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971A -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971A
KR20150011971A KR1020130087222A KR20130087222A KR20150011971A KR 20150011971 A KR20150011971 A KR 20150011971A KR 1020130087222 A KR1020130087222 A KR 1020130087222A KR 20130087222 A KR20130087222 A KR 20130087222A KR 20150011971 A KR20150011971 A KR 2015001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ipe
frame
temperature senso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445B1 (ko
Inventor
정명진
이장석
이상봉
임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45B1/ko
Priority to EP17186956.3A priority patent/EP3287724B1/en
Priority to EP20190893.6A priority patent/EP3757492B1/en
Priority to EP14177573.4A priority patent/EP2829829B1/en
Priority to ES17186956T priority patent/ES2831804T3/es
Priority to US14/337,691 priority patent/US9644887B2/en
Priority to CN201410356850.5A priority patent/CN104344679A/zh
Publication of KR2015001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2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6Temperatures of a condenser
    • F25B2700/21163Temperatures of a condense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4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inlet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5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refrigerant at the outlet of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0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에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튜브 및 상기 냉매 튜브가 삽입되는 열교환 핀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 튜브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배관과, 상기 온도 센서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An assembly of heat exchanger for 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일 구성품으로서 냉장고에 사용될 수 있다.
열교환기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배관 및 상기 냉매 배관에 결합되며 냉매와 외기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 핀이 포함된다.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냉매 배관에 결합됨으로써, 냉매와 공기간의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열교환기는 냉장고의 응축기 또는 증발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경우, 압축기에서 압축된 고압의 냉매가 냉매 배관을 유동하여 외기와 열교환(방열) 함으로써 응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응축기는 냉장고의 기계실에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경우, 저압의 냉매가 냉매 배관을 유동하여 외기와 열교환(흡열) 함으로써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증발기는 저온을 형성하는 냉각실, 즉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냉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는,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온도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되는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는, 종래에 온도 센서를 냉매 배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종래의 고정장치에는, 냉매 배관(1)과, 상기 냉매 배관(1)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온도 센서(2) 및 상기 냉매 배관(1)과 온도 센서(2)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온도 센서(2)를 상기 냉매 배관(1)에 고정하기 위한 홀더(3, holder)가 포함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온도 센서(2)가 냉매 배관(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온도 센서(2)가 상기 냉매 배관(1)을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냉매 배관(1)이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배관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온도 센서(2) 주변의 뜨겁거나 차가운 공기가 상기 온도 센서(2)에 작용하게 되어, 감지된 냉매 온도와 실제 냉매 온도간에 큰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매 배관의 냉매 온도값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에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튜브 및 상기 냉매 튜브가 삽입되는 열교환 핀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 튜브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배관과, 상기 온도 센서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배관 지지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배관리브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는, 상기 배관 지지장치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센서리브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배관과 온도 센서가 접촉되는 접촉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 지지장치에는, 상기 접촉 영역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는 배관 차폐부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는, 상기 접촉 영역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는 센서 차폐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배관 지지장치는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 지지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이 안착되는 제 1 설치홈을 가지는 배관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는, 상기 온도 센서가 안착되는 제 2 설치홈을 가지는 센서 지지부재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냉매 배관과 온도 센서가 직접 접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냉매 온도값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냉매 배관과 온도 센서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장치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고정장치의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온도 센서의 고정장치가 간단한 구조로 구비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그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냉매 배관에 센서 고정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과 온도 센서의 접촉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온도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열교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되는 본체(11)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이 포함되며, 상기 냉동실(12)과 냉장실(13)은 구획부(15)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에는, 상기 저장실의 적어도 일면, 즉 본체(11)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1a)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의 내부 외관은 상기 이너 케이스(11a)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0)에는, 상기 본체(11)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냉동실(12) 및 냉장실(13)을 각각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1) 및 냉장실 도어(22)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동실이 하부에 형성되고 냉장실이 상부에 형성되는 바텀 프리저 (Bottom freezer) 타입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냉장고의 구조 뿐만 아니라, 냉동실이 상부에 형성되고 냉장실이 하부에 형성되는 탑 마운트(Top mount) 타입 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에 구비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타입에도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냉동실(12)에는,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된 냉기가 상기 냉동실(12)로 토출되도록 하는 냉기 토출부(32)가 구비된다. 상기 냉기 토출부(32)는 상기 냉동실(12)의 후면부에 제공되며, 커버 플레이트(3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30)의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기(50)는 냉기를 발생하기 위한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교환기(50)가 증발기인 경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주요 사상은, 상기 열교환기(50)가 증발기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열교환기(50)가 응축기인 경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30)에는, 상기 냉동실(12)을 순환한 냉기가 상기 열교환기(50)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기 유입부(31)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유입부(31)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50)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기 토출부(32)를 통하여 상기 냉동실(12)로 토출되며, 상기 냉동실(12)에서 순환된 냉기는 상기 냉기 유입부(31)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기(50) 측으로 이동되어 다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50)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 배관(51) 및 상기 냉매 배관(51)이 삽입되며 상기 냉매와 주변 공기간에 열교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열교환 핀(53)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50)의 표면에 착상된 서리가 제거되도록 하는 발열부(56)가 제공된다. 일례로, 상기 발열부(56)에는 제상 히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56)는 상기 열교환기(50)에서의 열교환이 중단된 상태에서 작동되며, 상기 열교환기(50)에 열을 공급하여 서리를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상기 열교환기(50)의 제상 과정에서 발생된 제상수가 모이는 제상수 받이(54)가 제공된다.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에는, 상기 열교환기(50)로 유입되는 냉매(입구측 냉매) 또는 상기 열교환기(50)를 거치면서 열교환 된 냉매(출구측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150, 도 4 참조) 및 상기 온도 센서(150)를 가이드 배관(80)에 고정하기 위한 센서 고정장치(100, 이하에서는 간단히 "고정장치"라 함)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배관(80)은 상기 열교환기(50)로 냉매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입구배관 또는 상기 열교환기(50)로부터 냉매의 유출을 가이드 하는 출구배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배관 및 출구배관은 상기 냉매 배관(51)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고정장치(100)가 상기 입구배관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냉매 배관에 센서 고정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매 배관과 온도 센서의 접촉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50)의 어셈블리에는, 냉매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배관(80) 및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일측에 배치되는 온도 센서(15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의 어셈블리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 및 온도 센서(15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장치(100)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배관(80)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배관(80)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배관의 배치를 위한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00)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 또는 온도 센서(150)를 지지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외주면과 온도 센서(150)의 외주면을 접촉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리브(120) 및 상기 프레임(110)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13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프레임(110)에는, 복수의 프레임(111,113)이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프레임(111,113)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111) 및 제 2 프레임(113)이 포함된다.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이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이 위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은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형상에 대응하여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30)는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 중 라운드진 부분을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리브(130)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라운드진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13)의 라운드진 부분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111,113)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15)가 제공된다.
일 지지돌기(115)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13)을 향하여 연장되며, 타 지지돌기(115)는 상기 제 2 프레임(113)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레임(111)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돌기(115)가 상기 제 1,2 프레임(111)에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 배관(80)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배관(80)이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리브(120)는 상기 프레임(111,113)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배관(80) 및 온도 센서(150)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리브(12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배관(80)을 지지하는 배관리브(121) 및 상기 제 2 프레임(113)으로부터 상기 온도 센서(150)를 지지하는 센서리브(123)가 포함된다.
상기 배관리브(121)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다수 개의 배관리브(12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리브(123)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다수 개의 센서리브(12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관리브(121)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리브(123)는 상기 온도 센서(15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배관리브(121) 및 센서리브(123)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리브(121)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 1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센서리브(123)는 상기 온도 센서(150)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 2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곡률반경과 제 2 곡률반경은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관리브(121)와 센서리브(123)는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배관리브(121)의 단부는 상기 센서리브(123)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돌기(115)와 배관리브(121)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돌기(115)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배관리브(121)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타측을 지지하며, 상기 일측 및 타측은 서로 반대측에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배관(80)은 상기 제 1 프레임(111), 배관리브(121) 및 지지돌기(115)에 의하여 지지 또는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제 2 프레임(113), 센서리브(123) 및 가이드 배관(80)에 의하여 지지 또는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도 센서(150)와 가이드 배관(80)는 서로 면접촉 또는 선접촉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을 유동하는 냉매의 온도값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상기 센서 리브(123) 및 제 2 프레임(113)이 이루는 공간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 센서(150)는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센서 리브(123)의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센서 리브(123)에 의하여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150)를 상기 제 2 프레임(113) 또는 센서 리브(123)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으며, 상기 온도 센서(150)가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센서 리브(123)의 사이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일측에 자연스럽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리브(120)에는, 상기 배관리브(121) 및 센서리브(123)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가이드 배관(80)을 지지하는 가이드 리브(1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25)는 상기 제 1 프레임(111)으로부터 제 2 프레임(113)으로 연장되며,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내지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일부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3), 지지돌기(115), 배관리브(121) 및 센서리브(123)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직선형의 가이드 배관(8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직선형의 가이드 배관(80)의 일측에 온도 센서(150)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리브(121)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센서리브(123)는 상기 온도 센서(1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는,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16)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116)은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으로부터 절곡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116)에는, 걸림부(117)가 제공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소정의 구조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부(117)는 걸림판(미도시)에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림판은 상기 냉장고 본체(11)의 이너 케이스(11a)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의 접촉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3), 지지돌기(115) 및 보강리브(130)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배관 차폐부(221) 및 상기 배관 차폐부(22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온도 센서(1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센서 차폐부(223)가 포함된다. 도 7에는, 상기 센서 차폐부(223)의 내측에 온도 센서(150)가 배치된 모습이 도시된다.
상기 배관 차폐부(221) 및 센서 차폐부(223)는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가 접촉되는 영역(이하, 접촉영역)의 외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50) 주변의 유동 공기가 상기 접촉영역에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관 차폐부(221) 및 센서 차폐부(223)는 상기 열교환기(50) 주변의 공기가 상기 접촉영역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배관 차폐부(221) 및 센서 차폐부(223)의 외면은 상기 가이드 배관(80) 및 온도 센서(150)를 둘러싸도록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1 프레임(111), 제 2 프레임(113) 및 지지돌기(11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에는,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배관 차폐부(221) 및 센서 차폐부(223)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는 직선형의 가이드 배관(8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직선형의 가이드 배관(80)의 일측에 온도 센서(150)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관 차폐부(221) 및 센서 차폐부(223)는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가 접촉되는 영역(이하, 접촉영역)의 외부를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배관 차폐부(221)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열교환기(50) 주변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의 영역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리브(123)는 상기 온도 센서(1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 주변의 공기가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의 영역으로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제 1,2 프레임(111,113)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상기 열교환기(50)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브라켓(116) 및 걸림부(117)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116) 및 걸림부(117)에 관한 설명은, 제 2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센서 고정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과 온도 센서(150)가 접촉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부재(320,330)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320,330)에는, 가이드 배관(8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배관 지지부재(320) 및 온도 센서(15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센서 지지부재(330)가 포함된다.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는 상기 센서 지지부재(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325)이 포함된다.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는 상기 힌지축(325)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에는,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가 상기 센서 지지부재(33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간섭방지 홈(322)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 홈(322)은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제 1 설치홈(3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지지부재(330)에는, 상기 온도 센서(150)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제 2 설치홈(334)이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와 센서 지지부재(330)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 배관(80) 및 온도 센서(150)는 상기 제 1 설치홈(324) 및 제 2 설치홈(334)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와 센서 지지부재(330)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도 9 참조),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와 센서 지지부재(330)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구조가 포함된다. 상기 걸림구조에는,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에 제공되는 후크(327) 및 상기 센서 지지부재(330)에 제공되는 후크 결합부(337)가 포함된다.
반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327)는 상기 후크 결합부(337)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배관 지지부재(320)와 센서 지지부재(330)는 상기 가이드 배관(80) 및 온도 센서(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지지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각 지지부재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가이드 배관 및 온도 센서가 안착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가이드 배관과 온도 센서가 접촉 가능한 상태로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에서 설명한 배관리브(121), 배관 차폐부(221) 및 배관 지지부재(320)를 "배관 지지장치"라 이름하고, 센서리브(123), 센서 차폐부(223) 및 센서 지지부재(330)를 "센서 지지장치"라 이름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냉장고 50 : 열교환기
80 : 가이드 배관 100 : 센서 고정장치
110 : 프레임 111 : 제 1 프레임
113 : 제 2 프레임 116 : 지지 브라켓
117 : 걸림부 120 : 고정리브
121 : 배관리브 123 : 센서리브
125 : 가이드 리브 130 : 보강리브
150 : 온도 센서 221 : 배관 차폐부
223 : 센서 차폐부 320 : 배관 지지부재
324 : 제 1 설치홈 330 : 센서 지지부재
334 : 제 2 설치홈

Claims (13)

  1.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 튜브 및 상기 냉매 튜브가 삽입되는 열교환 핀이 구비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어,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냉매 튜브의 입구 또는 출구측에 제공되는 가이드 배관과, 상기 온도 센서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을 지지하는 배관 지지장치; 및
    상기 온도 센서를 지지하는 센서 지지장치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배관리브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는, 상기 배관 지지장치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온도 센서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센서리브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리브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다수 개의 배관리브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센서리브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다수 개의 센서리브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리브와 센서리브는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배관과 온도 센서가 접촉되는 접촉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 지지장치에는, 상기 접촉 영역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는 배관 차폐부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는, 상기 접촉 영역을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는 센서 차폐부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장치는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장치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이 안착되는 제 1 설치홈을 가지는 배관 지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센서 지지장치에는, 상기 온도 센서가 안착되는 제 2 설치홈을 가지는 센서 지지부재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부재에는, 후크가 제공되고,
    상기 센서 지지부재에는, 상기 후크에 결합되는 후크 결합부가 제공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포함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 배관이 위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 중 라운드진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브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제 1 프레임 또는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장치를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고정하는 지지 브라켓; 및
    상기 지지 브라켓에 제공되며, 상기 냉장고 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걸림부가 포함되는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KR1020130087222A 2013-07-24 2013-07-24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KR10213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222A KR102130445B1 (ko) 2013-07-24 2013-07-24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EP17186956.3A EP3287724B1 (en) 2013-07-24 2014-07-18 Refrigerator
EP20190893.6A EP3757492B1 (en) 2013-07-24 2014-07-18 Refrigerator
EP14177573.4A EP2829829B1 (en) 2013-07-24 2014-07-18 Refrigerator
ES17186956T ES2831804T3 (es) 2013-07-24 2014-07-18 Refrigerador
US14/337,691 US9644887B2 (en) 2013-07-24 2014-07-22 Heat exchanger assembly,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CN201410356850.5A CN104344679A (zh) 2013-07-24 2014-07-24 冰箱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222A KR102130445B1 (ko) 2013-07-24 2013-07-24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971A true KR20150011971A (ko) 2015-02-03
KR102130445B1 KR102130445B1 (ko) 2020-07-07

Family

ID=52488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222A KR102130445B1 (ko) 2013-07-24 2013-07-24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372A (ko) * 2021-01-06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1659U (ko) * 1975-06-17 1976-12-23
JPS6219577U (ko) * 1985-07-19 1987-02-05
JP3648909B2 (ja) * 1996-09-30 2005-05-1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却ユニットの温度センサ取付け装置
JP2010196923A (ja) * 2009-02-23 2010-09-09 Hoshizaki Electric Co Ltd 温度センサの取付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61659U (ko) * 1975-06-17 1976-12-23
JPS6219577U (ko) * 1985-07-19 1987-02-05
JP3648909B2 (ja) * 1996-09-30 2005-05-18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却ユニットの温度センサ取付け装置
JP2010196923A (ja) * 2009-02-23 2010-09-09 Hoshizaki Electric Co Ltd 温度センサの取付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372A (ko) * 2021-01-06 2022-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445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865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9644887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EP3182041B1 (en) Refrigerator
US8033130B2 (en) Refrigerator
CN210141737U (zh) 一种用于移动冰箱的制冷模块及移动冰箱
KR20110064738A (ko) 냉장고
KR2008007910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증발기 장착구조
KR20170084916A (ko) 냉장고
US8899070B2 (en) Refrigeration device with a holder for a section of a refrigerant line
US20230314067A1 (en) Refrigerator
KR20150011971A (ko)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CN215112916U (zh) 空调室内机
KR20120135768A (ko) 연통부가 구비되는 기계실을 포함하는 냉장고
US11156397B2 (en) Refrigerator
JP6371038B2 (ja) 冷蔵庫
KR101265638B1 (ko) 덕트 일체형 증발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5257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9855365A (zh) 用于制冷设备的防凝露结构和具有其的制冷设备
KR102512383B1 (ko) 냉장고
WO2008120892A2 (en) Evaporator with defrosting heater
WO2023125406A1 (zh) 冰箱
EP4194778A1 (en) Refrigerator
KR20100066865A (ko) 모터 장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 어셈블리
KR20240018992A (ko) 냉장고
KR20060062056A (ko) 냉장고 방열파이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