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574A - 배터리팩 케이스 - Google Patents

배터리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574A
KR20150014574A KR1020130089780A KR20130089780A KR20150014574A KR 20150014574 A KR20150014574 A KR 20150014574A KR 1020130089780 A KR1020130089780 A KR 1020130089780A KR 20130089780 A KR20130089780 A KR 20130089780A KR 20150014574 A KR20150014574 A KR 20150014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case
body portion
batter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9930B1 (ko
Inventor
이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랜텍
Priority to KR102013008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9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4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이 복수 개 적층된 배터리팩을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팩 케이스로서,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는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배터리팩의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으며, 케이스에 형성되는 방열부를 통해 배터리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케이스 내부로 수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배터리팩이 용이하게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팩 케이스{BATTERYPACK CASE}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 가공에 의해 성형됨으로서, 배터리셀 적층체의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케이스에 관한 발명이다.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배터리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되며, 휴대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전기자전거, 전기스쿠터, 야외의 LED 조명, 휴대폰 충전, 노트북 충전 및 각종의 다양한 생활가전 장치들에 대한 전력 공급장치로써 이용된다.
상기 에너지 저장장치로서의 배터리팩에 포함되는 배터리로서는 최근 리튬 배터리가 주로 이용되는데, 상기 리튬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을 이용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와 고체 폴리머를 이용하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있다.
상기 배터리팩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복수 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모듈로 구성되어 이용되며, 상기 배터리팩은 배터리 셀(cell)과 보호회로모듈(PCM;Protection Circuit Module)을 포함하는 피시비 기판이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셀은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이루어지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 케이싱내에 수용된 형태이고, 상기 케이싱의 외면에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배터리의 폭발 및 과충전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터리 셀의 외측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팩은 배터리 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야 하며, 상기 배터리 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용이하게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복수 개의 배터리팩들을 연결하여 모듈화할 경우에 용이하게 결합 및 결합해제 될 수 있으며, 배터리팩 모듈의 전체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배터리팩을 휴대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팩은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이용되는데, 상기 케이스는 배터리팩 내에 포함되는 배터리셀 갯 수에 따른 높이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셀 적층체의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케이스 내부로 수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배터리팩이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배터리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이 복수 개 적층된 배터리팩을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팩 케이스로서,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는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는 합성수지재로 일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에는 방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부에는 배터리셀적층체의 진입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팩의 고정 지지를 위한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배터리팩의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에 형성되는 방열부를 통해 배터리팩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팩을 용이하게 케이스 내부로 수납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케이스 내에서 배터리팩이 유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에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에 포함되는 몸체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에 배터리팩이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는 배터리팩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에 포함되는 몸체부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에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는 양극단자(102)와 음극단자(104)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100)이 복수 개 적층된 배터리팩(200)을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팩 케이스로서,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는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양 측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20, 2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터리셀(100)은 음극시트와 양극시트로 구성되는 전극적층유닛이 금속케이싱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셀(100)에는 양극단자(102)와 음극단자(104)가 마련되며, 상기 단자들은 단자연결부재(110)를 통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셀(100)은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니켈-카드뮴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또는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셀(100)은 다른 배터리와 비교시 크기에 비해 대용량 전압의 충전이 가능하고, 충전 후 전원공급이 장시간 동안 지속가능하며, 하나의 배터리로 구성되어 관리가 용이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셀(100)에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부가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셀(100)의 과충전 내지 과방전으로 인한 폭발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셀(100)은 배터리셀지지부재(120)에 수용된 상태로 높이 방향을 따라 적층되어 배터리팩(200)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배터리셀지지부재(120)의 후방에는 배터리셀지지가이드부(107)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셀지지부재(110)들을 복수 개 적층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에 수납 시 상기 배터리셀지지가이드부(107)가 케이스 내의 가이드부(14)에 의해 안내되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팩 케이스는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양 측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20, 22)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0)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팩(200)은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셀(100)의 갯수에 따라 높이가 달라지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의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형성함으로써, 배터리팩(200)의 높이에 따라 유연하게 상기 몸체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합성수지재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 상기 몸체부(10)를 긴 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형성한 상태에서, 수용하고자 하는 배터리팩(200)의 높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에는 방열부(12)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팩(20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열전달율은 면적에 비례하는 특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몸체부(10)에 냉각핀 형상의 방열부(12)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팩(2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 내의 바닥부분에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팩(200)을 케이스 내에 수납 시 배터리셀지지가이드부(107)가 케이스 내의 가이드부(14)에 의해 안내되어 용이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14)가 상기 배터리셀지지가이드부(107)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배터리팩(200)이 상기 몸체부(10) 내에 수납되므로, 상기 배터리팩(200)이 상기 몸체부(10)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몸체부(10) 내에 배터리팩(200)을 수납한 상태에서 배터리팩의 고정 지지를 위한 고정지지부재(30)가 나사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에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팩(200)이 몸체부(10) 내에서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는 파지를 위한 손잡이부(16)가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몸체부
12: 방열부
14: 가이드부
16: 손잡이부

Claims (5)

  1.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를 포함하며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셀이 복수 개 적층된 배터리팩을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팩 케이스로서,
    상기 배터리팩 케이스는,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 측부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합성수지재로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방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배터리셀적층체의 진입 안내를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고정 지지를 위한 고정지지부재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팩 케이스.
KR1020130089780A 2013-07-29 2013-07-29 배터리팩 케이스 KR101499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780A KR101499930B1 (ko) 2013-07-29 2013-07-29 배터리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780A KR101499930B1 (ko) 2013-07-29 2013-07-29 배터리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574A true KR20150014574A (ko) 2015-02-09
KR101499930B1 KR101499930B1 (ko) 2015-03-09

Family

ID=52571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780A KR101499930B1 (ko) 2013-07-29 2013-07-29 배터리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9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311A (ko)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WO2017146395A1 (ko)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용 전장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구조체
JP2017168356A (ja) * 2016-03-17 2017-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蓄電装置
WO2017204458A1 (ko) * 2016-05-24 2017-11-30 삼성에스디아이(주) 전지 팩
KR20210111876A (ko) * 2017-07-20 2021-09-13 비클 에너지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7321A1 (en) * 2002-11-27 2004-07-15 Jean-Francois Savaria Casing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KR100892047B1 (ko) * 2006-09-18 2009-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및 중대형 전지팩
KR100978142B1 (ko) * 2007-09-04 2010-08-25 한국과학기술원 배터리 케이스와 그 제조방법
CN103283063B (zh) * 2010-12-28 2016-02-24 株式会社Lg化学 电池模块接收装置、电池模块恒温器以及包括其的蓄电系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3311A (ko)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WO2017146395A1 (ko) 2016-02-24 2017-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용 전장 박스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구조체
US10396323B2 (en) 2016-02-24 2019-08-27 Lg Chem, Ltd. Electrical box for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structure using same
JP2017168356A (ja) * 2016-03-17 2017-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蓄電装置
WO2017204458A1 (ko) * 2016-05-24 2017-11-30 삼성에스디아이(주) 전지 팩
KR20190004351A (ko) * 2016-05-24 2019-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11404732B2 (en) 2016-05-24 2022-08-02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20210111876A (ko) * 2017-07-20 2021-09-13 비클 에너지 재팬 가부시끼가이샤 전지 팩
US11228069B2 (en) 2017-07-20 2022-01-18 Vehicle Energy Japan Inc.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930B1 (ko) 201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303B1 (ko) 전지 셀 냉각 및 고정 구조가 통합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972822B2 (en) Battery pack including bushing for connecting end plate
US20200388805A1 (en) Battery Module Including Heat-Shrinkable Tube
US9214650B2 (en) Battery module case
KR100904373B1 (ko) 이차전지 모듈용 방열 구조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스위칭보드 및 이차전지 모듈
KR101499930B1 (ko) 배터리팩 케이스
US10854936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20160020645A (ko) 멀티셀 홀더를 포함하는 배터리팩 모듈
US10586972B2 (en) Battery pack
KR20120119056A (ko) 배터리 셀 센싱 기판
KR101833567B1 (ko) 전지 셀 고정 기능을 갖는 충방전기용 트레이
CN113939948B (zh) 电池模块、电池组和电子装置
KR20160054269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389469B1 (ko) 배터리 팩
JP5976480B2 (ja) 携帯型電源装置
KR10148028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터리팩 모듈
KR101860065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00076909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되고 멀티셀렉팅 기능의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팩
KR101545237B1 (ko) 용량 확장 구조의 배터리팩 모듈
KR101507971B1 (ko) 완충구조를 갖는 배터리팩
KR101550791B1 (ko) 배터리셀지지부재
KR101550790B1 (ko) 배터리셀의 전극연결부재
JP2022542930A (ja) ベース絶縁部材を備え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KR102142548B1 (ko) 배터리 팩
KR20150033181A (ko) 팩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