폐력의 저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함량이 33 중량%보다 높으면 도막의 가공성 및 부착성 등 전반적인 물성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기화합물은 23~33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왁스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아마이드계, 카나우바계, PTFE(PolyTetraFluoroEthylene)계 합성 왁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왁스의 함량이 0.02 중량%보다 낮으면 소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보다 높으면 도막 평활성 및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왁스는 0.02~1.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포제는, 아크릴 코폴리머(acryl copolymer)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함량이 0.02 중량%보다 낮으면 소포성이 저하될 수 있고, 1.0 중량%보다높으면 도막 평활성 및 도장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포제는 0.02~1.0 중량%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카는, 3~9 마이크론 크기의 고순도 무정형 합성 실리카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0.1 중량%보다 낮으면 도막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 중량%보다 높으면 도막의 가공성 및 내약품성 등 전반적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리카는 0.1~2.0 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도 도막층(130)을 형성하는 방청 안료는 무독성 방청 안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도 도막층(140)을 형성하는 상도 도료는, 수평균 분자량이 4,000에서 25,000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45~65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7.0~15.0 중량%, 경화촉매 0.5~2.0 중량%, 용제 8~20 중량%, 무기화합물 18~28 중량%, 왁스 및 소포제 0.1~2.0 중량%, 실리카 0.1~2.0 중량%로 조성되고, 각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된다.
또한 상기 하도 도막층의 두께는 14~15 마이크론, 상도 도막층의 두께는 11~12 마이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장하고자 하는 소지강판(110)을 준비한다(S10).
상기 소지강판(110)으로는, 용융 아연도금강판, 전기 아연도금강판, 용융 알루미늄 도금강판, 용융 아연-알루미늄합금도금강판, 용융 마그네슘합금도금강판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경우에 따라 도금되지 않은 강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소지강판(110)을 수세처리하여 강판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전처리층(120)을 형성한다(S20).
상기 전처리층(120)은, 상기 소지강판(120)의 일면 또는 양면에 크롬산염 또는 논(non)크롬산염 전처리제를 롤 방식에 의해 도포한 후, 이를 가열건조(소부(燒付)건조라고도 한다) 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전처리층(120)의 상부에 하도 도막층(130)을 형성한다(S30).
상기 하도 도막층(13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도 도료를 롤 방식 등에 의해 상기 전처리층(120)에 도포한 후 가열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가열온도는 소지강판(110)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00~25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열온도가 200℃ 이하가 되면 하도 도막층(130)의 경화도가 저하되고, 250℃를 초과하게 되면 도막이 끓는 현상이 발생하여 표면이 불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도 도료는 상기 전처리층(120)에 부착되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렌지 껍질과 같은 형태의 이른바 오렌지 필 스트럭쳐(Orange Peel Structure)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도 도막층(130)의 도막 두께는 14~15마이크론인 것이 바직하다. 하도 도막층(130)의 두께가 14마이크론 이하이면 원하는 크기의 무늬를 얻을 수 없고, 15마이크론을 초과하면 무늬가 커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상기 하도 도막층(130)의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상도 도료를 사용하여 상도 도막층(140)을 형성한다(S50).
상기 상도 도막층(140)은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소지강판(110)을 가열 및 건조시키면,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가 완료된다(S60)(도 4a 및 도 4b 사진 참조).
아래의 [표 1]은, 하도 도막층 및 상도 도막층의 도막 두께에 따른 오렌지 필 무늬형성의 정도 및 도막 외관을 평가한 것이다.
하도 도막층 및 상도 도막층의 도막 두께에 따른 무늬 형성 및 도막 외관 평가표
도막두께 무늬형성
도막외관
비고
하도(마이크론) 상도(마이크론)

12 ~ 13
8 ~ 10 x


◎:매우좋음
○:양호
△:미흡
X :불량


11 ~ 12 x
15 ~ 16 x

14 ~ 15

8 ~ 10
11 ~ 12
15 ~ 16
17 ~ 18 x POPPING

16 ~ 17
8 ~ 10
11 ~ 12
15 ~ 16 POPPING
또한 아래의 [표 2]는 필름합지에 의해 무늬를 형성한 종래의 강판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도장강판의 물성치를 비교한 것이다.
필름합지에 의한 종래 방식과 본 발명의 물성치 비교표
구 분 종래(필름 합지) 본 발명
내식성
가공성
내화학성 및 MEK rubbing
상기한 각 물성은 이하의 방법 및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먼저 내식성 평가는, 500시간/ 35℃의 5% 염수분무시험(Salt Spray Test)을 통해 에지 가공부 내식성 평가(Edge rust, 9㎜ 깊이 블리스터 기준) 및 X-컷 표면 손상부 내식성 평가(X-Cut Rust, 2㎜ 깊이 블리스터 기준)를 수행하였다.
또한 가공성 평가는, T-벤딩(기준: 2T No crack), CCET(Cross Cutting Erichsen Test, Cross Cut(100/100)/Erichen(6mm) Taping) 및 50㎝ 높이에서 1㎏리 추를 낙하시키는 임팩트 테스트(Impact Test)를 수행하였다.
또한, 내화학성 및 MEK rubbing 평가는, 5% HCl과 5% NaOH 용액을 각각 20℃, 24시간 동안 묻혀서 표면색상과 광택성을 특정한 내화학성 처리(내산성 및 내알칼리성)를 수행하고, 2㎏의 하중으로 100회 왕복 실험한 메틸에틸케톤 러빙 테스트(MEK rubbing Test)를 수행하여 도막의 박리나 변색을 관찰하였다.
시험 결과,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도장강판은 종래의 필름합지 강판에 비해 내식성, 가공성 및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원발명은 아래의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필름합지에 의해 무늬를 형성하는 종래의 방식에 비해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가 있다.
필름합지에 의한 종래방식과 본 발명의 원가 비교
구분 도장강판 1㎡당 원가
(원/㎡)
도장강판 1톤당 원가
(원/톤, 0.5T*800㎜기준)
종래(필름 합지) 1,300 336,000
본 발명 326 105,000
본 발명은 독특한 조성을 갖는 하도 도료 및 상도 도료의 도포에 의해, 분체도장 시 나타나는 오렌지 필 (Orange Peel) 무늬를 피씨엠 강판 제조공정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분체도장 도장강판과 그 외관 및 물성이 동일한 피씨엠 도장강판을 피씨엠 제조 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종래의 분체도장 시에도 오렌지 필 무늬가 형성되고 있으나, 분체도장은 공정의 특성상 제품의 가공을 완료한 후에 도장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품의 가공 전에 미리 도장을 하는 피씨엠(Pre-Coated Metal) 강판의 경우에는 분체도장 방식이 적용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종래의 방식에 의해서는 피씨엠 강판에 오렌지 필 무늬를 형성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하도 및 상도 조성물에 의하면, 가공 전에 미리 도장을 하는 피씨엠 강판에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강판은 가공성, 내식성 및 내화학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도장강판
110: 소지강판
120: 전처리층
130: 하도 도막층
140: 상도 도막층
150: 배면층

Claims (9)

  1. 강판 자체 또는 아연이나 아연합금 도금층이 형성된 도금 강판 형태의 소지강판(110)을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소지강판(110) 상에 크롬산염 또는 논(Non)크롬산염 전처리층(120)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전처리층(120)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하도 도료를 코팅하여 하도 도막층(130)을 형성하는 단계(S30);
    상기 하도 도막층(130)이 형성된 소지강판(110)을 180~300℃로 가열 및 건조시켜 오렌지 필 스트럭쳐 (orange peel structure) 무늬를 발현하는 단계(S40);
    상기 하도 도막층(130)에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경화촉매, 용제, 무기화합물, 왁스 및 소포제, 실리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도 도료를 코팅하여 상도 도막층(140)을 형성하는 단계(S50);
    상기 상도 도막층(140)이 형성된 소지강판(110)을 200~250℃로 가열 및 건조시키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도 도막층(130)은,
    수평균 분자량이 3,500~17,000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40~60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7.0~15 중량%, 경화촉매 0.1~2.0 중량%, 용제 4~15 중량%, 무기화합물 23~33 중량%, 왁스 및 소포제 0.02~1.0 중량%, 실리카 0.1~2.0 중량%로 조성되며, 각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제는, 자일렌(xylene)과, 톨루엔(toluene), 아세톤(acetone), 메틸알콜(methyl alcohol), 2-프로판올(isopropylalcohol), 에틸알콜(ethyl alcohol), 부틸알코올(butanol), 초산에틸(ethylacetate), 셀루로스에테르(ethyl cellulose), 벤젠메탄올(benzylalcohol), 및 아세틸셀루로오스(cellulose acet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화합물은, TiO2를 포함하는 안료 파우더(pow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아마이드계, 카나우바계, PTFE(PolyTetraFluoroEthylene)계 합성 왁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제는, 아크릴 코폴리머(Acryl copolymer)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3~9 마이크론 크기의 고순도 무정형 합성 실리카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도 도막층(140)은,
    수평균 분자량이 4,000에서 25,000의 하이폴리머 폴리에스테르 주수지 45~65 중량%, 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톡시기를 갖는 메틸에테르화 멜라민 수지의 가교수지 7.0~15.0 중량%, 경화촉매 0.5~2.0 중량%, 용제 8~20 중량%, 무기화합물 18~28 중량%, 왁스 및 소포제 0.1~2.0 중량%, 실리카 0.1~2.0 중량%로 조성되고, 각 성분들의 합은 100 중량%가 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
KR1020130090840A 2013-07-31 2013-07-31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Ceased KR20150015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40A KR20150015162A (ko) 2013-07-31 2013-07-31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840A KR20150015162A (ko) 2013-07-31 2013-07-31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162A true KR20150015162A (ko) 2015-02-10

Family

ID=5257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840A Ceased KR20150015162A (ko) 2013-07-31 2013-07-31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51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112A (ko) 2015-05-28 2016-12-08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피씨엠 컬러 강판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컬러 강판
KR20170002069A (ko) 2015-06-29 2017-01-06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매트 도장강판
CN108656825A (zh) * 2018-05-15 2018-10-16 山东京宏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压花pcm彩色涂层钢板及其生产工艺
KR20200022096A (ko) * 2018-08-22 2020-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칼라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칼라강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112A (ko) 2015-05-28 2016-12-08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피씨엠 컬러 강판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컬러 강판
KR20170002069A (ko) 2015-06-29 2017-01-06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매트 도장강판
CN108656825A (zh) * 2018-05-15 2018-10-16 山东京宏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压花pcm彩色涂层钢板及其生产工艺
CN108656825B (zh) * 2018-05-15 2022-02-08 山东京宏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面压花pcm彩色涂层钢板及其生产工艺
KR20200022096A (ko) * 2018-08-22 2020-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칼라강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칼라강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06900B (en) Electrical steel sheet having insulating co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eel sheet
JP4253661B2 (ja) プリント性が加えられた片面エンボスカラー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320540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steel sheet having polished stainless steel texture, and color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0577878B1 (ko) 화장판 적층용 수지 필름 및 그 수지 필름을 적층한 화장판
KR20150015162A (ko) 오렌지 필 스트럭쳐 무늬를 갖는 피씨엠 도장강판의 제조방법
CN1234766A (zh) 纸层压金属板
KR101775994B1 (ko) 단면 내식성이 우수한 친환경 라미네이션 강판의 제조방법
KR101622853B1 (ko) 칼라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2051B1 (ko) 편면 용융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37274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수지코팅 강판 및 이에 사용되는 수지조성물
CN117619704A (zh) 一种采用涂布与镀膜工艺制备的热熔胶膜及其制备方法
CN104760363A (zh) 高表面硬度pcm彩色涂层钢板
KR101720130B1 (ko) 이종금속 접합소재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95102A1 (en) Multilayer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466145B1 (ko)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37959B1 (ko) 장식용 필름지
US3399248A (en) Reaction of amino-ester modified vinyl polymer and epoxide resins to form an adhesive composition
KR101992541B1 (ko) Zn-Mg-Al계 고내식 도금강판을 연마가공한 소재를 이용한 필름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판
KR101202254B1 (ko) 스크래치 자기 회복 도장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15508B1 (ko) 칼라강판 및 그 제조방법
TW593594B (en) Curable and emboss-formable coating composition, process for metal plates having embossed film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KR100550832B1 (ko) 폴리에틸렌폼, 폴리스틸렌폼, 폴리우레탄폼과 부착성이있는 아연 또는 아연-알루미늄합금 강판용 고내식성박막형 수용성 유기피막제 및 이를 피복한 강판의 제조방법
KR101275819B1 (ko) 강판 프린팅용 열경화성 잉크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강판 제조방법 및 그 강판
JP2009018591A (ja) 化粧鋼板の製造方法
CN206693539U (zh) 金属保温装饰一体化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