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772A - 빠른 연결 파워 커넥터 분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빠른 연결 파워 커넥터 분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772A
KR20150011772A KR1020140091874A KR20140091874A KR20150011772A KR 20150011772 A KR20150011772 A KR 20150011772A KR 1020140091874 A KR1020140091874 A KR 1020140091874A KR 20140091874 A KR20140091874 A KR 20140091874A KR 20150011772 A KR20150011772 A KR 20150011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ost
keying
keying memb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루이스 맥키번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11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2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e.g. quick release termi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포스트를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시스템, 키잉 부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은, 단자 포스트, 커넥터, 및 키잉 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는, 단자 포스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포스트 수용 통로를 갖는 하우징 몸체를 구비한다. 하우징 몸체는, 포스트 수용 통로의 제1 단부의 근방에 설치된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을 가진다. 키잉 부재는 단자 포스트 상에 위치하여 유지된다. 키잉 부재는, 커넥터가 단자 포스트에 적절히 삽입되면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키잉 부재는 커넥터가 각 포스트에 부적절하게 정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빠른 연결 파워 커넥터 분리 시스템{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ISOLATING SYSTEM}
본 발명은, 정합 포스트에 대하여 빠르고, 간단하면서, 신뢰성 있게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극성, 전류의 세기, 전압 등의 서로 다른 전기적 성질들을 갖는 포스트에 각 전기 커넥터가 정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 또는 키잉 부재(keying member)에 관한 것이다.
파워를 요구한 군사용, 항공용, 차량용, 및 기타 용도를 위한 전기 커넥터들은, 각자 겪게 되는 고 진동 등의 환경 조건들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커넥터들은 또한 매우 넓은 범위의 온도 변동에 걸쳐 고 품질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해야 한다.
다양한 응용 분야들에서, 커넥터들과 포스트들은 필요한 접지 연결 및/또는 파워를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과 포스트들은, 시스템의 요건들에 따라, 서로 다른 전류 세기 및/또는 서로 다른 전압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들은 또한 매우 높은 암페어를 수용해야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를 포스트에 설치하는 경우에, 정합 포스트와 일관성 있는 전기적 성질들, 예를 들어, 극성, 전류 세기, 전압을 갖는 커넥터들만을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치해야 한다. 각 전기 커넥터를 포스트와 부적절하게 정합하게 되면, 시스템 고장을 야기할 수 있고, 그 결과 위험하고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들을 포스트들에 빠르고 간단하면서 신뢰성 있게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그리고 환경 조건들에 상관없이 커넥터들과 포스트들 간의 안전하고 유효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는 분리 또는 키잉 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해결책은, 단자 포스트, 커넥터, 및 키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커넥터는, 단자 포스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포스트 수용 통로를 갖는 하우징 몸체를 구비한다. 하우징 몸체는, 포스트 수용 통로의 제1 단부 근방에 설치된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keying member receiving recesses)을 가진다. 키잉 부재는 단자 포스트 상에 위치하여 유지된다. 키잉 부재는, 커넥터가 단자 포스트에 적절히 삽입되면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키잉 부재는, 커넥터가 각 포스트에 부적절하게 정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를 들어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에 따르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정합 포스트에 장착되기 전의 2개의 빠른 연결형 파워 커넥터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정합 포스트에 완전히 정합된 커넥터들의 사시도.
도 3은, 정합 포스트 상에 위치하는 도 1의 커넥터들의 사시도로서, 개방 위치에 있는 커넥터들의 잠금 슬라이드를 도시하며, 커넥터들 중 하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잠금 슬라이드의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도.
도 4는, 도 3의 커넥터들과 유사한 커넥터들의 사시도로서, 개방 위치와 잠금 위치 사이의 천이 위치에 있는 커넥터들의 잠금 슬라이드를 도시하며, 커넥터들 중 하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잠금 슬라이드의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도.
도 5는, 도 3의 커넥터들과 유사한 커넥터들의 사시도로서, 완전 잠금 위치에 있는 커넥터들의 잠금 슬라이드를 도시하며, 커넥터들 중 하나에서는 이해가 쉽도록 잠금 슬라이드의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도.
도 6은 정합 포스트와 정렬된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정합 포스트가 잠금 슬라이드와 체결하기 전의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
도 7은 도 3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개방 위치에 있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
도 8은 도 4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천이 위치에 있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
도 9는 도 5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있는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
도 10은 잠금 슬라이드가 제거되어 있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상면도.
도 11은 커넥터의 하우징 상에 위치되기 전의 잠금 슬라이드의 하면도.
도 12는 잠금 슬라이드 내에 수용되는 잠금 클립의 사시도.
도 13은, 커넥터 몸체의 트랙과 잠금 슬라이드의 잠금 래치를 더욱 양호하게 도시하도록 잠금 슬라이드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는 커넥터의 사시도.
도 14는 3개의 커넥터와 3개의 포스트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제1 포스트는 연관된 키잉 부재를 갖지 않고, 제2 포스트는 제2 포스트로부터 분해된 키잉 부재의 제1 실시예를 갖고, 제3 포스트는 제3 포스트로부터 분해된 키잉 부재의 제2 실시예를 갖는 도.
도 15는 완전 정합 위치에 있는 도 14의 커넥터, 포스트, 및 키잉 부재의 단면도.
상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커넥터와 정합 포스트가 호환성 있는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경우에만 전기 커넥터와 정합 포스트 간의 빠르고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연결을 허용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커넥터와 정합 포스트가 호환성 있는 전기적 특성들을 갖지 않으면 전기 커넥터와 정합 포스트 간의 연결을 금지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 전류 세기의 전기 커넥터에 효과적인,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절히 정합되는 커넥터가 포스트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긍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 및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긍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 및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위치 보장 부재를 이용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이 고정되었음을 확인하도록 빠르고 비용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하는 가시적 표시(visual indication)를 이용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하는 데 툴링(tooling)이 필요 없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가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포스트에 삽입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배향에 상관없이 커넥터가 포스트에 종단될 수 있게 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동이나 기타 환경 조건들에 상관없이 전기적 연결이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커넥터 시스템, 방법, 및 키잉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는, 단자 포스트, 커넥터, 및 키잉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단자 포스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포스트 수용 통로를 갖는 하우징 몸체를 구비한다. 하우징 몸체는, 포스트 수용 통로의 제1 단부의 근방에 설치된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을 가진다. 키잉 부재는 단자 포스트 상에 위치하여 유지된다. 키잉 부재는, 커넥터가 단자 포스트에 적절히 삽입되면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키잉 부재는, 각 포스트에 커넥터가 부적절하게 정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예는, 또한, 단자 포스트 상에서 사용하기 위한 키잉 부재에 관한 것이다. 키잉 부재는, 포스트에 대하여 키잉 부재를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단자 포스트의 위치결정 숄더(positioning shoulder)와 협동하는 위치결정 부재를 포함한다. 키잉 돌출부(keying projection)는 위치결정 부재로부터 연장된다. 키잉 돌출부는, 단자 포스트에 정합되는 커넥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협동하고, 키잉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소망하는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커넥터만이 유사한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포스트에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여, 적절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전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일 실시예는, 또한, 포스트 상에 커넥터를 위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키잉 부재를 포스트에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 상에서 키잉 부재를 유지하는 단계; 커넥터를 포스트에 삽입하는 단계; 키잉 부재를 커넥터와 체결하는 단계; 및 키잉 부재가 커넥터의 키잉 수용 오목부와 적절히 정합되면 커넥터를 포스트 상에 적절히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키잉 부재는, 소망하는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커넥터만이 유사한 전기적 특성들을 갖는 포스트에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여 적절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전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은, 전체 설명의 일부로 간주되는 첨부 도면과 함께 읽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이나 배향에 대한 참조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하측", "상측", "수평", "수직", "위", "아래", "상부", "하부" 및 이들의 파생어들(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로", "위로" 등) 등의 상대적인 용어들은 설명하고 있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또는 설명한 바와 같은 배향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대적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만을 위한 것이며, 명시적으로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특정한 배향으로 장치를 구성 또는 작동시킬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부착", "고착", "연결", "결합", "상호 연결", 및 유사 용어 등의 용어들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구조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섭 구조를 개재하여 간접적으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관계, 및 이동가능하거나 고정된 부착물 또는 관계를 가리킨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예시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독으로 또는 특징들의 다른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일부 가능하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특징들의 조합을 예시하는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아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도 1은 수 포스트(male post) 또는 정합 핀(100)에 삽입되기 전의 2개의 전기 커넥터 또는 플러그(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포스트들(10)에 완전하게 정합된 커넥터들(10)을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10)와 포스트(100)는 예시를 위해 표현된 것이다. 전기 커넥터(10)와 포스트(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가변될 수 있다. 2개의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임의의 개수의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다. 커넥터들(10)은 소망하는 응용 분야에 따라 파워 또는 접지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들(10)은 서로 다른 전압 및/또는 암페어 요건들을 갖는 응용 분야들에서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해 보면, 각 전기 커넥터(10)는, 각 포스트(100)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포스트 수용 통로(14)를 갖는 하우징 몸체(12)를 구비한다. 전기 커넥터(10)는, 포스트(100)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0)를 갖는, 제1 단부 또는 상단부(16) 및 반대측의 제2 단부 또는 하단부(18)를 구비한다. 개구(20)는 포스트 수용 통로(14)로 연장된다. 도전체 또는 와이어 수용 측벽(22)은 제1 단부(16)와 포스트 수용 단부(18)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전체 또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는, 측벽(22)으로부터 연장되며 크림핑(crimping) 또는 다른 알려져 있는 종단 방법에 의해 측벽에서 종단되는 도전성 와이어 수용 부재(24) 내로 삽입된다. 절연체 수용 오목부(26)는 도전성 와이어 수용 부재(24)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절연체 수용 오목부(26)는, 부트(boot) 등의 절연체가 도전성 와이어 수용 부재(26) 위로 설치될 수 있게 하며, 이에 따라, 도전성 와이어 수용 부재(24)를 다른 부품들과 조작자로부터 절연시킬 수 있지만, 이러한 절연체의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컨택트(28)는 포스트 수용 통로(14) 내에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컨택트(28)는 통로(14)의 원주 주위로 연장되는 밴드이다. 밴드는 (도 6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14) 내로 연장되는 탄성 컨택트 아암들(30)을 가진다. 포스트(100)가 통로(14) 내에 삽입되면, 컨택트 아암들(30)은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포스트(1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컨택트(28)는, 포스트(100)에 대한 컨택트(28)의 배향에 상관없이 컨택트(28)가 포스트(100)와 전기적으로 결합/접촉하면서 배치되도록, 통로(14) 내에 위치한다. 이는, 와이어 수용 부재(24)가 포스트(100)의 원주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배향될 수 있게 한다. 컨택트(28)와 컨택트(28)를 포스트(100)에 연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와이어 수용 통로(26) 내에 설치되는 와이어와 도전체는, 알려져 있는 종단 방법을 이용하여 컨택트(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택트(28)가 밴드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유형의 컨택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단자 포스트 수용 개구(32)는 커넥터(10)의 몸체(12)의 제1 단부 또는 상단부(16)를 통해 연장된다. 단자 포스트 수용 개구(32)는 포스트 수용 통로(14)와 정렬되어 위치한다. 단자 포스트 수용 개구(32)는 포스트(100)의 자유 단부 또는 상단부(102)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치수를 가진다.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부들 또는 트랙들(34)은 단부(1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부(16)로부터 연장된다. 트랙들(34)은 개구(32)의 양측에 설치되며,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커넥터(10)의 전체 폭만큼 연장된다. 각 트랙(34)은 (도 3 내지 도 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36) 및 반대측의 하면(38)을 가진다. 각 트랙(34)은, 본질적으로 측벽(22)의 반대측인 커넥터(10)의 측벽(4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정지면 또는 돌출부(40)를 포함한다. 슬롯(44)은 각 트랙(34) 내에 설치되고, 측벽(22)과 측벽(42) 사이의 위치에서 정지면(40)으로부터 이격된다.
제1 기준 부재 또는 가시적 표시기(46)는 커넥터(10)의 상단부(16) 상에 설치된다. 제1 가시적 표시기(46)는 측벽(42)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1 가시적 표시기(46)는 적색 박스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유형의 표시기(예를 들어, 텍스처링된 또는 상승된 영역) 및 다른 색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기준 부재 또는 가시적 표시기(48)는 커넥터(10)의 상단부(16) 상에 설치된다. 제2 가시적 표시기(48)는 측벽(22)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 가시적 표시기(48)는 녹색 박스이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유형의 표시기(예를 들어, 텍스처링된 또는 상승된 영역) 및 다른 색을 사용할 수 있다.
잠금 슬라이드(50)는 커넥터 몸체(12)의 단부(1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잠금 슬라이드(50)는, 포스트(100)의 상단부(102)를 내부에 수용하는 개구(52)를 가진다. 개구(52)는,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슬라이드(50)가 포스트(100)의 상단부(10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포스트(100)의 상단부(102)보다 큰 치수를 가진다.
(도 11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은) 트랙 수용 오목부들(54)은 상면(58)을 향하여 잠금 슬라이드(50)의 하면(56)으로부터 연장된다. 트랙 수용 오목부들(54)은, 개구(52)의 양측 상에 설치되고, 도시한 실시예에서, 본질적으로 잠금 슬라이드(50)의 전체 폭만큼 연장된다. 각 트랙 수용 오목부(54)는, 도 3 내지 도 5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34)의 하면(38)과 협동하기 위한 치수를 갖는 돌출부(60)를 가진다. 각 오목부(54)는, 내부로 연장되는 유지 돌출부(62)를 포함한다. 돌출부들(62)은 측벽(22)과 측벽(42) 사이의 위치에서 오목부들 내에 설치된다.
파지면(gripping surface; 64)은 상면(50) 상에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파지면(64)은 일련의 돌출부들과 오목부들로 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조작자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간에 잠금 슬라이드(50)를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유형의 표면을 이용할 수 있다.
잠금 래치(66)는 잠금 슬라이드(50) 내에 수용된다. 잠금 슬라이드는 잠금 래치 위로 과성형(overmold)될 수 있다. 대안으로, 잠금 래치(66)는 알려져 있는 고정 기술들에 의해 잠금 슬라이드(50) 내에 유지될 수도 있다. 잠금 래치(66)는 잠금 슬라이드(50) 내에 단단히 유지되고, 이에 의해 잠금 래치(66)가 잠금 슬라이드(50)와 함께 이동한다. 도 12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래치(66)는 잠금 섹션(70)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탄성 래칭 아암(68)을 가진다. 잠금 섹션(70)은, 충분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스트(100)와 함께 협동하는 반경 잠금면(72)을 가진다.
탄성 래칭 아암들(68)은, 탄성 래칭 아암들(68)이 잠금 슬라이드(50)의 상면(58)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잠금 섹션(70)으로부터 연장되며 잠금 슬라이드(50) 내에 장착된다. 탄성 래칭 아암들(68)은, 포스트(100)의 상단부(102)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된다. 탄성 래칭 아암들(68)의 자유 근단부들(74)은 반경 섹션들(76)을 가진다. 반경 섹션들(76)은, 트랙들(34)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반경 섹션들(76)이 트랙들(34)의 부분들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반경 섹션들(76)의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기 커넥터(100)가 정합 포스트(100)와 정합되면, 포스트(100)는, 도 6 내지 도 9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10)의 포스트 수용 통로(14) 내에 수용된다.
도 6은, 전기 커넥터(10)가 포스트(100)와 정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동 도는 잠금 슬라이드(50)와 체결하기 전에 포스트 수용 통로(14) 내에 위치하는 포스트(100)를 도시한다. 잠금 슬라이드(50)는 개방 또는 기잠금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 잠금 래치(66)는 정상 위치 또는 미편향 위치에 있다. 이 위치에서, 잠금 슬라이드(50)는 측벽(22)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잠금 슬라이드(50)가 측벽(22)에 근접하여 위치함에 따라, 잠금 슬라이드(50)는 제2 가시적 표시기(48)를 커버하며, 제1 가시적 표시기(46)를 노출한다. 이는, 잠금 슬라이드(50)가 개방 위치 또는 기잠금 위치에 있다는 가시적 표시를 조작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개방 위치 또는 기잠금 위치에서, 트랙 수용 오목부들(54)의 돌출부들(62)은 트랙들(34)의 슬롯들(44) 내에 위치한다. 돌출부(62)와 슬롯(44)의 협동에 의해, 잠금 슬라이드(50)가 개방 위치 또는 기잠금 위치에서 고정되고, 이에 따라,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위치 또는 잠금 위치로 우연히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포스트(100)가 포스트 수용 통로(14) 내에 계속 삽입됨에 따라, 도 7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포스트(100)의 상단부(102)가 개구(32)를 통해 이동하며 래칭 아암들(68) 간에 이동한다. 이 경우, 포스트(100)의 상면(102)은 잠금 슬라이드(50)의 상벽(58)과 체결한다. 상면(102)과 상벽(58)이 체결함으로써, 잠금 슬라이드(50)가 몸체(12)의 상단부(16)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잠금 슬라이드(50)의 트랙 수용 오목부들(54)의 돌출부들(60)과 커넥터(10)의 몸체(12)의 트랙들(34)의 하면들(38) 간의 체결 협동에 의해 제어되고 제한된다. 트랙들(34)에 대한 잠금 슬라이드(50)의 이러한 제한된 이동에 의해, 오목부들(54)의 돌출부들(62)이 트랙들(34)의 슬롯들(44)로부터 이동할 수 있다.
돌출부들(62)이 슬롯들(44)로부터 이동함에 따라, 잠금 슬라이드(50)는, 기잠금 또는 개방 위치(도 3과 도 7)로부터 천이 위치(도 4와 도 8)로 이동할 수 있고 이어서 폐쇄 또는 잠금 위치(도 5와 도 9)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10)가 포스트(100)와 적절히 정합되지 않으면, 잠금 슬라이드(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쇄 또는 잠금 위치로 이동하지 못한다.
잠금 슬라이드(50)가 도 7의 기잠금 또는 개방 위치로부터 도 8의 천이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잠금 래치(66)의 잠금 섹션(70)의 잠금면(72)이 포스트(10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잠금 슬라이드(50)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잠금면(72)이 포스트(100)의 잠금면 수용 오목부(104) 내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오목부(104)는 단부(102)에 근접한 포스트(100)의 면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오목부(104)가 포스트(100)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됨에 따라, 포스트(100)에 대한 커넥터(10)의 배향에 상관없이 잠금면(72)이 포스트(100)의 오목부(104)와 체결할 수 있다. 이는, 와이어 수용 부재(24)가 포스트(100)의 원주 주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배향될 수 있게 한다. 포스트(100)가 커넥터(10) 내로 적절히 삽입되면, 잠금면(72)이 오목부(104) 내로 이동하고,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래치(66)와 잠금 슬라이드(50)가 완전 잠금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포스트(100)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잠금면(72)은 오목부(104)와 정렬되지 않는다. 또한, 포스트(100)의 상단부(102)는 탄성 래칭 아암들(66)이 잠금 슬라이드(50)의 상면(58)을 향하여 이동하게 하지 않는다. 이 위치에서, 래칭 아암들(66)의 자유 단부들(74)은 트랙들(34)의 정지면 또는 벽(82)과 당접하거나 체결한다. 그 결과, 래칭 아암들(66)의 자유 단부들(74)이 벽들(82)과 체결하여 잠금 위치를 향한 잠금 래치(66)와 잠금 슬라이드(50)의 연속 이동을 방지하므로,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있을 수 없다. 이는 커넥터(10)가 포스트(100)에 부적절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포스트(100)가 적절히 삽입되면, 포스트(100)의 상단부(102)가 탄성 래칭 아암들(66)과 체결한다. 이는, 탄성 래칭 아암들(66)과 자유 단부들(74)이 잠금 슬라이드(50)의 상면(58)을 향하여 이동하게 하여, 자유 단부들(74)이 벽들(82) 위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도 9)를 향하여 계속 이동하게 할 수 있어서, 잠금면(72)이 오목부(104)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삽입이 계속됨에 따라, 탄성 래칭 아암들(68)은 경사면들(78)을 벗어나 오목부들(80) 내로 이동하며, 이는 탄성 래칭 아암들(68)이 미응력 위치를 향하여 복귀할 수 있게 한다. 반경 섹션들(76)이 트랙들(34)의 정지 돌출부들(40)과 체결하여 잠금 슬라이드(50)의 불필요한 추가 이동을 방지하므로, 측벽(42)을 향한 잠금 슬라이드(50)의 추가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오목부들(80) 내에 반경 섹션들(76)이 위치함으로써, 잠금 슬라이드(50)와 잠금 래치(66)가 다시 개방 위치를 향하는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잠금 슬라이드(50)와 잠금 래치(66)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서 유지되므로, 진동 등의 환경 조건들로 인해 커넥터(10)가 포스트(100)로부터 우연하게 또는 불필요하게 전기적으로 결합 해제되지 않으며, 이러한 환경 조건의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긍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잠금 슬라이드(50)가 개방 위치에 있으면, 잠금 슬라이드(50)가 측벽(22)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제2 가시적 표시기(48)는 커버되고 제1 가시적 표시기(46)가 노출되어, 잠금 슬라이드(50)가 개방 또는 기잠금 위치에 있다는 가시적 표시를 조작자에게 제공한다.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있으면, 잠금 슬라이드(50)가 측벽(42)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는, 제2 가시적 표시기(48)는 노출되고 제1 가시적 표시기(46)가 커버되어,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있다는 가시적 표시를 조작자에게 제공한다. 잠금 슬라이드(50)가 천이 위치에 있으면, 잠금 슬라이드(50)는 측벽(42)과 측벽(22) 사이에 위치한다. 이 위치에서는, 제2 가시적 표시기(48)와 제1 가시적 표시기(46) 모두가 전혀 노출되지 않아,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적절히 위치하고 있지 않다는 가시적 표시를 조작자에게 제공한다. 이는, 조작자가 커넥터(10)가 포스트(100)에 대하여 완전히 정합되었는지 또는 부분적으로만 정합되었는지를 가시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가시적 표시기들의 사용은, 사람의 눈, 바코드 타입 판독기, UV 스캐너 또는 기타 장치에 의해, 쉽게 검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터(10)가 정합 포스트(100)에 완전히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긍정적인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시적 표시기를 위해 대비 색의 잉크, 레이저 마킹 및/또는 UV 트레이서를 사용하는 경우, 핸드헬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보이지 않는 정합 영역들에서도 커넥터들(10, 100)이 완전히 정합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포스트(100)와 커넥터(10)는 파워 또는 접지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포스트(100)와 커넥터(10)는 서로 다른 암페어 및/또는 서로 다른 전압을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전기적 성질/특성을 갖는 커넥터들만이 해당 포스트들과 정합될 수 있음은 필수적이다. 각 커넥터(10)와 포스트(100) 간의 정합 기능을 제한함으로써, 적절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전하고, 최적인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도 14와 도 15를 참조해 보면, 커넥터(10), 포스트(100), 및 키잉 부재(200)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10)가 도시되어 있지만, 커넥터(10)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이며, 청구범위를, 예시하고 설명하는 커넥터의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5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몸체(12)의 제1 단부 또는 상단부(16)를 향하여 커넥터(10)의 몸체(12)의 제2 단부 또는 하단부(18)로부터 연장되는 키잉 수용 유도 또는 오목부(keying receiving relief or recess; 84)를 가진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키잉 수용 오목부(84)는, 포스트 수용 통로(14) 근방에 위치하고, 포스트 수용 통로(14)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돌출부 수용 유도 또는 오목부(86)는, 하단부(18)로부터 멀어지며 상단부(16)를 향하는 방향으로 키잉 수용 오목부(84)로부터 연장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돌출부 수용 오목부(86)는, 포스트 수용 통로(14) 근방에 위치하며, 포스트 수용 통로(14)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포스트 수용 통로(14)로부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의 이격은 가변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키잉 수용 오목부(84)와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의 다른 실시예들을 이용할 수 있다.
포스트(100)는 상단부(102)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버스 정합 단부(106)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버스 정합 단부(106)는 상단부(102)의 원주보다 큰 원주를 갖지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위치결정 돌출부(108)는 버스 정합 단부(106)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위치결정 돌출부(108)는 제1 면(110) 및 반대측의 제2 면(112)을 가진다. 제1 면은, 위치결정 돌출부(108)와 포스트(100)가 제1 면 상의 제 위치에 적절히 장착되도록 기판, 회로 기판, 버스 바, 또는 다른 부품과 협동한다. 제1 유지 오목부(114)는 정합 단부(106)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제1 유지 오목부(114)는 상단부(1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결정 돌출부(108)로부터 이격된다. 제2 잠금 오목부(116)도 정합 단부(106)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제2 잠금 오목부(116)는 위치결정 돌출부(108)와 제1 유지 오목부(114) 사이에 위치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1 유지 오목부(114)와 제2 잠금 오목부(116)가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잠금 오목부(116)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플라스틱, 절연성, 또는 분리 키잉 부재(200)가 포스트(100) 상에 위치한다. 도 14와 도 15에서는, 서로 다른 키잉 부재들(200)이 도시되어 있다. 포스트(100)는, 키잉 부재(200)를 갖고 있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포스트들과 일관된 것이다. 포스트(100')는 제1 키잉 부재(200')를 갖고, 포스트(100")는 제2 키잉 부재(200")를 가진다. 총칭하여 참조 번호 200인 키잉 부재들(200', 200")은, 더욱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망하는 전기적 성질/특성을 갖는 커넥터들만이 유사한 전기적 성질/특성을 갖는 해당 포스트들과 정합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커넥터들(10)과 협동하는 키잉 부재들(200)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이다.
키잉 부재들(200)은, 제1 면(204)과 제2 면(206)을 갖는 위치결정 부재들(202)을 구비한다. 제1 면(204)은, 키잉 부재(200)가 포스트(100)에 완전히 삽입되면 포스트(100)의 위치결정 돌출부(108)의 제2 면(112)과 협동하기 위한 치수를 가진다. 키잉 돌출부(208)는 제1 면(20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결정 부재(202)의 제2 면(206)으로부터 연장된다. 개구(210)는 각 키잉 부재(200)에 설치된다. 개구(210)는, 포스트(100)가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 부재(202)와 키잉 돌출부(208)를 통해 연장된다. 위치결정 부재(202)는 개구(210)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다. 키잉 돌출부(208)도, 개구(210)의 원주 주위로 연장되지만, 이러한 원주로부터 다양한 거리로 이격된다. 스페이서들(214)에 의해 서로 이격된 탄성 아암들(212)은 포스트들(100)의 오목부들(114, 116)과 협동하도록 개구들(210) 내로 연장되며,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한다.
사용시, 커넥터 시스템은, 소망하는 전기적 성질/특성을 갖는 커넥터들만이 유사한 전기적 성질/특성을 갖는 해당 포스트들과 정합될 수 있음을 보장하도록 키잉 부재들(200)을 사용하고, 이에 따라, 커넥터들과 포스트들 간의 안전하고도 유효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짐을 보장한다.
키잉 부재(200)는, 전기 커넥터(10)가 포스트에 정합되기 전에, 포스트(100)에 삽입된다. 개구(210)는, 포스트(100)를 내부에 수용하고, 키잉 부재(200)가 포스트(100)의 위치결정 돌출부(108)를 향하여 포스트(100)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때, 키잉 부재(200)의 탄성 아암들(212)은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탄성 아암들(212)이 포스트(100)의 제1 오목부(114)와 체결할 때까지 삽입이 계속된다. 이때, 탄성 아암들(212)은 미응력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여, 탄성 아암들(212)이 제1 유지 오목부(114) 내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키잉 부재(212)를 포스트(100)에 고정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키잉 부재(200)는 포스트(100)에 완전히 삽입된 것은 아니지만, 포스트(100) 상에서 유지되고 있어서, 키잉 부재(200)가 포스트(100)로부터 우연히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키잉 부재(200)가 포스트(100) 상에서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10)가 포스트(100)에 삽입된다. 이때, 포스트(100)는 포스트 수용 통로(14) 내에 수용된다. 커넥터가 포스트(100)의 위치결정 돌출부(108)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키잉 오목부(84)가 키잉 부재(200)와 체결한다. 커넥터(10)가 계속 삽입됨으로써, 키잉 부재(200)가 위치결정 돌출부(108)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아암들(212)이 제1 유지 오목부(114)로부터 제2 잠금 오목부(116)로 이동한다. 탄성 아암들(116)이 제2 잠금 오목부(116)에 위치하게 되면, 키잉 부재(200)가 자신의 최종 정합 위치에서 위치하고 유지된다. 포스트(100)는 제1 오목부(114)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10)가 포스트(100)에 삽입되기 전에 키잉 부재(200)가 제2 잠금 오목부(116) 내에 초기에 위치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기 바란다.
키잉 부재(200)가 제2 오목부(116) 내에 적절히 위치하게 되면, 커넥터(10)가 포스트(100)로 계속 삽입된다. 커넥터(10)가 적절한 전기적 특성/성질을 가진다면, 키잉 부재(200)의 키잉 돌출부(208)는 커넥터(10)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와 정렬하여, 커넥터(10)가 포스트(100)와 완전히 정합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완전히 정합된 위치에서, 포스트(100)의 상단부(102)는 탄성 래칭 아암들(66)과 체결한다. 이는, 탄성 래칭 아암들(66)과 자유 단부들(74)이 잠금 슬라이드(50)의 상면(58)을 향하여 이동하게 하며, 이에 따라, 자유 단부들(74)이 벽들(82)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도 9)를 향해 계속 이동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잠금면(72)을 오목부(104)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커넥터(10)가 적절한 전기적 특성/성질을 갖지 않으면, 키잉 부재(200)의 키잉 돌출부(208)는 커넥터(10)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와 정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10)가 포스트(100)와 완전히 정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위치에서, 잠금면(72)은 오목부(104)와 정렬되지 않는다. 또한, 포스트(100)의 상단부(102)는, 탄성 래칭 아암들(66)이 잠금 슬라이드(50)의 상면(58)을 향하여 이동하게 하지 않는다. 이 위치에서, 탄성 래칭 아암들(66)의 자유 단부들(74)은 트랙들(34)의 정지면들 또는 벽들(82)과 당접하거나 체결한다. 그 결과, 탄성 래칭 아암들(66)의 자유 단부들(74)이 벽들(82)과 체결하여, 잠금 래치(66)와 잠금 슬라이드(50)가 잠금 위치를 향하여 계속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잠금 슬라이드(50)가 폐쇄 또는 잠금 위치에 배치될 수 없다. 이는, 서로 다른 전기적 특성/성질을 갖는 포스트(100)에 커넥터(10)가 부적절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와 키잉 돌출부(208)의 서로 다른 많은 구성들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많은 키잉 조합들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조합을 제공하도록,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와 키잉 돌출부(208)는, 정합 키잉 부재(200)를 이용하여 커넥터(10)가 단자 포스트(100)에 적절히 정합될 수 있게 하는, 서로 다른 이격, 서로 다른 형상/구성, 서로 다른 색, 및/또는 다른 가시적 표시기를 가질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수의 및/또는 서로 다른 개수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들(86)과 키잉 돌출부들(208)을 제공하여 추가 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를 포스트 상에 위치시키는 방법은, 키잉 부재를 포스트에 삽입하는 단계; 포스트 상에서 키잉 부재를 유지하는 단계; 커넥터를 포스트에 삽입하는 단계; 키잉 부재를 포스트와 체결하는 단계; 및 키잉 부재가 커넥터의 키잉 수용 오목부와 적절히 정합되면 포스트에 커넥터를 적절히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키잉 부재는, 소망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커넥터만이 유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포스트에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적절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전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것을 보장한다.
키잉 부재를 포스트에 삽입하기 전에, 착색된 돌출부 수용 오목부들(86)과 착색된 키잉 돌출부들(208)의 색들을 확인하여 돌출부 수용 오목부들과 키잉 돌출부들이 정합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커넥터들(10)만이 적절한 포스트들(100)에 삽입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색들이 적절히 일치하면, 해당 키잉 돌출부(208)가 대응하는 각 수용 오목부(86) 내에 적절히 그리고 완전하게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각 커넥터들(10)만이 적절한 각 포스트들(100)에 정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방법은, 키잉 부재를 제1 위치에서 포스트에 삽입하는 단계; 키잉 부재를 커넥터와 체결하는 단계; 및 키잉 부재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키잉 부재의 키잉 돌출부를 키잉 오목 오목부 근방에 설치된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잠금 래치의 래칭 아암을 포스트와 체결하는 단계; 래칭 아암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잠금 래치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키잉 부재가 포스트에 삽입되면 키잉 부재의 탄성 아암들을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법은, 탄성 아암들이 포스트의 오목부와 체결되면 미응력 위치를 향하여 탄성 아암들을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포스트 상에 키잉 부재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커넥터(10), 시스템, 및 방법은, 정합 포스트 및 정합 포스트가 연결되는 파워 버스에 대하여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포스트에 삽입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룬다. 키잉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소망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커넥터들만이 유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포스트들에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적절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전하고, 최적인 전기적 연결을 보장한다.
키잉 부재(200)를 사용함으로써, 커넥터(10)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와 키잉 돌출부(208)가 정렬되지 않거나 정합되지 않으면 포스트(100)가 커넥터(10)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잠금 위치를 향한 잠금 슬라이드(50)의 이동을 금지한다. 그러나, 커넥터(10)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86)와 키잉 돌출부(208)가 적절히 정렬되거나 정합되면, 커넥터(10)가 포스트(100)에 적절히 삽입되고, 잠금 슬라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커넥터가 포스트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긍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 및 유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가시적 표시는, 연결이 고정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한 빠르고 비용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커넥터(10), 포스트(100), 및 키잉 부재(200)의 구성은, 커넥터가 임의의 방향으로부터 포스트(100)에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암페어가 가변적인 많은 응용 분야에서 빠른 연결 및 연결 해제형 커넥터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구성은, 컨택트당 최대 1000 암페어를 요구하는 고 암페어 전기적 연결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Claims (10)

  1.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단자 포스트;
    하우징 몸체를 갖는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단자 포스트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포스트 수용 통로를 갖고, 상기 하우징 몸체는 상기 포스트 수용 통로의 제1 단부의 근방에 설치된 키잉 부재(keying member) 수용 오목부들을 갖는 것인,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단자 포스트 상에 위치하여 유지되는 키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단자 포스트에 적절히 삽입되면 상기 키잉 부재 수용 오목부들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키잉 부재는 커넥터가 해당 포스트에 부적절하게 정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키잉 부재를 상기 단자 포스트에 대하여 적절히 위치시키도록 상기 단자 포스트의 위치결정 숄더(positioning shoulder)와 협동하는 위치결정 부재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포스트는 상기 단자 포스트의 위치결정 숄더로부터 이격된 오목부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단자 포스트를 수용하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는 내부로 연장되는 탄성 아암들(resilient arms)을 갖고, 상기 탄성 아암들은 상기 단자 포스트 상에 상기 키잉 부재를 유지하도록 상기 단자 포스트 상의 오목부와 협동하는, 커넥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협동하는 키잉 돌출부를 갖고,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상기 키잉 돌출부가 정렬되지 않거나 정합되지 않으면 상기 단자 포스트가 상기 커넥터 내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상기 단자 포스트와 완전히 정합되는 상기 잠금 위치로 상기 커넥터의 잠금 슬라이드가 이동하는 것을 금지하는, 커넥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협동하는 키잉 돌출부를 갖고,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상기 키잉 돌출부가 적절히 정렬되면, 상기 커넥터가 상기 포스트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 상기 커넥터의 잠금 슬라이드가 래칭 위치(latched position)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긍정적인 전기적 연결(positive electrical connection)을 제공 및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커넥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커넥터의 돌출부 수용 오목부와 협동하는 키잉 돌출부를 갖고, 상기 키잉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소망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커넥터만이 유사한 전기적 특성을 갖는 상기 단자 포스트에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따라, 적절하고 신뢰성 있으며 안전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는, 커넥터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위치결정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키잉 돌출부를 갖는, 커넥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부재는, 상기 키잉 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개구의 원주 주위로 연장되고 상기 원주로부터 이격된, 커넥터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키잉 부재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단자 포스트와 적절히 정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가시적 표시기들(visual indicators)을 갖는, 커넥터 시스템.
KR1020140091874A 2013-07-23 2014-07-21 빠른 연결 파워 커넥터 분리 시스템 KR20150011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57532P 2013-07-23 2013-07-23
US61/857,532 2013-07-23
US14/325,407 US9225116B2 (en) 2013-07-23 2014-07-08 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isolating system
US14/325,407 2014-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772A true KR20150011772A (ko) 2015-02-02

Family

ID=5121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874A KR20150011772A (ko) 2013-07-23 2014-07-21 빠른 연결 파워 커넥터 분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25116B2 (ko)
EP (1) EP2830162B1 (ko)
JP (1) JP2015023035A (ko)
KR (1) KR20150011772A (ko)
CN (1) CN1043480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76492B1 (en) * 2015-03-30 2020-10-2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laterally protruding releasing arm
TWI591911B (zh) 2015-06-02 2017-07-11 羅新平 插座排
FR3048307B1 (fr) * 2016-02-25 2020-04-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arrette de connexion pour des modules de stockage d’energie d’une batterie de traction d’un vehicule
JP2018022630A (ja) * 2016-08-04 2018-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JP2018022628A (ja) * 2016-08-04 2018-02-0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部材及びコネクタ
US9905953B1 (en) 2016-09-30 2018-02-27 Slobodan Pavlovic High power spring-actuated electrical connector
US20180234595A1 (en) * 2017-02-10 2018-08-16 Google Inc. Camera Module
KR102592165B1 (ko) 2018-02-26 2023-10-19 인벤티브 컨설팅 엘엘씨 고전력 응용을 위한 스프링 작동식 전기 커넥터
EP3794686B1 (en) * 2018-05-16 2023-03-01 Signify Holding B.V. Kit of parts of track and plug
DE112019002878T5 (de) 2018-06-07 2021-05-06 Royal Precision Products, Llc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interner federkomponente
CN110212356B (zh) * 2018-11-30 2021-01-29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接地连接器及其公接头、母接头
CN113508498A (zh) 2019-01-21 2021-10-15 皇家精密制品有限责任公司 具有无螺栓汇流排系统的配电组件
US10763067B1 (en) * 2019-08-28 2020-09-01 Siemens Industry, Inc. Panel wire install indicator of a residential circuit breaker
CN114787815A (zh) 2019-09-09 2022-07-22 伊顿智能动力有限公司 具有可读和可记录标记的连接器记录系统
US11721942B2 (en) 2019-09-09 2023-08-0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Connector system for a component in a power management system in a motor vehicle
JP2022546859A (ja) 2019-09-09 2022-11-09 ロイヤル プリシジョン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電気バスバー及びその製作方法
CN211150950U (zh) * 2020-01-03 2020-07-31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电连接器组件
JP2023537688A (ja) 2020-07-29 2023-09-05 イートン インテリジェント パワー リミテッド インターロックシステムを含むコネクタシステム
US11812576B2 (en) 2020-08-25 2023-11-0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Socket connector for a power connector system
FR3125652B1 (fr) * 2021-07-23 2023-08-04 A Raymond Et Cie Dispositif de connexion d’un conducteur electrique à un connecteur électrique, le dispositif etant muni d’un témoin visuel de bon montage
US11670893B2 (en) 2021-07-28 2023-06-06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Socket connector for a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759A (en) * 1975-08-25 1977-08-16 Alexander Cella Battery quick disconnect system
EP0093628B1 (fr) 1982-04-29 1989-01-04 Santiago Lozano Rico Prise femelle à bornes multiples
US4590540A (en) * 1984-05-10 1986-05-20 Rca Corporation Circuit board mounting arrangement
US5435742A (en) * 1994-02-14 1995-07-2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system
US5752839A (en) * 1995-06-30 1998-05-19 Labinal Components And Systems, Inc. Coaxial connector for press fit mounting
US5915758A (en) * 1995-11-24 1999-06-29 Alfiero; Joseph A. Bridge for low resistance electrical connections and method of using same
JP3204918B2 (ja) * 1996-04-08 2001-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蓄電池用端子構造
EP0975063B1 (en) * 1996-04-30 2003-04-09 Fci A connector with a lateral cable outlet
US5876231A (en) * 1996-09-10 1999-03-02 Framatome Connectors Usa Connector for airbag system
EP1439610A3 (en) 2003-01-20 2005-06-22 Tyco Electronics AMP GmbH Plug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battery terminal
US6817893B2 (en) * 2003-01-20 2004-11-16 Tyco Electronics Amp Gmbh Plug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a battery terminal
US6764318B1 (en) * 2003-03-28 2004-07-20 Fourte Design & Development, Llc Self-centering press-fit connector pin used to secure components to a receiving element
DE102004018007B4 (de) * 2004-04-14 2010-11-25 U.I. Lapp Gmbh Codierter Verbinder für signalführende Kabel
DE102005029133A1 (de) 2005-06-23 2006-12-28 Dr.Ing.H.C. F. Porsche Ag Vorrichtung zur Kontaktierung eines Hochstromkabels
FR2941819B1 (fr) 2009-01-30 2012-10-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our liaison de masse"
US8647159B2 (en) * 2010-03-02 2014-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electrical termination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termination structures
US8608506B2 (en) 2011-10-06 2013-12-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Power terminal connector and system
FR2981801B1 (fr) * 2011-10-20 2014-01-03 Souriau Systeme de detrompage pour connecteur et procede de montage de ce systeme sur un connecteur
US9059542B2 (en) * 2013-07-23 2015-06-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48027A (zh) 2015-02-11
EP2830162B1 (en) 2018-01-31
US20150031247A1 (en) 2015-01-29
JP2015023035A (ja) 2015-02-02
CN104348027B (zh) 2019-04-23
US9225116B2 (en) 2015-12-29
EP2830162A1 (en)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1772A (ko) 빠른 연결 파워 커넥터 분리 시스템
EP3284142B1 (en) Quick connect power connector system
KR20150011771A (ko) 빠른 연결형 파워 커넥터
EP2127039B1 (en) High voltage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493083B1 (en) Electrical plug adapter
US6964579B2 (en) Position assured connector
US7413478B2 (en) Electric contact for contacting a protecting conductor with conductive housing
EP2366211B1 (en) High-current plug-in connector
US20100144206A1 (en) Plug connector
EP136767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shorting member
CN112534651B (zh) 具有端子位置保证装置的电连接器
JP5731614B2 (ja) 自動車分野において高圧電流を伝送するための接続装置
CN104969419B (zh) 电插入连接器
US10199785B2 (en) Adapter for a power outlet and a power plug
CN109643873A (zh) 具有端子的电源连接器
CN104254949A (zh) 插塞连接器
US11183800B2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indication
CN218525788U (zh) 立式插座连接器
US20230096310A1 (en) Substrate for Contacting at Least One Electrical Pin of a Charging Inlet
US20210376517A1 (en) Pin and sleeve device with features to facilitate easi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