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70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708A
KR20150012708A KR1020130088554A KR20130088554A KR20150012708A KR 20150012708 A KR20150012708 A KR 20150012708A KR 1020130088554 A KR1020130088554 A KR 1020130088554A KR 20130088554 A KR20130088554 A KR 20130088554A KR 20150012708 A KR20150012708 A KR 20150012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quality
quality information
subframe
base st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용
맹승주
박명희
한승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708A/ko
Priority to PCT/KR2014/006887 priority patent/WO2015012663A1/ko
Publication of KR20150012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7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점차로 음성 뿐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까지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까지 발전하였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원의 부족 현상 및 사용자들이 보다 고속의 서비스를 요구하므로, 보다 발전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개발 중인 중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3GPP(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LTE(Long Term Evolution)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구조를 간단히 해서 통신로 상에 위치하는 노드의 수를 줄이는 방안이나, 무선 프로토콜들을 최대한 무선 채널에 근접시키는 방안 등이 있다.
한편, 기지국은 단말이 하향 링크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도록 기준 신호를 단말에 전송하고, 단말은 상기 기준 신호를 측정하여 채널 품질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이 경우, 단말이 하향 링크 채널 품질을 보다 정확히 측정할수록 기지국은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과 단말이 상호간 협력을 통해 단말의 하향 링크 채널 품질을 추정하도록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기지국이 단말로 하여금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는 지 또는 평균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는지 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협력하고, 단말은 이에 따라 설정된 방법에 따라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기준 신호 전송 방법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이후에 도래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이후에 도래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은 순시적인 채널 품질 보고 여부를 강건(robust)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기반하여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용량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하여 TP 조합을 번갈아가며 CSI-RS(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기지국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경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어떤 TP도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추정 방안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지국과 단말의 협력을 통해 단말이 하향 링크의 채널 품질 추정 방식을 결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향 링크를 대상으로 하며, 특히 단말에서의 하향 링크 채널 품질 추정 방안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Term Evolu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규격 기준으로 설명하나,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반적인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각 셀이 하나의 전송 지점(Transmission Point, TP)으로 구성되며, TP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하향링크에 대한 채널 품질은 단말이 직접 측정하여 기지국에 보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이를 위해, 단말은 지정된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서빙셀에 대한 (또는 상기 단말이 소속된 셀에 대한) 하향링크 채널 품질을 측정한 뒤 상향링크를 통해 기지국에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한다. 그러면,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기지국의 스케줄러는 여러 가지 환경(예컨대, 다양한 TP 조합)에 따른 여러 종류의 하향링크 채널품질을 알 수 있다면 이를 스케줄링 시 활용하여 무선네트워크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에 대한 예시를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이라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TP(기지국)들의 조합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무선 채널 품질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은, 단말과 서빙 기지국 사이의 채널 품질, 단말과 인접 기지국 1 사이의 채널 품질, 단말과 서빙 기지국 및 인접 기지국 1 사이의 채널 품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에 대한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의 (a)와 같이, 기지국 및 단말은 TP #0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때의 채널품질, (b)와 같이 TP #1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때의 채널 품질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에 한 가지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주기적인 무선 자원을 할당하게 된다. 기지국은 상기 한 가지의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되 채널 품질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TP 조합들을 번갈아 가면서 기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 RS)일 수 있다.
도 2는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하여 TP 조합을 번갈아 가며 CSI-RS(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TP #0에 대한 채널품질, TP #1에 대한 채널품질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한 기준 신호 전송 예이다. 단말은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측정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이 설정한 방식(주기적 보고, 또는 비주기적 보고)에 따라 기지국에 채널 품질을 보고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이 채널 품질을 보고한 타이밍으로부터 어떤 TP 조합에 대한 채널 품질인지를 구분하여 관리하고 최종적으로 모아진 채널 품질 정보들을 무선 자원 할당 수행에 활용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방법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단말은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측정하여 보고해야만 한다. 그 이유는 단말은 TP 조합들이 번갈아 가면서 전송되고 있다는 사실 자체를 모르거나, TP 조합들이 번갈아 가면서 전송되는 사실을 알더라도 정확한 순서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순서를 알지 못하는 단말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하지 않고 채널 품질을 필터링(filtering)(또는, 평균화) 한 값을 보고한다면, 여러 TP 조합에 따른 채널 품질이 섞여 있는 채널 품질 정보가 되어 버리기 때문에 각 TP 조합에 대한 정확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이 알아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말이 항상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하는 것을 가정할 수는 없다.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보고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즉, TP 조합들이 번갈아 가면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단말이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대신 채널 품질을 필터링(filtering) 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채널 품질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단말의 동작을 명확히 하고자 제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로 하여금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는지 여부, 다시 말해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는 지 여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협력한다.
단말은 기지국의 도움을 받아 상기 판단을 명확히 수행하고 기지국의 의도에 맞게 채널 품질 측정 방식을 결정한다. 즉, 단말은 기지국의 의도에 따라 순시적인 채널 품질 또는 평균적인(필터링된) 채널 품질을 생성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시스템의 성능 열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과 단말의 협력을 통해 단말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는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은 단말에 한가지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주기적인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만약 해당 기지국이 한가지 채널 품질만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한가지의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자원을 이용하여 채널 품질 측정 하고자 하는 한가지 TP 조합을 사용하여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만약 해당 기지국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경우(또는, 단말이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하기를 희망할 경우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한가지의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만 이용하고, 채널 품질 측정을 수행하고자 하는 TP 조합들을 번갈아 가면서 기준 신호(CSI-RS)를 전송하되,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서브프레임, subframe)에서는 어떤 TP에서도 기준 신호(CSI-RS)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3은 기지국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경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어떤 TP도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서브프레임의 인덱스(index) 값이 모듈로(modulo) 100 연산 시 0보다 같거나 크고 5보다 작은 경우에 한해 어떤 TP도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예시를 도시한다.
단말은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subframe)에 대해 기준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전력을 미리 설정된 임계 값(Threshold)과 비교한다. 단말은 상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기지국이 해당 시간(subframe)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할 지 또는 평균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단말은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기지국이 기준 신호를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해당 기지국이 한가지 채널 품질만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필터링을 수행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필터링을 수행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 정보와, 이전까지 누적된 채널 품질 정보를 평균화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해당 기지국이 한가지 채널 품질만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반드시 필터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단말은 채널이 빠르게 변한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반드시 필터링을 수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반면, 단말은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기지국이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해당 기지국이 복수 개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단말은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은 다시 말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한다는 것은,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해 순시적으로 측정된 채널 품질 정보만을 생성하여 보고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상기와 같이 해당 기지국이 복수 개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이후에 도래하는 채널 측정의 대상이 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에 보고한다.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은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subframe)에 기준 신호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이미 알고 있다. 따라서, 단말이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채널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자원으로부터 측정한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하더라도,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의미 없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지국은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단말로부터 보고된 채널 품질 정보는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에 활용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SI-RS를 전송하지 않는 시간(subframe)을 판별하는 조건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과 단말 간 미리 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상위 계층 시그널링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물리 계층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LTE 시스템에서 CSI-RS는 무선 자원 할당에 활용하기 위한 채널 품질 측정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기준 신호이다. 다시 말해, CSI-RS는 핸드 오버(handover)를 위한 셀 서치(cell search)나 데이터 복조(data demodulation)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과 같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CSI-RS를 전송하지 않는 것이 시스템의 다른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CSI-RS가 차지하는 무선자원의 오버 헤드(overhead)가 매우 낮고, 그 중에서도 일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의 CSI-RS만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낭비되는 무선 자원의 비율은 매우 미미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되는 기지국은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인 것으로 가정한다.
우선, 기지국은 S410 단계에서 현재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확인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S420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모듈로(modulo) 100 연산 시 0보다 같거나 크고 5보다 작은 경우의 인덱스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방법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기지국은 S44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 예를 들어, CSI-RS를 전송하지 않는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현재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기지국은 S430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서브프레임의 정해진 위치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S45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품질 정보는 채널 품질에 대한 지시자 정보(Channel Quality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리코딩 매트릭스 지시자(Precoding Matrix Indicator) 정보, 랭크 지시자(Rank Indicator)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어서, 기지국은 S46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것일 경우, 기지국은 S47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채널 품질 정보를 무시한다. 이는,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은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았기 때문에, 단말이 측정하여 보고한 채널 품질 정보는 무의미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것이 아닌 경우, 기지국은 S48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채널 품질 정보를 스케줄러에 보고하여, 스케줄러가 무선 자원 할당에 활용하도록 한다. 이는,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서브프레임에서는, 기지국은 단말에게 채널 측정을 위한 기준 신호를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전송하였고, 단말이 보고한 채널 품질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기준 신호에 대한 측정 결과이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은 S510 단계에서, 현재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말은 S520 단계에서,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 인덱스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 인덱스는 모듈로(modulo) 100 연산 시 0보다 같거나 크고 5보다 작은 경우의 인덱스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방법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어서, 단말은 S530 단계에서, 확인된 서브프레임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에 대해 측정을 수행한다는 것은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540 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 결과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 신호 세기 측정 결과가 임계 값 이상이라는 것은 기지국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임계 값 이하라는 것은 기지국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 결과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이 아닌 경우, 단말은 S55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의 서브프레임 및 이후에 도래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 생성 시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한다. 이는, 수신 신호 세기 측정 결과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이 아니라는 것은 기지국이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이는 해당 기지국이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이기 때문에 단말은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보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S550 단계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의 측정 결과가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단말이 기지국의 의도를 파악하였음을 기지국에게 알려줄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단말은 해당 서브프레임에서의 기준 신호 측정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의도적으로 가장 좋은 품질의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자신이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은 서브프레임에 대해, 단말로부터 가장 좋은 품질의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의도를 단말이 파악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단말이 가장 좋은 품질의 채널 품질 정보를 전송한다고 기재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단말은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특정 임계 값 이상의 채널 품질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 상기 수신 신호 세기 측정 결과가 미리 결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단말은 S560 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동작에 따라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필터링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해 측정된 채널 품질 정보와, 이전까지 누적된 채널 품질 정보를 평균화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570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 단계에서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한편, 상기의 도 5에서는 S540 단계의 판단 결과, 서브프레임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이 아닌 경우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고 기술하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이 아닌 수신 전력을 가지는 서브프레임이 설정된 개수 이상 (또는 설정된 비율 이상, 일 실시예로 10회 측정 중 7회 이상) 감지될 경우,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단말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고 있는 경우, 다시 필터링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우선, 단말은 S610 단계에서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S620 단계에서, 상기 감지된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예를 들어, 핸드오버(Handover) 접속(atta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핸드오버인 경우, 상기 핸드오버는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에서 한가지 채널 품질만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접속인 경우, 상기 접속은 한가지 채널 품질만을 단말로부터 보고받는 기지국으로의 접속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감지된 경우, 단말은 S630 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품질 정보 생성 시, 필터링을 수행한다. 즉, 평균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감지된 이벤트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아닌 경우, 단말은 S640 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품질 정보 생성 시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말은 S650 단계에서,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도 6에서는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이 다시 필터링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 핸드 오버 또는 접속의 예시를 설명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할지 또는 필터링된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할 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서의 수신 전력에 기반하여 이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710)와, 기지국의 내부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7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부(720)는 하기와 같이 세부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SI-RS 전송 TP 집합 결정부(730)는 매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을 어떤 TP 집합(TP 조합)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하게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CSI-RS 전송 TP 집합 결정부(730)는 결정된 TP 집합의 각 TP에 대해 TP #n의 CSI-RS 전송부(740)로 CSI-RS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예컨대, 이번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자원을 TP #1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때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데 사용하고자 할 경우, CSI-RS 전송 TP 집합 결정부(730)는 TP #1의 CSI-RS 전송부에 CSI-RS를 전송할 것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SI-RS 전송 TP 집합 결정부(73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subframe)에는 어떤 TP에도 CSI-RS 전송을 지시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에서 CSI-RS가 어떤 TP로부터도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단말이 주기적(또는 비주기적)으로 채널품질을 보고하면 채널 품질 정보 분리부(750)는 해당 채널 품질이 어떠한 TP 조합에 대한 채널 품질인지를 분리한다. 예를 들어, TP #1의 채널품질로 분리된 경우, 품질 정보 분리부(750)는 TP #1의 채널에 대한 채널 품질 관리부(760)로 해당 채널 품질 정보를 전달한다.
무선 자원 할당부(770)는 다양한 TP 조합들에 대한 채널 품질을 전달받아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 할당에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어부(720)가 별도의 세부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 세부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이 상이한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SI-RS 전송 TP 집합 결정부(730)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72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은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810a, 810b)와, 단말의 내부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8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부(820)는 하기와 같이 세부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SI-RS 수신부(830)는 매 채널 품질 측정 용도의 무선 자원(기준 신호, CSI-RS)으로부터 순시적인 하향 링크 채널 품질 또는 순시적인 CSI-RS 수신 전력 값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측정한다.
CSI-RS 미 전송 서브프레임 계산부(84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subframe)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채널 품질 추정 방안 결정부(850)에 알려준다.
채널 품질 추정 방안 결정부(850)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subframe)에서의 순시적인 하향 링크 채널 품질 또는 순시적인 CSI-RS 수신 전력 값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사용하여 기지국에서 CSI-RS를 전송했을 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기지국이 CSI-RS를 어떤 TP에서라도 전송한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품질 추정 방안 결정부(850)는 채널 품질 추정부(860)에 채널품질을 필터링(filtering) 할 것을 지시한다.
만약 상기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간에서 기지국이 CSI-RS를 어떤 TP에서도 전송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채널품질 추정 방안 결정부(850)는 채널 품질 추정부(860)에 채널품질을 필터링 하지 말고 순시적인 채널 품질을 측정할 것을 지시한다.
채널 품질 추정부(860)는 채널 품질 추정 방안 결정부(850)의 지시에 따라 채널 품질을 추정하고, 이 값을 채널 품질 정보 전달부(870)에 전달한다. 채널 품질 정보 전달부(870)는 기지국이 지정한 주기적(또는 비주기적) 상향 링크 보고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하향 링크 채널 품질을 보고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제어부(820)가 별도의 세부 블록들을 포함하고, 각 세부 블록들이 수행하는 기능이 상이한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CSI-RS 수신부(830)가 수행하는 기능을 제어부(820) 자체가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순시적인 채널 품질 보고 여부를 강건(robust)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채널 품질을 보고받을 수 있도록 하고, 이에 기반하여 결과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용량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기준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말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 신호 전송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에 있어서,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이후에 도래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평균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시 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평균 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핸드 오버(handover) 또는 접속(atta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품질 정보 생성 단계는,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품질을 지시하는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품질 정보 보고 방법.
  1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 아닌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에서 기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인 경우 상기 기준 신호를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단말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 수신 시, 상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인지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인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채널 품질 정보가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품질 정보가 아닌 경우, 상기 채널 품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시스템 정보, 상위 계층 시그널링 또는 물리 계층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를 보고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현재 서브프레임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며,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서브프레임 이후에 도래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 순시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평균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시 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여 보고하는 도중,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시 평균 적인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생성된 채널 품질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핸드 오버(handover) 또는 접속(attac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서브프레임이 미리 결정된 서브프레임이고 상기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의 품질을 지시하는 채널 품질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KR1020130088554A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12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54A KR20150012708A (ko)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CT/KR2014/006887 WO2015012663A1 (ko) 2013-07-26 2014-07-2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554A KR20150012708A (ko)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708A true KR20150012708A (ko) 2015-02-04

Family

ID=5239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554A KR20150012708A (ko) 2013-07-26 2013-07-26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12708A (ko)
WO (1) WO2015012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6158B2 (en) * 2017-01-19 2023-03-14 Qualcomm Incorporated Event triggering and reporting with multiple reference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537A (ko) * 2010-08-16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준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2437987B (zh) * 2010-09-29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道状态信息参考信号序列的生成和映射方法及装置
KR20230145222A (ko) * 2011-01-07 2023-10-1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다중 송신 포인트의 채널 상태 정보(csi) 전달
JP5716132B2 (ja) * 2011-05-27 2015-05-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多重ノード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状態情報送信方法及び装置
US9210606B2 (en) * 2011-07-31 2015-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measuring channel quality in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12663A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8406B (zh) Fs3 scells上的频率间测量
CN110545562B (zh) Bwp切换方法及装置、存储介质、用户设备、基站
US81074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connection setup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7093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fficient estimation of the movement state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8783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간 간섭 전력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2410775B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mode
JP6679719B2 (ja) ワイヤレス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シグナリングを管理するためのワイヤレスデバイス、無線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それら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
WO2016042500A1 (en) Drx cycle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EP2827653B1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96748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fficient estimation of the movement state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52596A (ko) 무선 링크 관리 및 무선 자원 관리를 위한 향상된 측정 필터링 구성
WO2013082948A1 (zh) 一种发送srs和指示srs发送的方法及设备
US11228382B2 (en) Controlling the channel occupancy measurement quality
EP2744268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cell according to a speed of a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9952780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无线资源测量的方法和装置
US11317418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2568739A2 (en)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nd controlling user equipment measurement in multiple carrier aggreg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39796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CN111742579A (zh) 执行波束失败恢复过程的方法及用户装置
JP2023521786A (ja) 測定方法、装置、機器および記憶媒体
CN110679173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之间的无线资源测量的方法和装置
WO2014183509A1 (zh) 一种通信终端管理方法及通信系统
TWI756259B (zh) 通訊方法、終端裝置和網路裝置
KR2015001270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80203A1 (zh) 一种通信终端管理方法及通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