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023A -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023A
KR20150012023A KR1020130087323A KR20130087323A KR20150012023A KR 20150012023 A KR20150012023 A KR 20150012023A KR 1020130087323 A KR1020130087323 A KR 1020130087323A KR 20130087323 A KR20130087323 A KR 20130087323A KR 20150012023 A KR20150012023 A KR 20150012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rver
project
contract
bi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인
박홍순
Original Assignee
(주)태비
주식회사 에스지피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비, 주식회사 에스지피홀딩스 filed Critical (주)태비
Priority to KR102013008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2023A/ko
Publication of KR20150012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발주처 서버(200)로 guest ID 및 PW를 부여하여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프로젝트 기초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와 대응하도록 생성한 예비 제안서를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프로젝트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포괄적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며,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예상 견적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수신한 예비 제안서 검토에 따라 프로젝트 승인정보 또는 프로젝트 부결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발주처 서버(200); 및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하는 입찰사 서버(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PROPOSE/ORDER/TENDERING PROJEC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젝트 관리서버가 발주처(공공기관, 관공서 또는 지자체)에서 발주한 사업의 입찰을 중개하고, 입찰에 의해 선정된 제조설치기관이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선부담하여 사업을 수행하되, 발주처가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분할하여 제조설치기관에 상환하는 일련의 프로젝트 발주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 운용되는 ERP를 이용한 프로젝트 발주는, 시스템에 대한 시방서를 기준으로 개발이 가능한 업체 혹은 팀/개인이 입찰을 하고, 발주사는 입찰자들을 검토하여 최종선정한 1개 입찰자에 정보시스템 구축의 최종발주를 승인하는 최저가 입찰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해당 프로젝트를 수주한 업체 혹은 팀/개인은 프로젝트에 투입할 인력을 다시 모집하여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때문에, 발주사는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을 모두 수주한 업체에 맡기게 되며, 전반적인 진행 사항은 업체의 주기적인 보고를 통해서만 확인 가능하다.
따라서, 발주사는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지 못하며, 수주사의 작업이 없다면 프로젝트 진행 각 단계별 산출물을 관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81367호(프로젝트 지식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정보시스템 발주 및 협업의 방법)에는, 1) 발주사가 프로젝트를 예산 수립 후 발주하고 컨설팅사가 프로젝트의 규모 및 일정수립, 필요인력 역할을 설정하고, 2) 입찰/수주사가 해당 프로젝트의 역할에 입찰하며, 3) 컨설팅사가 입찰지원한 업체를 필터링하고 발주사에 추천하고, 4) 발주사가 해당 인력을 승인하고 프로젝트 진행을 설정하며, 5) 각 수주사가 해당 역할에 맞는 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작업의 산출물을 업로드 하며, 작업보고서를 업로드하고, 6) 발주사가 프로젝트 실시간 진행현황을 파악하며, 7) 컨설팅사가 프로젝트 단계별 진행상황을 수집하여 보고서를 입력하고, 8) 발주사가 컨설팅사의 보고서를 확인하고 승인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 발주사가 관공서 또는 지자체인 경우, 매년 지급되는 예산에서 소정비율의 금액을 공사대금을 지출해야만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도별로 프로젝트를 반복해서 발주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연도별로 지급되는 예산의 규모에 따라 프로젝트 소요기간이 지연되거나,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무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트 관리서버가 발주처(공공기관, 관공서 또는 지자체)에서 발주한 사업의 입찰을 중개하고, 입찰에 의해 선정된 제조설치기관이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선부담하여 사업을 수행하되, 발주처가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분할하여 제조설치기관에 상환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예산유입은 가능하나, 단기예산이 부족한 발주처에서 발주하는 사업을 단시간에 완료하고, 발주 목적을 조기에 달성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발주처 서버(200)로 guest ID 및 PW를 부여하여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프로젝트 기초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와 대응하도록 생성한 예비 제안서를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프로젝트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포괄적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며,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예상 견적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수신한 예비 제안서 검토에 따라 프로젝트 승인정보 또는 프로젝트 부결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발주처 서버(200); 및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하는 입찰사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술한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은,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기 전송된 예비 제안서와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a) 단계; (a) 단계의 판단결과,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포괄적 MOU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는 (b) 단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는 (c) 단계; 입찰사 서버(300)가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하는 (d) 단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예상 견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부분별로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를 전송한 입찰사를 선정하는 (e) 단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입찰사 선정내역을 포함하는 입찰사 선정정보를 발주사 서버(200)로 전송하여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에 대한 검토/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f) 단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선정된 입찰사 서버(300)로 입찰사 선정완료정보를 전송하고,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와 발주사 서버(200)와의 프로젝트 수행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본 계약 체결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전송하는 (g) 단계;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제품공급 계약정보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공급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제품설치 계약정보를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설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는 (h) 단계;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사업비 대출계약 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대출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보증보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하자 보증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제품하자 보증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증권회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금융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금융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는 (i) 단계; 및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생산 발주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생산 개시정보를 수신하고,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설치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설치 개시정보를 수신하는 (j)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트 관리서버가 발주처(공공기관, 관공서 또는 지자체)에서 발주한 사업의 입찰을 중개하고, 입찰에 의해 선정된 제조설치기관이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선부담하여 사업을 수행하되, 발주처가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분할하여 제조설치기관에 상환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인 예산유입은 가능하나, 단기예산이 부족한 발주처에서 발주하는 사업을 단시간에 완료하고, 발주 목적을 조기에 달성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사업제안서 제출과 검토/승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양해각서(MOU) 체결과 프로젝트 현황파악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입찰사의 견적 제출과 최적의 예상 견적에 대한 검토/승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SPC 설립 및 본 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생산발주/설치개시와 대금회수/원리금 상환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유지보수관리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의 사업완료 및 유상 유지보수 관리계약 체결 프로세스를 도시한 구성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을 "LED 조명등 교체 및 유지보수 프로젝트"에 적용한 프로세스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9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100단계 이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10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10단계 이전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공공기관, 관공서 또는 지자체로 구성된 발주처 서버(200), 입찰사 서버(3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S)은, 1) 사업제안서 제출, 2) 사업제안서 검토/승인, 3) 양해각서(MOU) 체결, 4) 프로젝트 현황파악, 5) 입찰사의 견적 제출, 6) 최적의 예상 견적에 대한 검토/승인, 7) SPC 설립 및 본 계약 체결, 8) 생산발주 및 설치개시, 9) 대금회수 및 원리금 상환, 10) 유지보수관리 서비스 제공, 그리고, 11) 사업완료 및 유상 유지보수관리계약 체결의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1) 사업제안서 제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발주처 서버(200)에 guest ID 및 PW를 부여하여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프로젝트 기초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와 대응하도록 생성한 예비 제안서를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한다.
2) 사업제안서 검토/승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주처 서버(200)는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수신한 예비 제안서 검토에 따라 프로젝트 승인정보 또는 프로젝트 부결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3) 양해각서(MOU) 체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프로젝트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포괄적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포괄적 MOU 체결정보는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발주처 서버(200) 간의 프로젝트를 진행을 위한 전반적인 계약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4) 프로젝트 현황파악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한다.
예컨대, 프로젝트가 LED 가로등 교체 사업인 경우, 프로젝트 세부정보에는 발주처 서버(200)가 교체해야 하는 LED 가로등의 단가, 수량 및 규격과 교체에 따라 절감되는 전기료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5) 입찰사의 견적 제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찰사 서버(300)는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하고,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예상 견적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입찰사 서버(300)는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입찰한 프로젝트 대상물의 제조사, 프로젝트 대상물의 설치용역과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설치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발주사 서버(200)측에 사업비를 대출해주고 원리금을 상환받는 대주단(금융기관), 설치된 프로젝트 대상물의 하자를 보증하는 보증보험사, 세부/회계자문/업무수탁계약을 수행하는 회계법인 또는 프로젝트의 법률자문을 담당하는 법무법인 중에 어느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6) 최적의 예상 견적에 대한 검토/승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예상 견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조사, 설치사, 대주단, 보증보험사, 회계법인 또는 법무법인 각 부분별로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를 전송한 입찰사를 선정하고, 입찰사 선정내역을 포함하는 입찰사 선정정보를 발주사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에 대한 검토/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선정된 입찰사 서버(300)로 입찰사 선정완료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기준 데이터에는 최소단가, 최소설치기간 또는 최장유지보수 기간과 같은 정보들이 포함되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발주사 서버(200)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7) SPC 설립 및 본 계약 체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발주사 서버(200)의 검토/승인 이후, 발주사와 프로젝트를 전담으로 진행하기 위해 설립된 SPC(Special Purpose Company)의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와 발주사 서버(200)와의 프로젝트 수행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본 계약 체결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전송하여 본 계약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고,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프로젝트 주관계약 및 자산관리/업무수탁계약 내역을 포함하는 전담기관 체결정보를 전송하여 전담기관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는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의 전담기관 체결 이후, 제품공급 계약정보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공급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제품설치 계약정보를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설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는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사업비 대출계약 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대출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보증보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하자 보증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제품하자 보증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증권회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금융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금융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는 법무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법률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법률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회계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세부/회계 자문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세부/회계 자문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한다.
8) 생산발주 및 설치개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생산 발주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생산 개시정보를 수신하고,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설치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설치 개시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조사 및 설치사에 지급할 사업비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지급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사업비 지급완료정보 수신에 따라 대주단으로부터 입급된 사업비를 기 설정된 제조사 및 설치사의 계좌로 지급한다.
9) 대금회수 및 원리금 상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발주사의 발주대금 결제에 따라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회수된 재원을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원리금 상환정보를 전송하고, 원리금 상환정보 전송에 따라 기 설정된 대주단의 계좌로 원리금을 지급한다.
이때,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상기 포괄적 MOU 체결정보 포함된 성과배분 규정에 의거해, 기 설정된 프로젝트 실적 대비 성과가 발생한 경우, 발주사 서버(200)의 계좌로 성과에 따른 차익(성과금)을 환급한다.
10) 유지보수관리 서비스 제공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지보수 민원정보를 접수하는 경우, 접수된 민원정보를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민원정보와 대응하는 유지보수를 시행토록하고,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완료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11) 사업완료 및 유상 유지보수 관리계약 체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사업기간이 완료된 이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사 서버(200)와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유지보수 계약정보를 전송하고, 발주사 서버(200) 및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여 유지보수 관리계약을 체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기재된 본 발명의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S)은,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를 통해 발주사 서버(공공기관, 관공서 또는 지자체)(200)에서 발주한 사업의 입찰을 중개하고, 입찰에 의해 선정된 제조/설치기관의 입찰사 서버(300) 측이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선부담하여 사업을 수행하도록 하고, 발주사 서버(200) 측이 프로젝트 수행비용을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분할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를 통해 제조/설치기관의 입찰사 서버(300) 측으로 상환하는 구성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S)을 "LED 조명등 교체 및 유지보수 프로젝트"에 적용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예와 같은 흐름으로 프로젝트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프로세스 흐름도에 기재된 'Client', 'SGP홀딩스', 'Stakeholder' 및 'SPC'는 각각, 발주사 서버(200),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입찰사 서버(3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와 대응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기 전송된 예비 제안서와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제S10단계의 판단결과,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포괄적 MOU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한다(S20).
이어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는다(S30).
뒤이어, 입찰사 서버(300)가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한다(S40).
이어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예상 견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부분별로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를 전송한 입찰사를 선정한다(S50).
뒤이어,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입찰사 선정내역을 포함하는 입찰사 선정정보를 발주사 서버(200)로 전송하여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에 대한 검토/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한다(S60).
이어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선정된 입찰사 서버(300)로 입찰사 선정완료정보를 전송하고,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와 발주사 서버(200)와의 프로젝트 수행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본 계약 체결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전송한다(S70).
뒤이어,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제품공급 계약정보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공급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제품설치 계약정보를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설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한다(S80).
이어서,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사업비 대출계약 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대출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보증보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하자 보증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제품하자 보증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증권회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금융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금융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한다(S90).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생산 발주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생산 개시정보를 수신하고,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설치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설치 개시정보를 수신한다(S100).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90단계 이후 과정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90단계 이후,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법무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법률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법률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회계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세부/회계 자문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세부/회계 자문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제S10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110).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100단계 이후 과정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100단계 이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조사 및 설치사에 지급할 사업비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지급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사업비 지급완료정보 수신에 따라 대주단으로부터 입급된 사업비를 기 설정된 제조사 및 설치사의 계좌로 지급한다(S120).
이어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사의 발주대금 결제에 따라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재원을 회수하여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원리금 상환정보를 전송하고, 원리금 상환정보 전송에 따라 기 설정된 대주단의 계좌로 원리금을 지급한다(S130).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지보수 민원정보가 접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40).
제S140단계의 판단결과, 유지보수 민원정보가 접수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접수된 민원정보를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민원정보와 대응하는 유지보수를 시행토록하고,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완료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S150).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100단계 이후 또 다른 과정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100단계 이후,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사 서버(200)와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유지보수 계약정보를 전송하고, 발주사 서버(200) 및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여 유지보수 관리계약을 체결한다(S160).
그리고,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의 제S10단계 이전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10단계 이전에,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발주처 서버(200)에 guest ID 및 PW를 부여하여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프로젝트 기초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와 대응하도록 생성한 예비 제안서를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한다(S1).
그리고, 발주처 서버(200)가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수신한 예비 제안서 검토에 따라 프로젝트 승인정보 또는 프로젝트 부결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제S10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S2).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100: 프로젝트 관리서버 200: 발주사 서버
300: 입찰사 서버 400: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

Claims (16)

  1.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발주처 서버(200)로 guest ID 및 PW를 부여하여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프로젝트 기초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와 대응하도록 생성한 예비 제안서를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프로젝트 기초정보에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포괄적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며,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아 저장 및 관리하고,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예상 견적정보를 수신하는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상기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수신한 예비 제안서 검토에 따라 프로젝트 승인정보 또는 프로젝트 부결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하는 발주처 서버(200); 및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하는 입찰사 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찰사 서버(300)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입찰한 프로젝트 대상물의 제조사, 프로젝트 대상물의 설치용역과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설치사,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발주사 서버(200)측에 사업비를 대출해주고 원리금을 상환받는 대주단(금융기관), 설치된 프로젝트 대상물의 하자를 보증하는 보증보험사, 세부/회계자문/업무수탁계약을 수행하는 회계법인 또는 프로젝트의 법률자문을 담당하는 법무법인 중에 어느 하나의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상기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예상 견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조사, 설치사, 대주단, 보증보험사, 회계법인 또는 법무법인 각 부분별로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를 전송한 입찰사를 선정하고, 입찰사 선정내역을 포함하는 입찰사 선정정보를 발주사 서버(200)로 전송하고, 상기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에 대한 검토/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여 선정된 입찰사 서버(300)로 입찰사 선정완료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상기 발주사 서버(200)의 검토/승인 이후, 발주사와 프로젝트를 전담으로 진행하기 위해 설립된 SPC(Special Purpose Company)의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와 발주사 서버(200)와의 프로젝트 수행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본 계약 체결정보를 상기 발주사 서버(2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전송하여 본 계약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프로젝트 주관계약 및 자산관리/업무수탁계약 내역을 포함하는 전담기관 체결정보를 전송하여 전담기관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는,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의 전담기관 체결 이후, 제품공급 계약정보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공급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제품설치 계약정보를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설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는,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사업비 대출계약 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대출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보증보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하자 보증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제품하자 보증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증권회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금융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금융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는,
    법무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법률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법률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회계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세부/회계 자문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세부/회계 자문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생산 발주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생산 개시정보를 수신하고,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설치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설치 개시정보를 수신하되,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조사 및 설치사에 지급할 사업비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지급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사업비 지급완료정보 수신에 따라 대주단으로부터 입급된 사업비를 기 설정된 제조사 및 설치사의 계좌로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발주사의 발주대금 결제에 따라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회수된 재원을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원리금 상환정보를 전송하고, 원리금 상환정보 전송에 따라 기 설정된 대주단의 계좌로 원리금을 지급하되,
    상기 포괄적 MOU 체결정보 포함된 성과배분 규정에 의거해, 기 설정된 프로젝트 실적 대비 성과가 발생한 경우, 상기 발주사 서버(200)의 계좌로 성과에 따른 차익(성과금)을 환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지보수 민원정보를 접수하는 경우,
    접수된 민원정보를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민원정보와 대응하는 유지보수를 시행토록하고, 상기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완료정보를 상기 발주사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는,
    상기 발주사 서버(200)와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유지보수 계약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발주사 서버(200) 및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여 유지보수 관리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시스템.
  12.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에 있어서,
    (a)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기 전송된 예비 제안서와 대응하는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판단결과, 프로젝트 승인정보를 회신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포괄적 MOU 체결정보를 생성하여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고,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포괄적 MOU 체결완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추처 서버(200)로부터 확정된 프로젝트 세부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를 입력받는 단계;
    (d) 입찰사 서버(300)가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부터 프로젝트 세부정보를 수신하여 프로젝트 세부정보와 대응하는 예상 견적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e)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예상 견적정보에 포함된 데이터와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부분별로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를 전송한 입찰사를 선정하는 단계;
    (f)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입찰사 선정내역을 포함하는 입찰사 선정정보를 발주사 서버(200)로 전송하여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최적의 예상 견적정보에 대한 검토/승인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g)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선정된 입찰사 서버(300)로 입찰사 선정완료정보를 전송하고,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와 발주사 서버(200)와의 프로젝트 수행 및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본 계약 체결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로 전송하는 단계;
    (h)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제품공급 계약정보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공급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제품설치 계약정보를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제품설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i)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사업비 대출계약 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대출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보증보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하자 보증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제품하자 보증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증권회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금융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금융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j)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조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생산 발주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생산 개시정보를 수신하고,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품설치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제품설치 개시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 이후,
    (k)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법무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법률자문 계약정보를 전송하여 법률자문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고, 회계법인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세부/회계 자문계약정보를 전송하여 세부/회계 자문계약 완료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j)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j) 단계 이후,
    (l)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제조사 및 설치사에 지급할 사업비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사업비 지급완료정보를 수신하며, 사업비 지급완료정보 수신에 따라 대주단으로부터 입급된 사업비를 기 설정된 제조사 및 설치사의 계좌로 지급하는 단계;
    (m)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사의 발주대금 결제에 따라 발주사 서버(200)로부터 회수된 재원을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대주단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원리금 상환정보를 전송하고, 원리금 상환정보 전송에 따라 기 설정된 대주단의 계좌로 원리금을 지급하는 단계;
    (n)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유지보수 민원정보가 접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o) 상기 (n) 단계의 판단결과, 유지보수 민원정보가 접수되는 경우, 프로젝트 관리서버(100) 또는 프로젝트 전담기관 서버(400)가 접수된 민원정보를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전송하여 민원정보와 대응하는 유지보수를 시행토록하고,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완료정보를 발주사 서버(200) 및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j) 단계 이후,
    (p)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발주사 서버(200)와 제조사 또는 설치사에 구비된 입찰사 서버(300)로 유지보수 계약정보를 전송하고, 발주사 서버(200) 및 입찰사 서버(300)로부터 유지보수 계약완료정보를 수신하여 유지보수 관리계약을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q) 프로젝트 관리서버(100)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발주처 서버(200)에 guest ID 및 PW를 부여하여 발주처 서버(200)로부터 입력받은 프로젝트 기초정보(프로젝트 대상, 단가, 수량, 규격 및 유지비)와 대응하도록 생성한 예비 제안서를 발주처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계; 및
    (r) 발주처 서버(200)가 기 부여된 guest ID 및 PW를 통해 접속된 프로젝트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수신한 예비 제안서 검토에 따라 프로젝트 승인정보 또는 프로젝트 부결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젝트 관리서버(100)로 전송하고, 제S10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방법.
KR1020130087323A 2013-07-24 2013-07-24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12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323A KR20150012023A (ko) 2013-07-24 2013-07-24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323A KR20150012023A (ko) 2013-07-24 2013-07-24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023A true KR20150012023A (ko) 2015-02-03

Family

ID=5248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323A KR20150012023A (ko) 2013-07-24 2013-07-24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20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855A (ko) 2015-08-31 2017-03-09 (주)지산웨어 분할발주 및 원격지 개발 설계 진척관리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KR20170028463A (ko) 2015-08-31 2017-03-14 (주)지산웨어 분할발주 및 원격지 개발 지원을 위한 소프트웨어 공학 시스템
CN114066383A (zh) * 2021-08-31 2022-02-18 广州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互联网技术的投标管理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6855A (ko) 2015-08-31 2017-03-09 (주)지산웨어 분할발주 및 원격지 개발 설계 진척관리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KR20170028463A (ko) 2015-08-31 2017-03-14 (주)지산웨어 분할발주 및 원격지 개발 지원을 위한 소프트웨어 공학 시스템
CN114066383A (zh) * 2021-08-31 2022-02-18 广州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互联网技术的投标管理系统
CN114066383B (zh) * 2021-08-31 2023-07-18 广州电力工程监理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互联网技术的投标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4942B2 (en) Supply chain finance system
TW528969B (en) Electronic marketplace providing service parts inventory planning and management
US20020077867A1 (en) Automated claims fulfillment system
US20130103433A1 (en) Automated insurance system
US20150006393A1 (en) Accelerated payment system for construction projects
IL153275A (en) A method of co-financing commercial credit
KR102009140B1 (ko) 매출채권의 상환 방법
US20030125962A1 (en) System and process for measurement of delivery of products and services to customers
US2015003257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providing supplier related financing
KR20150012023A (ko) 프로젝트 제안/발주/입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6462167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14689A1 (en) Systems for Insuring Service Providers
KR20150111685A (ko) 대금 지급 관리 및 평가 시스템 및 방법
JP201917543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08024B1 (ko) 건설 공사를 위한 금융 지원 방법
WO2020174440A1 (en) Transaction data processing and document and data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730531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WO20192023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decision about a money transaction
AU2018100410A4 (en) Property Cryptocurrency Investment and Exchange Market
AU2013200349A1 (en) Tender and Project Management and Payment System
Oyegoke et al. Managing construction risks and uncertainties: A management procurement and contracts perspective
JP4068468B2 (ja) 債務を電子的に交換する方法
Oyegoke et al. 15 Managing construction risks and uncertainties
KR20140040481A (ko) Mro 공급자를 위한 대출판단 방법 및 그 시스템
Board price monitoring 2020–25 Part A: Ov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