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664A -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 Google Patents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664A
KR20150012664A KR1020130088457A KR20130088457A KR20150012664A KR 20150012664 A KR20150012664 A KR 20150012664A KR 1020130088457 A KR1020130088457 A KR 1020130088457A KR 20130088457 A KR20130088457 A KR 20130088457A KR 20150012664 A KR20150012664 A KR 20150012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shing
cargo
cargo hold
sloshing reduc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427B1 (ko
Inventor
이세진
이태헌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4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Abstract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이용하여 슬로싱을 저감할 수 있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는 화물창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단열패널 구조체에 타단이 고정되는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창에 수용되는 액상화물의 슬로싱을 저감한다.

Description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Sloshing reduction device of cargo and Cargo of liquefied ga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이용하여 슬로싱을 저감할 수 있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에 관한 것이다.
액화가스(Liquefied gas)는 기체를 냉각 또는 압축하여 액체로 만든 것으로,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를 일 예로 들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62도의 초저온 상태로 냉각하여 그 부피를 대략 1/600 정도로 감소시킨 것이다. 액화천연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액화천연가스의 생산기지로부터 수요지까지 대량 이송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필요하게 된다.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액화천연가스를 하역하기 위한 LNG 수송선이나, 액화천연가스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하는 LNG RV(Regasification Vessel)는, 액화천연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는 저장탱크(이하, '화물창'이라고 함)를 포함하고 있다.
화물창 내부에 LNG와 같은 액상화물을 수용한 상태로 선박에 동요(動搖)가 일어나면, 액상화물의 요동으로 화물창의 측벽 및 천장 구조물에 슬로싱 충격(Sloshing impact)이 발생한다.
슬로싱(Sloshing)이란, 선박이나 부유식 구조물이 다양한 해상 상태에서 운동할 때 화물창 내에 수용된 액체 상태의 물질이 유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화물창 내부의 일부 영역에만 액체가 차 있을 경우, 액체의 유동에 의한 슬로싱에 의해 화물창 벽면과 천장은 심한 충격을 받게 되며 이를 슬로싱 충격(Sloshing impact)이라 한다. 이러한 슬로싱 충격에 의해 화물창의 단열패널 구조체 등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슬로싱 현상은 선박 운항 중 선박의 동적 움직임에 의해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화물창은 슬로싱에 의한 하중을 견디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액화가스 수송선박의 운항효율과 적재되는 액화가스의 양을 고려할 때 화물창의 수용 용적을 크게 할 필요와 가볍게 제작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화천연가스 수송선박을 나타내는 도면과, 화물창의 확대도이다.
도 1 참조하면, 화물창은 슬로싱 방지를 위해 측면 상부 및 하부에 대략 45도 각도로 경사진 상부 챔퍼(Chamfer) 및 하부 챔퍼를 형성한다. 이처럼 화물창에 챔퍼를 형성한 경우, 화물창의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어느 정도 하중을 분산 및 감쇄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화물창에 챔퍼를 형성하는 방법은 표준 적재 조건에서만 운용이 가능한 것으로, 부분 적재 상태에서도 슬로싱에 의한 충격력을 충분히 안전하게 견딜 수 있는 화물창의 구현을 위해 보다 효과적인 대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슬로싱 임팩트 저감을 위해 위와 같은 챔퍼를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챔퍼에 의해 상대적으로 화물창 내 화물의 저장공간은 협소해질 수 밖에 없는 관계로, 다른 동급 화물창과 비교해 많은 화물을 실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챔퍼는 어느 정도의 슬로싱 충격으로부터 화물창을 보호하는 것이지 슬로싱 충격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슬로싱을 저감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7897호에는 챔퍼가 형성된 선박용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7897호(2012. 08. 28.공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액화가스의 슬로싱을 저감하기 위해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슬로싱 저감부재를 사용하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화물창의 방벽과 펌프 타워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물창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단열패널 구조체에 타단이 고정되는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창에 수용되는 액상화물의 슬로싱을 저감하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그물구조로 마련되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상화물을 수용하는 화물창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상면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액상화물의 하역을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리퀴드 돔; 상기 화물창의 상면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액상화물이 기화하여 발생되는 증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돔; 상기 리퀴드 돔에 고정되고, 상기 액상화물의 하역을 위한 파이프와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 및 상기 펌프 타워와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화물창의 주방벽에 타단이 고정되는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슬로싱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의 일단은 상기 펌프 타워의 파이프 또는 칼럼에 고정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펌프 타워는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와 연결되는 결합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의 일단은 상기 결합 칼럼에 고정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로싱 저감장치는, 상기 화물창 코너부의 주방벽의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스터드 볼트에 각각 결합하는 방벽 결합부재와, 상기 방벽 결합부재에 결합하고 일단에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가 연결되는 슬로싱 저감부재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벽 결합부재와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결합 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액화가스 화물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수송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액화가스 화물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과 슬로싱 저감장치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의 리퀴드돔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와 펌프타워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와 화물창 코너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와 화물창 코너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멤브레인형 화물창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를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감장치는 예로서 설명하는 멤브레인 타입뿐 아니라 독립탱크형(Independent Tank)과 같이 액화가스를 수용하는 탱크라면 특정한 구조 또는 형상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도 1은 종래의 액화가스 수송선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액화가스 화물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액화가스 수송선박은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물창(1)을 구비한다. 각각의 화물창(1)은 액화가스를 하역할 수 있는 리퀴드 돔(Liquid dome, 10)과 증발 가스(BOG; Boil Off Gas)를 배출할 수 있는 가스 돔(Gas dome, 30)을 화물창 상부에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화물창(1)은 상부 중앙부에 가스 돔(30)이 위치하고, 상부 선미부에 리퀴드 돔(10)과 펌프 타워(Pump tower, 20)가 위치하였다. 이처럼 가스 돔(30)과 리퀴드 돔(10)이 이원적으로 위치하였다. 펌프 타워(2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100)과 슬로싱 저감장치(200)의 개략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100)은 상부 중앙부에 마련되는 리퀴드 돔(110)과 가스 돔(130), 리퀴드 돔(110)에 고정 지지되는 펌프 타워(120)와, 슬로싱 저감장치(200)를 포함한다.
리퀴드 돔(110)은 펌프 타워(120)의 설치에 이용될 수 있으며, 각종 관련 밸브, 배관, 및 계측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펌프 타워(120)는 화물창(100) 저면의 베이스 플레이트(125)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화물창(100)의 리퀴드 돔(11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펌프 타워(120)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펌프 타워(120)는 외부의 로딩(loading) 장치에 연결되어 액화가스를 화물창(100)의 내부로 유입(loading)시키는 로딩 파이프(121)(Loading Pipe, 121)와, 외부의 언로딩(unloading) 장치에 연결되어 화물창(100)의 내부에 저장된 액화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한 쌍의 배출 파이프(Discharge Pipe, 122, 123)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배출 파이프(122, 123)에 연결되어 배출 파이프(122, 123)로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한 쌍의 메인 펌프(Main pump, 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펌프 타워(120)는 메인 펌프의 고장 시에 내부에 응급펌프(Emergency pump)가 설치되는 기둥 형태의 응급펌프 칼럼(Emergency pump column, 124)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펌프 타워(120)의 상부는 리퀴드 돔(110)에 의해 지지되며, 하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25, 도 3 참조)에 의해 화물창(100) 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25)는 각 파이프 및 칼럼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펌프 타워(120)는 수직 방향으로 열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베이스 플레이트(125)에 지지되면서도 수직 방향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펌프 타워(120)는 안정적인 구조를 갖기 위해 한 쌍의 배출 파이프(122, 123)와 응급펌프 칼럼(124)이 각각 모서리가 되는 삼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며, 로딩 파이프(121)는 삼각기둥 형태의 구조체에 추가로 부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펌프 타워(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와 달리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일 예로 3개의 파이프와 하나의 칼럼이 사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배출파이프가 하나만이 마련되어 2개의 파이프와 하나의 칼럼이 삼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스 돔(130)은 화물창(100)의 상부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리퀴드 돔(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액화가스는 온도의 상승 또는 압력의 변화에 따라 일부가 기화되어 증발 가스를 발생시킨다. 화물창(100) 내에서 기화되는 증발 가스는 평균적으로 1일에 전체 저장된 가스량의 0.15% 정도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발 가스는 미리 설정된 안전 압력(예를 들어, 0.25bar) 이상이 되면 안전 밸브를 통해 화물창(100)에서 배출된다.
가스 돔(130)은 화물창(100)의 상부 중앙부에 마련되는 개구부(131)와 개구부를 개폐하는 안전 밸브(미도시)와 화물창(1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에서 기준 압력 이상이 측정되는 경우 안전 밸브를 개방하여 개구부(131)를 통해 증발 가스를 배출하여 화물창(100) 내부의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돔(130)은 리퀴드 돔(110) 내부에서 파이프, 칼럼, 또는 기타 밸브 및 배관 등의 구성이 없는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가스 돔(130)의 구체적인 위치는 도 4와 달리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리퀴드 돔(110)에 일체로 마련되지 않고 서로 상이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여 슬로싱 저감장치(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슬로싱 저감장치(200)는 액화가스의 유동에 의한 슬로싱 충격으로부터 화물창(100)을 보호한다. 슬로싱 임팩트는 액체 화물의 유동에 의해 발생하므로, 액체 화물의 유동을 물리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면 화물창(100)의 단열패널 구조체(101) 등에 작용하는 슬로싱 충격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슬로싱 저감장치(200)는 슬로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고 화물창(100)의 수용 용적을 적게 하지 않아야 한다.
슬로싱 저감장치(200)는 펌프 타워(120)와 화물창(100)의 코너부에 연결되는 슬로싱 저감부재(210)를 포함한다. 슬로싱 저감부재(21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의 일 예로 멤브레인을 포함한다. 멤브레인(210)은 얇은 막을 의미하는 것이다. 플렉서블한 멤브레인(210)을 이용함으로써 슬로싱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슬로싱에 의해 멤브레인(2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멤브레인(210)은 다수의 구멍(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210)에 가해지는 슬로싱 충격이 강한 경우 멤브레인(210)의 파손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멤브레인(210)은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여 액화가스의 일부를 유동 가능하게 하여 멤브레인(21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할 수 있다. 멤브레인(210)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형태의 일 예로 그물구조를 포함한다.
멤브레인(210)의 일단은 화물창의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부재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별도의 부재로서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에 설치되는 펌프 타워(120)를 이용할 수 있다.
펌프 타워(120)는 앞서 설명한 로딩 파이프(121), 언로딩 파이프(121), 및 응급펌프 칼럼(124)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와 칼럼은 화물창(100) 중앙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므로, 멤브레인(210)의 일단이 상기 파이프 또는 칼럼에 결합할 수 있다.
또는 펌프 타워(120)는 상기 멤브레인(21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 칼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로딩 파이프(121), 언로딩 파이프(121), 및 응급펌프 칼럼(124)은 액화가스의 하역에 필요한 구성이므로 파손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펌프 타워(120)는 멤브레인(210)과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 칼럼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 칼럼은 리퀴드 돔(110)에 상부가 지지되고 하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25)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열응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탄성구간을 구비하거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의 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200)와 펌프타워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멤브레인(210)의 일단(210-1)과 펌프 타워(120)와의 결합을 위해 멤브레인(210)은 제1 결합홀(211)을 구비할 수 있다. 멤브레인(210)은 플렉서블하기 때문에 파손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홀(211) 주위에는 금속 재질의 링(212)이 마련될 수 있다.
펌프 타워(120)의 파이프 또는 칼럼에는 상기 멤브레인(210)의 일단과 결합하기 위한 돌출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13)는 멤브레인(210)의 제1 결합홀(211)에 대응하는 제2 결합홀(214)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홀(211)과 제2 결합홀(214)은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U자 볼트(215)가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펌프 타워(120)의 일부에 돌출부(213)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멤브레인(210)의 단부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펌프 타워(120)와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펌프 타워의 돌출부(213)에 제2 결합홀(214)이 형성되지 않고 서터드 볼트(미도시)가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은 펌프 타워(120)와 멤브레인(210)의 결합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200)와 화물창(100) 코너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물창(100)은 액화가스와 외부를 단열하는 단열패널 구조체(101)와 액화가스를 밀봉하는 방벽(102)을 포함한다. 액화가스가 단열패널 구조체(101)로 누설되어 기화되는 경우 화물창(100)은 심각하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방벽(102)에 의해 기밀하게 단열패널 구조체(101)와 액화가스를 밀봉한다. 방벽(102)은 일 예로 SUS(stainless steel)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방벽(102)은 열변형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열응력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코러게이션(Corrugation, 102-1)을 포함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타단(210-2)은 화물창(100)의 방벽(102)과 결합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타단(210-2)과 화물창(100)의 결합은 코너부 방벽(102)에 설치된 스터드 볼트(103)를 이용할 수 있다. 스터드 볼트(103)는 방벽(102)에 용접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볼트(103)는 단열패널 구조체(101)에 고정되고 방벽(102)을 관통하여 화물창(100)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방벽(102)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방벽과 스터드 볼트(103)의 결합부는 용접될 수 있다. 단열패널 구조체(101)에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103)의 일 예로 화물창(100)의 외벽에 고정되는 스터드 볼트(103)가 방벽(102)을 관통한 후에 용접되는 것을 포함한다.
멤브레인의 타단(210-2)과 방벽(102)에 부착된 스터드 볼트(103)와의 결합을 위해 멤브레인(210)은 제3 결합홀(217)을 구비할 수 있다. 멤브레인(210)은 플렉서블하기 때문에 파손우려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결합홀(217) 주위에는 금속 재질의 링(218)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홀(217)에는 스터드 볼트(103)가 삽입될 수 있으며, 너트(219)가 체결되어 멤브레인의 타단(210-2)이 방벽(102)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멤브레인의 타단(210-2)과 방벽(102)의 결합은 용접에 의할 수 있다. 제3 결합홀(217)에 스터드 볼트(103)를 삽입한 후 금속 재질의 링(219)과 스터드 볼트(103)를 용가재를 이용하여 용접할 수 있다. 또는 멤브레인의 타단(210-2)에 금속 띠(미도시)를 마련하여 방벽(102)과 직접 용접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방벽(102) 또는 단열패널 구조체(101)에 스터드 볼트(103)가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달리 단부에 홀을 형성하는 돌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홀(미도시)에 결합핀(미도시)이 체결됨으로써 방벽(102)과 멤브레인(21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스터드 볼트(103)에 멤브레인(210)이 직접 결합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방벽(102)과 멤브레인(210)의 결합을 매개하는 방벽 결합부재(미도시)와 멤브레인 결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벽 결합부재(미도시)는 방벽(102)의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양 쪽에 위치하는 스터드 볼트(103)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멤브레인 결합부재(미도시)는 일단에 멤브레인이 연결되어 상기 방벽 결합부재와 결합한다. 방벽 결합부재와 멤브레인 결합부재의 결합은 볼트에 의한 결합과 용접에 의한 결합을 포함한다. 또한, 어느 하나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이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로싱 저감장치(200)와 화물창(100) 코너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멤브레인의 타단(210-2)은 화물창(100)의 방벽(102)에 결합하기 위해 단부 결합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벽(102)은 단부 결합돌기(220)에 대응되는 결합돌기 삽입홀(104)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 삽입홀(104)은 화물창(100)의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단부 결합돌기(220)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방벽(102)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 삽입홀(104)은 삽입돌기(221)에 대응되는 삽입돌기 삽입홀(105)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 결합돌기(220)는 결합돌기 삽입홀(104)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돌기(221)가 삽입돌기 삽입홀(105)에 끼워진 채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방벽(102)과 멤브레인(210)이 결합할 수 있다.
이상은 화물창의 방벽(102)과 멤브레인(210)의 결합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화물창, 10: 리퀴드 돔,
20: 펌프 타워, 30: 가스 돔,
100: 화물창, 101: 단열패널 구조체,
102: 방벽, 103: 스터드 볼트,
104: 결합돌기 삽입홀, 105: 삽입돌기 삽입홀,
110: 리퀴드 돔, 120: 펌프 타워,
121: 로딩 파이프, 122, 123: 배출 파이프,
124: 응급펌프 칼럼, 125: 베이스 플레이트,
130: 가스 돔, 200: 슬로싱 저감장치,
210: 멤브레인, 211: 제1 결합홀,
212: 링, 213: 돌출부,
214: 제2 결합홀, 215: U자 볼트,
217: 제3 결합홀, 218: 링,
219: 너트, 220: 단부 결합돌기,
221: 삽입돌기

Claims (7)

  1. 화물창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에 일단이 고정되고 단열패널 구조체에 타단이 고정되는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화물창에 수용되는 액상화물의 슬로싱을 저감하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그물구조로 마련되는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
  3. 액상화물을 수용하는 화물창에 있어서,
    상기 화물창의 상면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액상화물의 하역을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 리퀴드 돔;
    상기 화물창의 상면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기 액상화물이 기화하여 발생되는 증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돔;
    상기 리퀴드 돔에 고정되고, 상기 액상화물의 하역을 위한 파이프와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타워; 및
    상기 펌프 타워와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화물창의 주방벽에 타단이 고정되는 플렉서블한 슬로싱 저감부재를 포함하는 슬로싱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의 일단은 상기 펌프 타워의 파이프 또는 칼럼에 고정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타워는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와 연결되는 결합 칼럼을 포함하고,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의 일단은 상기 결합 칼럼에 고정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로싱 저감장치는,
    상기 화물창 코너부의 주방벽의 모서리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스터드 볼트에 각각 결합하는 방벽 결합부재와, 상기 방벽 결합부재에 결합하고 일단에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가 연결되는 슬로싱 저감부재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벽 결합부재와 상기 슬로싱 저감부재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결합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결합 홈에 대응하여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액화가스 화물창.
KR1020130088457A 2013-07-26 2013-07-26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KR101571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57A KR101571427B1 (ko) 2013-07-26 2013-07-26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8457A KR101571427B1 (ko) 2013-07-26 2013-07-26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664A true KR20150012664A (ko) 2015-02-04
KR101571427B1 KR101571427B1 (ko) 2015-11-24

Family

ID=5248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457A KR101571427B1 (ko) 2013-07-26 2013-07-26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4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185A (ko) * 2015-06-12 2016-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KR20180133861A (ko) * 2016-04-07 2018-12-17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단열 밀봉 탱크
KR20190057603A (ko) * 2017-11-20 2019-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WO2019239071A1 (fr) * 2018-06-15 2019-12-1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à ondulations continues dans le dôme liquide
KR20210070165A (ko) * 2019-12-04 2021-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20210247026A1 (en) * 2018-05-02 2021-08-12 Gaztransport Et Technigaz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provided with a loading/unloading t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970B1 (ko) 2016-12-29 2023-10-31 한화오션 주식회사 Lng탱크의 펌프타워 지붕용 결합 장치
KR102139372B1 (ko) * 2018-07-27 2020-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239825B1 (ko) * 2019-08-19 2021-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상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37B1 (ko) * 2009-12-16 2010-07-28 장용수 날개가 부착된 부표에 의해 lng화물창 내 슬로싱을 방지하는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6185A (ko) * 2015-06-12 2016-1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펌프타워
KR20180133861A (ko) * 2016-04-07 2018-12-17 가즈트랑스포르 에 떼끄니가즈 단열 밀봉 탱크
JP2019513635A (ja) * 2016-04-07 2019-05-30 ギャズトランスポルト エ テクニギャズ 断熱密閉タンク
KR20190057603A (ko) * 2017-11-20 2019-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슬로싱 저감 장치,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화물창 및 상기 슬로싱 저감 장치를 구비한 선박
US20210247026A1 (en) * 2018-05-02 2021-08-12 Gaztransport Et Technigaz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provided with a loading/unloading tower
JP2021524003A (ja) * 2018-05-02 2021-09-09 ギャズトランスポルト エ テクニギャズ 荷積み/荷降ろしタワーを備える密閉断熱タンク
US11619350B2 (en) * 2018-05-02 2023-04-04 Gaztransport Et Technigaz Sealed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provided with a loading/unloading tower
WO2019239071A1 (fr) * 2018-06-15 2019-12-19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é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à ondulations continues dans le dôme liquide
FR3082596A1 (fr) * 2018-06-15 2019-12-20 Gaztransport Et Technigaz Cuve etanche et thermiquement isolante a ondulations continues dans le dome liquide
CN112513516A (zh) * 2018-06-15 2021-03-16 气体运输技术公司 在液穹中具有连续波纹的密封且热绝缘容器
KR20210070165A (ko) * 2019-12-04 2021-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070162A (ko) * 2019-12-04 2021-06-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427B1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427B1 (ko)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액화가스 화물창
KR101408356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장치
US20170175952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10175183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장치
KR20110046627A (ko) 독립형 액화가스 탱크의 단열 패널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100133051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 배치구조 및 상기 펌프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 구조물
US20170144733A1 (en)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and insulating wall securing device for liquefied natural gas storage tank
KR20140045737A (ko) Lng 저장 탱크의 슬로싱 저감 장치
CN110715167B (zh) 储存罐结构物
KR101739463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20140004166U (ko)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 장치
KR10168650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KR102475415B1 (ko) 밀봉 및 단열 탱크
KR101686507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KR101310959B1 (ko) 화물창의 단열박스 고정구조물
KR101556262B1 (ko) 액화가스 화물창
KR20160004754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20110126575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펌프 배치구조 및 상기 펌프 배치구조를 갖는 해양 구조물
KR2016000475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1554896B1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1003524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패널 결합구조
KR102165068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150085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액화천연가스 저장 탱크의 단열벽 고정장치
KR102266246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의 단열 시스템
KR101310967B1 (ko) 펌프타워의 베이스 지지대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